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44B1 -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 Google Patents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44B1
KR101934744B1 KR1020170084004A KR20170084004A KR101934744B1 KR 101934744 B1 KR101934744 B1 KR 101934744B1 KR 1020170084004 A KR1020170084004 A KR 1020170084004A KR 20170084004 A KR20170084004 A KR 20170084004A KR 101934744 B1 KR101934744 B1 KR 10193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ck
pulley
anchor
bel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충무타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충무타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충무타올
Priority to KR102017008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2Terry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타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은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연결되고 하측은 풀리(20)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의 힘으로 풀리(20)를 승강시키는 상부 벨트(10)와; 상부 벨트(10)의 하부에 상측 도르레(21)가 연결되고 하측 도르레(25)에 하부벨트(30)의 상부가 걸처지는 풀리(20)와; 일단은 앵커(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앵커(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되는 하부 벨트(30)와; 상기 하부 벨트(30)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되는 앵커(40)와; 구조물에 고정된 횡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110)에 경사 방향(종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는 헤크(heck)(120)들과, 상기 헤크(heck)(12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앵커 지지대(150),로 구성되는 헤크장치(100)와; 상단이 상기 하부 벨트(30)의 타단에 결합하고 하부에 경사(그라운드사 또는 파일사)가 통과하는 종사 고리(50a)이 형성되어 경사를 상하 이동시켜서 경사들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종사(50, Harness);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경사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 Adjustable Heck Towel Weaving System }
본 발명은 개구 형성을 위한 상항 운동시에 인접하는 그라운드사와 파일사, 또는 파일사 간의 부딪힘에 의한 마찰 방지를 위하여 인접하는 원사들이 서로 다른 각도로 위치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63529호 : 복합 섬유의 제직장치는 섬유 또는 복합 섬유를 직조하는 직조유닛; 상기 직조유닛으로 섬유 또는 복합 섬유를 직접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직조유닛으로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섬유 또는 복합 섬유를 공급하는 장력유지유닛; 및 상기 직조유닛에서 직조된 직물을 보관하는 보관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력유지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섬유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섬유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운동하는 운동부재와, 상기 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운동부재의 운동을 제어하여 섬유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섬유의 제직장치를 게시한다.
본 발명은 개구 형성을 위한 상항 운동시에 인접하는 그라운드사와 파일사, 또는 파일사 간의 부딪힘에 의한 마찰 방지를 위하여 인접하는 원사들이 서로 다른 각도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는, 상측은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연결되고 하측은 풀리(20)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의 힘으로 풀리(20)를 승강시키는 상부 벨트(10)와;
상부 벨트(10)의 하부에 상측 도르레(21)가 연결되고 하측 도르레(25)에 하부벨트(30)의 상부가 걸처지는 풀리(20)와;
일단은 앵커(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앵커(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되는 하부 벨트(30)와;
상기 하부 벨트(30)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되는 앵커(40)와;
구조물에 고정된 횡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110)에 경사 방향(종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는 헤크(heck)(120)들과, 상기 헤크(heck)(12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앵커 지지대(150),로 구성되는 헤크장치(100)와;
상단이 상기 하부 벨트(30)의 타단에 결합하고 하부에 경사(그라운드사 또는 파일사)가 통과하는 종사 고리(50a)이 형성되어 경사를 상하 이동시켜서 경사들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종사(50, Harness);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경사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개구 형성을 위한 상항 운동시에 인접하는 그라운드사와 파일사, 또는 파일사 간의 부딪힘에 의한 마찰 방지를 위하여 인접하는 경사들이 서로 다른 각도(기울어진 정도가 다르게)로 위치되게 인장되어 펼쳐진 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전 수평상태).
도 2a는 본 발명의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후 - 상승 사이클).
도 2b는 본 발명의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후 - 하강 사이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풀리 상세도.
도 5a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헤크, 풀리, 및 벨트 상세도(헤크 수평상태).
도 5b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헤크, 풀리, 및 벨트 상세도(헤크 경사 기울임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로 제작시 효과를 보이는 도면(좌: 종래 제직 장치, 우 : 본 발명 제직 장치)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허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전 수평상태), 도 2a는 본 발명의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후 - 상승 사이클), 도 2b는 본 발명의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전체 구성도(개구 형성 후 - 하강 사이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풀리 상세도, 도 5a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헤크, 풀리, 및 벨트 상세도(헤크 수평상태), 도 5b는 본 발명의 타올 제직 장치 중 헤크, 풀리, 및 벨트 상세도(헤크 경사 기울임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로 제작시 효과를 보이는 도면(좌: 종래 제직 장치, 우 : 본 발명 제직 장치)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는 상부 벨트(10)와 풀리(20)와 하부 벨트(30)와 앵커(40)와 헤크장치(100)와 종사(50, Harnes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벨트(10)의 상측은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연결되고 상부 벨트(10)의 하측은 풀리(20)에 연결되고 상부 벨트(10)는 솔레노이드의 힘으로 풀리(20)를 승강시킨다. 상부 벨트(10)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풀리(20)는 상부 벨트(10)의 하부에 상측 도르레(21)가 연결되고 하측 도르레(25)에 하부벨트(30)의 상부가 걸처진다. 풀리(20)는 플라스틱 몸체를 가지면 그 안에 상측 도르레(21)가 형성되고 아래에 하측 도르레(25)가 형성된다.
하부 벨트(30)의 일단은 앵커(40)에 고정되고 하부 벨트(30)의 타단(타측)은 상기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앵커(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된다. 하부 벨트(30)의 타단은 앵커(40)에 고정된다. 앵커(40)는 하부 벨트(30)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된다.
헤크 장치(100)는 구조물에 고정된 횡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110)에 경사 방향(종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는 헤크(heck)(120)들과, 상기 헤크(heck)(12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앵커 지지대(150)로 구성된다. 헤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후에 상술한다.
종사(50, Harness)는 상단이 상기 하부 벨트(30)의 타단에 결합하고 하부에 경사(그라운드사 또는 파일사)가 통과하는 구멍(고리, )이 형성되어 경사를 상하 이동시켜서 경사들 사이에 개구를 형성한다.
도 1, 도 2, 도 4, 도 5,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경사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는 각도 조절 수단(130)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수단(130)은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 중 한지점 또는 횡방향 프레임(110)에 고정된 브라켓(131)과 상기 브라켓(131)과 나선 결합하여 상하 운동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의 중심선 대비 기울기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1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지면 또는 개구 형성전 중심선과 이루는 경사각은 0.01°~ 5° 범위인 것이 연사와 같이 부딪힘이 심하고 벌키한 원사 타올 제직시 도 6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벨트(30)의 일단은 하측 도르레(25)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앵커(40)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40)는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된다. 하부 벨트(30)의 타단은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헤크(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되어 종사 고리(50a)에 결합하여 헤크와 종사 고리 사이에 한줄(30b)이 존재하게 된다. 도 5b와 같이, 하부 벨트(30)는 하측 도르레와 앵커 사이에 두줄(30a) 존재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가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인접하는 종사 고리(50a)들 중심을 연결하는 고리 중심선 반대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를 이용하여 제직하였을 때 효과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a의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한 것인데, 경사 간 기울임 없이 제직하였을때 벌키한 연사의 경우 인접하는 파일사가 그라운드 사에 접촉하여 군데 군데 하얀색 점들이 발생하는 품질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헤크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경사들의 펼침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부딤힘을 방지하였을 때 도 6와같이 선명한 무늬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도 2a 같이, 적색 G사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상 이라 표시된 부분) 배열되고, 아래에서 청색 P사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하 라 표시된 부분) 배열되어 인접하는 경사(G사, P사)끼리 부딪힘이 줄어드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헥크가 경사진 상태에서 도 5a, 도 5b의 상하 사이클을 반복하여 개구 형성 작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상부 벨트
20 : 풀리
30 : 하부 벨트
40 : 앵커
50 : 종사
100 : 헤크장치
120 : 헤크
121 : 그라운드사용 헤크
125 : 파일사용 헤크
130 : 각도 조절 수단

Claims (4)

  1. 타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측은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연결되고 하측은 풀리(20)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의 힘으로 풀리(20)를 승강시키는 상부 벨트(10)와;
    상부 벨트(10)의 하부에 상측 도르레(21)가 연결되고 하측 도르레(25)에 하부벨트(30)의 상부가 걸처지는 풀리(20)와;
    일단은 앵커(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앵커(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되는 하부 벨트(30)와;
    상기 하부 벨트(30)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되는 앵커(40)와;
    구조물에 고정된 횡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횡방향 프레임(110)에 경사 방향(종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배치되는 헤크(heck)(120)들과, 상기 헤크(heck)(12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앵커 지지대(150),로 구성되는 헤크장치(100)와;
    상단이 상기 하부 벨트(30)의 타단에 결합하고 하부에 경사(그라운드사 또는 파일사)가 통과하는 종사 고리(50a)이 형성되어 경사를 상하 이동시켜서 경사들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종사(50, Harness);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경사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크(heck)(120)는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는 각도 조절 수단(130)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 수단(130)은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 중 한지점 또는 횡방향 프레임(110)에 고정된 브라켓(131)과 상기 브라켓(131)과 나선 결합하여 상하 운동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의 중심선 대비 기울기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와 파일사용 헤크(125)가 지면 또는 개구 형성전 중심선과 이루는 경사각은 0.01°~ 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벨트(30)의 일단은 하측 도르레(25)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앵커(40)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40)는 헤크장치(100)앵커 지지대(150)에 클릭 방식으로 부착되고,

    하부 벨트(30)의 타단은 하측 도르레(25)를 경유하여 헤크(40)보다 아래로 하향 연장되어 종사 고리(50a)에 결합하고[헤크와 종사 고리 사이에 한줄 존재, 30b],

    상기 그라운드(Ground)사용 헤크(121)가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인접하는 종사 고리(50a)들 중심을 연결하는 고리 중심선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KR1020170084004A 2017-07-03 2017-07-03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KR10193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04A KR101934744B1 (ko) 2017-07-03 2017-07-03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04A KR101934744B1 (ko) 2017-07-03 2017-07-03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44B1 true KR101934744B1 (ko) 2019-01-03

Family

ID=6502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004A KR101934744B1 (ko) 2017-07-03 2017-07-03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75B1 (ko) 2006-04-12 2007-05-02 고주현 자카드 제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직물제직방법
KR100925014B1 (ko) 2007-06-08 2009-11-11 김평수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75B1 (ko) 2006-04-12 2007-05-02 고주현 자카드 제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직물제직방법
KR100925014B1 (ko) 2007-06-08 2009-11-11 김평수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0055A (zh) 带有用于形成附加纬面花纹的装置的织机
KR101934744B1 (ko) 인접 사 간의 마찰 방지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헤크를 갖는 타올 제직 장치
KR101941122B1 (ko)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KR101960640B1 (ko)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KR101663923B1 (ko)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JP2007050041A (ja) 偏平縫いミシン
KR101188793B1 (ko) 경편기의 원사 공급장치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US10508366B2 (en) Jacquard machine, face-to-face weaving machine comprising at least one jacquard machine, and method of setting up a jacquard machine
CN212223236U (zh) 一种调节织带机经纱的张力装置
KR102073025B1 (ko)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CN210506662U (zh) 一种整经机
KR910002113B1 (ko) 원형 직기
US20080052885A1 (en) Circular Expander for Treating Tubular Fabric
CN106120115A (zh) 一种可改变织口位置的织样机及其织造方法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KR101623802B1 (ko) 필름직물 제직기용 필름위사 공급장치
KR200250773Y1 (ko) 벨벳직물 제직을 겸한 파일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KR200181868Y1 (ko) 카페트 파일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직하기 위한 장치
KR101913663B1 (ko)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하부경사 복귀장치
CN211595909U (zh) 罗织机的弹性下垂结构
KR101179337B1 (ko) 원형직기의 경사용 보빈 거치대
CN209652522U (zh) 一种喷水织机钢扣专用支架
KR100987109B1 (ko) 압력식 바디 탈착 시스템을 구비한 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