KR101936948B1 -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6948B1 KR101936948B1 KR1020160184236A KR20160184236A KR101936948B1 KR 101936948 B1 KR101936948 B1 KR 101936948B1 KR 1020160184236 A KR1020160184236 A KR 1020160184236A KR 20160184236 A KR20160184236 A KR 20160184236A KR 101936948 B1 KR101936948 B1 KR 101936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opening
- locking
- cylinder
- p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motion of a material which is continuously fed to a working station in a stepwise mo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6—Handling moulds, e.g. between a mould store and a moulding mach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29C2033/207—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mould clamping by pivo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금형탑재판이 일렬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금형 회전부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형탑재판에 탑재되는 것으로 하부금형 일측에는 금형을 락킹하는 토글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상면에는 롤러가 장착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는 금형으로 이루어져, 특정 위치에 금형이 도착하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이 수행되는 우레탄 솔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내측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외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제1푸싱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락킹을 해제하며, 상기 제1푸싱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금형개방수단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금형 개방부; 상기 금형 개방부 일측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기 금형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노즐이 상기 금형 내부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 도포부; 상기 이형제 도포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금형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부; 상기 원료 주입부 일측에 설치되고,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밀폐블럭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밀어 상기 상부금형을 닫는 금형 밀폐부; 상기 금형 밀폐부 일측에 설치되고, 락킹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금형을 락킹하는 금형 락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레탄 솔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 개방, 이형제 도포, 원료 주입, 금형 밀폐의 모든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신발의 디자인과 기능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아웃도어는 물론 스포츠업계에서도 차별화한 기능뿐만 아니라 경량화한 신발이 제안되고 있다.
신발을 경량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대표적인 방법은 슈 솔(Shoe sole)을 인젝션 발포 성형하여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인젝션 발포 성형방법은 제작하고자 하는 슈 솔 크기보다 다소 적은 크기로 형성된 금형에 발포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원료를 주입하고 금형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화학반응에 의하여 금형 내부에서 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금형을 개방함으로써 금형개방과 동시에 금형 내부에서 성형된 성형물이 순간적으로 팽창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슈 솔을 제조하게 된다. 발포제로는 폴리우레탄이나 EVA와 같은 발포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공정은 종래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직접 주입, 금형 밀폐, 히팅, 금형 개방을 수행했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작업자마다 다른 숙련도로 인해 품질이나 생산효율이 다르고 작업자가 중량의 금형을 다루어야 했기 때문에 작업피로도가 높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된 제조장치들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0252(2007.8.9)에 의하면, 90도 각도로 4개의 챔버가 배치되고 각각의 챔버는 수직되게 설치된 챔버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타리식 신발접착건조장치의 경우 각 챔버마다 배치되는 작업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소정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데, 수작업이 많이 필요하고 여러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갑피와 신발창을 부착하는 것과 같은 작업에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생산성이 요구되고 금형을 이용하는 슈 솔 발포성형장치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68712(2013.6.26)에서 자동연속 아웃솔 생산장치가 제안되었다. 이것은 '컨베이어 또는 턴테이블 형식의 무한궤도 회전수단과, 상기 무한궤도 회전수단에 탑재되는 복수개의 프레스를 포함하되, 특정위치에 상기 각 프레스가 도착되면 각 프레스마다 개별적으로 금형의 개폐 및 히팅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프레스를 이용한 자동연속 아웃솔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무한궤도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지만, 프레스를 이용한 작업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여서 슈 솔 발포성형장치를 위한 구성들은 개시된 바가 없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68712(2013.6.26)에 개시된 프레스 로터리 시스템도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데, 이것 역시 슈 솔 발포 성형장치에 직접 적용되기 힘들다.
따라서,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발포 성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특히 최근 신발을 포함한 각종 산업용 제품에 우레탄 솔(Urethane Sole)이 널리 사용되는데, 우레탄 솔을 성형하는 전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금형들을 회전시키면서 금형 개방, 이형제 도포, 원료 주입, 금형 밀폐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작업자만 투입 가능한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는, 다수개의 금형탑재판이 일렬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금형 회전부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형탑재판에 탑재되는 것으로 하부금형 일측에는 금형을 락킹하는 토글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상면에는 롤러가 장착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는 금형으로 이루어져, 특정 위치에 금형이 도착하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이 수행되는 우레탄 솔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내측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외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제1푸싱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락킹을 해제하며, 상기 제1푸싱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금형개방수단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금형 개방부; 상기 금형 개방부 일측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기 금형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노즐이 상기 금형 내부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 도포부; 상기 이형제 도포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금형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부; 상기 원료 주입부 일측에 설치되고,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밀폐블럭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밀어 상기 상부금형을 닫는 금형 밀폐부; 상기 금형 밀폐부 일측에 설치되고, 락킹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금형을 락킹하는 금형 락킹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 개방부는, 상기 금형의 토글클램프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락킹을 해제하는 제1푸싱실린더와, 상기 금형의 개폐손잡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손잡이를 상측으로 미는 제2푸싱실린더, 상기 제1푸싱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고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개폐손잡이까지 전진하고 상기 개폐손잡이를 그리핑한 후 후퇴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금형개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형개방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측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방실린더와, 상기 개방실린더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블럭과, 상기 금형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개방 가이드블럭의 하부에 부착된 그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방실린더 로드의 전진으로 상기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개폐손잡이에 도달한 상기 그리퍼가 상기 개폐손잡이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가 후진하여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할 수 있다.
또 상기 이형제 도포부는, 고정프레임 상부에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에 축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 일단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링크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도포실린더와, 상기 링크부재와 지지축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링크부재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노즐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부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원료 주입부는, 상기 금형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 레일과,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우레탄을 혼합시키는 믹싱헤드와, 상기 믹싱헤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혼합된 우레탄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원료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 밀폐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실린더와, 상기 금형 상측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와,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상부 가이드블럭과,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 하부에 부착되는 푸싱바와,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의 타단에 장착되는 하부 가이드블럭과,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에 결합되는 안착바 및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 단부, 상부 가이드블럭, 고정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방향전환롤러, 하부 가이드블럭, 고정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제2방향전환롤러를 거쳐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 단부에서 이어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과 하부 가이드블럭이 상호 근접하면서 상기 푸싱바에 의해 밀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안착바에 안착되고,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가 후진하면서 상기 상,하부 가이드블럭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상부금형이 닫힐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 락킹부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실린더와, 상기 락킹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는 원호 형상의 락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락킹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락킹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면서 움직이는 락킹블럭과, 상기 락킹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금형을 락킹시키는 락킹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솔을 성형하는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고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생산성 증대, 불량품 최소화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른 금형을 교체하여 다양한 종류의 우레탄 솔을 성형할 수 있고 양족 금형을 사용하여 양족의 우레탄 솔을 동시에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개방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형제 도포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밀폐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 락킹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개방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형제 도포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밀폐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 락킹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다수의 금형이 일렬로 궤도를 따라 회전하게 하고 각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에서는 일정시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금형 회전부(100), 상기 금형 회전부에 탑재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금형(200), 그리고 상기 금형 회전부의 내측 궤도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160) 및 상기 금형 회전부의 외측에 각각의 성형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상부금형을 여는 금형 개방부(300), 열린 금형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부(400), 금형 내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부(500), 원료가 주입된 금형을 닫는 금형 밀폐부(600), 닫힌 금형을 잠그는 금형 락킹부(70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각 구성을 순서를 따라 성형 공정이 수행된다. 즉, 일렬로 회전하면서 상기 금형 개방부(300)에서 정지된 금형은 금형이 개방되고, 다음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형제 도포부(400)에 도달한 개방된 금형은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되고, 다음으로 이동하여 상기 원료 주입부(500)에 도착한 금형은 내부에 원료를 주입하게 되며, 다음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 밀폐부(600)에서 정지한 원료가 주입된 금형은 상부금형을 닫아 밀폐하게 되고, 다음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 락킹부(700)에 도착한 닫힌 금형은 락킹시켜 완전히 밀폐한 후 발포시키는 공정이 수행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금형 회전부(100)는 전체적으로 트랙 형태를 이루는데, 양측에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110)이 구비되고, 상기 각 스프라켓(110)에는 체인(120)이 장착되며, 회전하는 스프라켓(110)에 의해 이동하는데, 상기 체인(120)은 트랙 형상의 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120)의 외측에는 상기 체인(120)을 따라 궤도레일(130)이 구비된다.
또 상기 궤도레일(130) 상에는 금형을 탑재할 수 있는 다수개의 금형탑재판(140)이 안착되어 상기 궤도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즉 상기 금형탑재판(140)의 하부에는 바퀴가 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금형탑재판(140)은 상기 체인(1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20)이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금형탑재판(140)은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110)은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스프라켓(110) 대신 회전기어나 풀리를 사용하고 상기 체인(120) 대신 상기 회전기어에 연접하는 기어치가 형성된 컨베이어나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금형탑재판(140)에 탑재되는 금형(200)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금형(210)과 상기 하부금형(210)과 일단에서 힌지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는 상부금형(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형(210)은 중앙에 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공간부(2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상부금형(220)을 눌러 락킹할 수 있는 토글클램프(214)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토글클램프(214)는 하부금형과 같은 물체에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브라켓에 레버가 링크를 개재시킨 상태로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링크에는 레버의 회동에 의해 고정할 물체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구가 설치된 것이다. 공지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20)의 상면에는 개폐손잡이(2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손잡이(222)의 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224)가 결합된다.
이것은 상기 개폐손잡이(222)는 상부금형(220)을 여닫을 때 필요하지만 각 공정이 진행중 일 때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손잡이(222)의 롤러(224)가 상기 가이드레일부(16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되면서 굴러가게 한다.
다음으로 가이드레일부(160)는 상기 궤도레일(130) 내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 형상의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60)는 상기 궤도레일(13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220)에 부착된 개폐손잡이(222)의 롤러(224) 부분을 지지하되, 궤도를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부(160)의 높낮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220)의 개방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금형(220)의 개방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레일부(160)는 상기 원료 주입부(500)에 의해 원료가 주입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이드레일부(160)를 하측으로 벤딩시켜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금형 개방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개방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금형 개방부(300)는 상기 궤도레일(130) 중 직선구간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닫힌 금형의 락킹을 밀어 해제하고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이동시켜 상부금형(220)을 개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 개방부(300)는 구체적으로 제1푸싱실린더(310), 제2푸싱실린더(320), 금형개방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푸싱실린더(310)는 개방하고자 하는 금형의 상측에 설치되고 별도의 고정프레임(800)이나 고정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금형(210)의 토글클램프 레버(214a)의 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프레임이란 상술한 각 공정을 수행하는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조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단부간 연결되어 장방형과 같은 골격을 이루는 구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후진하는 로드가 상기 레버(214a)를 밀 수 있도록 수평 혹은 약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푸싱실린더(310)의 로드가 전진하면서 상기 레버(214a)를 밀면 상기 토글클램프(214)가 락킹을 해제하면서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 제2푸싱실린더(320)는 상기 상부금형(220)의 개폐손잡이(222) 직하방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푸싱실린더(320)의 로드가 상측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밀어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푸싱실린더(320)의 로드는 상기 상부금형(220)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금형(220)이 약간 열렸다 다시 닫힐 정도의 거리만 전진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금형개방수단(330)에 의해 상부금형(220)이 개방되기 때문에 그전에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개방 전 공정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금형 내부가 진공 상태인 경우 상기 상부금형(220)이 잘 열리지 않기 때문에 미리 상기 제2푸싱실린더(320)의 힘으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2푸싱실린더(310, 320) 일측에는 금형개방수단(330)이 구비된다.
상기 금형개방수단(3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실린더(331), 개방블럭(332), 개방 가이드부재(333), 그리퍼(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실린더(331)는 상기 제1푸싱실린더(310)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것은 중앙부가 별도의 고정프레임(800)에 힌지결합되어 시소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실린더(331)의 로드 단부에는 개방블럭(33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개방블럭(332)의 측면에 상기 로드 단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금형의 상측에는 상기 개방실린더(331) 로드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하부금형(210)의 하측까지 원을 그리면서 설치되는 개방 가이드부재(333)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 가이드부재(3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일부인 원호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 절개된 가이드홈(3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 가이드부재(333)가 원호인 이유는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될 때 상기 개폐손잡이(222)의 단부가 원호의 궤적을 따라가므로 이 궤적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홈(333a)에는 상기 개방블럭(33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333a)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실린더(331)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개방블럭(332)은 상기 가이드홈(333a)의 경로를 따라 원호를 그리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블럭(332)의 하부에는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3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334)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손잡이(2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형 앵글일 수 있고 측면에 별도의 그리핑실린더가 결합되게 하여 로드가 상기 앵글 내부로 전진하여 삽입된 상기 개폐손잡이(222)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걸리게 함으로써 그리핑(gripping)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실린더(331)의 로드가 최대한으로 전진하면 상기 개방블럭(332)이 닫힌 상태의 상부금형(220)의 개폐손잡이(222)까지 이동하고, 상기 그리퍼(334) 내부로 개폐손잡이(222)가 삽입되면 상기 그리핑실린더의 작동으로 개폐손잡이(222)를 그리핑한 상태가 되며, 상기 개방실린더(331) 로드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상부금형(220)은 개방된다. 그리고 상부금형(220)이 개방되면 상기 그리퍼(334)가 그리핑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상기 개폐손잡이(222)에 결합된 롤러(224)가 상기 가이드레일부(160)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이형제 도포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형제 도포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이형제 도포부(400)는 상기 궤도레일(130) 중 직선구간의 중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열린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제 도포부(400)는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10), 지지축(420), 링크부재(430), 도포실린더(440), 상부지지부재(450), 상부노즐(460), 하부지지부재(470), 하부노즐(4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고정프레임(80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10)는 한 쌍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10) 사이에는 지지축(4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축(420)은 양단이 각각 상기 각 고정부재(410)에 축지지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420)의 일단에는 바 형상의 링크부재(430)가 결합된다.
또 고정프레임(800)의 측면에는 도포실린더(44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포실린더(440)의 로드는 상기 링크부재(430)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실린더(440)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430)가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부재(450)는 바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지지축(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링크부재(4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재(450)와 링크부재(430)의 단부 사이에 상부노즐(46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노즐(460)은 상기 상부금형(220)의 내부에 이형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또 상기 하부지지부재(470)도 바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지지축(420)에 결합되고, 타측에 하부노즐(4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노즐(480)은 상기 하부금형(210)의 내부에 이형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이형제 도포부(400)에 도달하면, 상기 상부노즐(460)과 하부노즐(480)로부터 동시에 이형제가 분사되기 시작하고, 동시에 상기 도포실린더(440)의 로드가 전진하므로 상기 링크부재(430)가 회전(도 3에서 반시계방향)하게 되어 상기 지지축(420)도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 지지축(420)에 연결된 상부노즐(460)과 하부노즐(480)도 상기 링크부재(4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부노즐(460)과 하부노즐(480)은 회전하면서 이형제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금형(220)과 하부금형(210)의 내부에 골고루 균일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원료 주입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형제 도포부(400)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원료 주입부(500)는 이형제가 도포된 하부금형(210)의 성형공간부(212)에 원료를 주입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원료 주입부(500)는 수평레일(510), 믹싱헤드(520), 원료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레일(510)은 상기 궤도레일(130)에 수직인 방향으로 별도의 고정프레임(8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510) 상에는 믹싱헤드(520)가 안착되어 상기 수평레일(51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믹싱헤드(520)는 내부에서 원료와 발포제 등을 혼합하여 상기 원료분사노즐로 공급한다. 뿐만 아니라 정량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원료는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믹싱헤드의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믹싱헤드(520)의 하부에는 원료분사노즐(미도시)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금형(210)의 성형공간부(212)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정량의 원료를 토출하여 주입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금형 밀폐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 밀폐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금형 밀폐부(600)는 원료가 주입된 하부금형(210)을 상부금형(220)으로 닫아 밀폐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폐실린더(610), 밀폐 가이드부재(620), 상부 가이드블럭(630), 푸싱바(640), 하부 가이드블럭(650), 안착바(660), 와이어(6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실린더(610)는 상기 금형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프레임(8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실린더(610)의 로드 측, 상기 금형의 상측에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6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밀폐실린더(610) 로드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하부금형 하측까지 원호를 그리면서 설치된다. 또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620) 내부에는 절개된 가이드홈(6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620)의 일측에는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상기 가이드홈(620a)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하부 가이드블럭(650)이 가이드홈(620a)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620)의 상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하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실린더(610) 로드 단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밀폐실린더(610)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가이드홈(620a)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 하부에는 푸싱바(640)가 부착된다. 상기 푸싱바(640)는 상기 상부금형(2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손잡이(222)와 맞닿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이동하면 상기 푸싱바(640)가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밀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의 측면에는 안착바(660)가 결합된다. 상기 안착바(660)는 상기 푸싱바(640)에 의해 이동한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전달받아 안착시키는 바(bar) 형상의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은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밀폐실린더(610)와 연결된 와이어(670)에 의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70)는 상기 밀폐실린더(610)의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시작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에 결합되고 다시 연장되어 고정프레임(800)의 측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1방향전환롤러(680)에 권취되어 지지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전환롤러(680)로부터 연장된 상기 와이어(670)는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에 결합되고 다시 연장되어 고정프레임(800)의 상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2방향전환롤러(690)에 권취되어 지지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밀폐실린더(610) 로드로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밀폐실린더(610)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은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푸싱바(640)가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밀기 때문에 상기 상부금형(220)은 닫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이 이동함에 따라 상부 가이드블럭(630)과 제1방향전환롤러(680) 간 와이어 길이가 줄어들고 상기 제2방향전환롤러(690)를 통해 상기 로드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도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 측으로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과 하부 가이드블럭(650)이 M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싱바(640)에 의해 밀려서 이동된 상기 개폐손잡이(222)는 M 지점에서 상기 안착바(660)로 전달되고 상기 밀폐실린더(610) 로드가 후진하여 복귀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630)도 원위치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650)도 원위치되면서 상기 상부금형(220)은 안전하게 닫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금형 락킹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 락킹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금형 락킹부(700)는 상기 금형 밀폐부(600)에서 닫힌 상부금형(220)을 상기 하부금형(210)에 부착된 토글클램프(214)로 걸어 잠그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금형 락킹부(700)를 구성하는 것은 락킹실린더(710), 락킹 가이드부재(720), 락킹블럭(730), 락킹바(740)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실린더(710)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에 상기 락킹블럭(7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실린더(710)의 상측에는 락킹 가이드부재(720)가 구비된다. 상기 락킹 가이드부재(720)는 상기 개방 가이드부재(333), 밀폐 가이드부재(620)와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을 이루고 가이드홈(720a)이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락킹블럭(73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락킹블럭(730)에는 락킹바(740)가 결합된다. 상기 락킹바(740)는 연장되어 상기 토글클램프(214)의 레버(214a)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락킹실린더(710) 로드의 전진으로 상기 락킹블럭(730)이 상기 가이드홈(720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락킹바(740)가 상기 레버(214a)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레버(214a)가 수직이 될 때까지 작동된다. 레버(214a)가 수직이 되면 상기 상부금형(220)은 완전히 락킹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드가 후진하면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인 금형 개방부의 구성 중 상기 금형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형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금형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금형 밀폐부(600)의 세부구조와 대동소이하다. 즉 상기 금형개방수단(340)은 개방실린더(341), 개방 가이드부재(342), 상부 가이드블럭(343), 그리퍼(344), 하부 가이드블럭(345), 푸싱바(346), 와이어(347), 제1방향전환롤러(348), 제2방향전환롤러(3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실린더(341), 개방 가이드부재(342), 상부 가이드블럭(343), 하부 가이드블럭(345) 및 와이어(347)는 각각 상기 금형 밀폐부(600)의 밀폐실린더, 밀폐 가이드부재, 상부 가이드블럭, 하부 가이드블럭 및 와이어와 대동소이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금형개방수단(340)의 그리퍼(344)는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343)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바(344a)와 그리핑핀(34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344a)와 그리핑핀(344b) 사이에 상기 개폐손잡이(222)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그리핑핀(344b)은 별도의 그리핑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어 전후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개방수단(340)의 푸싱바(346)는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345)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밀어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개방실린더(341)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343)은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345) 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부 가이드블럭(343)과 제1방향전환롤러(348) 간 와이어 길이가 줄어들고 상기 제2방향전환롤러(349)를 통해 상기 로드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345)도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343)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345)의 푸싱바(346)가 상기 개폐손잡이(222)를 N 지점까지 밀어 이동시키고 N 지점에서 상부 가이드블럭(343)을 만나면서 상기 개폐손잡이(222)는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343)의 그리퍼(344)로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그리퍼(344)의 그리핑핀(344b)이 전진하면서 상기 개폐손잡이(222)는 상기 그리퍼(344) 내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연이어 상기 개방실린더(341) 로드가 후진하여 복귀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343)도 원위치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345)도 원위치되면서 상기 상부금형(220)은 안전하게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손잡이의 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60)에 놓여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형탑재판(140)에 탑재된 금형은 다른 종류의 금형으로 교체하여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우레탄 솔을 생산할 수 있다. 당연히, 상기 원료 주입부(500)의 믹싱헤드(520)에 다른 종류의 원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재질의 우레탄 솔을 생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슈 솔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금형을 사용하여 다양한 우레탄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양발 중 어느 한 발의 우레탄 솔 금형만을 도시하였지만, 양족의 우레탄 솔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양족 우레탄 솔용 금형을 한 쌍으로 배치하여 공정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금형 회전부
110 : 스프라켓 120 : 체인
130 : 궤도레일 140 : 금형탑재판
160 : 가이드레일부
200 : 금형
210 : 하부금형 212 : 성형공간부
214 : 토클클램프 214a : 레버
220 : 상부금형 222 : 개폐손잡이
224 : 롤러
300 : 금형 개방부
310 : 제1푸싱실린더 320 : 제2푸싱실린더
330 : 금형개방수단 331 : 개방실린더
332 : 개방블럭 333 : 개방 가이드부재
334 : 그리퍼
340 : 금형개방수단 341 : 개방실린더
342 : 개방 가이드부재 343 : 상부 가이드블럭
344 : 그리퍼 344a : 걸림바
344b : 그리핑핀 345 : 하부 가이드블럭
346 : 푸싱바 347 : 와이어
348 : 제1방향전환롤러 349 : 제2방향전환롤러
400 : 이형제 도포부
410 : 고정부재 420 : 지지축
430 : 링크부재 440 : 도포실린더
450 : 상부지지부재 460 : 상부 노즐
470 : 하부지지부재 480 : 하부 노즐
500 : 원료 주입부
510 : 수평레일 520 : 믹싱헤드
600 : 금형 밀폐부
610 : 밀폐실린더 620 : 밀폐 가이드부재
630 : 상부 가이드블럭 640 : 푸싱바
650 : 하부 가이드블럭 660 : 안착바
670 : 와이어 680 : 제1방향전환롤러
690 : 제2방향전환롤러
700 : 금형 락킹부
710 : 락킹실린더 720 : 락킹 가이드부재
730 : 락킹블럭 740 : 락킹바
800 : 고정프레임
110 : 스프라켓 120 : 체인
130 : 궤도레일 140 : 금형탑재판
160 : 가이드레일부
200 : 금형
210 : 하부금형 212 : 성형공간부
214 : 토클클램프 214a : 레버
220 : 상부금형 222 : 개폐손잡이
224 : 롤러
300 : 금형 개방부
310 : 제1푸싱실린더 320 : 제2푸싱실린더
330 : 금형개방수단 331 : 개방실린더
332 : 개방블럭 333 : 개방 가이드부재
334 : 그리퍼
340 : 금형개방수단 341 : 개방실린더
342 : 개방 가이드부재 343 : 상부 가이드블럭
344 : 그리퍼 344a : 걸림바
344b : 그리핑핀 345 : 하부 가이드블럭
346 : 푸싱바 347 : 와이어
348 : 제1방향전환롤러 349 : 제2방향전환롤러
400 : 이형제 도포부
410 : 고정부재 420 : 지지축
430 : 링크부재 440 : 도포실린더
450 : 상부지지부재 460 : 상부 노즐
470 : 하부지지부재 480 : 하부 노즐
500 : 원료 주입부
510 : 수평레일 520 : 믹싱헤드
600 : 금형 밀폐부
610 : 밀폐실린더 620 : 밀폐 가이드부재
630 : 상부 가이드블럭 640 : 푸싱바
650 : 하부 가이드블럭 660 : 안착바
670 : 와이어 680 : 제1방향전환롤러
690 : 제2방향전환롤러
700 : 금형 락킹부
710 : 락킹실린더 720 : 락킹 가이드부재
730 : 락킹블럭 740 : 락킹바
800 : 고정프레임
Claims (7)
- 다수개의 금형탑재판이 일렬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금형 회전부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형탑재판에 탑재되는 것으로 하부금형 일측에는 금형을 락킹하는 토글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상면에는 롤러가 장착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는 금형으로 이루어져, 특정 위치에 금형이 도착하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이 수행되는 우레탄 솔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내측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금형 회전부의 궤도 외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제1푸싱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락킹을 해제하며, 상기 제1푸싱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금형개방수단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금형 개방부;
상기 금형 개방부 일측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기 금형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노즐이 상기 금형 내부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 도포부;
상기 이형제 도포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금형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부;
상기 원료 주입부 일측에 설치되고,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밀폐블럭이 상기 개폐손잡이를 밀어 상기 상부금형을 닫는 금형 밀폐부;
상기 금형 밀폐부 일측에 설치되고, 락킹실린더로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금형을 락킹하는 금형 락킹부;를 포함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개방부는,
상기 금형의 토글클램프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락킹을 해제하는 제1푸싱실린더와, 상기 금형의 개폐손잡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손잡이를 상측으로 미는 제2푸싱실린더, 상기 제1푸싱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고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개폐손잡이까지 전진하고 상기 개폐손잡이를 그리핑한 후 후퇴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금형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개방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측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방실린더와, 상기 개방실린더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블럭과, 상기 금형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블럭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개방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개방블럭의 하부에 부착된 그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방실린더 로드의 전진으로 상기 개방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개폐손잡이에 도달한 상기 그리퍼가 상기 개폐손잡이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가 후진하여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도포부는,
고정프레임 상부에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에 축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 일단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링크부재와 힌지결합되는 도포실린더와, 상기 링크부재와 지지축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링크부재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노즐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부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주입부는,
상기 금형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 레일과,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우레탄을 혼합시키는 믹싱헤드와, 상기 믹싱헤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혼합된 우레탄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원료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밀폐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실린더와, 상기 금형 상측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밀폐 가이드부재와,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상부 가이드블럭과,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 하부에 부착되는 푸싱바와, 상기 밀폐 가이드부재의 타단에 장착되는 하부 가이드블럭과,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에 결합되는 안착바 및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 단부, 상부 가이드블럭, 고정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방향전환롤러, 하부 가이드블럭, 고정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제2방향전환롤러를 거쳐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 단부에서 이어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블럭과 하부 가이드블럭이 상호 근접하면서 상기 푸싱바에 의해 밀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안착바에 안착되고, 상기 밀폐실린더 로드가 후진하면서 상기 상,하부 가이드블럭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상부금형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락킹부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실린더와, 상기 락킹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는 원호 형상의 락킹 가이드부재와, 상기 락킹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락킹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면서 움직이는 락킹블럭과, 상기 락킹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토글클램프를 밀어 금형을 락킹시키는 락킹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4236A KR101936948B1 (ko) | 2016-12-30 | 2016-12-30 |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4236A KR101936948B1 (ko) | 2016-12-30 | 2016-12-30 |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950A KR20180078950A (ko) | 2018-07-10 |
KR101936948B1 true KR101936948B1 (ko) | 2019-01-09 |
Family
ID=6291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4236A KR101936948B1 (ko) | 2016-12-30 | 2016-12-30 |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694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0871A (ko) | 2022-11-15 | 2024-05-22 | 주식회사 대신폴리텍 | 컨베이어식 돔형 프로텍터 제조장치 |
CN118372429B (zh) * | 2024-06-21 | 2024-08-30 | 滁州恒锐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轨道车辆座椅生产的脱模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087Y1 (ko) | 2002-08-10 | 2003-01-03 | 김재용 | 수평 회전식 신발 밑창 가공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35461A (ja) * | 1985-04-10 | 1986-10-20 | Shin Etsu Chem Co Ltd |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
KR20070080252A (ko) * | 2007-07-16 | 2007-08-09 | 김종도 | 로타리식 신발 접착건조 장치. |
KR101340413B1 (ko) * | 2011-12-15 | 2013-12-13 | (주)카스아이엔씨 | 복수의 프레스를 이용한 자동 연속 아웃솔 생산장치 |
KR20130068712A (ko) * | 2011-12-16 | 2013-06-26 | 주식회사 엠케이씨 | 프레스 로터리 시스템 |
-
2016
- 2016-12-30 KR KR1020160184236A patent/KR1019369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087Y1 (ko) | 2002-08-10 | 2003-01-03 | 김재용 | 수평 회전식 신발 밑창 가공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950A (ko) | 2018-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6948B1 (ko) | 우레탄 솔 자동성형장치 | |
KR102610464B1 (ko) | 물체를 발포화하고 이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EP2969444B1 (en) | Automated forming of cast polyurethane | |
US12059009B2 (en) | Transport system for an industrial confectionery machine | |
KR102394753B1 (ko) | 대상물을 포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CS221923B2 (en) | Method of making the pressings from plast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said method | |
US3771928A (en) | Apparatus for molding polyurethane articles | |
CN112208047A (zh) | 用于冰箱柜发泡的设备和方法 | |
US419616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oam cushions | |
WO20130542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moulding of polyurethane material | |
KR101001971B1 (ko) | 판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성형물 제조장치 | |
US6468065B1 (en) | Brick molding apparatus | |
DE3816181C2 (ko) | ||
US7699194B2 (en) | Method and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articles | |
US3663139A (en) |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articles | |
CN116078953B (zh) | 一种钢筋拉直分段切割机 | |
US4436500A (en) | In-line rotational casting apparatus | |
CN109663681B (zh) | 一种自动喷涂系统中的供料机构 | |
US421951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lush molding articles of footwear | |
US2705069A (en) | Article handling apparatus | |
KR100288579B1 (ko) | 피도물의 표면처리를 위한 샌딩장치 | |
JPH066302B2 (ja) | 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装置 | |
DE3346853C2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stärkungen, Versteifungen oder Verzierungen für Trägermaterialien | |
JP4049790B2 (ja) | 天ぷら製造装置 | |
CN114889024A (zh) | 一种摇摆式滚塑机用摇摆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