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210B1 -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210B1
KR101935210B1 KR1020180137041A KR20180137041A KR101935210B1 KR 101935210 B1 KR101935210 B1 KR 101935210B1 KR 1020180137041 A KR1020180137041 A KR 1020180137041A KR 20180137041 A KR20180137041 A KR 20180137041A KR 101935210 B1 KR101935210 B1 KR 10193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ever
wire
water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이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재 filed Critical 이학재
Priority to KR102018013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에 연동하여 밸브를 개폐하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밸브 수단(10) 일측에 커버(20)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 일측에 레버(30)를 축 설치하며, 상기 레버에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40)을 연결하여 상,하 수위에서 레버가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를 개폐 작동하되, 상기 레버(30)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철판(31)(32),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자석(21)(22)을 대응되게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시켜 주므로 밸브 수단의 밸브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for watertank}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에 연동하여 밸브를 개폐하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플로트에 의해 상,하 회동 작동하는 레버와 밸브 커버에 철판과 자석을 대응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시켜 주므로 밸브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공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과 함께 현 시대는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이에 물 고갈의 예방을 위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각종 절수 방법과 장치들이 각 분야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양변기, 정수기, 저수조 등과 같은 수조에 적용되는 자동 수위조절장치이다. 특히 플로트 방식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장치는 수조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가 승하강하면서 밸브를 개폐하여 수조에 적정량의 물을 공급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종래 플로트 방식의 자동 수위조절장치는 수조의 물 공급구로 물을 공급하여 수위가 상승하면 플로트가 부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상승 회전하여 밸브를 눌러부력의 힘에 의해 밸브가 차단되고, 수조의 물을 배출하여 수위가 하강하면 플로트가 중력에 의해 하강 회전하여 밸브를 개방하면서 다시 수조의 물 공급구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플로트 방식의 자동 수위조절장치는 플로트의 부력에 의해서 밸브를 차단하기 때문에 수조의 물 공급구에 가해지는 수압이 높으면 밸브가 완전 차단되지 못하여 물이 누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 제20-0318451호 등에서 밸브몸체 내부에 밸브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체와, 상기 밸브와 체 사이에 저압에서 밸브를 막아주고 수위가 높아지면 밸브를 강제로 밀어내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몸체에 연결되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공의 중력을 밸브에 전달하여 밸브를 제어하게 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물을 채워 수위가 내려가면 중력을 발생시켜 밸브를 열어주게 되는 공으로 구성하여 내부수압과 중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수압을 분산시키고 평상시 구조물의 어느 부분도 피로를 받지 않고 있다가 수위가 낮아져 부구가 중력을 받으면 지렛대 원리로 밸브를 밀어주어 물이 공급되면서 평소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몸체와 연결된 부구의 한쪽에 수위 조절구를 부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잇점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 등록 기술 및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플로트(공)가 수조의 상수위에서 부력에 의해 완전 상승한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밸브를 완전 차단 작동하기 때문에 플로트(공)가 상수위 도달 전까지 는 물 공급이 계속되고, 상수위에서 완전 차단한 후에도 수조 내부의 물 움직임에 의해 플로트(공)가 흔들릴 경우 밸브의 차단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밸브가 움직일 수 있어 누수 우려가 있게 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플로트(공)가 수조의 하수위에서 중력에 의해 완전 하강한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밸브를 완전 개방 작동하기 때문에 플로트(공)가 하수위 도달 전까지는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플로트(공)가 수조의 수위에 따라 지지대와 함께 상,하 회전하면서 승하강 하기 때문에 지지대의 부하가 크고 플로트의 승하강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동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그 밖에 상기 플로트(공)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결정되는 상,하 수위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 등록 기술을 이용하되, 선 등록 기술 및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등록실용 제20-0318451호(2003년06월18일) 공개특허 제10-2006-0014073호(2006년02월14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플로트에 의해 상,하 회동 작동하는 레버와 밸브 커버에 철판과 자석을 대응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시켜 주므로 밸브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로트의 승하강을 와이어에 의해 일정하게 안내함은 물론 상기 플로트 내부의 무게추에 의한 부력 조절이나 상기 와이어 길이에 의한 상하 수위 조절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로트의 승하강을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여 양수기로 물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도록 하되,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원격으로 간편하게 제어 작동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효율성을 배가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 수단과, 상기 밸브 수단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힌지축으로 축 연결되고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 수단 내부의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 측방에 축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레버의 상부와 전방에는 제1,2 철판을 조립하고,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는 레버가 상,하 회동하는 상,하수위 위치에서 제1,2 철판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1,2 자석을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트 수단은 레버 후방에 축 연결 설치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 중앙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하단에 연결되는 끈 연결추 및, 상기 와이어에 중앙의 삽입공으로 삽입 장착하되, 내부의 부력실에 중력 발생을 위한 무게추가 내장되고 상부에 캡을 기밀 결합하는 플로트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는 원주상에 와이어 묶음 돌기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하고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묶음 돌기 외측으로 감긴 와이어를 관통공을 통해 하부로 연장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묶음 돌기에서 감거나 풀어 주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절하면서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판의 상부 중앙에 원주상으로 와이어를 감아 둘 수 있는 홈부을 갖는 핸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핸들 하부의 원주상에 형성된 레칫 휠과 레칫에 의해 핸들을 일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김 작동하고, 상기 레칫의 지지 해제 작동에 의해 핸들을 타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풀림 작동하여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 상부에 마이크로 스위치를 별도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 하부 위치로 작동구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수위시 레버가 작동구를 밀어 접점을 터치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양수기의 물 공급 작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근거리 통신부를 연결하여 근거리에서 밸브 개폐, 물 공급 및 중단 작동을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 수단 일측에 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 일측에 레버를 축 설치하며, 상기 레버에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을 연결하여 상,하 수위에서 레버가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를 개폐 작동하되, 상기 레버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철판,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자석을 대응되게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시켜 주므로 밸브 수단의 밸브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로트 수단은 상부판에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플로트가 일정하게 승하강 안내됨은 물론 플로트 내부에 결합되는 무게추에 의한 부력 조절이나 상기 와이어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조의 상,하 수위를 간단하게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플로트 승하강을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도록 하여 밸브 수단을 통해 양수기로 물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도록 함은 물론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원격으로 양수기를 간편하게 제어 작동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효율성을 배가시키도록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하 수위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 수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평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수단(10)과, 상기 밸브 수단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에 힌지축으로 축 연결되고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 수단 내부의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레버(30)와, 상기 레버 측방에 축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4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레버(30)의 상부와 전방에는 제1,2 철판(31)(32)을 조립하고,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는 레버가 상,하 회동하는 상,하수위 위치에서 제1,2 철판(31)(32)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1,2 자석(21)(22)을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 수단(10)은 밸브 몸체(11) 내부의 밸브공(12)에 밸브(15)를 탄성 스프링(16)에 의해 탄발 삽입하고 상기 밸브 전방의 작동핀(17)이 레버의 상하 회동시 밸브를 전후 이동시켜 전방 토출구(13)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30)의 제1,2 철판(31)(32)은 레버의 상부와 전방에 양 측방으로 삽입홈(33a)이 형성된 요부(33)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삽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커버(20)의 제1,2 자석(21)(22)도 커버에 형성되는 별도의 조립홈(23a)(23b)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로트 수단(40)은 레버 후방에 축 연결 설치되는 상부판(41)과, 상기 상부판 중앙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42)와, 상기 와이어 하단에 연결되는 끈 연결추(43) 및, 상기 와이어에 중앙의 삽입공(45a)으로 삽입 장착하되, 내부의 부력실(45b)에 중력 발생을 위한 무게추(46)가 내장되고 상부에 캡(45c)을 기밀 결합하는 플로트(45)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끈 연결추(43)는 철 등과 같이 일정 무게를 갖는 소재로 형성하여 수조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도 와이어(42)를 흔들림 없이 지지하도록 하여 플로트(45)를 일정하게 승하강 안내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41)의 상부에는 원주상에 와이어 묶음 돌기(41a)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하고 중앙에 관통공(41b)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묶음 돌기 외측으로 감긴 와이어(42)를 관통공(41b)을 통해 하부로 연장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묶음 돌기에서 감거나 풀어 주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절하면서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41) 하부에는 플로트(45)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1c)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의 일 측벽이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 돌출부(41d)로 형성하여 플로트의 일 측방을 지지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41)의 상부 중앙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상으로 와이어를 감아 둘 수 있는 홈부(47a)을 갖는 핸들(47)을 회전 가능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핸들 하부의 원주상에 형성된 레칫 휠(47b)과 레칫(48)에 의해 핸들(47)을 일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김 작동하고, 상기 레칫의 지지 해제 작동에 의해 핸들(47)을 타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풀림 작동하여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20) 상부에 마이크로 스위치(25)를 별도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26) 하부 위치로 작동구(36)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수위시 레버(30)가 작동구를 밀어 접점(26)을 터치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양수기의 물 공급 작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5)와 근거리 통신부(27)를 연결하여 근거리에서 밸브 개폐, 물 공급 및 중단 작동을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38, 48은 힌지축, 48a는 레칫이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회전축, 49는 레칫(48)을 탄발 지지하는 탄발 스프링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조의 물을 배출시켜 수조의 수위가 하강하면, 플로트(35)가 중력에 의해 와이어(32)를 따라 하강하여 와이어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끈 연결추(33) 상부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플로트(35)는 수위 하강과 함께 끈 연결추(33)와 와이어로 연결된 플로트 수단의 상부판(31)이 하강되고, 상기 상부판에 연결된 레버(30)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강 회전하는 레버(30)는 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 전방에 조립된 제2 철판(32)이 커버(20) 전방에 조립되어 있는 제2 자석(22)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 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레버(30)는 하수위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하강 회전이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완료됨과 함께 자력에 의해 하강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 전방에 밸브 수단의 작동핀(17)을 밀어 밸브(15)가 탄성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후퇴하므로 전방 토출구(13)가 개방되고 수조 내부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버(30)는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밸브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수조 내부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가 다시 상승하면, 플로트(35)가 부력에 의해 승강하게 되는데, 상기 플로트는 하강시와 동일하게 와이어(32)를 따라 일정하게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32)는 하부에 금속 재질의 끈 연결추(33)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에 물이 채워져도 잘 흔들리지 않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로트가 일정하게 승강하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위 상승과 함께 플로트(35)가 승강하면서 플로트의 상단이 상부판(31)을 상부로 들어 올리면, 상기 상부판(31)에 연결된 레버(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승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의 제2철판(32)과 커버의 제2자석(22)이 서로 분리되면서 레버가 상승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승 회전하는 레버(30)는 상수위 위치에서 레버 상부의 제1 철판(31)이 커버 상부의 제1 자석(21) 자력에 의해 당겨져 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레버(30)는 상수위 위치에서 자력에 의해 상승 회전이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완료됨과 함께 자력에 의해 상승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가 작동핀(17)을 밀어 주던 외력이 제거되어 밸브 수단의 밸브(15)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 복귀되면서 전방 토출구(13)를 차단하므로 수조 내부로 물 공급이 중단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버(30)는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밸브 폐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수조 내부로 물 공급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플로트 내부의 무게추(46)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부력을 간단히 조절함은 물론 상기 플로트 수단의 와이어(31) 길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수조의 상,하 수위를 간단히 임의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상부판(31)의 상부 원주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묶음 돌기(31a)에 묶여 있는 와이어(32)를 감거나 풀어 끈 연결추(33)의 상하 위치를 이동시켜 주므로 플로트가 레버를 작동시키는 상,하 수위, 즉 수조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물 양을 간단히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로트 수단의 와이어(31) 길이 조절은 도 7 및 도 8의 경우에 상부판(41) 상부 중앙에 축 설치된 핸들(47)을 레칫 구조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 원주상의 홈부(47b)에 와이어를 감아주거나 레칫(48)을 축 회전시켜 지지 해제시켜 주므로 핸들(47))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핸들 원주상의 홈부(47b)에 와이어를 풀어주는 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끈 연결추(33)의 상하 위치를 이동시켜 상,하 수위, 즉 수조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물 양을 간단히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커버(20) 상부에 마이크로 스위치(25)를 별도 설치하여 전자적으로 물 공급 및 중단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상 수위시 레버의 상승 회전으로 레버 상단이 작동구(36)를 밀어 올려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26)을 터치 작동하는 것에 의해 양수기 작동을 중지시켜 물 공급을 중단하고, 하 수위시 레버 상단의 하강 회전으로 작동구(36)가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26)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이탈하는 것에 의해 양수기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도록 하므로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함은 물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5)를 근거리 통신부(27)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근거리에서 물 공급 및 중단 작동 등을 원격 제어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 수단 일측에 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 일측에 레버를 축 설치하며, 상기 레버에 수조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을 연결하여 상,하 수위에서 레버가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를 개폐 작동하되, 상기 레버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철판,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 제1,2 자석을 대응되게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시켜 주므로 밸브 수단의 밸브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10: 밸브 수단 15: 밸브
20: 커버 21,22: 제1,2 자석
25: 마이크로 스위치 27: 근거리 통신부
30: 레버 36: 작동구
31,32: 제1,2 철판 40: 플로트 수단
41: 상부판 41a: 와이어 묶음 돌기
41b: 관통공 42: 와이어
43: 끈 연결추 45: 플로트
45a: 삽입공 45b: 부력실
45c: 캡 46: 무게추
47: 핸들 47a: 홈부

Claims (5)

  1. 밸브 수단(10)과,
    상기 밸브 수단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에 힌지축으로 축 연결되고 상하 회동 작동하면서 밸브 수단 내부의 밸브를 개폐 작동하는 레버(30)와,
    상기 레버 후방에 축 연결 설치되는 상부판(41)과, 상기 상부판 중앙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42)와, 상기 와이어 하단에 연결되는 끈 연결추(43)와 상기 와이어에 중앙의 삽입공(45a)으로 삽입 장착하되, 내부의 부력실(45b)에 중력 발생을 위한 무게추(46)가 내장되고 상부에 캡(45c)을 기밀 결합하는 플로트(45)로 구성되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플로트 수단(40)과;
    상기 레버(30)의 상부와 전방에는 제1,2 철판(31)(32)을 조립되고, 상기 커버의 상부와 전방에는 레버가 상,하 회동하는 상,하수위 위치에서 제1,2 철판(31)(32)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1,2 자석(21)(22)을 조립 설치하여 상,하 수위 위치에서 레버를 자력에 의해 당겨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1)의 상부에는 원주상에 와이어 묶음 돌기(41a)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하고 중앙에 관통공(41b)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묶음 돌기 외측으로 감긴 와이어(42)를 관통공(41b)을 통해 하부로 연장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묶음 돌기에서 감거나 풀어 주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절하면서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1)의 상부 중앙에 원주상으로 와이어를 감아 둘 수 있는 홈부(47a)을 갖는 핸들(47)을 회전 가능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핸들 하부의 원주상에 형성된 레칫 휠(47b)과 레칫(48)에 의해 핸들(47)을 일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김 작동하고, 상기 레칫의 지지 해제 작동에 의해 핸들(47)을 타 방향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풀림 작동하여 상하 수위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 상부에 마이크로 스위치(25)를 별도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26) 하부 위치로 작동구(36)를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수위시 레버(30)가 작동구를 밀어 접점(26)을 터치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양수기의 물 공급 작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5)와 근거리 통신부(27)를 연결하여 근거리에서 밸브 개폐, 물 공급 및 중단 작동을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KR1020180137041A 2018-11-09 2018-11-09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KR10193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41A KR101935210B1 (ko) 2018-11-09 2018-11-09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41A KR101935210B1 (ko) 2018-11-09 2018-11-09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210B1 true KR101935210B1 (ko) 2019-01-03

Family

ID=6502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41A KR101935210B1 (ko) 2018-11-09 2018-11-09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636A (ko) 2020-11-17 2022-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무동력 기계식 논물 자동 수위 조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636A (ko) 2020-11-17 2022-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무동력 기계식 논물 자동 수위 조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3903C (en) Water inlet valve
US3041630A (en) 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KR101935210B1 (ko) 무동력 자동 수위조절장치
KR101527179B1 (ko) 플로트 밸브
CN105926735B (zh) 一种利用压力差排水的水箱排水装置
EP3153752B1 (en)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a water inlet valve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20130019565A (ko) 기능성 밸브 개폐용 액추에이터
EP0358944B1 (en) Liquid level control float valve
JP5498080B2 (ja) 磁力を用いた浮力による加圧送水装置
KR101264617B1 (ko) 수위조절장치
CN213572250U (zh) 储液腔排液管道开合装置
CN213451715U (zh) 一种即开即断浮球阀的机械结构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2120798B1 (ko) 압력식 자동 벤트 밸브
CN109707901B (zh) 一种家用水龙头免手动控制机构
KR101401091B1 (ko) 자동 수위조절장치
JP2014081035A (ja) 弁構造体
CN216515946U (zh) 一种排水装置及冲水器
KR200335731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JP3336503B2 (ja) 緊急遮断弁装置
JP2014081071A (ja) 弁構造体及び液位制御システム
KR20180128163A (ko)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JP2580791Y2 (ja) てこ式ボールタップ
JPH09159050A (ja) 液位検出式自動注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