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994B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994B1
KR101934994B1 KR1020160135628A KR20160135628A KR101934994B1 KR 101934994 B1 KR101934994 B1 KR 101934994B1 KR 1020160135628 A KR1020160135628 A KR 1020160135628A KR 20160135628 A KR20160135628 A KR 20160135628A KR 101934994 B1 KR101934994 B1 KR 10193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ayer
layer member
cover
mattress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69A (ko
Inventor
이건우
김철호
정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102016013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9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내장재가 차례로 적층되는 제1내장층부재, 제2내장층부재, 제3내장층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내장층부재보다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가 크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보다 상기 제3내장층부재의 밀도가 더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매트리스{MATTRESS}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침대 프레임 상에 올려져 주로 사용자가 잠을 잘 때 사용되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침대의 프레임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데 사용된다.
매트리스는 주로 사용자가 누워서 잠을 자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인 매트리스는 내장재의 종류에 따라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력이 유지되지 못하여 성능이 저하되며 이는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없게 하고, 편하게 쉴 수 없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매트리스는 내장재를 감싸는 외장재에 습기가 유입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사용 중 미세먼지를 발생시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 특허 제10-1264620호 ‘폴리우레탄 필터 폼을 이용한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2015.05.09)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체중을 고르게 분산 지지하여 누웠을 때의 편안함을 증대시킬 뿐만 내부에서 원활한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내장재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3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내장층부재보다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가 크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보다 상기 제3내장층부재의 밀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는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는 라텍스로 제조되고, 상기 제3내장층부재는 메모리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밀도는 25 ~ 35 kg/m3이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는 55~65 kg/m3이고, 상기 제3층내장층부재의 밀도는 75~85 kg/m3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는 13~17 : 5~7 : 4~6 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콘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 전체에 고르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열에서 어느 한 열의 지지 돌기부는 다른 한 열의 지지 돌기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프로파일 성형과정을 통해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장층부재는 바이오 우레탄폼에서 프로파일 처리된 상기 지지 돌기부 부분과 프로파일 처리되지 않은 일반 바이오 우레탄폼의 레이어 조합으로 두가지 물성치를 가진 폼의 조합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적층된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로 구성되는 내장재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트리스 커버부재는 적층된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를 감싸는 내피부재, 상기 내피부재를 감싸는 외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내피부재를 감싸는 방수커버부; 및 상기 방수커버부를 감싸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로 분리되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는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어 내부가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에서 전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커버의 일부를 덮는 방향표시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방향표시 덮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 고정부는 하부 커버에 봉재로 장착되고, 천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용 고리, 상부 커버에 장착되고 고정용 고리를 관통하여 걸리거나 고정용 고리를 관통하여 고정용 고리와 분리되는 고정용 걸림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활한 공기 흐름을 통해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진드기 등의 발생을 방지하며 장기간 오염되지 않고,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수커버가 내장되어 별도의 방수커버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습기와 온도 등에 취약한 내장재를 원천적으로 보호하고, 미세먼지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에서 지지 돌기부가 돌출된 예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를 포함한다.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는 차례로 적층된다. 즉, 제2내장층부재(20)는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제3내장층부재(30)는 제2내장층부재(2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제1내장층부재(10)는 제일 아래 층에 위치된다.
제2내장층부재(20)는 제1내장층부재(10)보다 큰 밀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조되고, 제3내장층부재(30)는 제2내장층부재(20)보다 큰 밀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조된다. 즉,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 중 제1내장층부재(10)의 밀도가 제일 작고, 제3내장층부재(30)의 밀도가 가장 큰 것이다.
여기서, 제1내장층부재(10)는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고, 제2내장층부재(20)는 라텍스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천연 라텍스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3내장층부재(30)는 메모리폼으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결국, 제1내장층부재(10)는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고, 제2내장층부재(20)는 라텍스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천연 라텍스로 제조되며, 제3내장층부재(30)는 메모리폼으로 제조되며,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는 차례로 밀도가 큰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내장층부재(10)인 바이오 우레탄폼은 매트리스의 주춧돌 기능을 하는 레이어로 견고한 지지력을 만들어 장시간 숙면에도 일관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내장층부재(20)인 천연 라텍스는 체중이 가장 먼저 흡수되는 레이어로 천연 스트링 역할을 수행하여 몸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도록 제공되고, 제3내장층부재(30)인 메모리폼은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제1내장층부재(10)의 밀도는 25 ~ 35 kg/m3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제2내장층부재(20)의 밀도는 55~65 kg/m3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제3층내장층부재의 밀도는 75~85 kg/m3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아래에 위치하는 제1내장층부재(10)부터 제3내장층부재(30)까지 차례로 밀도가 커짐으로써,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세혈관에 35mmHg 이상으로 2시간 이상 연속하여 압박을 받게 되면 혈류가 차단되어 욕창(pressure sore)의 발생 원인이 되며, 체내로부터 발생하는 땀 등에 의해 매트리스와 피부간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매트리스에 탄력성이 적으면 체위 변환에 많은 힘이 들어서 결국은 국소적인 압박이 가중되어 피부 및 골격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1차적으로 3중 레이어 구성상에서 35mmHg 기준에 적합한 구성을 찾아 보았으며, 결과적으로 3중 레이어 구성에서 제일 아래층에서부터 차례로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순의 적층 구조가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 우레탄폼의 제1내장층부재(10), 천연 라텍스 재질의 제2내장층부재(20), 메모리폼 재질의 제3내장층부재(30) 순으로 적층한 후 체표면의 접촉압을 측정하는 경우 35mmHg에 근접한 평균압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3중 레이어 구성에서 저밀도층인 바이오 우레탄폼을 2층 이상으로 적층하는 경우 접촉압력이 35mmHg보다 크게 낮게 되고, 접촉압력이 낮은 경우 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중 레이어 구성에서 제일 아래층에서부터 차례로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순의 적층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접촉압력이 35mmHg보다 높게 되어 반발력이 떨어져 편안함이 떨어지고, 중밀도인 천연 라텍스가 2층이상 또는 고밀도인 메모리폼이 2층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레이어 접촉압력이 35mmHg보다 크게 높아 편안함이 떨어짐은 물론, 모세혈관에 35mmHg 이상으로 2시간 이상 연속하여 압박을 받게되면 혈류가 차단되어서 욕창 발생의 원인이 되며, 체내로부터 발생하는 땀 등에 의해 매트리스와 피부간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는 13~17 : 5~7 : 4~6 의 두께비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1내장층부재(10)가 두께(t1)가 제일 두껍고,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가 순차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특히 메모리폼으로 제조되는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와 라텍스로 제조되는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중 라텍스가 메모리폼보다 조금 더 두껍게, 그리고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는 제1내장층부재(10)의 두께(t1)가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와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합보다 40~50% 두껍게 비율을 유지한다.
하기 표 1은 각각 라텍스폼과 메모리폼으로 각각 50mm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된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 상에 우레탄 폼으로 제조되며 두께 50mm(비교예1), 100mm(비교예2), 150mm(실시예1), 200mm(비교예3)를 가지는 제1내장층부재(10)를 각각 적층하여 시료를 변경하면서 80kg 하중의 무게추로 각 시료에 가해지는 접촉압이 이상적으로 고루 분포되는지 테스트한 결과이다.

구분

체표면의 접촉압(mmHg)

실사용 테스트
국부 최고압력(mmHg) 평균압력(mmHg) 서서 발로 밟아봄.
두께 50mm(비교예1) 178.6 33.8 바닥 느껴짐
두께 100mm(비교예2) 182.3 34.0 바닥 느껴짐
두께 150mm(실시예1) 185.5 34.5 바닥 느껴지지 않음
두께 200mm(비교예3) 188.7 37.9 바닥 느껴지지 않음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와 같이, 우레탄폼으로 제조되는 제1내장층부재(10)의 두께(t1)가 메모리폼으로 제조되는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와 라텍스폼으로 제조되는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합인 100mm 보다 50~100% 두꺼운 비율을 유지하면, 서서 발로 밟아보는 실사용 테스트 결과 바닥이 느껴지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비교예 3와 같이 제1내장층부재(10)의 두께(t1)가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와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합인 100mm 보다 100 % 두꺼운 비율을 유지하면 체표면 접촉압의 평균 압력이 35mmHg를 크게 초과하게 됨에 비해, 실시예 1에서는 제1내장층부재(10)의 두께(t1)가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t3)와 제2내장층부재(20)의 두께(t2) 합인 100mm 보다 40~50% 두꺼운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체표면 접촉압의 평균 압력이 35mmHg에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의 두께비는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적으로 균형이 맞는 비례와 후술될 매트리스 커버부재(40)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최적의 높이를 참고하여 설정한 값이다.
여기서, 메모리폼으로 제조되는 제3내장층부재(30)의 경도(Hardness)는 4~5 (단위: kgf/314cm2)이고,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는 제1내장층부재(10)의 경도는 10~13 (단위: kgf/314cm2)인 것을 일 예로 한다.
경도는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가 차례로 큰 값을 가짐으로써 즉, 제1내장층부재(10)가 제일 큰 경도값을 가지고, 제3내장층부재(30)의 경도가 제일 작은 경도값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체중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에는 제2내장층부재(20)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부(11)가 돌출된다.
지지 돌기부(11)는 콘형상으로 돌출되고,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 전체에 고르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 돌기부(11)는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에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열에서 어느 한 열의 지지 돌기부(11)는 다른 한 열의 지지 돌기부(11)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돌기부(11)는 프로파일 성형과정을 통해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 전체에 고르게 형성되며, 복수의 열에서 서로 교차되게 돌출되어 면적 전체에 가해지는 체중(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킨다.
또한, 지지 돌기부(11)는 폼 매트리스 특성상 온도, 습도 등이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점을 보완한다. 즉, 지지 돌기부(11)는 제1내장층부재(10)와 제2내장층부재(20) 사이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매트리스 자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지지 돌기부(11)는 폼의 화학적 물성치에서 잡아주지 못하는 디테일한 점을 물리적(형태) 물성치로 보완한다. 즉, 제1내장층부재(10)는 바이오 우레탄폼에서 프로파일 처리된 지지 돌기부(11) 부분과 프로파일 처리되지 않은 일반 바이오 우레탄폼의 레이어 조합으로 두가지 물성치를 가진 폼의 조합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 실시예는 적층된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로 구성되는 내장재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 커버부재(40)는 적층된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를 감싸는 내피부재(41), 내피부재(41)를 감싸는 외피부재(42)를 포함한다.
내피부재(41)는 홑겹으로 짠 면재질의 천으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외피부재(42)는 내피부재(41)를 감싸는 방수커버부(42a), 방수커버부(42a)를 감싸는 외부커버부(42b)를 포함한다.
방수커버부(42a)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천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방수커버부(42a)는 프로텍트 어 베드 사의 방수천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 커버부재(40) 내에 방수커버부(42a)가 구비되어 별도로 매트리스의 상부에 방수커버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방수커버부(42a)는 습기와 온도 등에 취약한 내장재 즉,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를 원천적으로 보호하고, 미세먼지가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피부재(42)는 상부 커버(43)와 하부 커버(44)로 분리되며 상부 커버(43)와 하부 커버(44)는 지퍼(40a)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어 내부가 개폐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부 커버(43)와 하부 커버(44)는 지퍼가 열리면서 서로 분리되고, 내부에 내피부재(41)로 감싸진 내장재 즉,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를 내부에 넣을 수 있다.
상부 커버(43)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에서 전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커버(44)의 일부를 덮는 방향표시 덮개부(43a)가 구비된다.
또한, 외피부재(42)는 방향표시 덮개부(43a)의 위치를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 고정부(45)는 하부 커버(44)에 봉재로 장착되고, 천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용 고리(45a), 상부 커버(43)에 장착되고 고정용 고리(45a)를 관통하여 걸리거나 고정용 고리(45a)를 관통하여 고정용 고리(45a)와 분리되는 고정용 걸림구(45b)를 포함한다.
방향표시 덮개부(43a)는 디자인적 차별성을 보여주는 요소이며, 쉽게 상부 커버(43)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지퍼의 시작과 끝부분이 들어있음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적층된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 가 각각 우레탄폼, 천연 라텍스폼, 메모리폼 재질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도 5의 (b)는 적층된 제1내장층부재(10), 제2내장층부재(20), 제3내장층부재(30)가 우레탄폼, 메모리폼, 천연 라텍스폼 재질로 제조된 본 발명의 비교예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도 5의 (b) 즉,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압이 국소적으로 눌리는 부분이 거의 없이 골고루 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해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는 국소적으로 압력을 받는 체표면의 접촉부위가 최종 시료에 비해 많이 응쳐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인 (a)는 본 발명의 비교예인 (b)보다 더욱 편안한 착와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에서 지지 돌기부가 돌출된 예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에 지지 돌기부(11)가 형성된 실시예 2와,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이 평면인 실시예 3에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에 지지 돌기부(11)가 형성된 실시예 2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즉, 지지 돌기부(11)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 3에서 체표면 접촉압을 적외선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고하면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에 지지 돌기부(11)가 형성된 실시예 2에서 제1내장층부재(10)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즉, 지지 돌기부(11)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 3보다 체압이 국소적으로 눌리는 부분이 거의 없이 골고루 분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압을 상부에서부터 고르게 분산시켜 누워 잠을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원활한 공기 흐름을 통해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진드기 등의 발생을 방지하며 장기간 오염되지 않고,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방수커버가 내장되어 별도의 방수커버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습기와 온도 등에 취약한 내장재를 원천적으로 보호하고, 미세먼지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1내장층부재 11 : 지지 돌기부
20 : 제2내장층부재 30 : 제3내장층부재
40 : 매트리스 커버부재 41 : 내피부재
42 : 외피부재 42a : 방수커버부
42b : 외부커버부 43 : 상부 커버
43a : 방향표시 덮개부 44 : 하부 커버
45 : 덮개 고정부 45a : 고정용 고리
45b : 고정용 걸림구

Claims (14)

  1.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3내장층부재; 및
    적층된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로 구성되는 내장재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장층부재는 바이오 우레탄폼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는 라텍스로 제조되고, 상기 제3내장층부재는 메모리폼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는 13~17 : 5~7 : 4~6 의 두께비를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 커버부재는, 적층된 상기 제1내장층부재, 상기 제2내장층부재, 상기 제3내장층부재를 감싸는 내피부재, 및 상기 내피부재를 감싸는 외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재의 상부 커버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방향에서 전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부재의 하부 커버의 일부를 덮는 방향표시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방향표시 덮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고정부는, 상기 외피부재의 하부 커버에 봉재로 장착되는 고정용 고리, 상기 외피부재의 상부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용 고리를 관통하여 걸리거나 상기 고정용 고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용 고리와 분리되는 고정용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는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어 내부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밀도는 25~35 kg/m3이고,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밀도는 55~65 kg/m3이고, 상기 제3층내장층부재의 밀도는 75~85 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내장층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콘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 전체에 고르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열에서 어느 한 열의 지지 돌기부는 다른 한 열의 지지 돌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부는 프로파일 성형과정을 통해 상기 제1내장층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장층부재는 바이오 우레탄폼에서 프로파일 처리된 상기 지지 돌기부 부분과 프로파일 처리되지 않은 일반 바이오 우레탄폼의 레이어 조합으로 두가지 물성치를 가진 폼의 조합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내피부재를 감싸는 방수커버부; 및
    상기 방수커버부를 감싸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35628A 2016-10-19 2016-10-19 매트리스 KR10193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28A KR101934994B1 (ko) 2016-10-19 2016-10-19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28A KR101934994B1 (ko) 2016-10-19 2016-10-19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69A KR20180042969A (ko) 2018-04-27
KR101934994B1 true KR101934994B1 (ko) 2019-04-05

Family

ID=6208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28A KR101934994B1 (ko) 2016-10-19 2016-10-19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16B1 (ko) * 2019-08-19 2020-03-25 신지훈 어깨 눌림이 방지되는 매트리스
KR102333256B1 (ko) * 2021-05-11 2021-12-01 김준호 토퍼 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9447A1 (en) * 2018-09-28 2020-04-02 Dyob, Llc Modular and adjustable mattress
KR102378668B1 (ko) * 2019-06-25 2022-03-28 주식회사 씨와이컴퍼니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KR102416272B1 (ko) * 2020-06-11 2022-07-01 안성호 이종의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188B2 (ja) * 1995-11-15 2000-11-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加工性溶融Zn−Mg−Al系合金めっき鋼板
KR101024063B1 (ko) * 2010-05-13 2011-03-22 (주)금성토탈퍼니처 3면 지퍼를 구성한 상하 분리형 침대매트리스 커버
JP2012161394A (ja) * 2011-02-04 2012-08-30 System Support Co Ltd マットレ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188U (ja) * 2005-05-31 2005-09-02 株式会社モルテン マットレス
KR20120064001A (ko) * 2011-01-11 2012-06-18 최은태 상하 교체식 다층 구조 매트리스
KR101264620B1 (ko) 2012-10-22 2013-05-27 주식회사 유엠에스 폴리우레탄 필터 폼을 이용한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188B2 (ja) * 1995-11-15 2000-11-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加工性溶融Zn−Mg−Al系合金めっき鋼板
KR101024063B1 (ko) * 2010-05-13 2011-03-22 (주)금성토탈퍼니처 3면 지퍼를 구성한 상하 분리형 침대매트리스 커버
JP2012161394A (ja) * 2011-02-04 2012-08-30 System Support Co Ltd マットレ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16B1 (ko) * 2019-08-19 2020-03-25 신지훈 어깨 눌림이 방지되는 매트리스
KR102333256B1 (ko) * 2021-05-11 2021-12-01 김준호 토퍼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69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94B1 (ko) 매트리스
US7562407B2 (en) Air permeable fabric sheet member
US20090007339A1 (en) Cushioning apparatus
EP3285618B1 (en) Support cushions with active ventilation
US20160100697A1 (en) Field adjustable mattress system and method
EP2932871A1 (en) Support cushion
US6578220B1 (en) Mattress assembly
US9955796B2 (en) Mattress protector and removable cover assembly
US11825952B2 (en) Ventilated comfort layer
AU2005334829A1 (en) An innerspring unit
KR101989441B1 (ko)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KR20200111274A (ko) 공기 흐름을 지향하기 위한 복수의 직물 유형을 갖는 포켓식 코일 층을 포함하는 지지 쿠션, 및 그의 표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WO2020154717A1 (en) Bedding system
KR101715566B1 (ko)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WO2008009712A1 (en) A mattress
KR10223115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풍 베개
KR102161706B1 (ko) 기능성 포켓스프링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
CN117545405A (zh) 混合式枕头
CA3224727A1 (en) Two-sided hybrid mattress topper
KR101436209B1 (ko)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개인 입실형 휴게방
KR101980213B1 (ko) 라텍스의 관리가 용이한 가구용 메트리스
KR200330549Y1 (ko) 침구용 매트
KR102172582B1 (ko) 기능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
US20130205510A1 (en) Mattress having reduced motion transfer
KR20220070737A (ko) 매트리스용 내장재 및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