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915B1 -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915B1
KR101934915B1 KR1020160179440A KR20160179440A KR101934915B1 KR 101934915 B1 KR101934915 B1 KR 101934915B1 KR 1020160179440 A KR1020160179440 A KR 1020160179440A KR 20160179440 A KR20160179440 A KR 20160179440A KR 101934915 B1 KR101934915 B1 KR 10193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water
outlet
inle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776A (ko
Inventor
홍사준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는 입수관과 복수 개의 출수관들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입수관과 하부출수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복수 개의 출수구가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동홈이 형성된 제2안내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제3안내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제2안내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의 출수관 또는 하부하우징의 하부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 또는 하부입수관 중의 어느 하나에는 발전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세탁기용 급수밸브에 형성되는 급수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전 등의 전력공급 중단 상황 발생 시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급수밸브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매우 단순하며 구성요소의 부식을 방지하고, 각 구성들 간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작아 장시간의 사용에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 구성될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한 구성의 급수밸브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WATER VALVE FOR WASHING DEVICE COMPRISING GENERATOR}
본 발명은 세탁기용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과 같은 전력공급 중단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장시간 사용에도 물의 누수 및 고장을 방지하고, 신뢰성 있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혼합된 세제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를 세탁하는 장치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탑로더 타입(통돌이 방식) 및 드럼 타입의 세탁기가 개발 보급되었는데, 드럼 세탁기는 수평하게 설치된 드럼 내에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투입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드럼 세탁기에 의한 세탁은 세탁물의 꼬임 및 손상이 거의 없고,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세탁기에서는 더운물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기능이 제공되며, 이때 찬물과 뜨거운 물이 설정된 소정 온도로 혼합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하게 된다.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세탁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밸브가 이용되며, 상기 급수밸브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21062 호(발명의 명칭: 세탁기 급수밸브의 보강구조) 등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21062 호를 비롯한 종래 세탁기에 이용되는 급수밸브들은,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세탁기용 급수밸브에서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작은 구멍을 통해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세탁기의 장시간 사용 시 물에 포함되는 무기물질 또는 각종 먼지 등으로 인해 상기 구멍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세탁기로 공급되는 물과 항상 접촉되며, 물의 수질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을 경화시켜 장시간의 세탁기 사용 시 다이어프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점은 결국 급수밸브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누수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내부에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공급되는 교류 전력에 의해 상기 전자석이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석의 진동은 "우웅~" 하는 소음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의 사용에도 급수구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 등의 전력공급 중단 상황 발생 시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 작동 시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각 구성들 간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에 의한 부식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수밸브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높이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적층 구성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는 입수관과 복수 개의 출수관들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입수관과 하부출수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복수 개의 출수구가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동홈이 형성된 제2안내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제3안내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제2안내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의 출수관 또는 하부하우징의 하부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 또는 하부입수관 중의 어느 하나에는 발전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들은 각각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들은 상호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홈은 각각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의 입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입유동홈과, 상기 유입유동홈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유동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는 미리 지정된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 중의 어느 하나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의 입수구와 출수구에는 패킹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안내부재의 입수구와 출수구에는 패킹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수관과 하부입수관에는 전열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과 하부입수관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부재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제 2 안내부재 사이에는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블럭킹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럭킹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블럭킹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세탁기용 급수밸브에 형성되는 급수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의 전력공급 중단 상황 발생 시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급수밸브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구성요소의 부식을 방지하며, 각 구성들 간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작아 장시간의 사용에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높이 방향으로 적층 구성될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한 구성의 급수밸브를 이룰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급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급수밸브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급수밸브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급수밸브에 포함되는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회전부재 및 제3안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제 1 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와 하부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7 (a) 내지 (d) 는 상기 급수밸브에 포함되는 제1안내부재(a)와 제2안내부재(b, d)와 제3안내부재(c)의 평면도이며,
도 8 (a) 내지 (e) 는 상기 제1안내부재에 대해 제2안내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9 (a) 내지 (e) 는 상기 제3안내부재에 대해 제2안내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10 은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제 2 안내부재 사이에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누수방지부재와 제 2 안내부재와 제 3 안내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분해사시도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 은 상기 누수방지부재와 제 2 안내부재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급수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급수밸브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급수밸브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급수밸브에 포함되는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회전부재 및 제3안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제 1 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와 하부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7 (a) 내지 (d) 는 상기 급수밸브에 포함되는 제1안내부재(a)와 제2안내부재(b, d)와 제3안내부재(c)의 평면도이며, 도 8 (a) 내지 (e) 는 상기 제1안내부재에 대해 제2안내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9 (a) 내지 (e) 는 상기 제3안내부재에 대해 제2안내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10 은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제 2 안내부재 사이에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누수방지부재와 제 2 안내부재와 제 3 안내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분해사시도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 은 상기 누수방지부재와 제 2 안내부재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급수밸브는 입수관(2)과 복수 개의 출수관들(4-1, 4-2, 4-3, 4-4)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입수관(22)과 하부출수관(24)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20)과, 상기 상부하우징(10)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32)와 복수 개의 출수구(34-1, 34-2, 34-3, 34-4)가 형성된 제1안내부재(30)와, 상기 제1안내부재(30)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동홈(42)이 형성된 제2안내부재(40)와,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내부에 수용하며, 외면에 기어치(54)가 형성된 회전부재(50)와, 상기 제2안내부재(40)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62)와 출수구(64)가 형성된 제3안내부재(60)와, 상기 회전부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90)와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9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0)와 제2안내부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출수관(4) 또는 하부하우징(20)의 하부출수관(24)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2) 또는 하부입수관(22) 중의 어느 하나에는 발전부재(6, 26)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냉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입수관(2)과 상기 입수관(2)을 통해 유입된 냉수를 소정의 위치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수관(4-1, 4-2)들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입수관(2) 에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급수 호스가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입되는 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전열부재(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관(2) 부근에는 내부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8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8)는 전력 공급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8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영하의 온도로 저하되는 겨울철에는 상기 전열부재(8)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입수관(2) 내부의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관(2)에는 상기 입수관(2) 내부로 유동되는 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재(6)가 설치된다.
상기 발전부재(6)는 전선이 권취된 임펠러(6-2)와 자석(6-1)을 포함하는 제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관(2) 내부를 유동하는 물에 의해 상기 임펠러(6-2)가 회전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에서 상기 입수관(2)과 출수관(4)들은 대략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수관(4)은 2 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 개 또는 4 개 등 다양한 복수의 개수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2 개의 출수관(4-1, 4-2)들 중 하나는 세탁조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출수관이며, 나머지는 세제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출수관일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부에 하부하우징(2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 역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온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하부입수관(22)과 상기 하부입수관(22)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출수관(2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입수관(22)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급수 호스가 연결되며, 내부에는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전열부재(2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입수관(22) 부근에는 내부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8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28) 역시 전력 공급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84)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영하의 온도로 저하되는 겨울철에는 상기 전열부재(28)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하부입수관(22) 내부의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입수관(22)에는 상기 하부입수관(22) 내부로 유동되는 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재(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전부재(26) 역시 전선이 권취된 임펠러(26-2)와 자석(26-1)을 포함하는 제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입수관(22) 내부를 유동하는 물에 의해 상기 임펠러(26-2)가 회전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전부재(6, 26)들은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접지되도록 구성되며, 전력 공급 중단 상황 시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구동부재(92)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에서 상기 하부입수관(22)과 하부출수관(24)은 대략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 및 세탁기 본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전력의 공급을 위한 커넥터부(8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사이 공간에는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제2안내부재(40)와 회전부재(50)와 구동부재(92)와 제3안내부재(60)가 수용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제2안내부재(40)는 상기 입수관(2)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출수관(4-1, 4-2)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제2안내부재(40)와 제3안내부재(60)는 모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30)에서 입수구(32)는 대략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높이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입수구(32)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입수관(2)으로 유입된 물이 통과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안내부재(30)에서 상기 입수구(32)의 주변으로 두 개의 출수구(34-1, 34-2)들이 상기 제1안내부재(3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와 두 개의 출수구(34)들은 상호 이격 형성되며, 그리하여 상부하우징(10)의 입수관(2)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로 유동되며, 상기 출수관(4-1, 4-2)들로 직접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입수관(2)과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입수관(2)과 출수관(4-1, 4-2)들은 서로 직접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수구(32)는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높이 방향으로 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입수구(32)로 유동된 물은 상기 입수구(32)를 거쳐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유동홈(42)으로 유동된다.
제2안내부재(40)의 표면과 배면에는 유동홈들(42, 47)들이 각각 형성된다.
도 5 와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유동홈(42, 47)은 중심부의 유입유동홈(42-1, 47-1)과 상기 유입유동홈(42-1, 47-1)으로부터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유동홈(42-2, 47-2)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홈(42, 47)들은 상기 제2안내부재(40)에서 이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양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를 통해 상기 유입유동홈(42-1)으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유동홈(42-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출유동홈(42-2)을 거쳐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출수구(34-1, 34-2)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를 통해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된 유입유동홈(47-1)으로 유입된 물은, 유출유동홈(47-2)을 거쳐 제3안내부재(60)의 출수구(64)로 유동된다.
즉, 상기 제1안내부재(30) 밑에 제2안내부재(40)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 10 의 (a) 내지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출유동홈(42-2)이 상기 두 개의 출수구들(34-1, 34-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유출유동홈(42-2)이 배치되는 출수구(34)를 통해 물이 유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출수구(34)를 통해 유출되는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출수관(4-1, 4-2)들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와 출수구(34)에는 패킹부재(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30)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부에서 이에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입수구(32)와 출수구(34)에 패킹부재(36)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상부하우징(10)이 맞닿아 결합된다.
그리하여, 물이 상기 입수관(2)을 통해 상기 입수구(32), 출수구(34) 및 출수관(4)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상부하우징(10)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안내부재(30)와 제2안내부재(40)와 제3안내부재(60)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30) 내지 제3안내부재(60)는 물과 항시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운동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와 같이 제1안내부재(30) 내지 제3안내부재(60)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용이하게 마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제1안내부재(30) 내지 제3안내부재(60)를 형성하는 세라믹 재질은 알루미나 성분을 포함하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알루미나 성분은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써, 녹는점이 높고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제2안내부재(40)와 제3안내부재(60)에 의해 상기 하부입수관(22)으로 유입된 온수를 상기 하부출수관(24)으로 선택적으로 유도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안내부재(60) 역시 전체적으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안내부재(60)에서 입수구(62)는 대략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3안내부재(30)의 높이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입수구(62)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입수관(22)으로 유입된 물이 통과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상기 입수구(62) 전방에서 출수구(64)가 상기 제3안내부재(6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와 출수구(64)는 상호 이격 형성되며, 그리하여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입수관(22)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로 유동되며, 상기 하부출수관(24)으로 직접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입수관(22)과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하부입수관(22)과 하부출수관(24)이 서로 직접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수구(62)는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입수구(62)로 유동된 물은 상기 입수구(62)를 거쳐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동홈(47)으로 유동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동홈(47) 역시 중심부의 유입유동홈(47-1)과 상기 유입유동홈(47-1)으로부터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유동홈(47-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동홈(47)은 상기 제2안내부재(40)에서 이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를 통해 상기 유입유동홈(47-1)으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유동홈(47-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출유동홈(72-2)을 거쳐 상기 출수구(64)로 유동된다.
즉, 상기 제2안내부재(40) 밑에 제3안내부재(60)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 11 의 (a) 내지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출유동홈(47-2)이 상기 출수구(64)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9(c))에, 상기 출수구(64)를 통해 물이 유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출수구(64)를 통해 유출되는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하부출수관(24)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와 출수구(64)에는 패킹부재(6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안내부재(60)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상부에서 이에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입수구(62)와 출수구(64)에 패킹부재(66)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안내부재(60)와 하부하우징(20)이 맞닿아 결합된다.
그리하여, 물이 상기 하부입수관(22)을 통해 상기 입수구(62), 출수구(64) 및 하부출수관(24)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안내부재(60)와 하부하우징(20)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안내부재(40)는 회전부재(50) 내부의 개구(52)에 수용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는 개구(5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52) 부분에 제2안내부재(40)가 수용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재(50)의 외면에는 기어치(5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54)가 상기 구동부재(92)에 연결 설치되는 기어(92-1)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50)와 이의 내부 개구(52)에 수용된 제2안내부재(40)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재(92)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어(9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92-1)는 구동모터(92)의 회전축 단부에 형성되는 웜(9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어(94)는 상기 회전부재(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어이다.
상기 회전부재(50)의 외면에 형성되는 기어치(54)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기어(92-1) 및 상기 지지기어(94)는 모두 웜기어와 웜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모터(92)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보다 부드러운 힘의 전달 및 소음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92)로서는 직류 구동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 또는 세탁기 본체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의 각도 회전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부재(9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50)와 제2안내부재(4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두 유동홈(42, 47)들의 위치는 도 10 과 11 의 (a) 내지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위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80) 또는 세탁기 본체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안내부재(40)가 소정의 각도 회전되어, 도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유출유동홈(42-2)의 위치를 상기 두 개의 출수구(34-1, 34-2)들 중 어느 하나의 출수구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출수관들(4-1, 4-2)들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출유동홈(47-2)이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출수구(64)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11(c)), 상기 하부출수관(24)을 통해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도 10(a) 와 도 11(a) 및 도 10(e) 와 도 11(e)의 상태는 상기 출수관(4, 24)들을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상기 구동부재(92)를 통해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출수구(34-1, 34-2, 34-3, 34-4) 또는 제3안내부재(60)의 출수구(64) 중 어느 하나의 출수구(34, 64)로 선택적으로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0 은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제 2 안내부재 사이에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수방지부재(110)가 상기 제 1 안내부재(30)와 제 2 안내부재(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안내부재(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출수구(34)를 통해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2 안내부재(40)가 회전되는 과정 동안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110)에 포함되는 블럭킹부재(112)가 상기 제 1 안내부재(30)와 제 2 안내부재(4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출수를 의도하지 않은 출수구(34-1, 34-2)를 통해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유입구(112-1)와 유출구(112-2)가 형성된 블럭킹부재(112)와, 상기 블럭킹부재(112)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프레임(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프레임(114)은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재(5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 및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0)에는 상기 회전부재(5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동부(58)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프레임(114)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연동부(58)와 연동되는 제 2 연동부(114-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동부(58)는 상기 회전부재(50)의 전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회전부재(50)의 원주 중에서 일측에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턱(58-1, 58-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5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턱(58-1, 58-2)들이 상기 제 2 연동부(114-1)를 밀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프레임(114) 내부에 수용되는 블럭킹부재(112)를 회전시킨다.
도 13 을 참조하면, 상기 유출구(11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회전부재(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50)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안내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좌측 턱(58-2)이 상기 제 2 연동부(114-1)와 부딪혀 상기 수용프레임(1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측 턱(58-2)이 처음 제 2 연동부(114-1)와 부딪히는 위치(a)에서는 상기 제 2 안내부재(40)의 유동홈(42)과 상기 블럭킹부재(112)의 유출구(112-2) 위치는 평면 상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좌측 턱(58-2)이 상기 제 2 연동부(114-1)를 밀어 상기 수용프레임(114) 및 블럭킹부재(112)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b)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상기 블락킹부재(112)를 회전시켜 상기 블럭킹부재(112)에 형성되는 유출구(112-2)를 상기 출수구(34-1, 34-2)들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안내부재(40)의 유동홈(42)은 상기 유출구(112-2)에 비해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블럭킹부재(112)의 유출구(112-2)를 출수구(3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5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유동홈(42)이 상기 유출구(112-2)와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된다.(c)
만약, 상기 유출구(11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회전부재(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50)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안내부재(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우측 턱(58-1)이 상기 제 2 연동부(114-1)와 부딪혀 상기 수용프레임(1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 턱(58-1)이 처음 제 2 연동부(114-1)와 부딪히는 위치(d)에서는 상기 제 2 안내부재(40)의 유동홈(42)과 상기 블럭킹부재(112)의 유출구(112-2) 위치는 평면 상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우측턱(58-1)이 상기 제 2 연동부(114-1)를 밀어 상기 수용프레임(114) 및 블럭킹부재(112)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e)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상기 블럭킹부재(112)를 회전시켜 상기 블럭킹부재(112)에 형성되는 유출구(112-2)를 상기 출수구(34-1, 34-2)들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안내부재(40)의 유동홈(42)은 상기 유출구(112-2)에 비해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블럭킹부재(112)의 유출구(112-2)를 출수구(3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유동홈(42)이 상기 유출구(112-2)와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된다.(f)
상기와 같이, 블럭킹부재(112) 내의 유출구(112-2) 위치와 제 2 안내부재(40)의 유동홈(42)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유출구(112-2)를 출수구(34-1, 34-2)들 중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안내부재(40)를 회전시켜 유동홈(42)을 유출구(112-2)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동홈(42)이 상기 제 1 안내부재(30)의 출수구(34) 사이를 이동하는 때에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제1안내부재(30), 제2안내부재(40), 제3안내부재(60)들은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내에 상기 구성요소들을 높이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적층 배치시킬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한 구성의 급수밸브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온도센서(82, 8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구동모터(92) 및 전열부재(8, 28)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피시비 기판 또는 아이씨(IC)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발전부재(6, 26)에 포함되는 임펠러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재(6, 26)에 포함되는 임펠러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펠러에 포함되는 코일의 회전에 의해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이 발생되는데, 상기 회전수감지부는 상기 교류 전력이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주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통해 상기 발전부재(6, 26)들이 설치되는 관을 통해 유동되는 물의 유속을 계산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발전부재(6, 26)들이 설치되는 관의 직경을 통해 유동되는 물의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부(8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전부재(6, 26)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수구들(4, 24)을 통해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정전 등의 상황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전부재(6, 26)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통해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1(a) 또는 도 10(e) 및 도 11(e) 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수관(4, 24)들을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결국, 정전 등의 상황에서는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수관(4, 24)들을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력 공급 중단 상황을 외부로 알리기 위해, 상기 제어부(80)에는 부저(미도시) 또는 비상등을 연결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얼게 되는 겨울철에는 상기 온도센서(82, 82)를 통해 감지되는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0 도)가 되는 경우,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출수관(4, 24)들을 통해 적은 유량의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내부재(40)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유출유동홈(42-2, 47-2)과 상기 출수구(34, 64)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유량의 물이 유동되도록 하여 관의 밸브의 동파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에는 세탁조 내부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86)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센서(86)에는 관이 연결 설치되며, 세탁조 내부의 물이 상기 관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이에 의해 변하는 압력을 통해 세탁조 내부 물의 수위를 계측한다.
상기 구동모터(92)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서는, 홀센서와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기어(94)의 축에 저항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 시 변화되는 저항값을 검출하여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a)는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평면도이며, 9(b)는 제2안내부재(40)의 평면도이며, 도 9(c)는 제3안내부재(60)의 평면도이며, 도 9(d)는 제2안내부재(40)의 저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e)는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유동홈(42)이 회전되어 상기 제1안내부재(30)의 출수구(34-1, 34-2)들에 겹쳐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40)의 유출유동홈(42-2)이 상기 출수구들(34-1, 34-2) 중 어느 출수구와도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이 유동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2안내부재(40)가 회전되어 상기 유출유동홈(42-2)이 각 출수구(34-1, 34-2)에 겹치는 상태가 되는 경우, 겹쳐진 출수구로 냉수가 유동되며, 10(e) 상태와 같이 상기 유출유동홈(42-2)이 다시 상기 출수구들(34-1, 34-2) 중 어느 출수구와도 겹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수구(34-1, 34-2)로 물이 유동되지 않는다.
도 11(a) 내지 11(e)는 제2안내부재(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출유동홈(47-2)이 회전되어, 상기 제3안내부재(60)의 출수구(64)에 겹쳐지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한편, 도 7 과 8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부재(6, 26)에 포함되는 임펠러와 자석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구성으로서,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부재(6, 26)에 포함되는 임펠러와 자석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에 비해,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물의 유동에 의해 상기 임펠러가 보다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6: 발전부재
8: 전열부재
10: 상부하우징
20: 하부하우징
26: 발전부재
28: 전열부재
30: 제1안내부재
40: 제2안내부재
60: 제3안내부재
82, 84: 온도센서
50: 회전부재
36, 66: 패킹부재
90: 구동부재

Claims (14)

  1. 입수관과 복수 개의 출수관들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입수관과 하부출수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복수 개의 출수구가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동홈이 형성된 제2안내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제3안내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제2안내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의 출수관 또는 하부하우징의 하부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출수관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 또는 하부입수관 중의 어느 하나에는 발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안내부재와 제 2 안내부재 사이에는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블럭킹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럭킹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블럭킹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들은 각각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들은 상호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홈은 각각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의 입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입유동홈과,
    상기 유입유동홈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유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는 미리 지정된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와 제3안내부재 중의 어느 하나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의 입수구와 출수구에는 패킹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안내부재의 입수구와 출수구에는 패킹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과 하부입수관에는 전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과 하부입수관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재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79440A 2016-12-26 2016-12-26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KR10193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40A KR101934915B1 (ko) 2016-12-26 2016-12-26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40A KR101934915B1 (ko) 2016-12-26 2016-12-26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776A KR20180075776A (ko) 2018-07-05
KR101934915B1 true KR101934915B1 (ko) 2019-01-07

Family

ID=6292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440A KR101934915B1 (ko) 2016-12-26 2016-12-26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670A (zh) * 2018-12-27 2019-04-26 佛山市顺德区苏格伦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龙头净水器的转盘式切换水路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644B1 (ja) * 2003-08-06 2004-12-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洗剤槽装着型石灰軟化式硬水用洗濯機
KR101510627B1 (ko) * 2008-05-09 2015-04-10 코웨이 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644B1 (ja) * 2003-08-06 2004-12-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洗剤槽装着型石灰軟化式硬水用洗濯機
KR101510627B1 (ko) * 2008-05-09 2015-04-10 코웨이 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776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851B2 (en) Clog resistant appliance diverter valve
US20070181191A1 (en)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1039709B1 (ko) 수도밸브
CA2339671C (en) Faucet assembly having overlapping spouts for releasing filtered and unfiltered water therefrom
KR101919501B1 (ko) 세탁기용 급수밸브
KR101934915B1 (ko)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급수밸브
JP2012506015A5 (ko)
JP2013242060A (ja) 給湯装置
KR101929963B1 (ko) 세탁기용 급수밸브
EP2708178B1 (en) Diverter valve device, in particular for a washing machine, such as a dishwasher
KR101919500B1 (ko) 세탁기용 급수밸브
KR101962883B1 (ko) 세탁기용 급수밸브
WO2019071973A1 (zh) 一种可供软水设备吸盐口使用的双向流量计
KR101009486B1 (ko) 냉수 및 온수용 수전금구
KR101735468B1 (ko) 수동 또는 자동구동이 가능한 수전장치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CN112253797B (zh) 一种阀芯结构、水龙头及驱动系统
JP6340664B2 (ja) 給湯システム、検出ユニットおよびセンサ
JP2001328769A (ja) ホース巻取り装置
KR100338800B1 (ko) 수도 급수대의 누수 방지장치
JP2502673B2 (ja) 電気湯沸かし器
KR200385349Y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물 정량 감지장치
KR200342608Y1 (ko) 제빙량 제어기능을 갖는 음용수/얼음 공급장치용 급수밸브
KR200364396Y1 (ko) 유량계
CN116428386A (zh) 三通阀组件、热水器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