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950B1 - 다중 보빈 인덕터 - Google Patents

다중 보빈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950B1
KR101935950B1 KR1020120068192A KR20120068192A KR101935950B1 KR 101935950 B1 KR101935950 B1 KR 101935950B1 KR 1020120068192 A KR1020120068192 A KR 1020120068192A KR 20120068192 A KR20120068192 A KR 20120068192A KR 101935950 B1 KR101935950 B1 KR 10193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guide plate
cylinder
coi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314A (ko
Inventor
성효성
손덕현
멜리키안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9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보빈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보빈이 중첩된 형태의 보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제1보빈; 상기 제1보빈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제2보빈; 및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는 다중 보빈 인덕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보빈 인덕터{MULTI BOBBIN INDUCTOR}
본 발명은 다중 보빈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보빈이 중첩된 형태의 보빈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전원(RF power: radio frequency powe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로의 구성요소는 물론 전선 자체로 인한 기생 성분으로 인하여 노이즈(noise)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러한 필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인덕터(inductor)를 들 수 있다. 인덕터는 전선이나 코일이 그 주위나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덕터는 수신회로나 송신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정합(matching)하거나, 주파수를 변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인덕터로서 주로 보빈(bobbin)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전선을 감은 인덕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인덕터는 높은 유도용량(인덕턴스, inductance)를 얻기 위해서는 그 체적이 과도하게 커져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높은 유도용량를 가질 수 있는 인덕터의 구조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비교적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높은 유도용량을 가지는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제1보빈; 상기 제1보빈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제2보빈; 및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는 다중 보빈 인덕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기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원통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제1원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원통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제2원통 및 상기 제2원통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판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기 제1원통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과 동일한 직경의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판 및 상기 제2가이드판에는, 각각 상기 코일이 통과하는 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상기 제1원통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통으로부터 상기 제1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결되고,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상기 제2원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원통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판 또는 상기 제2가이드판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개공 중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에 중첩되도록 감기고, 상기 복수의 개공 중 중심으로부터 먼 개공을 통해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보빈; 및 상기 복수의 보빈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되, 하나의 보빈의 둘레를 다른 하나의 보빈을 둘러쌓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빈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다중 보빈 인덕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보빈을 중첩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체적이 작으면서도 높은 유도용량을 가지는 다중 보빈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속이 중첩되는 것을 이용하는 다중 보빈 인덕터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전원의 필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너 보빈(inner bobbin)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우터 보빈(inner bobbin)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너 보빈과 도 3의 아우터 보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너 보빈과 아우터 보빈이 결합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너 보빈과 아우터 보빈이 결합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중 보빈 인덕터에 코일이 감기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다중 보빈 인덕터를 이용한 필터의 성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다중 보빈 인덕터에 코일이 감기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되어 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빈 및 상기 복수의 보빈에 감기는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내측의 보빈이 외측의 보빈에 삽입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내측의 보빈을 외측의 보빈이 둘러쌓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보빈이 서로 중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는 코일(130)이 중첩적으로 감기는 것에 의해 자속이 중첩되므로, 비교적 적은 체적으로도 높은 유도용량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고주파전원에 필수적인 인덕터 필터(inductor filter)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고주파전원에 이용되는 인덕터 필터 이외에도 인덕터 성분의 회로 소자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이너 보빈(110), 아우터 보빈(120) 및 코일(130)을 포함한다.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은, 이너 보빈(110)이 내측에 아우터 보빈(120)이 외측에 중첩적으로 배치되고, 코일(130)은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 각각에 감긴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이너 보빈(11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너 보빈(110)은 제1원통(112), 제1가이드판(114) 및 받침판(118)을 포함한다.
제1원통(112)은 그 형상이 원통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1원통(112)은 그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원통(112)의 외주면에는 코일(130)이 감길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은 제1원통(112)의 단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가이드판(114)은 제1원통(112)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은 그 외경이 제1원통(112)의 외경보다 큰 원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원통(112)이 중공된 경우에는 제1가이드판(114)은 제1원통(112)과 연통되도록 중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은 제1원통(112)에 감긴 코일(130)이 제1원통(1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의 외주면에는 홈 또는 돌기 등의 요철(1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판(114)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판(114)의 중심을 향해 4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115)은 후술될 제2가이드판(124)의 요철(125)과 맞믈려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에는 제1개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공(116)으로는 코일(130)이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30)은 제1개공(116)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제1원통(112)으로 연결되어 제1원통(112)에 감길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1원통(112)에 감긴 코일(130)은 제1개공(116)을 통해 제1원통(112)으로부터 외측으로 나갈 수 있다.
제1개공(116)은 제1가이드판(114)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개공(116)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제1개공(116)은 제1가이드판(114)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제1가이드판(114)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에 복수의 제1개공(116)이 형성되면, 제1원통(112)에 감기는 코일(13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도용량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판(114)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90도를 이루며 4빙향으로 제1개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에 이와 같이 4방향으로 제1개공(116)이 형성되면 제1원통(112)에 감기는 코일(130)의 길이가 외주면의 1/4 길이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한 방향으로만 제1개공(116)이 형성된 경우에는 코일(130)의 길이가 외주면과 동일한 길이 간격으로 조절될 수 없는데 비하여 유도용량이 4배의 정밀도를 가지고 조절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개공(116)은 제1가이드판(114)의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원통(112)에는 코일(130)이 중첩되게 감길 수 있는데, 이때에는 코일(130) 자체의 두께에 의해 코일(130)이 감기는 직경이 점차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코일(130)은 제1개공(116) 중 제1가이드판(114)의 중심에 가까운 제1개공(116)을 통해 제1원통(112)에 진입하고, 제1원통(112)에 중첩되도록 감긴 후 제1개공(116) 중 제1가이드판(114)의 중심에 먼 제1개공(116)을 통해 제1원통(11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받침판(118)은 제1가이드판(11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판(118)은 제1가이드판(114)의 제1원통(112)과 연결된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판(118)은 후술할 아우터 보빈(120)이 이너 보빈(110)과 결합될 때 아우터 보빈(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판(118)은 제1가이드판(114)에 형성된 제1개공(116)과 후술할 제2가이드판(124)에 형성된 제2개공(126)과 연통되도록 홀이 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아우터 보빈(12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 보빈(120)은 제2원통(122) 및 제2가이드판(124)을 포함한다.
제2원통(122)은 그 형상이 원통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2원통(122)은 그 길이가 제1원통(112)과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제2원통(122)의 외주면에는 코일(130)이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제2원통(122)은 그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제공된다. 제2원통(122)의 중공된 내부에는 제1원통(112)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원통(122)이 제1원통(112)을 둘러쌓도록 배치되어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판(124)은 제2원통(122)의 단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가이드판(124)은 제2원통(122)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판(124)은 그 외경이 제2원통(122)의 외경보다 큰 원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원통(122)에 감긴 코일(130)이 제2원통(1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가이드판(124)은 그 내부가 중공되도록 제공된다. 제2가이드판(124)의 중공된 내경은 제1가이드판(114)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판(114)과 제2가이드판(124)이 밀착되어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판(124)의 내주면에는 홈 또는 돌기 등의 요철(1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판(124)의 형성된 요철(125)은 제1가이드판(114)에 형성된 요철(11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판(114)과 제2가이드판(124)의 요철(125)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제1가이드판(114)과 제2가이드판(124)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감긴 코일(130)의 장력이나 외력 등에 의해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유도용량 값이 변화할 수 있는데, 다중 보빈 인덕터(100)를 고주파 필터(RF filter)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유도용량의 오차도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요철(115, 125)에 의해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서로 고정되면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유도용량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판(124)에는 제2개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개공(126)으로는 코일(130)이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30)은 제2공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제2원통(122)으로 연결되어 제2원통(122)에 감길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2원통(122)에 감긴 코일(130)은 제2개공(126)을 통해 제2원통(122)으로부터 외측으로 나갈 수 있다.
제2개공(126)은 제2가이드판(124)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개공(126)의 배치는 상술한 제1가이드판(114)에 제1개공(116)이 배치되는 방식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결합되는 형태에 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이너 보빈(110)과 도 3의 아우터 보빈(120)이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결합된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결합된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보빈(110)이 아우터 보빈(120)의 중공된 부위에 삽입됨으로써 아우터 보빈(120)이 이너 보빈(110)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양 보빈(110, 120)이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처럼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중첩될 때 제1가이드판(114)과 제2가이드판(124)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이드판(114)의 외경과 제2가이드판(124)의 내경이 동일하므로 제1가이드판(114)이 제2가이드판(124)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판(114)의 요철(115)과 제2가이드판(124)의 요철(125)이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이 상대적으로 서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이너 보빈(110)에 홈이 형성되고, 아우터 보빈(120)에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이너 보빈(110)에 돌기가 형성되고, 아우터 보빈(120)에 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처럼 이너 보빈(110)이 아우터 보빈(120)에 끼워질 때 이너 보빈(110)의 받침판(118)은 제2가이드판(124)에 밀착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은 제1가이드판(114)과 제2가이드판(124)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지는 않지만 측면 방향의 외력에는 취약할 수 있는데 받침판(118)이 제2가이드판(124)을 지지함으로써 측면 외력에도 양 보빈(110, 120)이 서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코일(130)은 이상에서 상술한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에는 코일(130)이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코일(130)은 같은 방향의 자속을 유발함으로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유도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130)이 감기는 방향은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감기고,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인덕터는 지구 자기장의 영향을 받게 마련인데, 상술한 방식으로 코일(130)이 감기면 지구 자기장에 의해 유도용량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코일(130)은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에 다양한 형태를 취하면서 감길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코일(130)이 감기는 방식의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 코일(130)이 감기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130)은 외측으로부터 제1원통(112) 상단의 제1가이드판(114)의 제1개공(116) 중 중심에 가까운 제1개공(116)을 통해 제1원통(112)의 상단부로 연결된다. 코일(130)은 제1원통(11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긴다. 북반구인 경우에는 코일(130)이 시계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물론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것도 가능은 하다. 코일(130)은 제1원통(112)의 하단부에서 하단의 제1가이드판(114)의 제1개공(116) 중 중심에 가까운 제1개공(116) 및 제1개공(116)과 연통되는 받침판(118)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제1가이드판(114)을 빠져나간 코일(130)은 제2원통(122) 하단의 제2가이드판(124)의 제2개공(126) 중 중심에 가까운 제2개공(126) 및 이와 연통되는 받침판(118)의 개공을 통해 제2원통(122)의 하단부로 연결된다. 코일(130)은 제2원통(122)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감긴다. 이때 코일(130)이 감기는 방향은 제1원통(112)에 코일(130)이 감긴 방향과 동일하다. 코일(130)은 제1원통(112)의 상단부에서 상단의 제2가이드판(124)의 제2개공(126) 중 중심에 가까운 제2개공(126)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130)은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에 이중으로 중첩되어 감기고, 이에 따라 이너 보빈(110) 혹은 아우터 보빈(120)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거의 유사한 체적에서 더 높은 유도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더 높은 유도용량을 가지는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그 필터 성능이 단일 보빈을 이용한 경우보다 뛰어나다. 도 8은 도 7의 다중 보빈 인덕터(100)를 이용한 필터의 성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제1라인은 이너 보빈(110)만 사용한 경우의 필터 성능이고, 제2라인은 아우터 보빈(120)만 사용한 경우의 필터 성능이고, 제3라인은 다중 보빈 인덕터(100)를 이용한 필터의 성능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에서 다중 보빈 인덕터(100)를 사용할 때 필터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코일(130)이 감기는 방식은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의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 코일(130)이 감기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일(130)은 외측으로부터 제1원통(112) 상단의 제1가이드판(114)의 제1개공(116) 중 중심에 가까운 제1개공(116)을 통해 제1원통(112)의 상단부로 연결된다. 코일(130)은 제1원통(11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긴다. 그리고 코일(130)은 다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감길 수 있다. 이때 코일(130)은 이미 제1원통(112)에 감긴 코일(130)의 위에 다시 감길 수 있다. 코일(130)이 제1원통(112)에 중첩하여 감기는 경우에는 코일(130) 자체의 두께에 의해 제1가이드판(114)의 제1개공(116) 중 중심에 가까운 제1개공(116)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제1원통(112)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중첩되어 감긴 코일(130)은 상단부의 제1가이드판(114)의 제1개공(116) 중 중심으로부터 먼 제1개공(116)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제1가이드판(114)을 빠져나간 코일(130)은 제2원통(122)의 상단의 제2가이드판(124)의 제2개공(126) 중 중심에 가까운 제2개공(126)을 통해 제2원통(122)의 상단부로 연결된다. 코일(130)은 제2원통(12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긴다. 코일(130)은 하단부로부터 다시 상단부로 감기고 상단부에서 다시 하단부로 감긴다. 즉 코일(130)은 제2원통(122)에 3회 중첩하여 감기는 것이다. 3회 중첩하여 감긴 코일(130)은 하단의 제2가이드판(124)의 제2개공(126) 중 중심으로부터 먼 제2개공(126) 및 이와 연통되는 받침대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이처럼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 각각에 코일(130)이 중첩되어 감기면,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 비해 더욱 높은 유도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에 코일(130)이 감기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코일(130)이 감기는 방식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경한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변경된 방식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상술한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개별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의 두 개의 보빈이 중첩되는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서 중첩되는 보빈의 수가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중첩되는 보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보빈 인덕터(1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다중 보빈 인덕터(100)는 제1보빈(150), 제2보빈(160) 및 제3보빈(170)의 세 개의 보빈이 중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코일(130)은 제1보빈(150), 제2보빈(160) 및 제3보빈(170)에 각각 감길 수 있다. 이처럼 세 개 이상의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보빈 인덕터(100)에서 각 보빈들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는 상술한 이너 보빈(110)과 아우터 보빈(120)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중 보빈 인덕터
110: 이너 보빈
112: 제1원통
114: 제1가이드판
116: 제1개공
118: 받침판
120: 아우터 보빈
122: 제2원통
124: 제2가이드판
126: 제2개공
130: 코일

Claims (8)

  1. 원통 형상의 제1보빈;
    상기 제1보빈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제2보빈; 및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기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원통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제1원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원통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제2원통 및 상기 제2원통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는 다중 보빈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는 다중 보빈 인덕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판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는 다중 보빈 인덕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제1가이드판의 상기 제1원통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과 동일한 직경의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다중 보빈 인덕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판 및 상기 제2가이드판에는, 각각 상기 코일이 통과하는 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상기 제1원통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통으로부터 상기 제1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결되고,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상기 제2원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원통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판의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결되는 다중 보빈 인덕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판 또는 상기 제2가이드판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개공 중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개공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에 중첩되도록 감기고, 상기 복수의 개공 중 중심으로부터 먼 개공을 통해 상기 제1원통 또는 상기 제2원통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다중 보빈 인덕터.
  8. 삭제
KR1020120068192A 2012-06-25 2012-06-25 다중 보빈 인덕터 KR10193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192A KR101935950B1 (ko) 2012-06-25 2012-06-25 다중 보빈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192A KR101935950B1 (ko) 2012-06-25 2012-06-25 다중 보빈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14A KR20140001314A (ko) 2014-01-07
KR101935950B1 true KR101935950B1 (ko) 2019-01-08

Family

ID=5013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192A KR101935950B1 (ko) 2012-06-25 2012-06-25 다중 보빈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9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39A (ja) 1998-10-13 2000-04-28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ランス
JP2001332430A (ja) * 2000-05-22 2001-11-30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5327977A (ja)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ボビン、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39A (ja) 1998-10-13 2000-04-28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ランス
JP2001332430A (ja) * 2000-05-22 2001-11-30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5327977A (ja)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ボビン、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14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075B2 (ja) 無線電力伝達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導磁コア
EP3509078B1 (en) Coil device and holder member
CN102782780B (zh) 变压器
TWI389149B (zh) Symmetrical leakage inductance adjustable flat transformer
US9413196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JP2006060819A5 (ko)
JP6453787B2 (ja) 巻線ユニット
EP3026683B1 (en) Transformer,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ormer
WO2019176637A1 (ja) アンテナ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N107004496A (zh) 受电装置和送电装置
JP6706148B2 (ja) コイル部品
US9196416B2 (en) Bobbins for gapped toroid inductors
JP6885834B2 (ja) 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用の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
JP2017135292A (ja) リアクトル
KR101935950B1 (ko) 다중 보빈 인덕터
WO2018110054A1 (ja) Lcデバイス、lc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7050809A (ja) アンテナコイル
JP2015186419A (ja) 電動機
JP2013197141A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コイル
US20050141742A1 (en) Induction coil for a hearing aid
JP2016152257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6294736A (ja) 低背型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5708B2 (ja) コイルブロック
KR101735645B1 (ko)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
JP2005136199A (ja) 耐雷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