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914B1 -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914B1
KR101936914B1 KR1020180079219A KR20180079219A KR101936914B1 KR 101936914 B1 KR101936914 B1 KR 101936914B1 KR 1020180079219 A KR1020180079219 A KR 1020180079219A KR 20180079219 A KR20180079219 A KR 20180079219A KR 101936914 B1 KR101936914 B1 KR 10193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ubber
main pipe
clean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호
백남준
이선희
박찬유
서용원
박일광
이정현
변충섭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16L3/24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수를 공급하는 배관부가 분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부를 통해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되어 해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스크러버 내에 들어갈 필요없이 순환수 배관의 상태 확인 및 세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A Prefabricated Circulation Water Pipe System and Scrubb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수를 공급하는 배관부가 분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부를 통해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되어 해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스크러버 내에 들어갈 필요없이 순환수 배관의 상태 확인 및 세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생산활동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는 그 종류가 다양하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여 적절한 제어 및 정화기술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유해가스는 주로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불활성 가스, 유독성 가스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기술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스크러버이고, 스크러버는 가스 속의 고액 미립자를 물 등의 액체를 이용하여 포집시키는 원리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비교적 높은 포집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러버는 다량의 물을 분사하여 가스상 물질을 포섭하도록 하는데, 막대한 물이 사용됨에 따라 분사된 물을 순환시켜 재이용 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순환되는 물을 순환수라 하는데, 스크러버의 계속적인 사용에 따라 부유물질 및 오염물질 등이 순환수가 순환되는 배관이나 노즐에 쌓여 막힘 현상을 초래하고, 물의 분사 및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순환수의 배관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교체하는 작업이 연간 50회 이상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크러버(S) 내에 들어가 배관(L)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교체해야 하는바, 작업자의 질식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순환수의 재이용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노즐 및 배관에 쌓여 남아 있는 이물질 들을 제거할 수 없으며, 위험하고 과다한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배관(L)의 교체 작업은 여전히 자주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841210호(2018. 03. 16. 등록) "전기응집을 활용한 스크러버 순환수 재이용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스크러버 내에 들어갈 필요없이 순환수 배관의 상태 확인 및 세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크러버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부의 인출 및 해체 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지관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분할된 주배관 각각을 당겨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관부의 안정적인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는 외부로부터 순환수를 공급받아 스크러버 내에 분사하는 배관부와;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가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분할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개폐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분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외부에서 스크러버 내부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원공급관과; 상기 원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크러버 내의 좌우 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하측으로 분기되어 순환수를 스크러버 내에 분사하며, 주배관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수직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원공급관은 상기 개폐부에 상응하는 크기로 분할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주배관은 일정 길이로 분할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수직지관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지관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은 분할되는 주배관 사이에 삽입되는 배관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커넥터는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에서 삽입되는 주배관을 지지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의 주배관 내로 삽입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며, 주배관과 밀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은 분할되는 주배관 사이에 삽입되어 주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부는 일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일측 주배관과 결합하는 타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부를 체결부에 삽입시킨 후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는 타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지점에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는 상기 배관부의 인출시 배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가이드부는, 상기 수직지관의 끝단의 전후측에서 수직지관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레일과, 상기 주배관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주배관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배관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는 상기 배관부의 인출시 배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배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끝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를 갖는 레일지지체와; 상기 주배관의 상하측에 주배관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배관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배관부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방법은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부개방단계와; 원공급관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플랜지를 해체하는 플랜지해체단계와; 개폐부를 통해 원공급관을 당겨 순환수의 배관부를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관인출단계와; 외부로 인출된 주배관 사이를 분리시키는 주배관분리단계와; 주배관으로부터 하측으로 분기된 수직지관 사이를 연결하는 지관서포터를 분리하는 서포터분리단계와; 분리된 주배관 및 수직지관 각각을 스크러버 외부에서 확인 및 세척하는 개별확인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분리단계 및 서포터분리단계는 주배관이 분할된 길이만큼만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시킨 후 주배관 및 지관서포터를 분리하여 해체시키고, 상기 배관인출단계는 분할된 주배관을 당겨 스크러버 외부에서 차례로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순환수를 공급하는 배관부가 분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부를 통해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되어 해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스크러버 내에 들어갈 필요없이 순환수 배관의 상태 확인 및 세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공급관이 개폐부에 상응하는 크기로 분할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원공급관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는 주배관은 일정 길이로 분할되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개폐부를 통해 주배관의 분할된 길이만큼만을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시켜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부의 인출 및 해체 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배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분기되어 순환수를 분사하는 수직지관이 탈락 가능한 지관서포터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수직지관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분할된 주배관 각각을 당겨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부가 당겨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될 때, 배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크러버의 순환수 배관시스템을 확인 및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의 정면도(a) 및 주배관의 해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b)
도 4는 지관레일의 평면도
도 5는 주배관지지체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의 세척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의 정면도(a) 및 주배관의 해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b)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종래 스크러버의 필터 세척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1은 도 9의 회전식세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a) 및 제1,2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b)
도 12는 회전식세정부에 대한 삽입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회전식세정부의 작동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9의 승강식세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승강식세정부의 측면도
도 16은 승강구동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7은 승강식세정부에 대한 삽입부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9는 도 18의 순환수배관세정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도 18의 회전식세정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은 도 18의 승강식세정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순환수 배관장치(1)는 외부로부터 순환수를 공급받아 스크러버 내에 분사하며, 분할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배관부(11)와; 배관부(11)의 인출시 배관부(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13); 스크러버(S)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11)가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부(15);를 포함한다.
앞서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러버의 순환수배관(P)에 쌓인 이물질, 염 등을 제거하고 순환수배관(P)을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크러버(S) 내에 들어가 순환수배관(P)을 일일이 확인하고 이를 교체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의 질식 및 안전사고 위험이 높고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배관장치(1)는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스크러버(S) 밖으로 빼내 세척,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유의 구조를 통해 스크러버(S)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도 순환수 배관장치(1)의 인출 및 해체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순환수 배관장치(1)는 스크러버(S) 내에 순환수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구성으로, 순환수라 함은 스크러버(S) 내에 분사되어 가스 속의 미립자를 포집하는 물 등의 액체를 말하며, 스크러버에서 사용되는 순환수의 양이 막대함에 따라 분사된 물을 순환시켜 재이용 하도록 하는바, 이를 흔히 순환수라 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수 배관장치(1)는 스크러버(S)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배관을 형성하게 되며,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크러버(S)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스크러버(S)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도 안전하게 순환수 배관장치(1)를 인출 및 해체,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러버(S)는 보통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배관장치(1)는 주배관(113)을 짧은 길이로 분할하여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러버(S)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순환수 배관장치(1)를 외부로 인출하여 해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A-B 방향을 전후, C-D 방향을 상하, E-F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상기 배관부(11)는 스크러버(S) 내에 순환수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구성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스크러버(S) 내부에 순환수를 공급하는 원공급관(111); 원공급관(111)으로부터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크러버(S) 내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주배관(113); 상기 주배관(113)의 하측으로 분기되어 순환수를 스크러버(S) 내에 분사하며, 주배관(113)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수직지관(115); 상기 수직지관(115)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지관서포터(117)를 포함한다.
상기 원공급관(111)은 스크러버(S) 외부로부터 스크러버(S) 내에 순환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순환수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공급관(111)은 좌우 방향으로 주배관(113)이 분기되어 순환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주배관(113),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주배관(113)이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공급관(111)은 개폐부(15)를 통해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개폐부(15)의 후술할 관통공(151)에 상응하는 길이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할된 원공급관(111)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관부(11)의 인출시 먼저 결합을 해체시켜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분할된 원공급관(111) 하나를 다른 원공급관(111)으로부터 해체하여 당기면 관통공(151)을 통해 분할된 원공급관(111)과 분할된 원공급관(111)으로부터 분기된 주배관(113)을 함께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주배관(113)과 수직지관(115) 사이를 분리하여 각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이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할된 상기 원공급관(111)은 그 끝단에 체결플랜지(111a)가 형성되어 체결플랜지(111a)가 밀착한 상태에서 원공급관(111)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 및 해체를 원활하게 하고 원공급관(111) 내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배관(113)은 상기 원공급관(11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어 스크러버(S) 내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분할된 원공급관(111) 하나에 하나의 주배관(113)이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배관(113)은 원공급관(111)이 스크러버(S) 외부로 당겨질 때 원공급관(111)을 따라 함께 당겨지며, 일정 길이로 분할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분할된 하나의 주배관(113)에는 하나의 수직지관(115)이 하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수직지관(115)에 순환수가 공급되어 수직지관(115)에 형성된 순환수노즐(115a)을 통해 스크러버(S) 내부에 순환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분할된 주배관(113)은 원공급관(111)과 함께 스크러버(S) 외부로 당겨져 분리되도록 하며,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하여 해체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배관(113)과 수직지관(115)에 해체되어 각각의 세척 및 교체가 스크러버(S)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분할된 주배관(113)은 스크러버(S)와 스크러버(S)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배관부(11)를 당기며 스크러버(S)와 스크러버(S) 사이에서 주배관(113)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분할된 주배관(113) 사이에는 배관커넥터(113a)가 삽입되어 주배관(113)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럼에도 주배관(113)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순환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관커넥터(113a)는 분할된 주배관(113) 사이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3a-1)와 돌출부(113a-1)의 양측에 형성되어 주배관(113)이 끼워지는 끼움부(113a-2), 끼움부(113a-2)에 삽입되어 주배관(113)과 밀착되는 밀폐부재(113a-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3a-1)는 배관커넥터(113a)의 중앙부에서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양측에서 배관커넥터(113a)에 삽입되는 주배관(113)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부(113a-2)는 돌출부(113a-1)의 양측에 형성되어 주배관(113)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주배관(113)과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재(113a-3)는 상기 끼움부(113a-2)에 끼워져 끼움부(113a-2)와 주배관(1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복수의 고무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관커넥터(113a)와 주배관(113)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주배관(113) 내부 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여 순환수의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지관(115)은 분할된 주배관 각각에서 하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지관(115)에는 복수의 순환수노즐(115a)이 형성되어 스크러버(S) 내에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지관(115)은 지관서포터(11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주배관(113)의 당김시 함께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때에는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시킴과 함께 지관서포터(117)를 수직지관(115)으로부터 분리하여 분할된 각 주배관(113)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관서포터(117)는 수직지관(115)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직지관(115)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관부(11)의 인출시에는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이 함께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관서포터(117)는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할 때 함께 수직지관(115)으로부터 분리되어 각 주배관(113)이 해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지관서포터(117)는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수단(117a)에 의해 수직지관(115)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일 예로 상기 결합수단(117a)은 u-볼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가이드부(13)는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시킬 때, 배관부(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지관레일(131)과 주배관지지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관레일(131)은 배관부(11)의 인출시 수직지관(115)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11)가 인출되는 방향인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지관(115)의 양측에서 수직지관(115)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관레일(13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관(115)의 하단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수직지관(115)을 지지하여 가이드하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지관(115)은 지관레일(131)을 따라 일정 경로로 주배관(113)과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지지체(133)는 배관부(11)의 인출시 주배관(113)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주배관(113)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배관(113)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배관(11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15)는 스크러버(S)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부(11)가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관부(11)가 인출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15)는 배관부(11)가 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공(151)과, 관통공(151)을 개폐하는 개폐덮개(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관부(11)의 인출시 개폐덮개(153)를 개방하여 관통공(151)을 통해 배관부(11)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수 배관장치(1)의 인출 및 해체 과정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덮개(153)를 분리하여 관통공(151)을 개방시키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공급관(111)의 체결플랜지(111a)를 해체하여 원공급관(111)이 분리되도록 한 후, 분리된 원공급관(111)을 당겨 원공급관(111)과 연결된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이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주배관(113)의 길이만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되면, 주배관(113) 사이의 배관커넥터(113a)를 제거하여 주배관(113)을 분리하고, 지관서포터(117)를 해체하여, 수직지관(115)이 연결된 주배관(113) 하나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분할된 주배관(113) 길이만큼 씩만을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하여 주배관(113) 전체를 모두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수 배관장치(1)는 스크러버(S) 사이의 공간이 좁더라도 신속하게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하여 안전한 분리 및 해체, 세척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1')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1')는 주배관(113') 사이가 배관연결부(113b)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며, 배관가이드부(13')는 레일지지체(135)와 배관레일(137)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1')도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밖으로 인출시켜 세척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분할된 주배관(113') 하나씩을 인출시키며 분리되도록 하고, 주배관(113')의 인출시 배관가이드부(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배관연결부(113b)는 주배관(113') 사이에 삽입되어 분할된 각각의 주배관(113')을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일 실시예의 배관커넥터(113a)와는 달리 양측의 주배관(113')에 삽입부(113b-1)와 체결부(113b-2)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삽입부(113b-1)와 체결부(113b-2)의 결합과 분리에 의해 주배관(113')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주배관(113') 양측에는 삽입부(113b-1)와 체결부(113b-2)가 각각 형성되어 다른 주배관(113')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삽입부(113b-1)는 주배관(113')의 일단에 형성되어 타 주배관(113')의 체결부(113b-2)에 삽입·결합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3b-2)에 삽입되는 지점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113b-1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13b-1)는 타 주배관(113')의 체결부(113b-2)에 삽입된 후 체결부(113b-2)의 후술할 조작수단(113b-21)의 조작에 따라 걸림부재(113b-11)가 고정되어 주배관(113')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3b-2)는 주배관(113')의 타단에 형성되어 타 주배관(113')의 삽입부(113b-1)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조작수단(113b-21)의 조작에 따라 삽입부(113b-1)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3b-2)는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13b-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작수단(113b-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배관(113')의 인출시 조작수단(113b-21)을 조작하여 체결부(113b-2)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분할된 각 주배관(113')을 분리하면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가이드부(13')는 주배관(113')에 형성되는 레일지지체(135)와 레일지지체(135)를 가이드하는 배관레일(137)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지지체(1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113')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배관레일(137)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135a)를 형성하여, 끼움부(135a)가 배관레일(137)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배관(113')은 수직지관(115')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직지관(115')의 상측에 형성되는 주배관(113'-1)에는 상측으로 레일지지체(13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직지관(115')의 하측에 형성되는 주배관(113'-2)에는 하측으로 레일지지체(135)가 돌출되어 상하측에서 배관레일(137)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관레일(137)은 상기 레일지지체(135)가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주배관(113')이 스크러버(S) 외부로 배관레일(137)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관레일(137)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지지체(135)의 끼움부(135a)가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시스템을 도 9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크러버 세정시스템은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1,1')에 필터세정장치(3)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한다.
스크러버는 사용에 따라 순환수배관(P)에 이물질, 염들이 끼게 될 뿐만 아니라, 스크러버의 필터(F)에도 이물질 등이 끼게 되는바 주기적인 청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필터(F)의 청소시에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크러버(S) 내에 들어가 며칠 동안 청소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고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시스템은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1)를 스크러버(S) 외부로 빼내 세척,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터세정장치(3)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하여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러버의 주기적인 청소 작업시 작업자가 스크러버 내에 전혀 들어갈 필요가 없으며, 안전하고 신속한 스크러버의 세척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고, 순환수 배관장치(1)를 모두 인출하여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세척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필터세정장치(3)는 스크러버(S) 내 필터(F)의 청소시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되어 회전 또는 승강하며 필터(F)에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부(31)와; 상기 세정부(31)가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세정부(31)가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에만 개방되는 삽입부(3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필터세정장치(3)는 세정부(31)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시킴과 함께 세정부(31)가 삽입부(33)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정부(31)를 투입하고도 밀폐된 공간에서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크러버(S) 내에서 360°로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필터(F) 전체에 걸쳐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세정부(31)는 스크러버 내 필터(F)의 청소시에만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되어 회전 또는 승강하며 필터(F)에 고압의 세정액, 바람직하게는 물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식세정부(311)와, 스크러버(S) 내에서 승강하는 승강식세정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세정부(311)는 스크러버(S) 내에서 회전하며 필터(F)를 세척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러버(S)의 일 측면을 통해 서로 상이한 길이로 삽입되는 장측분사부(311a)와 단측분사부(311b), 장측분사부(311a) 및 단측분사부(311b)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펌프(311c), 장측분사부(311a) 및 단측분사부(311b)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311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세정부(311)는 필터(F)의 중앙측 부분과 측벽측 부분 전체에 대해 고르게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세정부(311)는 스크러버(S)의 양측으로 한 쌍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도 한 쌍이 삽입되어 필터(F)의 상하에 걸쳐 고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측분사부(311a)는 단측분사부(311b)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필터(F) 좌우 양측의 중앙측까지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 내의 중앙부에 도달할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며, 고압의 세정액이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형공급관(311a-1)과;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의 일단에서 360°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판(311a-2)과; 상기 회전판(311a-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외측으로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구(311a-3)와;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이 상기 삽입부(33)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장형공급관(311a-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체결플랜지(311a-4)와; 상기 제1체결플랜지(311a-4)를 스크러버(S)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수단(311a-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은 스크러버(S)의 측벽을 관통하여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내측으로는 세정액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스크러버(S) 내측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판(311a-2)이 형성되어 회전하고, 반대측 끝단에는 세정액공급펌프(311c)가 연결되어 스크러버(S) 외부로부터 고압의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은 삽입부(33),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제1삽입공(331a-1)의 외측과 맞닿는 지점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제1체결플랜지(311a-4)가 형성되어 제1삽입공(331a-1)을 밀폐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311a-2)은 장형공급관(311a-1)의 스크러버(S) 내측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분사구(311a-3)가 복수개 형성되어 사방으로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311a-2)은 상하 방향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터(F)의 상하 방향에 걸쳐서도 세정액의 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구(311a-3)는 회전판(311a-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구(311a-3)는 회전판(311a-2)이 360°회전하도록 형성되고, 때로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필터(F)의 좌우 및 상하 방햐에 걸쳐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플랜지(311a-4)는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공급관(311a-1)이 삽입공(331)과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어 스크러버(S)의 측벽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플랜지(311a-4)는 스크러버(S)의 측벽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체결수단(311a-5)에 의해 측벽과 체결되며, 이에 따라 삽입공(331), 더욱 정확하게는 제1삽입공(331a-1)은 폐쇄되어 스크러버(S)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세정부(311)를 통한 세정액의 분사에도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장측분사부(311a)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수단(311a-5)은 상기 제1체결플랜지(311a-4)를 스크러버(S)의 측벽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장형공급관(311a-1)이 스크러버(S) 측벽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수단(311a-5)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직접 스크러버(S) 측벽과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클램프(311a-5')에 의해 측벽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클램프(311a-5')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 체결클램프(311a-5')의 회전만으로 제1체결플랜지(311a-4)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따른 시간 지연 및 파손의 문제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측분사부(311b)는 상기 장측분사부(311a)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스크러버(S) 내부로 삽입되며, 장측분사부(311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스크러버(S) 측벽 근처의 필터(F)에 대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단측분사부(311b)는 상기 장형공급관(311a-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그 끝단이 스크러버(S)의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단형공급관(311b-1)과; 단형공급관(311b-1)의 끝단에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회전구(311b-2)와; 회전구(311b-2) 상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11b-3)과; 상기 단형공급관(311b-1)이 상기 삽입부(33)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단형공급관(311b-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체결플랜지(311b-4)와; 상기 제2체결플랜지(311b-4)를 스크러버(S)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수단(311b-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형공급관(311b-1)은 장형공급관(311a-1)과 같이 스크러버(S) 측벽을 관통하여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며, 장형공급관(311a-1)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이 스크러버(S)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단형공급관(311b-1)은 내부 공간을 통해 세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러버(S) 내측 끝단에는 상기 회전구(311b-2)가 형성되어 회전하며, 반대측 끝단에는 세정액공급펌프(311c)가 연결되고, 삽입부(33)와 맞닿는 지점에는 제2체결플랜지(311b-4)가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구(311b-2)는 단형공급관(311b-1)의 끝단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360°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311b-2)는 스크러버(S)의 측벽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회전구(311b-2)에는 내측으로만 분사노즐(311b-3)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후 방향의 필터(F)에 대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311b-3)은 상기 회전구(311b-2)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의 측벽을 향해서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가 전후 방향의 필터(F)를 향해 다양한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플랜지(311b-4)는 단형공급관(311b-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1체결플랜지(311a-4)와 같이 스크러버(S) 측벽에 밀착되어 제2체결수단(311b-5)에 의해 측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체결플랜지(311b-4) 및 제2체결수단(311b-5)은 제1체결플랜지(311a-4) 및 제1체결수단(311a-5)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정액공급펌프(311c)는 상기 장형공급관(311a-1) 및 단형공급관(311b-1)과 연결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분사구(311a-3) 및 분사노즐(311b-3)을 통해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작동제어부(311d)의 펌프제어모듈(311d-1)에 의해 그 작동이 조절된다.
상기 작동제어부(311d)는 상기 회전식세정부(31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세정액공급펌프(311c)의 작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모듈(311d-1)과,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의 작동을 조절하는 회전제어모듈(311d-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제어모듈(311d-1)은 세정액공급펌프(311c)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필터(F)를 사이에 둔 양측의 회전식세정부(311)로부터 동시에 세정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영역별로 세정액공급펌프(311c)가 순차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제어모듈(311d-1)은 하나의 세정액공급펌프(311c)를 통해 세정액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각 장형공급관(311a-1) 및 단형공급관(311b-1)과 연결되는 밸브(미도시)를 조절하여 동시 분사 및 순차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모듈(311d-2)은 상기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필터(F)의 전후측에 삽입된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에 형성된 분사구(311a-3) 및 분사노즐(311b-3)이 동시에 필터(F)를 향해 마주보면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어모듈(311d-2)은 상기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에 형성된 분사구(311a-3) 및 분사노즐(311b-3)이 필터(F)를 향한 상태에서의 기준 각도를 설정하도록 하고, 기준 각도에서 회전된 각도를 산정하여 분사구(311a-3) 및 분사노즐(311b-3)이 향하는 방향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필터(F) 전후측의 분사구(311a-3) 및 분사노즐(311b-3)이 서로 마주보며 필터(F)를 향해 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식세정부(313)는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어 승강하며 필터(F)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회전식세정부(311)와 달리 스크러버(S)의 상측에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식세정부(313)도 스크러버(S) 내의 투입과 함께 스크러버(S) 내부 공간을 폐쇄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식세정부(313)는 스크러버(S)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승강부(313b)를 지지하는 승강레일(313a)과, 필터(F)의 세정시에만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되어 상기 승강레일(313a)을 따라 승강하며, 고압의 세정액을 필터(F)에 분사하는 승강부(313b)와, 상기 승강부(313b)와 연결되어 승강부(313b)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313c)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레일(313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러버(S) 내에 고정 설치되며, 필터(F)를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영역별로 승강부(313b)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레일(313a)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부(313b)가 승강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하며, 승강부(313b)가 한 쌍의 승강레일(313a) 사이에 지지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313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터(F)의 전후측으로 형성되어 승강부(313b)가 필터(F)를 사이에 두고 마주본 상태에서 필터(F)를 향해 동시에 승강되며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레일(313a)은 상기 승강부(313b)의 후술할 가이드부재(313b-3)를 향해 돌출되어 가이드부재(313b-3)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313b-3) 와의 사이에는 바퀴(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13b)는 상기 승강레일(313a)에 지지되어 승강하며 필터(F)에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F)의 각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승강레일(313a)에 지지되고, 각 필터(F)의 양측에 형성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313b)는 필터(F)의 세척시에만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되며, 스크러버(S)의 상단에 형성되는 후술할 승강식삽입부(33)를 통해 삽입되어 승강레일(313a)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313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F) 방향으로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13b-1)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313b-1)이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지지부재(313b-2)와; 상기 지지부재(313b-2)의 양측에 결합되며, 양측의 승강레일(313a)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가이드부재(313b-3);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313b-1)은 필터(F)를 따라 승강하며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재(313b-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313b-1)은 상기 승강구동부(313c)의 후술할 세정액공급라인(313c-3)을 통해 지지부재(313b-2)에 공급되는 세정액을 필터(F)에 분사하도록 하며, 필터(F)의 전후측에서 동시에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313b-2)는 필터(F)의 좌우 방향을 따라 승강레일(313a)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승강되도록 하며, 필터(F)를 향해 복수의 분사노즐(313b-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13b-2)는 내부에 세정액이 공급되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세정액공급라인(313c-3)과 연결되어 세정액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세정액이 분사노즐(313b-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3b-2)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13c-2)가 연결되어 승강구동수단(313c-1)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재(313b-2)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13b-3)는 지지부재(313b-2)의 양단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313a)에 지지되도록 하고, 승강레일(313a)과의 사이에는 바퀴(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313c)는 상기 승강부(313b)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13b)를 스크러버(S) 내에 삽입시킨 후 스크러버(S) 상단의 후술할 승강식삽입공(331b)을 덮어 스크러버(S) 내의 공간이 밀폐되면서 승강구동부(313c)가 스크러버(S)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313c)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313b)의 상측에서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313c-1)과;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과 지지부재(313b-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3c-2)와; 상기 지지부재(313b-2) 내의 공간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분사노즐(313b-1)을 통해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액공급라인(313c-3)과; 상기 세정액공급라인(313c-3)을 권취하여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재(313b-2)의 승강에 따라 세정액공급라인(313c-3)이 풀리거나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공급라인권취수단(313c-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은 승강부(313b)가 승강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13c-2)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호이스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은 승강동기화모듈(313c-11)을 포함하여, 필터(F) 전후측에 형성되는 승강부(313b)가 동시에 승강되도록 승강구동수단(313c-1)의 작동을 동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은 필터(F)의 전후측에서 승강부(313b)를 동시에 승강시켜 필터(F)에 대해 전후측에서 동시에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필터(F)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13c-2)는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과 지지부재(313b-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구동수단(313c-1)의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 승강부(313b)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13c-2)는 상기 승강부(313b)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지지부재(313b-2)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액공급라인(313c-3)은 상기 지지부재(313b-2)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분사노즐(313b-1)을 통해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세정액이 공급될 수 있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라인권취수단(313c-4)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정액공급라인(313c-3)은 승강부(313b), 더욱 정확하게는 지지부재(313b-2)의 승강과 함께 자연스럽게 승강되어 승강부(313b)의 승강에도 세정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권취수단(313c-4)은 세정액공급라인(313c-3)이 감겨지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구동수단(313c-1)의 일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승강부(313b)의 승강에 따라 세정액공급라인(313c-3)이 자연스럽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33)는 상기 세정부(31)가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의 작동시에는 스크러버(S) 내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필터(F)의 세척시에만 개방되어 세정부(31)를 스크러버(S) 내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세정부(31)의 투입과 함께 세정부(31)에 의해 다시 폐쇄되어 스크러버(S) 내가 밀폐된 상태에서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33)는 스크러버(S)에 관통 형성되어 세정부(31)가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331)과, 상기 삽입공(331)을 덮는 차단덮개(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331) 및 차단덮개(333)는 회전식세정부(311) 및 승강식세정부(313)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나, 회전식세정부(311) 또는 승강식세정부(313)에 의해 폐쇄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다.
상기 삽입공(331)은 회전식세정부(311)가 삽입되는 회전식삽입공(331a)과, 승강식세정부(313)가 삽입되는 승강식삽입공(331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식삽입공(331a)은 장측분사부(311a)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331a-1)과, 단측분사부(311b)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331a-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공(331a-1) 및 제2삽입공(331a-2)은 스크러버(S)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제1삽입공(331a-1)에는 상기 장형공급관(311a-1)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플랜지(311a-4)가 외측에 밀착되어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2삽입공(331a-2)에는 상기 단형공급관(311b-1)이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2체결플랜지(311b-4)가 외측에 밀착되어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식삽입공(331b)은 승강식세정부(313)가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313b)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식삽입공(331b)은 그 상단에 안착되는 승강구동부(313c)에 의해 승강식세정부(313)의 투입 후에도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덮개(333)는 스크러버(S)의 작동시 삽입공(331)을 차단하여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필터(F)의 세척시에는 분리되어 세정부(31)에 의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차단덮개(333)는 회전식삽입공(331a)을 차단하는 회전식차단덮개(333a)와 승강식삽입공(331b)을 차단하는 승강식차단덮개(3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식차단덮개(333a)는 제1삽입공(331a-1)을 차단하는 제1차단덮개(333)와 제2삽입공(331a-2)을 차단하는 제2차단덮개(333)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덮개(333) 및 제2차단덮개(33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러버(S)의 측벽에 형성되어 제1,2삽입공(131a-1,131a-2)을 차단하며, 상기 승강식차단덮개(333b)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가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식삽입공(331b)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러버 세정시스템을 이용한 스크러버 세정방법을 도 18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크러버 세정방법은 순환수 배관장치(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하여 세척하는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와, 회전식세정부(311)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하여 필터(F)를 세척하는 회전식세정단계(S3)와, 승강식세정부(313)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하여 필터(F)를 세척하는 승강식세정단계(S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식세정단계(S3) 또는 승강식세정단계(S5)는 둘 중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 세정방법은 작업자가 스크러버(S) 내에 들어가지 않고도 순환수 배관장치(1) 및 필터(F)를 세척하도록 할 수 있고, 순환수 배관장치(1)가 인출된 후 회전식세정부(311) 또는 승강식세정부(313)에 의한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F)의 세척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는 순환수 배관장치(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하여 분리 및 세척하는 과정으로,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순환수 배관장치(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시키며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는 스크러버(S)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개폐부(15)를 개방하는 개폐부개방단계(S11)와; 원공급관(111)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플랜지(111a)를 해체하는 플랜지해체단계(S12)와; 개폐부(15)를 통해 원공급관(111)을 당겨 순환수의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관인출단계(S13)와; 외부로 인출된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시키는 주배관분리단계(S14)와; 주배관(113)으로부터 하측으로 분기된 수직지관(115) 사이를 연결하는 지관서포터(117)를 분리하는 서포터분리단계(S15)와; 분리된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 각각을 스크러버(S) 외부에서 확인 및 세척하는 개별확인세척단계(S16);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개방단계(S11)는 개폐부(15)를 개방하여 배관부(11)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S) 일 측면에 형성된 개폐덮개(153)를 관통공(151)으로부터 분리하여 관통공(151)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해체단계(S12)는 분할된 원공급관(111) 사이에 체결되는 체결플랜지(111a)의 결합을 해체하는 구성으로, 원공급관(111)을 당겨 관통공(151)을 통해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관인출단계(S13)는 개방된 관통공(151)을 통해 배관부(11)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으로, 플랜지해체단계(S12)에서 분리된 원공급관(111)을 잡아 당겨 배관부(11)가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관인출단계(S13)에서 원공급관(111)을 당기면 원공급관(111)과 연결된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이 함께 관통공(151)을 통해 인출되며, 분할된 주배관(113)의 길이만큼만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주배관분리단계(S14)를 통해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시키도록 하고, 각각의 주배관(113)을 분리시키면서 주배관(113) 전체가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배관분리단계(S14)는 배관인출단계(S13)에서 주배관(113)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길이만큼만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되면, 주배관(113) 사이의 배관커넥터(113a)를 제거하거나 또는 배관연결부(113b)를 분리시켜 주배관(113)을 분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배관인출단계(S13)에서 주배관(113)이 분할된 길이만큼 스크러버(S) 외부로 인출될 때마다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상기 서포터분리단계(S15)는 주배관(113) 사이를 분리하면서 동시에 수직지관(115) 사이를 연결하는 지관서포터(117)을 수직지관(115)으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으로, 지관서포터(117)의 결합수단(117a)을 수직지관(115)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서포터분리단계(S15)는 주배관분리단계(S14)에서 분리되는 주배관(113)에 연결된 수직지관(115)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별확인세척단계(S16)는 분리된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을 스크러버(S) 외부에서 확인 및 세척하는 과정으로, 각 주배관(113) 및 수직지관(115)에 쌓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교체 필요 여부를 확인하며, 수직지관(115)에 형성된 순환수노즐(115a)의 상태를 확인하고 세척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식세정단계(S3)는 회전식세정부(311)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하여 필터(F)를 세척하는 과정으로,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를 거치지 않고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를 통해 순환수 배관장치(1)를 제거하고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식세정단계(S3)는 회전식덮개개방단계(S31), 분사부투입단계(S32), 분사부체결단계(S33), 분사작동단계(S34), 분사부인출단계(S35), 덮개밀폐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덮개개방단계(S31)는 상기 회전식삽입공(331a)을 개방하여 회전식세정부(311)가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회전식차단덮개(333a)를 회전식삽입공(331a)으로부터 제거하여 회전식세정부(311)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투입단계(S32)는 개방된 회전식삽입공(331a)을 통해 회전식세정부(311)를 투입하는 과정으로, 제1삽입공(331a-1) 및 제2삽입공(331a-2)을 통해 장측분사부(311a)와 단측분사부(311b)가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체결단계(S33)는 스크러버(S) 내로 투입된 장측분사부(311a) 및 단측분사부(311b)를 스크러버(S)에 체결·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장측분사부(311a), 단측분사부(311b)의 제1체결플랜지(311a-4) 및 제2체결플랜지(311b-4)가 제1체결수단(311a-5) 및 제2체결수단(311b-5)에 의해 스크러버(S)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식세정부(311)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도 스크러버(S) 내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작동단계(S34)는 장측분사부(311a) 및 단측분사부(311b)를 통해 세정액을 분사하여 필터(F)를 세척하는 과정으로, 세정액공급펌프(311c) 및 회전판(311a-2), 회전구(311b-2)의 작동을 조절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작동단계(S34)는 회전각동기화단계(S341), 펌프순차작동단계(S34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동기화단계(S341)는 필터(F)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판(311a-2) 및 회전구(311b-2)의 회전각을 동기화하는 단계로, 회전판(311a-2)에 형성되는 분사구(311a-3), 회전구(311b-2)에 형성되는 분사노즐(311b-3)이 각각 필터(F)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될 수 있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필터(F) 양측의 분사구(311a-3) 및 필터(F) 양측의 분사노즐(311b-3)이 동시에 필터(F)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양측 회전판(311a-2), 회전구(311b-2)의 회전 시점과 속도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상기 펌프순차작동단계(S342)는 복수의 회전식세정부(311)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펌프(311c)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과정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식세정부(311)에서 동시에 필터(F)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하고,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세정액공급펌프(311c)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프순차작동단계(S342)는 각각의 회전식세정부(311)가 하나의 세정액공급펌프(311c)에 연결되도록 하고, 각 회전식세정부(311)의 장형공급관(311a-1), 단형공급관(311b-1)에 형성되는 밸브의 작동을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세정액이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인출단계(S35)는 필터(F)의 세척이 끝난 후, 회전식세정부(311)를 스크러버(S) 밖으로 인출시키는 과정으로, 제1,2체결플랜지(111a-4,111b-4)가 스크러버(S) 측벽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밀폐단계(S36)는 회전식차단덮개(333a)를 다시 밀폐시키는 과정으로, 다시 밀폐된 공간에서 스크러버(S)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식세정단계(S5)는 승강식세정부(313)를 스크러버(S) 내에 투입하여 필터(F)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 회전식세정단계(S3)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가 이루어진 후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승강식세정부(313)는 순환수 배관장치(1)와 필터(F)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순환수배관세정단계(S1) 없이 실행되도록 해도 무관하다. 상기 승강식세정단계(S5)는 승강식덮개개방단계(S51), 승강부삽입단계(S52), 승강부구동단계(S53), 승강부분리단계(S54), 덮개차단단계(S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식덮개개방단계(S51)는 상기 승강식삽입공(331b)을 개방시켜 승강부(313b)가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스크러버(S) 상측에 형성된 승강식차단덮개(333b)를 분리하여 승강식삽입공(331b)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삽입단계(S52)는 승강식삽입공(331b)의 개방이 이루어진 후, 승강부(313b)를 스크러버(S) 내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승강부(313b)의 가이드부재(313b-3)를 양측의 승강레일(313a)에 맞추어 끼워넣고, 승강부(313b) 연결된 승강구동부(313c)가 승강식삽입공(331b)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삽입단계(S52)는 필터(F)의 영역별로 승강부(313b)가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필터(F)의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구동단계(S53)는 스크러버(S) 내에 삽입된 승강부(313b)를 승강시키며 필터(F)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과정으로, 승강구동수단(313c-1)을 작동시켜 승강부(313b)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며, 필터(F) 양측에서 마주보는 승강부(313b)가 동시에 승강되며 필터(F)를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하여 필터(F)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구동단계(S53)는 승강동기화단계(S531)와 세정액공급단계(S53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동기화단계(S531)는 필터(F) 양측의 승강부(313b)가 동시에 승강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 승강동기화모듈(313c-11)에 의해 양측의 승강구동수단(313c-1)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고 승강부(313b)의 높이를 맞추어 필터(F)를 향해 세정액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정액공급단계(S532)는 상기 승강부(313b)를 승강시키면서 승강부(313b)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필터(F)를 향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세정액공급라인(313c-3)에 고압의 세정액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사노즐(313b-1)을 통해 필터(F)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분리단계(S54)는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진 후 승강식세정부(313)를 스크러버(S) 외부로 분리시키는 과정으로, 승강부(313b)가 승강레일(313a)의 상단까지 상승하도록 한 후 승강부(313b)를 승강레일(313a)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덮개차단단계(S55)는 승강부(313b)를 스크러버(S) 밖으로 분리시킨 후 승강식삽입공(331b)을 폐쇄하는 과정으로, 승강식차단덮개(333b)를 덮어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순환수 배관장치
11: 배관부 111: 원공급관 111a: 체결플랜지
113: 주배관 113a: 배관커넥터 113a-1: 돌출부
113a-2: 끼움부 113a-3: 밀폐부재 113b: 배관연결부
113b-1: 삽입부 113b-11: 걸림부재 113b-2: 체결부
113b-21: 조작수단 115: 수직지관 115a: 순환수노즐
117: 지관서포터 117a: 결합수단 13: 배관가이드부
131: 지관레일 133: 주배관지지체 135: 레일지지체
135a: 끼움부 137: 배관레일 15: 개폐부
151: 관통공 153: 개폐덮개
3: 필터세정장치
31: 세정부 311: 회전식세정부 311a: 장측분사부
311a-1: 장형공급관 311a-2: 회전판 311a-3: 분사구
311a-4: 제1체결플랜지 311a-5: 제1체결수단 311b: 단측분사부
311b-1: 단형공급관 311b-2: 회전구 311b-3: 분사노즐
311b-4: 제2체결플랜지 311b-5: 제2체결수단 311c: 세정액공급펌프
311d: 작동제어부 311d-1: 펌프제어모듈 311d-2: 회전제어모듈
313: 승강식세정부 313a: 승강레일 313b: 승강부
313b-1: 분사노즐 313b-2: 지지부재 313b-3: 가이드부재
313c: 승강구동부 313c-1: 승강구동수단 313c-11: 승강동기화모듈
313c-2: 연결부재 313c-3: 세정액공급라인 313c-4: 공급라인권취수단
33: 삽입부 331: 삽입공 331a: 회전식삽입공
331a-1: 제1삽입공 331a-2: 제2삽입공 331b: 승강식삽입공
333: 차단덮개 333a: 회전식차단덮개 333a-1: 제1차단덮개
333a-2: 제2차단덮개 333b: 승강식차단덮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외부로부터 순환수를 공급받아 스크러버 내에 분사하는 배관부와;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가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분할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개폐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분할되도록 하고,
    상기 배관부는,
    외부에서 스크러버 내부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원공급관과;
    상기 원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크러버 내의 좌우 방향에 걸쳐 형성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하측으로 분기되어 순환수를 스크러버 내에 분사하며, 주배관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수직지관과;
    상기 수직지관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지관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공급관은 상기 개폐부에 상응하는 크기로 분할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주배관은 일정 길이로 분할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은
    분할되는 주배관 사이에 삽입되는 배관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커넥터는,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에서 삽입되는 주배관을 지지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양측의 주배관 내로 삽입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며, 주배관과 밀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은
    분할되는 주배관 사이에 삽입되어 주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부는,
    일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일측 주배관과 결합하는 타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부를 체결부에 삽입시킨 후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는 타측 주배관에 삽입되는 지점에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는
    상기 배관부의 인출시 배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가이드부는,
    상기 수직지관의 끝단의 전후측에서 수직지관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레일과, 상기 주배관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주배관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배관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는
    상기 배관부의 인출시 배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가이드부는,
    상기 주배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끝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를 갖는 레일지지체와; 상기 주배관의 상하측에 주배관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배관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배관부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9. 스크러버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부개방단계와;
    원공급관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플랜지를 해체하는 플랜지해체단계와;
    개폐부를 통해 원공급관을 당겨 순환수의 배관부를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관인출단계와;
    외부로 인출된 주배관 사이를 분리시키는 주배관분리단계와;
    주배관으로부터 하측으로 분기된 수직지관 사이를 연결하는 지관서포터를 분리하는 서포터분리단계와;
    분리된 주배관 및 수직지관 각각을 스크러버 외부에서 확인 및 세척하는 개별확인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청구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를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 및 해체하여 세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세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분리단계 및 서포터분리단계는
    주배관이 분할된 길이만큼만 스크러버 외부로 인출시킨 후 주배관 및 지관서포터를 분리하여 해체시키고,
    상기 배관인출단계는 분할된 주배관을 당겨 스크러버 외부에서 차례로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세정방법.
KR1020180079219A 2018-07-09 2018-07-09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10193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19A KR101936914B1 (ko) 2018-07-09 2018-07-09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19A KR101936914B1 (ko) 2018-07-09 2018-07-09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914B1 true KR101936914B1 (ko) 2019-01-11

Family

ID=6502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19A KR101936914B1 (ko) 2018-07-09 2018-07-09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7880A (zh) * 2019-05-23 2019-08-09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火力发电厂防循环水倒灌入凝汽器的系统
KR102574807B1 (ko) 2023-02-15 2023-09-06 유니셈(주) 올인원형 배관 세정장치
KR102583387B1 (ko) 2023-05-18 2023-09-26 김진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충전물 세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26B1 (ko) * 2008-07-11 2011-01-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화장치
JP2014200735A (ja) * 2013-04-04 2014-10-27 小池酸素工業株式会社 水スクラバ及び排ガスの処理装置
KR101571093B1 (ko) * 2014-07-30 2015-11-23 (주) 세아그린텍 폐가스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26B1 (ko) * 2008-07-11 2011-01-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화장치
JP2014200735A (ja) * 2013-04-04 2014-10-27 小池酸素工業株式会社 水スクラバ及び排ガスの処理装置
KR101571093B1 (ko) * 2014-07-30 2015-11-23 (주) 세아그린텍 폐가스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7880A (zh) * 2019-05-23 2019-08-09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火力发电厂防循环水倒灌入凝汽器的系统
KR102574807B1 (ko) 2023-02-15 2023-09-06 유니셈(주) 올인원형 배관 세정장치
KR102583387B1 (ko) 2023-05-18 2023-09-26 김진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충전물 세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914B1 (ko) 조립식 순환수 배관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CN111424304A (zh) 一种具有快速前置清洗烘干功能的电镀生产线系统
JPH0472564B2 (ko)
DE10114598A1 (de) CIP-gerechte Ausführung einer Horizontalzentrifuge mit Vollmanteltrommel
KR101798710B1 (ko) 재생형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101777637B1 (ko) 상향 오픈식 수평형 습식 세정탑
JP2009039691A (ja) 濾過装置
KR101921869B1 (ko) 스크러버용 필터세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크러버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101941140B1 (ko) 고압 세척기
JP2878162B2 (ja) フィルタメディアの自動再生機能を備える除塵装置
RU2760461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овальной салфетки фильтр-пресса
US4439905A (en) Installation for replacing a contaminated fluid circuit and process for replacing this member
CN208116263U (zh) 一种网版喷淋系统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2088638B1 (ko) 폐차광막 재생 시스템
KR102042849B1 (ko) 철도 콘크리트 침목 표면 처리장치
KR101085429B1 (ko) 노즐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식각 장치
EP0733528A2 (de)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Reinigung eines Fahrrades
US5843310A (en) Filter unit for filter press
KR20220048088A (ko) 나물 세척장치
KR101483674B1 (ko) 폐원유와 원유 슬러지 처리시스템
KR101516248B1 (ko) 시편 세척 장치
NO123994B (ko)
KR100897772B1 (ko) 탈지설비의 탈지 용액 내 이물질 제거장치
CN211811757U (zh) 输送抑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