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881B1 -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881B1
KR101934881B1 KR1020180083406A KR20180083406A KR101934881B1 KR 101934881 B1 KR101934881 B1 KR 101934881B1 KR 1020180083406 A KR1020180083406 A KR 1020180083406A KR 20180083406 A KR20180083406 A KR 20180083406A KR 101934881 B1 KR101934881 B1 KR 10193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and
block
stone block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술조경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술조경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술조경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08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와 상기 접합모서리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외곽모서리를 갖는 경계석 블럭을 다수 개 설치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석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표시 및 터파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에 모래를 포설하는 모래포설단계; 포설된 모래 위에 경계석 블럭을 배치하는 배치단계; 배치된 경계석 블럭의 접합모서리를 접합하는 본딩단계;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경계석 블럭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부착단계; 및 모르타르 위에 흙 또는 모래를 덮어 경계석 블럭의 하부를 매설시키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ECO-FRIENDLY CURVED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4각, 6각 또는 8각 등 일정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시공하되, 경계석 블럭이 시공되는 곳에 선작업으로 곡선형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에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경계석 모서리를 접착함으로써, 어떠한 각도로든 설치가 가능하여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시공이 가능한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 또는 차도와 차도 또는 정원과 같이 별도로 활용되는 공간과 인도나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주재료로하는 콘크리트 경계석이나 합성수지를 주재료로하는 합성수지계 경계석과 화강암이나 현무암과 같은 석재를 이용한 경계석 등이 있다.
이러한 경계석들은 주고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경계석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여건이나 공간을 활용 극대화를 고려하는 등 주변 환경에 맞추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경계석의 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종래에는 곡선형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이 개발되었다.
종래 곡선형 경계석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06166호에 회전교차로용 곡선형 경계석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회전교차로용 곡선형 경계석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곡선형 경계석(10), 상기 곡선형 경계석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호 형상의 삽입홈(11), 상기 호 형상의 삽입홈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홈 내벽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엘이디 램프로부터 발열되는 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유연성, 탄력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및 복원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형성되는 PCB기판 고정구(20), 상기 PCB기판 고정구 내벽에 결합되며, 빛을 발광함으로써 도로의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엘이디 램프(31)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 고정구 내벽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띠 형태의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PCB기판(30) 및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PCB기판 고정구의 전방에 결합되는 확산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회전교차로용 곡선형 경계석은 곡선형 경계석(10) 자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 즉 곡선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곡선형 경계석(10) 다수 개를 결합하여 설치하면, 곡선 형태의 경계석 시공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 회전교차로용 곡선형 경계석은 호 형상으로 제조되는 곡선형 경계석(10)은 휘어진 정도, 즉 곡률반경이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곡선형 경계석(10)의 곡률반경은 이미 정해진 값을 갖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곡률반경의 변경 및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휘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6166호(2016.03.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4각, 6각 또는 8각 등 일정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시공하되, 경계석 블럭이 시공되는 곳에 선작업으로 곡선형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에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경계석 모서리를 접착함으로써, 어떠한 각도로든 설치가 가능하여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시공이 가능한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 블럭의 곡률반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일측과 타측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와 접합모서리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외곽모서리를 갖는 경계석 블럭을 다수 개 설치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석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표시 및 터파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에 모래를 포설하는 모래포설단계; 포설된 모래 위에 경계석 블럭을 배치하는 배치단계; 배치된 경계석 블럭의 접합모서리를 접합하는 본딩단계;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경계석 블럭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부착단계; 및 모르타르 위에 흙 또는 모래를 덮어 경계석 블럭의 하부를 매설시키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4각, 6각 또는 8각 등 일정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시공하되, 경계석 블럭이 시공되는 곳에 선작업으로 곡선형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에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경계석 모서리를 접착함으로써, 어떠한 각도로든 설치가 가능하여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시공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 블럭의 곡률반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곡선형 경계석 시공은 원통형 방부목을 주로 설치하여 내구성이 짧고, 철거 시 소각이 어려운 방부목을 처리하기 난해하여 주변에 매립 또는 투기하여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소각시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현무암 등과 같은 자연석 활용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철거 시 재활용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교차로용 곡선형 경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모래포설단계 및 중심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보조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본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점접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부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마감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통해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통해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 경계석 블럭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4각, 6각 또는 8각 등 일정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 부분을 접착하여 시공하되, 경계석 블럭이 시공되는 곳에 선작업으로 곡선형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에 경계석 블럭의 모서리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경계석 모서리를 접착함으로써, 어떠한 각도로든 설치가 가능하여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시공이 가능한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일측과 타측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와 상기 접합모서리(210)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외곽모서리(220)를 갖는 경계석 블럭(200)을 다수 개 설치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준비단계(S10), 모래포설단계(S20), 중심라인 형성단계(S21), 배치단계(S30), 본딩단계(S40), 부착단계(S50) 및 마감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후술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6각 또는 8각 등 일정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를 접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직선형 뿐만 아니라 곡선형 경계석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중심라인(111)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라인(111)을 따라 경계석 블럭(200)을 배치 후 접합함으로써, 경계석 블럭(200)이 각각 정위치에 배치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준비단계(S10)는 경계석 블럭(20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표시 및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준비단계(S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선형 또는 곡선형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위치에 터파기를 실시하여 공간(100)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100)에 경계석 블럭(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공간(100)의 깊이는 설치되는 경계석 블럭(2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하되, 상기 경계석 블럭(200)의 하측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경계석 블럭(200)의 하단에서 약 100mm 길이가 상기 공간(10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100)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모래포설단계(S20)에서 상기 공간(100)으로 모래가 포설되어 모래층(110)이 형성되고, 모래층(110) 상측에 경계석 블럭(200)이 배치되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모래층(110)의 두께를 고려하여 공간(100)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100)의 깊이는 경계석 블럭(200)의 하단 부분 약 100mm가 삽입되도록, 상기 경계석 블럭(200)의 하단 부분 약 100mm에 해당되는 깊이와 모래층(110)의 두께를 합한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공간(100)의 폭은 다양한 각을 갖는 경계석 블럭(200)의 하측 일부분이 상기 공간(10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경계석 블럭(200)의 가로측 단면에서 가장 긴 길이보다 큰 포개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모래포설단계 및 중심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래포설단계(S20)는 준비단계(S10)에서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100)에 모래를 포설하여 모래층(1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모래포설단계(S20)는 모래가 일정 높이 평평하게 포설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모래포설단계(S20)에서 공간(100)에 모래가 포설되기 전 골재가 적재될 수 있다.
이는, 지반에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거나 지반이 약한 경우 등 경계석이 시공되는 장소의 환경 여건을 고려하여 입자가 작은 모래 하측에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골재를 적재하여 기초를 강화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여건에 의해 경계석 블럭(200)이 유동되어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중심라인 형성단계(S21)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래포설단계(S20)에서 포설된 모래 상측에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중심라인(1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중심라인 형성단계(S21)는 컬러로 이루어진 액상이 공기중으로 분출되어 경화되는 과정을 통해 주변으로부터 식별이 가능한 중심라인(111)을 형성하는 단계로, 스프레이나 분무기 등과 같이 건타입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중심라인(11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모래층(110)의 상측에 상기 중심라인(111)의 굵기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건타입의 장치에 일정한 굵기로 액상이 분출되는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중심라인(111)이 형성되는 모래층(110)의 상측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에 마스킹 테이프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선작업을 통해 부착시킨 후 중심라인(1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마스킹 테이프나 비닐 등이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 중심라인(111)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킹 테이프나 비닐을 제거하면, 일정한 굵기를 갖는 중심라인(1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보조라인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중심라인 형성단계(S21)에서 형성되는 중심라인(111)은 후술되는 배치단계(S30)에서 배치되는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를 상기 중심라인(111)에 위치키신 후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에 접합되는 접합모서리(210)를 중심으로 경계석 블럭(200)이 회동될 수 있다.
이에, 접합모서리(210)가 정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중심라인(111) 이외에, 보조라인 형성단계(S22)를 통해 외곽모서리(220)가 정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보조라인(112)을 형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곡선형으로 배치 및 부착되는 과정에서 기울어지는 정도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경계석 블럭(200)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라인 형성단계(S22)는 중심라인 형성단계(S21)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심라인 형성단계(S21)는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라인 형성단계(S22)는 경계석 블럭(200)의 외곽모서리(2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라인(112)은 모래층(110) 상측에 경계석 블럭(200)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치단계(S30)는 포설된 모래층(110) 상측에 경계석 블럭(200)을 배치하는 단계로, 중심라인(111)에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배치하되,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배치되는 경우,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치단계(S30)에서 공간(100)에 배치되는 경계석 블럭(200)은 지면으로부터 약 140 ~ 160mm의 상단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공간(100)으로 하단 부분 일부분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0mm의 높이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20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경계석 블럭(200)의 하단 약 100mm는 공간(100)으로 삽입되어 모래층(110) 상측에 안착되고, 상단 약 150mm는 지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경계석 블럭(200)의 노출되는 높이는 약10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경계석 블럭(20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낮춤석으로 활용되고자 하는 곳에 활용되며, 이때, 높이가 약 200mm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200)이 사용되거나 또는 공간(100)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여 경계석 블럭(200)의 상단 약 100mm가 지면위로 노출되고 하단 약 150mm가 공간(100)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본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딩단계(S40)는 배치된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를 접합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블럭(200)의 서로 인접한 접합모서리(210)에 접착제(230)를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경계석 블럭(200)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블럭(200)이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을 동일한 과정으로 접착하여 곡선형 경계석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는 접착제(230)를 이용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접착제(230)는 에폭시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상표명이 믹스앤픽스(Mix&Dix)로 이루어진 접착제(23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점접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딩단계(S40)에서 접합이 완료된 경계석 블럭(200)은 서로간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경계석 블럭(200)이 정위치에 배치되지 못한채 접합이 완료되는 경우, 이를 보정하지 못하는 문제점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접합단계(S31)를 통해 경계석 블럭(200)이 임시적으로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후 본딩단계(S40)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점접합단계(S31)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계석 블럭(200)의 서로 인접한 접합모서리(210)를 보조접착제(240)를 이용하여 다수의 점접합이 이격된 간격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점접합단계(S31)는 경계석 블럭(200)의 서로 인접한 접합모서리(210)가 접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량의 보조접착제(240)를 이용하여 점접합을 실시한 후, 서로 인접한 접합모서리(210)의 이격된 다른 부분에 보조접착제(240)를 이용하여 점접합을 실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한 쌍의 경계석 블럭(200)이 상호간에 임시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보조접착제(240)는 본딩단계(S40)에서와 같이, 접착제(230)와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임시 결합을 위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점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접합단계(S31)를 통해 경계석 블럭(200)의 점접합이 완료되면, 점접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상호간에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 즉 중심라인(111)에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하고, 보조라인(112)에 경계석 블럭(200)의 외곽모서리(220)가 위치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본딩단계(S40)를 시행하여 완전히 접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 블럭(200)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부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착단계(S50)는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100)에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모르타르층(120)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공간(100)에 배치된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모르타르층(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층(110) 상측에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에서 마감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감단계(S60)는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100)에 흙 또는 모래를 덮어 마감층(130)을 형성함에 따라,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매설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마감단계(S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0)을 완전히 메울 수 있도록 모래나 흙이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다양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의 접합모서리(210)를 접착하여 시공하되,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되는 곳에 선작업으로 곡선형 중심라인(111)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라인(111)에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상기 접합모서리(210)를 접착함으로써, 어떠한 각도로든 설치가 가능하여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형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를 접착하여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 블럭(200)의 곡률반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감단계(S60)를 통해 시공된 경계석 블럭(200)의 하단부분을 흙 또는 모래로 덮어 마감층(130)을 형성함으로써, 지상에서 경계석 블럭(200)의 상단 일부분만 노출되도록 하여 친환경적 이미지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되는 경계석 블럭(200)은 돌이나 현무암 등과 같은 자연석 활용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다양한 각이 형성된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통해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경계석 블럭(200)의 단면이 4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b)는 경계석 블럭(200)의 단면이 6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c)는 경계석 블럭(200)의 단면이 8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4각, 6각, 8각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경계석 블럭(200)이 시공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경계석 블럭(200)의 단면이 5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중심라인(111)을 형성함에 따라, 경계석 블럭(200)이 다양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하여 접합되는 경계석 블럭(200)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직선형 뿐만 아니라 곡선형 경계석의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을 통해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 경계석 블럭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200)의 시공이 가능하며,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치단계(S30)에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20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서로 인접한 부분인 접합모서리(210) 부분을 본딩단계(S40)를 통해 접합하고 마무리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을 통해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블럭(200)도 시공이 가능하다.
이에, 경계석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의 연건이나 경계석 블럭(200)의 디자인, 즉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계석 블럭(200)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공간 110 : 모래층
111 : 중심라인 112 : 보조라인
120 : 모르타르층 130 : 마감층
200 : 경계석 블럭 210 : 접합모서리
220 : 외곽모서리 230 : 접착제
240 : 보조접착제

Claims (6)

  1. 일측과 타측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와 상기 접합모서리(210)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외곽모서리(220)를 갖는 경계석 블럭(200)을 다수 개 설치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석 블럭(20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표시 및 터파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S10);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100)에 모래를 포설하는 모래포설단계(S20);
    포설된 모래 위에 경계석 블럭(200)을 배치하는 배치단계(S30);
    배치된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를 접합하는 본딩단계(S40);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부착단계(S50); 및
    모르타르 위에 흙 또는 모래를 덮어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매설시키는 마감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래포설단계(S20)에서 포설된 모래 상측에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중심라인(111)을 형성하는 중심라인 형성단계(S21); 및
    상기 모래포설단계(S20)에서 포설된 모래 상측에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곽모서리(220)가 위치하도록 보조라인(112)을 형성하는 보조라인 형성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치단계(S30)에서 경계석 블럭(200)의 배치가 완료되면,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접하는 접합모서리(210)에 보조접착제(240)를 이용하여 점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접합단계(S3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경계석 블럭(200)의 점접합이 완료되면, 점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계석 블럭(200)의 외곽모서리(220)가 보조라인(112)에 위치되도록 상기 경계석 블럭(200)을 회동시킨 후, 본딩단계(S40)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딩단계(S40)는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이 접하는 접합모서리(210)에 접착제(230)를 이용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6.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접합모서리(210)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 후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을 설치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석 블럭(20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표시 및 터파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S10);
    터파기를 실시한 공간(100)에 모래를 포설하는 모래포설단계(S20);
    포설된 모래 위에 경계석 블럭(200)을 배치하는 배치단계(S30);
    배치된 경계석 블럭(200)의 접합모서리(210)를 접합하는 본딩단계(S40);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부착단계(S50); 및
    모르타르 위에 흙 또는 모래를 덮어 경계석 블럭(200)의 하부를 매설시키는 마감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래포설단계(S20)에서 포설된 모래 상측에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접합모서리(210)가 위치하도록 중심라인(111)을 형성하는 중심라인 형성단계(S21); 및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경계석 블럭(200) 각각에 형성된 외곽모서리가 위치하도록 보조라인(112)을 형성하는 보조라인 형성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KR1020180083406A 2018-07-18 2018-07-18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KR10193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6A KR101934881B1 (ko) 2018-07-18 2018-07-18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6A KR101934881B1 (ko) 2018-07-18 2018-07-18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881B1 true KR101934881B1 (ko) 2019-01-03

Family

ID=6502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06A KR101934881B1 (ko) 2018-07-18 2018-07-18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13B1 (ko) * 1995-10-12 2004-06-24 다이세이 로텍크 가부시키가이샤 블록포장의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13B1 (ko) * 1995-10-12 2004-06-24 다이세이 로텍크 가부시키가이샤 블록포장의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3653A1 (en) Method for installing paving blocks
JP5413676B2 (ja) 防草シートを含む防草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934881B1 (ko) 친환경 곡선형 경계석 시공방법
JPH09203007A (ja) 舗装構造
JPH07180103A (ja) 透水ブロックを用いた駐車場
US20100098489A1 (en) Preformed screed system
CN206859429U (zh) 具有可调整高度的止水墩及其止水结构
KR100698587B1 (ko) 개량형 포장체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8086489B (zh) 具有可调整高度的止水墩的止水结构及其施作方法
JPH0336561Y2 (ko)
US741932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employing a paving system using arrays of vertically interlocking paving blocks
JP2004019274A (ja) 舗装ユニット及び舗装構造
CN104452524B (zh) 防溅透水地砖
JP3759793B2 (ja) ポーチ又はテラスの構造
KR100924022B1 (ko)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JP3207872U (ja) 防草処理材
CN2206856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人行道结构
JP3003679U (ja) 合成敷石
TWM614591U (zh) 具在席偵測功能之路面停車位舖磚結構
JPS6233367B2 (ko)
JPH0892906A (ja) 化粧板
JPH11293606A (ja) 敷設面又は法面又は土留め面又は壁面用のデザインブロック
KR200358981Y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및 이에 사용되는 경사블록
JPH03270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