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163A -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 Google Patents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163A
KR20180128163A KR1020170063314A KR20170063314A KR20180128163A KR 20180128163 A KR20180128163 A KR 20180128163A KR 1020170063314 A KR1020170063314 A KR 1020170063314A KR 20170063314 A KR20170063314 A KR 20170063314A KR 20180128163 A KR20180128163 A KR 2018012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level
water
ball bear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7006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163A/ko
Publication of KR2018012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고정추가 설치되고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추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가 결합되어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float}
본 발명은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고정추가 설치되고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추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가 결합되어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이다.
수위조절용 플롯트 스위치는 물탱크나 정화조탱크의 수위조절기용으로 사용되며 플롯트 스위치는 물탱크나 정화조 탱크에 설치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물 수위에 따라 1개 또는 2 개 이상의 플롯트 스위치를 물탱크의 상부의 고정된 헤드에 고정추와 로프로 결속시켜 제어하고자 하는 포인트에서 동작하도록 만들고 이 플롯트스위치의 접점을 이용하여 물탱크의 수위 조절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종래의 플롯트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수은 S/W나 마이크로 S/W를 반구형 플라스틱 본체에 넣고 반대쪽을 고주파 용착으로 마감해 제작되었으나 수은 S/W는 공해물질이어서 폐기처분이 어렵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마이크로 S/W 방식은
플롯트 내에 마이크로 S/W와 볼베어링을 조합하여 볼베어링의 무게에 의하여 마이크로 S/W 접점을 구성한 방식이어서 플롯트의 기울임이 천천히 진행될 경우 볼베어링이 마이크로 S/W를 누르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마이크로 S/W의 기계적인 힘을 넘어서지 못할 때는 접점이 OFF에서 ON으로 바뀌지 않는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S/W 방식은 외부충격에 마이크로 S/W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고주파 용착된 부위가 물속에 잠길 경우 플롯트 스위치 내부에 물이 스며들어 스위치 작동 불능 및 물속에 가라앉아 작동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종래 수위조절용 플롯트는 가라앉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프에 고정추를 매달아 고정장치로 고정하고 그 로프에 수위조절용 플롯트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로프에 고정추를 매달아 고정장치로 연결된 종래 수위조절용 플롯트는 정화조와 같은 물탱크에 설치하는 경우 로프, 고정추, 고정장치에 다른 물체나 이물질이 들러붙어 매우 지저분하게 되며 이물질이 들러붙은 로프, 고정추, 고정장치에 연결된 플롯트 자체가 작동이 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고정추가 설치되고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추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가 결합되어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베어링이 수직 상하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펌프를 가동하게 하며, 볼베어링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베어링의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지며 볼베어링의 상하이동 경로가 짧은 경로로서 정확한 이동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0); 고정추(150)와 플롯트 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00);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된 고정추(150); 및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추(150)의 상부에 결합된 플롯트 스위치(160);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고정추가 설치되고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추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가 결합되어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플롯스위치는 본체 상부에 상부원통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외주 측면에 외주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볼베어링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 내주면 상부에 내주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마개가 걸림턱으로 결합되어 있어 볼베어링이 수직 상하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펌프를 가동하게 하며, 하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볼베어링 고정홈에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가 직접 결합되어 있어 볼베어링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베어링의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지며 볼베어링의 상하이동 경로가 짧은 경로로서 정확한 이동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위조절용 플롯트가 가라앉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 수위조절용 플롯트가 부유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에서 리미트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의 리미트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의 리미트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에서 리미트스위치 및 볼베어링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에서 리미트스위치 및 볼베어링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에서 리미트스위치 및 볼베어링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플롯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있어서 하부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0); 고정추(150)와 플롯트 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00);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된 고정추(150); 및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추(150)에 결합된 플롯트 스위치(16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분리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케이스와 일체형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철 성분; 중금속 성분; 및 철 성분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플롯트 전체 질량의 20 내지 80 중량%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되고, 고정추 상부면에 에폭시 코팅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롯트는 원추형, 육면체 기둥형, 원기둥형, 원구형,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및 팔각기둥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롯트 스위치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상부 위치에 볼트(50, 50')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전선연결고리(14, 14', 14'')가 돌출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안쪽에 하부방향으로 압축스프링돌기(16)가 돌출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고정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돌기(22, 22') 사이에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상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 상부에 상부원통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 외주 측면에 외주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고, 볼베어링(3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 내주면 상부에 내주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마개(60)가 걸림턱(62)으로 결합되어 있는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주걸림턱(42)에서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압축 분리하여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될 수 있도록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볼베어링(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볼베어링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30)이 내장되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로 물의 수위에 따라서 볼베어링(30)이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16)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고정추가 설치되고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추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가 결합되어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된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는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결합홈(1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 하단에 상부결합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0); 고정추(150)와 플롯트 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200)의 상부결합돌기(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 외주 상부에 하부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 하단에 전선통과공(140)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00);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된 고정추(150); 및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추(150)의 상부에 결합된 플롯트 스위치(160);로 이루어져 있어 플롯트 스위치(160)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압축스프링돌기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된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분리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150-1)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케이스와 일체형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철 성분; 중금속 성분; 및 철 성분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철 성분과 에폭시수지를 1 : 1로 환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플롯트 전체 질량의 20 내지 80 중량%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롯트 전체 질량의 50 중량%에 해당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플롯트 전체 질량의 20 중량% 이하 경우 플롯트 전체 질량이 너무 가벼워서 하부 방향으로 가라앉지 않으며,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되지 않아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자체가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플롯트 전체 질량의 80 중량% 이상 경우 플롯트 전체 질량이 너무 무거워서 상부 방향으로 부유되지 않으며,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되지 않아 본 발명의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자체가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되고, 고정추 상부면에 에폭시 코팅층(152)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추 상부면에 에폭시 코팅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경우 고정추(150)의 상부에 플롯트 스위치(160)를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롯트는 원추형, 육면체 기둥형, 원기둥형, 원구형,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및 팔각기둥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추형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롯트 스위치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상부 위치에 볼트(50, 50')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전선연결고리(14, 14', 14'')가 돌출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안쪽에 하부방향으로 압축스프링돌기(16)가 돌출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고정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돌기(22, 22') 사이에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상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 상부에 상부원통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 외주 측면에 외주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고, 볼베어링(3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 내주면 상부에 내주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마개(60)가 걸림턱(62)으로 결합되어 있는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주걸림턱(42)에서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압축 분리하여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될 수 있도록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볼베어링(30);으로 이루어져 있어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볼베어링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30)이 내장되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로 물의 수위에 따라서 볼베어링(30)이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16)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되는 것이다.
10: 리미트스위치 14, 14', 14'': 전선연결고리
16: 압축스프링돌기 20: 리미트스위치 결합구
22, 22': 리미트스위치 고정판 24: 고정홈
30: 볼베어링 50, 50': 볼트
40: 볼베어링삽입원통구 42: 내주걸림턱
50, 50': 볼트 100: 하부케이스
130: 하부결합홈 140: 전선통과공
150, 150-1: 고정추 152: 코팅층
160: 플롯트 스위치
200: 상부케이스 230: 상부결합돌기
300: 전선케이블 400, 400-1: 플롯트스위치
410: 수위조절기 헤드 411: 물탱크 본체
412: 로프 413: 물 수위
414 : 고정추 416: 고정장치(Cable ties)

Claims (6)

  1. 원추형, 육면체 기둥형, 원기둥형, 원구형,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및 팔각기둥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롯트 스위치에 내장된 볼베어링이 물의 수위에 따라서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의 ON/OFF가 작동되는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 플롯트는 하부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00); 고정추(150)와 플롯트 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00);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설치된 고정추(150); 및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추(150)에 결합된 플롯트 스위치(16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분리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 바닥쪽에 케이스와 일체형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철 성분; 중금속 성분; 및 철 성분과 합성수지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는 물탱크의 내부에 차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서 플롯트 스위치(1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플롯트 전체 질량의 20 내지 80 중량%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롯트 스위치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상부 위치에 볼트(50, 50')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전선연결고리(14, 14', 14'')가 돌출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안쪽에 하부방향으로 압축스프링돌기(16)가 돌출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고정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돌기(22, 22') 사이에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상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 상부에 상부원통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가 상부에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 외주 측면에 외주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고, 볼베어링(3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 조절이 정확한 각도 조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 내주
    면 상부에 내주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마개(60)가 걸림턱(62)으로 결합되어 있는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주걸림턱(42)에서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 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압축 분리하여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될 수 있도록 볼베어링 삽입원통구(4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볼베어링(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미트스위치(10), 리미트스위치 삽입원통구(20), 볼베어링삽입원통구(40) 및 볼베어링(30)이 내장되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로 물의 수위에 따라서 볼베어링(30)이 수직 상하이동을 하면서 리미트스위치(10)의 압축스프링돌기(16)를 작동시키고 압축스프링돌기(16)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10)의 ON/OFF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KR1020170063314A 2017-05-23 2017-05-23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KR20180128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14A KR20180128163A (ko) 2017-05-23 2017-05-23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14A KR20180128163A (ko) 2017-05-23 2017-05-23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163A true KR20180128163A (ko) 2018-12-03

Family

ID=6474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14A KR20180128163A (ko) 2017-05-23 2017-05-23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1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6410A (zh) * 2021-06-25 2021-11-05 廖波 一种地热能用管道自动对接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6410A (zh) * 2021-06-25 2021-11-05 廖波 一种地热能用管道自动对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8163A (ko) 고정추가 플롯트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플롯트
KR101527179B1 (ko) 플로트 밸브
KR10156141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수상부유구조물
CN109216105B (zh) 施密特液控开关
KR100799350B1 (ko) 전도 게이트의 전도 장치
KR10210651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조명 시스템
KR200418407Y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200437014Y1 (ko) 마루시공용 바닥 지지구
KR102173781B1 (ko) 교량 인상장치
KR101040143B1 (ko)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원추형 플롯스위치
KR20160067608A (ko)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원추형 플롯스위치
KR101354746B1 (ko) 레벨링 컨트롤 스크루
KR20160011880A (ko)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원추형 플롯스위치
JP2011027251A (ja) 免震球支承装置
KR101027014B1 (ko) 수위조절용 자동제어 원기둥형 플롯스위치
JP2014227730A (ja) 車両通行規制装置
JP3970090B2 (ja) 浮き床施工方法
JP3187132U (ja) 地震感知機構
CN207161599U (zh) 用于cdc减振器的电磁阀
KR20090002659U (ko) 자석 작업화
RU25658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атформ аэродромных грузоподъемных механизмов
KR200435740Y1 (ko) 이동체 설치용 회전바퀴
KR20150004237U (ko)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CN217651866U (zh) 一种建筑桩基沉降检测装置
KR20140010846A (ko) 자동 수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