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91B1 -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91B1
KR101936791B1 KR1020170126407A KR20170126407A KR101936791B1 KR 101936791 B1 KR101936791 B1 KR 101936791B1 KR 1020170126407 A KR1020170126407 A KR 1020170126407A KR 20170126407 A KR20170126407 A KR 20170126407A KR 101936791 B1 KR101936791 B1 KR 10193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electrolyte
tank
negative electrode
disso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신현수
현순택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17012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3/00Electrolytic production of organic compounds
    • C25B3/20Processes
    • C25B3/25Reduction
    • C25B3/04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25B9/0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개미산염을 생산시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성하여 공정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공정 효율을 증가시켜 고효율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격막 전기분해조(1)와;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1)의 음극실에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용해시킨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오픈형 용해기(2)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음극전해질 탱크(3)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수단(4)과;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1)의 양극실에 양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양극전해질 탱크(5)와; 상기 양극실에서 배출된 양극전해질과 별도로 공급받은 보조전해질을 양극실로 순환시키는 양극탱크(6)와; 개미산염 생성을 위한 보조전해질을 상기 양극탱크에 공급하는 보조전해질 공급수단(7)과; 상기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저장하고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2)로 순환시키는 음극탱크(8);로 구성된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rmic acid of high efficiency using open type carbon dioxide dissol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개미산염을 생산하는 전기화학적 전환기술에 있어서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성하여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하는 용해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및 저농도의 개미산염을 고농도의 개미산염으로 농축하는 농축기 구성을 통합하여 구성하여 고효율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지에서 화석 연료가 대규모로 사용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지구의 기후변화와 온난화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저감을 위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시멘트공장 등에서 발생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포집해 압축, 수송하여 안전하게 저장ㅇ처리하는 CCS 기술 및,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전환과정을 거쳐 재활용하는 CCU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의 범위가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에서 CCUS(Carbon dioxide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로 확장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활용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활용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이산화탄소를 그 자체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비-전환(non-conversion)방법과,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환(conversion) 방법이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의 전환기술은 다시 화학적 전환기술과 생물학적 전환기술로 분류될 수 있으며, 화학적 전환 기술은 기술적 특성에 따라 다시 열촉매화학적, 전기화학적, 광화학적 전환 등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기화학적 전환 기술은 유용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이산화탄소의 환원방법으로, 전기분해장치의 수용액 내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환원함으로써, 전극물질의 종류 및 반응조건에 따라 포름산(개미산), 메탄, 에탄, 일산화탄소, 옥살산, 합성가스 등의 유기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화학적 전환기술은 전기분해 반응기(전해조)에 공급된 전해질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켜 전환생성물을 생성하는 기술로 전환생성물과 함께 발생된 미반응된 이산화탄소는 회수되어 다시 전해조로 재순환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가 전해질 내로 많은 양이 용해되어야 높은 전환효율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기화학적 전환 시스템에서는 전해질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을 높이기 위해 가압형 용해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전해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저농도의 개미산염을 고농도의 개미산염으로 농축하기 위한 농축기 등을 구비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화학적 전환기술 시스템은 전환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및 복잡한 공정(CO2 용해기, 열교환기, 농축기 등)으로 인해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68049(2005.01.1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14601(2017.03.0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50279(2017.06.19.)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03233(2014.01.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개미산염을 생산시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성하여 공정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공정 효율을 증가시켜 고효율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유격막 전기분해조와;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음극실에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용해시킨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오픈형 용해기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음극전해질 탱크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양극실에 양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양극전해질 탱크와;
상기 양극실에서 배출된 양극전해질과 별도로 공급받은 보조전해질을 양극실로 순환시키는 양극탱크와;
개미산염 생성을 위한 보조전해질을 상기 양극탱크에 공급하는 보조전해질 공급수단과;
상기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저장하고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음극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오픈형 용해기는,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이 저장되는 전해질수조와; 다수의 노즐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분무시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부와; 전해질수조에 저장된 음극전해질 일부를 분지시킨 분지관을 통해 분무관으로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분무부 상부에 설치되어 대기 순환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팬;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해질수조와 분무부 사이에 충전재부를 설치하여 이산화탄소가 충전재부에 주입되어 체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충전재부는 철재 메쉬망, 직물 메쉬망, 합성수지 메쉬망, 직물,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된 충전재가 설치되어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이산화탄소 탱크, 가압 CO2 공급수단, 정제 CO2 공급수단, 액화 CO2 공급수단, 실배가스 공급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1 ~ 100 wt%의 이산화탄소를 상압조건하의 오픈용해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음극탱크는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얻으면 오픈형 용해기로의 순환을 중지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회분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음극탱크는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배출하면서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연속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오픈형 용해기와 유격막 전기분해조 사이에 가압형 2차 용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음극탱크 후단에 배출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고농도의 개미산으로 생성하는 산성화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
a) 오픈형 용해기를 통해 상압조건하에서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는 단계와;
b)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양극실에 보조전해질과 양극전해질을 공급하고, 음극실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공급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성하는 전해단계와;
c)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음극탱크에 저장하면서 일부를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단계는 전해질수조에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을 저장하는 단계와; 전해질수조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일부 음극전해질을 분지시켜 분무부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분무시키는 단계와; 분무된 음극전해질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팬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오픈된 상태로 설치된 충전재부에 주입하여 체류시간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음극전해질의 압력은 분지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의 압력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상압조하에서 1 ~ 100wt%로 조절되어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충전재부는 밀폐되지 않은 오픈된 상태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도록 철재 메쉬망, 직물 메쉬망, 합성수지 메쉬망, 직물,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는 음극실에서 생성되어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이 필요로 하는 농도에 도달하면 운전을 정지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그 전까지는 계속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회분식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는 음극실에서 생성되어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계속 순환시키는 연속식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단계는 오픈형 용해기 후단에 가압형 2차 용해기를 설치하여 다단으로 음극전해질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c)단계의 음극탱크에서 배출된 고농도 개미산염을 산성화장치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개미산염을 생산시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성하여 상압 조건하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 함량과 증발되는 전해질양을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가압 용해하는 용해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및 저농도의 개미산염을 고농도의 개미산염으로 농축하는 농축기 구성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공정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공정 효율을 증가시켰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비한 개미산염 제조 공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염 생산을 위한 공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 생산 공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 생산 공정을 포함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구비한 개미산염 제조 공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수용하여 전기분해 반응을 통해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성하는 유격막 전기분해조(1)와;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1)의 음극실에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용해시킨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오픈형 용해기(2)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음극전해질 탱크(3)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수단(4)과;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1)의 양극실에 양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양극전해질 탱크(5)와; 상기 양극실에서 배출된 양극전해질과 별도로 공급받은 보조전해질을 양극실로 순환시키는 양극탱크(6)와; 개미산염 생성을 위한 보조전해질을 상기 양극탱크에 공급하는 보조전해질 공급수단(7)과;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얻을때까지 상기 음극실에서 생성된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오픈형 용해기(2)로 순환시키는 음극탱크(8);로 구성된다.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1)는 양극(101)이 위치한 양극실(102)과 음극(103)이 위치한 음극실(104)로 구성되고,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 중앙부에는 격막(105)이 위치하게 구성한다.
상기 음극실과 양극실에는 각각 음극전해질 탱크(5)에 저장된 양극전해질과 음극전해질 탱크(3)에 저장된 음극전해질이 공급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통전되어 음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고 양극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한 실시예로 상기 양극은 DSA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막은 양이온교환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양이온교환막은 과불소계 양이온교환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다공성 아말감전극 또는 주석전극 또는 탄소계열의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예시한 양극, 음극 및 격막 종류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전해질 탱크(3)에 저장된 음극전해질과 양극전해질 탱크(5)에 저장된 양극 전해질은 한 실시예로 물(H2O)에 황산칼륨(K2SO4)이 용해된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4)은 개별 저장 탱크에서 공급하던가 외부 공급수단과 연결된 라인을 통해 공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탱크, 가압 CO2 공급수단, 정제 CO2 공급수단, 액화 CO2 공급수단, 실배가스 공급수단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수단에 따라 1 ~ 100 wt%의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공급처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처리 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전해질 공급수단(7)에서 양극탱크(6)를 통해 양극실로 공급되는 KOH, NaOH와 같은 개미산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보조전해질은 전기분해된 K+ 또는 Na+가 격막을 통해 음극실로 공급되어 개미산염을 생산하는데 사용되고, 일부는 양극실에서 전기분해된 H+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양극탱크(6)는 양극실에서 순환되는 미반응 양극전해질과 함께 공급되어 저장된 부생 산소는 순환시키지 않고 상부로 배출시키게 배출구가 구성된다.
상기 음극탱크(8)는 음극실에서 순환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 및 미반응 음극전해질과 함께 공급받아 저장하는데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이 생성될때까지 저장된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응극전해질을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통해 음극실로 재순환시키는 회분식으로 운전된다. 회분식 운전을 통해 얻어지는 개미산염 농도는 10wt% 이상이다. 종래 일반적인 전해조를 통해 생성되는 개미산염의 농도가 1wt% 정도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회분식 공정을 통하면 복잡한 공정이나 장치를 줄이면서도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이 생성되면 운전을 멈추고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되는 고농도 개미산염 용액은 일부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도 함께 배출되게 된다.
또한 음극탱크는 음극실에서 발생된 부생 수소가 유입되면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폭발 위험성을 제거 시킨다. 필요시 기액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수소분리기를 구성하여 포집된 부생 수소를 재활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오픈형 용해기(2)는 한실시예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이 저장되는 전해질수조(201)와; 상기 전해질수조 상부에 위치하여 다수의 노즐(2031)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분무시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부(203)와; 전해질수조(201)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 일부를 분지시켜 상기 분무부로 공급하는 분지관(204)과; 분지관 일지점에 설치되어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205)와; 상기 분무부 상부에 설치되어 대기 순환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팬(20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픈형 용해기(2)는 다른 실시예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이 저장되는 전해질수조(201)와; 전해질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공급수단(4)에서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 충전되는 충전재부(202)와; 상기 충전재부 상부에 위치하여 다수의 노즐(2031)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분무시켜 충전재부의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부(203)와; 전해질수조(201)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 일부를 분지시켜 상기 분무부로 공급하는 분지관(204)과; 분지관 일지점에 설치되어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205)와; 상기 분무부 상부에 설치되어 대기 순환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팬(206);으로 구성된다.
상기 2가지 실시예 타입은 기본 원리는 동일하고 충전재부의 유무에 따라 공급된 이산화탄소의 체류시간 증가 여부만 다르다.
상기 오픈형 용해기(2)는 최초 운전시에는 음극전해질 탱크에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만 사용해서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고, 이후 음극실에서 환원반응이 일어나면서 음극탱크로부터 고농도 개미산염 용액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이 순환 공급되면 함께 공급되어 분무부의 노즐을 통해 분무되어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게 된다.
상기 충전재부(202)는 사방이 개방된 프레임 내부에 충전재가 설치되어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게 구성된다. 충전재로는 철재 또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메쉬망을 적층하거나, 직물 또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구성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충전재부가 구성되면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체류시간을 높이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면서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미세한 음극전해질과 접촉되어 용해되거나 충전재 내부로 스며든 미세 음극전해질에 접촉되어 용해된 후 하부 전해질수조(201)에 저장된 후 배출구를 통해 음극실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전해질수조 상부 또는 충전재부(202)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1 ~ 100 wt%인 것을 사용한다. 종래 가압식 용해기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대부분 99 ~ 99% 이상의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가압하여 음극전해질에 용해시기 때문에 장치도 복잡하고 생산단가도 비싸게 되지만 오픈형 용해기를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순도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면서 팬을 통해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를 낮춤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어서 고농도로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픈형 용해기는 가압 용해를 위한 밀폐형이 아닌 오픈형으로 구성되어 상압 조건에서 1 ~ 100%의 CO2를 충전재부로 주입하여 공급하고, 전해질수조(201)에 저장된 음극전해질을 순환시켜 충전재부에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에 분무하여 용해 시키게 된다. 이때 팬은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온도를 낮게 조절하여 용해율을 높이게 되며, 동시에 음극전해질의 수분 증발을 통해 저농도 음극전해질 용액을 고농도 음극전해질로 농축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픈형 용해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유격막 전기분해조를 구비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 오픈형 용해기를 통해 상압조건하에서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는 단계와;
b)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양극실에 보조전해질과 양극전해질을 공급하고, 음극실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공급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성하는 전해단계와;
c)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음극탱크에 저장하면서 일부를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단계를 통해 음극실에서 생성된 개미산염은 종래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되는 개미산염과 달리 별도의 농축기 없이도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CO2를 음극전해질에 용해시켜 공급하는 오픈형 용해기(2)에서 고농도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켜 공급해주는 단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서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는 a) 단계는 한 실시예로,
전해질수조(201)에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을 저장하는 단계와;
전해질수조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일부 음극전해질을 분지시켜 분무부(203)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분무시키는 단계와;
분무된 음극전해질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팬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다른 실시예로, 전해질수조(201)에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을 저장하는 단계와;
전해질수조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일부 음극전해질을 분지시켜 분무부(203)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분무시키는 단계와;
분무된 음극전해질로 오픈된 상태로 충전재부(202)에 주입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팬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음극전해질의 압력은 분지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의 압력을 통해 조절하는 단계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또는 충전재부(202)에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상압하에서 1 ~ 100wt%로 조절되어 주입되는 단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공급탱크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다양한 농도로 충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부는 밀폐되지 않은 오픈된 상태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도록 철재 또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메쉬망을 적층하거나, 직물 또는 부직포를 적층한 충전재에 주입되어 체류되도록 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전해단계는 양극에서 H2O 분해반응을 통해 H+와 O2를 발생시키고, 공급된 KOH가 H+을 중화시킴과 동시에 격막을 통해 H+, K+을 음극실의 음극으로 전달하고, 음극에서 CO2를 환원반응으로 생성된 COO-와 막을 통해 넘어온 H+, K+ 이온이 결합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염(HCOOK)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양극에서 H2O 분해반응을 통해 발생된 부생가스 O2는 양극실과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양극탱크에 공급한 후 배출(Vent)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음극 반응으로 생성되는 부생가스 H2는 음극실과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음극탱크에 공급한 후 배출(Vent)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는 상기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이 음극실과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음극탱크에 공급되어 저장된 후 필요로 하는 농도에 도달하면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운전을 정지한 후 외부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배출하고, 필요로 하는 농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계속 순환시키는 회분식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a) 단계 내지 c)단계는 다른 실시형태로 회분식 운전뿐만 아니라 연속식 공정 운전도 가능하다. 연속식 운전이 가능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음극실에서 생성되는 개미산염은 종래의 개미산염 생성 공정과 달리 오픈형 용해기를 사용함으로써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이 높으므로 생성되는 개미산염 역시 충분한 환원반응을 가질 수 있어서 이러한 환원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개미산염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음극탱크에서 일부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음극전해질을 음극실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속 운전을 하게되면 비록 회분식 운전 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농도의 개미산염을 배출하게 되지만 종래 1% 정도의 농도를 가진 개미산염 생산할 때 보다는 훨씬 고농도인 10% 이상의 개미산염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속식 운전시에도 별도의 농축기 구성은 필요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염 생산을 위한 공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구성은 도 1에 따른 개미산염 제조장치에 있어서, 오픈형 용해기 후단에 2차 용해기(9)를 더 추가하고,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을 오픈형 용해기와 동시에 공급하도록 다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픈형 용해기를 통해 공급되는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켜 더욱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게 되어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 생산에 필요한 공정시간을 줄여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2차 용해기로는 가압형 마이크로 버블(Micro-bubble)형 용해기가 사용될 수 있다. 가압형 마이크로 버블 용해기는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미세기포화하여 음극전해질로 공급하는 미세기포화 노즐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마이크로버블화하여 음극전해질 내로 용해시키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2차 용해기로 동일한 오픈형 용해기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 생산 공정 구성을 포함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미산 생산 공정을 포함한 예시도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음극탱크에서 배출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산성화장치(10)에 공급하여 통해 고농도의 개미산을 제조하는 장치와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농도의 개미산염은 산성화장치(10)로 별도로 공급되는 황산과의 산성화반응을 통해 개미산을 생성하는 공정을 가지게 된다. 이때, 산성화장치에서는 H2SO4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음극탱크에서 배츨된 고농도의 개미산염 용액에 포함된 음극전해질인 K2SO4가 석출되어 침전되게 된다. 이후 침전된 K2SO4를 분리하면 고농도의 개미산을 얻게 된다.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반응식] 2HCOOK + H2SO4 → 2HCOOH + K2SO4
상기 반응식에 따라 생성된 개미산은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농축기 없이도 10% 이상의 고농도 개미산을 얻게 된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개미산염 생산 장치에 산성화장치(10)를 더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오픈형 용해기 후단에 2차 용해기(9)를 더 추가하고,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을 오픈형 용해기와 동시에 공급하도록 다단으로 구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픈형 용해기를 통해 공급되는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켜 더욱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게 되어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 생산에 필요한 공정시간을 줄여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분식에서는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필요로 하는 농도로 고농도 개미산염이 농축될때까지 계속 음극실로 순환되게 운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회분식 운전 뿐만 아니라 연속식 운전도 가능하다. 연속식 운전이 가능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음극실에서 생성되는 개미산염은 종래의 개미산염 생성 공정과 달리 오픈형 용해기를 사용함으로써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이 높으므로 생성되는 개미산염 역시 충분한 환원반응을 가질 수 있어서 이러한 환원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개미산염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음극탱크에서 일부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음극전해질을 음극실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산성화장치(10)에 공급하면 연속적으로 고농도의 개미산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연속 운전을 하게되면 비록 회분식 운전 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농도의 개미산을 생산하게 되지만 종래 1% 정도의 농도를 가진 개미산염을 농축시켜 이용할 생산할 때 보다는 훨씬 고농도인 10% 이상의 개미산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속식 운전시에도 산성화장치 이전단에 개미산염을 농축하기 위한 별도의 농축기 구성은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유격막 전기분해조 (2) : 오픈형 용해기
(3) : 음극전해질 탱크 (4) : 이산화탄소 공급수단
(5) : 양극전해질 탱크 (6) : 양극탱크
(7) : 보조전해질 공급수단 (8) : 음극탱크
(9) : 2차 용해기 (10) : 산성화장치
(101) : 양극 (102) : 양극실
(103) : 음극 (104) : 음극실
(105) : 격막 (201) : 전해질수조
(202) : 충전재부 (203) : 분무부
(204) : 분지관 (205) : 순환펌프
(206) : 팬 (2031) : 노즐

Claims (20)

  1. 유격막 전기분해조와;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음극실에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용해시킨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오픈형 용해기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음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음극전해질 탱크와;
    상기 오픈형 용해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상기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양극실에 양극전해질을 공급하는 양극전해질 탱크와;
    상기 양극실에서 배출된 양극전해질과 별도로 공급받은 보조전해질을 양극실로 순환시키는 양극탱크와;
    개미산염 생성을 위한 보조전해질을 상기 양극탱크에 공급하는 보조전해질 공급수단과;
    상기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저장하고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음극탱크;로 구성하되,

    상기 오픈형 용해기는,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이 저장되는 전해질수조와;
    다수의 노즐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분무시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부와;
    전해질수조에 저장된 음극전해질 일부를 분지시킨 분지관을 통해 분무관으로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분무부 상부에 설치되어 대기 순환을 통해 음극전해질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수조와 분무부 사이에 충전재부를 설치하여 이산화탄소가 충전재부에 주입되어 체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부는 철재 메쉬망, 직물 메쉬망, 합성수지 메쉬망, 직물,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된 충전재가 설치되어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이산화탄소 탱크, 가압 CO2 공급수단, 정제 CO2 공급수단, 액화 CO2 공급수단, 실배가스 공급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1 ~ 100 wt%의 이산화탄소를 상압조건하의 오픈용해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탱크는 필요로 하는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얻으면 오픈형 용해기로의 순환을 중지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회분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탱크는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배출하면서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연속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형 용해기와 유격막 전기분해조 사이에 가압형 2차 용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극탱크 후단에 배출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고농도의 개미산으로 생성하는 산성화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11. a) 오픈형 용해기를 통해 상압조건하에서 고농도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생산하는 단계와;
    b) 유격막 전기분해조의 양극실에 보조전해질과 양극전해질을 공급하고, 음극실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공급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염을 생성하는 전해단계와;
    c) 음극실에서 생성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음극탱크에 저장하면서 일부를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a)단계는 전해질수조에 음극실로 공급되는 음극전해질을 저장하는 단계와;
    전해질수조에서 음극실로 공급되는 일부 음극전해질을 분지시켜 분무부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하부로 분무시키는 단계와;
    분무된 음극전해질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팬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의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와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오픈된 상태로 설치된 충전재부에 주입하여 체류시간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음극전해질의 압력은 분지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의 압력을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상압조하에서 1 ~ 100wt%로 조절되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부는 밀폐되지 않은 오픈된 상태로 이산화탄소의 체류 시간을 높이도록 철재 메쉬망, 직물 메쉬망, 합성수지 메쉬망, 직물,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는 음극실에서 생성되어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의 개미산염이 필요로 하는 농도에 도달하면 운전을 정지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그 전까지는 계속 오픈형 용해기로 순환시키는 회분식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는 음극실에서 생성되어 음극탱크에 저장된 고농도의 개미산염과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음극전해질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일부는 오픈형 용해기로 계속 순환시키는 연속식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오픈형 용해기 후단에 가압형 2차 용해기를 설치하여 다단으로 음극전해질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20.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음극탱크에서 배출된 고농도 개미산염을 산성화장치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개미산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방법.






KR1020170126407A 2017-09-28 2017-09-28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93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07A KR101936791B1 (ko) 2017-09-28 2017-09-28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07A KR101936791B1 (ko) 2017-09-28 2017-09-28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91B1 true KR101936791B1 (ko) 2019-01-11

Family

ID=6502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07A KR101936791B1 (ko) 2017-09-28 2017-09-28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28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1740A (ja) 2005-10-13 2009-03-19 マントラ エナジー オールターナティヴス リミテッド 二酸化炭素の連続並流電気化学還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1740A (ja) 2005-10-13 2009-03-19 マントラ エナジー オールターナティヴス リミテッド 二酸化炭素の連続並流電気化学還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28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8484B1 (ko) 2019-12-30 2023-03-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2903A1 (en) Process for electrochemical preparation of ammonia
US20130292257A1 (en) Integrated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s from Carbon Dioxide
AU20172242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lectrochemical utilization of carbon dioxide
FI110772B (fi) Menetelmä klooridioksidin valmistamiseksi
US11479868B2 (en) Electrolytic device
AU2013318500B2 (en) Integrated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s from carbon dioxide
CN103796958A (zh) 次氯酸钠发生装置
KR101795465B1 (ko) 이산화탄소 활용률을 향상시킨 ccu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JP2002508451A (ja) 高純度塩素へのHClガスの電気化学的処理方法
CN102240497A (zh) 一种从烟气中回收二氧化碳利用夜间电力制甲酸的方法和装置
US5324497A (en) Integrated procedure for high yield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and apparatus used therefor
US201900171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Production of Oxalic Acid and Acetic Acid
DE102019205316A1 (de) Energieeffiziente Wasserstoffherstellung
KR101936791B1 (ko) 오픈형 이산화탄소 용해기를 이용한 고효율 개미산염 제조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21831A1 (en) Integrated Process for Co-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and Halogen Products from Carbon Dioxide
CN103866344A (zh) 一种电解制备硝酸的方法
KR20170138364A (ko) 이산화탄소의 분리 방법 및 이산화탄소 분리 시스템
WO2021069470A1 (de) Verfahren und elektrolyse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chlor, kohlenmonoxid und gegebenenfalls wasserstoff
EP3470389B1 (en) Formic acid preparation method
KR20160035140A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무기자원 제조 장치
US20160208396A1 (en) Method Of Generating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Compound-Generating System
KR101985444B1 (ko) 개미산염 수용액으로부터 고농도 개미산 및 고순도 황산염의 회수방법, 및 회수 장치
JP2006291330A (ja) 水素製造方法及び装置
Vetrovec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basic hydrogen peroxide and chlorine for use in chemical oxygen-iodine laser
CN218666316U (zh) 一种高浓度稳定次氯酸钠溶液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