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373B1 - 약병 접속 소켓 - Google Patents

약병 접속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373B1
KR101934373B1 KR1020160116926A KR20160116926A KR101934373B1 KR 101934373 B1 KR101934373 B1 KR 101934373B1 KR 1020160116926 A KR1020160116926 A KR 1020160116926A KR 20160116926 A KR20160116926 A KR 20160116926A KR 101934373 B1 KR101934373 B1 KR 10193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port
connection
main body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295A (ko
Inventor
김동신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3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5Venting means for external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백의 포트에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되, 크기가 일정한 약병마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함으로써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액 백의 포트에 접속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병 접속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단부가 수액 백(400)의 포트(4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약병(300)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포트 결합부(110)에 비해 큰 직경의 약병 결합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약병 결합부(120)보다는 작고 상기 포트 결합부(110)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130)에 의해 상기 포트 결합부(110)와 약병 결합부(120)가 연결된 본체(100)와; 상기 약병(300)의 약병마개(310)가 수용되고 상기 약병(300)과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병 접속 소켓{Connecting Socket for Medicine Bottle}
본 발명은, 수액 백의 포트에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병 접속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기가 일정한 약병마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함으로써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액 백의 포트에 접속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병 접속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안전 소켓은, 밀폐 캡으로 밀봉한 수액 백의 포트의 입구 부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포트 연결체와 약병의 입구 부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약병 연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 포트 연결체는, 개구가 형성된 평면부와, 액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내부 통로가 상기 개구에 연결되는 형태로 평면부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한 천공 바늘과, 천공 바늘보다 높은 높이로 천공 바늘의 주위를 둘러싸며 제 1 탄성 스토퍼와 제 2 탄성 스토퍼를 각각 다른 높이 위치에 형성한 둘레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약병 연결체는, 액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포트 연결체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포트 연결체의 평면부에 밀착되어 일체로 융착하는 평판부와, 액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에 내부 통로가 연결되는 형태로 평판부 상에 돌출하도록 형성한 천공 바늘과, 이 천공 바늘보다 높은 높이로 천공 바늘의 주위를 둘러쌈과 아울러 탄성 스토퍼를 형성한 둘레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공 바늘보다 높이가 높은 둘레벽으로 천공 바늘 주변이 둘러싸이므로, 주사액 제조시에 간호사 등이 천공 바늘에 찔릴 염려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 약병 연결체에 약병을 끼우고 나서는 여간해서 약병을 분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약화 사고 발생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진의 주의를 환기시켜, 실수나 부주의에 의한 약화 사고를 오히려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 주사액 제조시, 포트의 입구 부분을 막고 있는 밀폐 캡과 약병의 입구 부분을 막고 있는 마개가 각각의 천공 바늘에 의해 동시에 뚫리므로 사용하기 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전소켓은 약병 연결체에 약병의 상단 부분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어 약병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수액에 혼합되는 약액이 담긴 약병의 크기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안전 소켓을 준비해야 함은 물론 안전 소켓이 포함된 수액제품의 포장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79144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크기가 일정한 약병마개의 특징을 이용하여 수액 백에 연결되는 약병에 구비된 약병마개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 고정함으로써 약병의 크기와 무관하게 수액 백의 포트와 약병을 접속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약병 접속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단부가 수액 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약병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포트 결합부에 비해 큰 직경의 약병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병 결합부보다는 작고 상기 포트 결합부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포트 결합부와 약병 결합부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약병의 약병마개가 수용되고 상기 약병과 수액 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포트 결합부는 수액 백의 포트마개가 걸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포트마개를 지지하는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절개부를 하나 이상 구비함과 아울러 상단 부분이 상기 연결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접속 유닛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접속 유닛을 고정하도록 그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흔들림 방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접속 유닛은 약병에 결합된 약병마개가 삽입되는 약병마개 결합부와, 상기 포트 결합부의 상단 부분이 삽입되는 수용부와, 약병과 수액 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결합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약병마개 결합부와 수용부를 구획하는 분리벽과,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벽에 부착되는 곡선 형상의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약병마개 결합부는 약병마개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약병마개를 지지하는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가 형성된 절개부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밀착부의 하단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연결부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에 삽입되는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걸림유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 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와 끼움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수직 방향의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과 포트 결합부의 외벽 사이에 포트 결합부를 지지하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은 수액 백의 포트와 약병을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접속함은 물론 약병 전체를 고정하지 않고 접속 유닛을 이용하여 약병마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구조로서 약병의 크기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본체의 포트 결합부에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수액 백의 포트가 포트 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은 물론 포트 결합부의 상단 부분이 연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포트 결합부 및 수액 백의 포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며, 본체의 연결부 내측면에 흔들림 방지 리브가 형성되어 접속 유닛의 외측면에 밀착되므로 약병마개가 결합되는 접속 유닛이 안정적으로 지지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접속 유닛에 양방향 천공 니들이 결합되어 약병마개와 포트마개를 관통함으로써 약병과 수액 백의 포트를 연통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접속 유닛의 외측면에 곡선 형상의 밀착부가 구비되어 연결부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접속 유닛이 안정적으로 지지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접속 유닛의 약병마개 결합부에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의 약병 결합부에 결합된 약병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연결부에 형성된 걸림 구멍을 접속 유닛의 끼움부가 관통한 후 연결부의 걸림유지돌기에 걸림돌기가 결합됨에 따라 본체에 결합된 접속 유닛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연결부의 내측면에 쌍으로 이루어진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밀착부와 끼움부를 안내하게 되므로 접속 유닛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따르면, 포트 결합부의 외측에 보강부가 형성됨에 따라 포트 결합부의 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약병 접속 소켓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의 단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본체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본체의 외부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본체의 내부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접속 유닛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이 수액 백의 포트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다양한 크기의 약병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약병 접속 소켓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수액 백(400)의 포트(4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약병(300)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포트 결합부(110)에 비해 큰 직경의 약병 결합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약병 결합부(120)보다는 작고 상기 포트 결합부(110)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130)에 의해 상기 포트 결합부(110)와 약병 결합부(120)가 연결된 본체(100)와; 상기 약병(300)의 약병마개(310)가 수용되고 상기 약병(300)과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도시 생략)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포트 결합부(110)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기 포트 결합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13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130)의 직경보다 큰 확대된 약병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 결합부(110)는 수액 백(400)의 포트마개(410)가 걸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포트마개(410)를 지지하는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111)가 형성된 절개부(112)를 하나 이상 구비함과 아울러 상단 부분이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연결부(130)는 접속 유닛(2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접속 유닛(200)을 고정하도록 그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 개의 흔들림 방지 리브(131)를 구비한다.
또, 상기 접속 유닛(200)은 약병(200)에 결합된 약병마개(310)가 삽입되는 약병마개 결합부(210)와, 상기 포트 결합부(110)의 상단 부분이 삽입되는 수용부(220)와, 약병(300)과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도시 생략)이 결합되는 구멍(235)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약병마개 결합부(210)와 수용부(220)를 구획하는 분리벽(230)과,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벽에 부착되는 곡선 형상의 밀착부(240)와,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130)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132)에 삽입되도록 상기 밀착부(240)의 하단에 연결 형성되는 끼움부(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130)의 하단 외측 둘레에 걸림유지돌기(1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245)의 하단에 바깥쪽을 향하여 걸림돌기(2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246)가 상기 걸림유지돌기(135)와 결합되어 상기 접속 유닛(200)이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약병마개 결합부(210)는 약병마개(3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약병마개(310)를 지지하는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215)가 형성된 절개부(216)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240)와 끼움부(245)는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수직 방향의 안내돌기(134)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돌기(134)는 상기 밀착부(240)와 끼움부(245)를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접속 유닛(200)이 상기 연결부(13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흔들림 방지 리브(131)와 함께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의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132)과 포트 결합부(110)의 외벽 사이에 포트 결합부(110)를 지지하는 보강부(115)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포트 결합부(100)의 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약병 접속 소켓은 약병과 수액 백의 포트를 안전하게 접속함과 아울러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접속 소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연결부(130) 내측으로 접속 유닛(200)을 삽입하여 상기 본체(100)와 접속 유닛(200)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접속 유닛(200)의 밀착부(240)가 상기 연결부(130)에 형성된 안내돌기(134)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접속 유닛(200)을 본체(100)의 연결부(130)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밀착부(240)가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 리브(131)와 안내돌기(134)가 상기 접속 유닛(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 유닛(200)이 본체(100)의 연결부(130)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접속 유닛(200)의 중간판(230)이 상기 본체(100)의 포트 결합부(110) 상단에 접촉될 때까지 완전히 밀어 넣으면, 상기 접속 유닛(200)의 밀착부(240)에 연장 형성된 끼움부(245)가 상기 연결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구멍(132)에 삽입되고, 상기 끼움부(245)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46)가 상기 연결부(130)에 형성된 걸림유지돌기(13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 유닛(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접속 유닛(200)이 본체(100)에 결합되면, 양단에 안전마개가 결합된 양방향 천공 니들을 준비하여 일측의 안전마개를 분리한 후, 안전마개가 분리된 부분을 상기 중간판(230)의 구멍(235)으로 삽입하고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을 중간판(230)에 고정한다. 물론, 상기 중간판(230)을 통과한 양방향 천공 니들의 단부에 앞서 분리된 안전마개를 결합시킴으로써 양방향 천공 니들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어, 수액 백(400)의 수액과 약병(300)의 약액을 혼합하기 위하여 접속 소켓에 수액 백(400)의 포트(410) 및 약병(30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속 소켓을 구성하는 본체(100)의 포트 결합부(110)에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의 포트 결합부측 안전마개를 분리한 후에 상기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상기 본체(100)의 포트 결합부(110)에 삽입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포트(410)의 포트마개(415)가 상기 포트 결합부(110)의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111)를 통과할 때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111)에 의해 포트마개(415)가 지지되어 상기 수액 백(400)의 포트(410)가 포트 결합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의 일측 단부가 상기 포트마개(415)를 관통하게 된다.
이어,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의 안전마개를 분리하고, 상기 본체(100)의 약병 결합부(120)에 약병(300)의 상단 부분을 밀어넣음으로써 약병마개(310)가 상기 접속 유닛(200)의 약병마개 결합부(2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약병마개(310)가 접속 유닛(200)의 약병마개 결합부(210)에 형성된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215)를 통과할 때까지 상기 약병(300)을 밀어넣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약병(300)은 상단 일부만 상기 본체(100)의 약병 결합부(120)에 삽입되고, 상기 약병마개(310)는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215)에 의해 지지되어 약병(300)이 상기 본체(100) 및 접속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이 약병마개(31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수액 백(400)의 포트(410)와 약병(300)을 연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병(300)의 약액이 양방향 천공 니들을 통해 수액 백(400)의 포트(410)로 유입됨으로써 수액 백(400)의 내부에서 약액과 수액이 혼합된다.
이상에서는 본체(100)와 접속 유닛(200)을 완전히 결합시킨 약병 접속 소켓에 수액 백(400)의 포트(410)와 약병(3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체(100)에 접속 유닛(200)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먼저 결합시킨 후 약병(300)을 나중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약병(300)의 결합에 따라 상기 본체(100)와 접속 유닛(200)을 완전히 결합됨은 물론 양방향 천공니들이 상기 포트마개(415)와 약병마개(310)를 동시에 관통하여 수액 백(400)의 포트(410)와 약병(300)이 연통시키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접속 유닛(200)을 결합시키되 상기 접속 유닛(200)의 끼움부(240)가 본체(100)의 연결부(130)에 형성된 걸림 구멍(132)을 통과하지 않을 정도로 가조립한 후, 양단의 안전마개가 모두 제거된 양방향 천공니들을 상기 접속 유닛(200)의 분리벽(230)에 형성된 구멍(235)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어, 상기 본체(100)의 포트 연결부(110)에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포트(410)는 포트 연결부(110)에 형성된 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111)에 포트마개(415)가 지지될 때까지 삽입하여 포트(41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접속 유닛(200)이 본체(100)에 가조립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본체(100)의 포트 연결부(110)에 완전히 결합시키더라도 상기 양방향 천공 니들이 포트마개(415)를 관통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접속 유닛(200)의 약병마개 결합부(210)에 약병마개(310)를 삽입하고 본체(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약병(300)을 밀게 되면, 상기 접속 유닛(200)이 전진하여 상기 끼움부(245)가 걸림 구멍(132)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246)가 걸림유지돌기(13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 유닛(200)이 본체(100)에 완전히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약병마개(310)가 접속 유닛(200)의 약병마개 결합부(210)에 형성된 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215)에 의해 지지되어 약병(30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양방향 천공니들이 상기 포트마개(415)와 약병마개(310)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수액 백(400)의 포트(415)와 약병(300)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병(300)의 약액이 양방향 천공니들을 통해 수액 백(400)의 포트(410)로 유입되고, 수액 백(400)의 내부에서 약액과 수액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약병(300)의 크기에 관계없이 약병마개(310)의 크기가 일정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병(300)의 상단 일부가 본체(100)의 약병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만 있다면 약병(300)의 크기에 관계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유닛(200)에 형성된 분리벽(230)에 구멍(235)을 형성하여 양방향 천공니들을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접속 유닛(200)을 사출 성형할 때 양방향 천공니들을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방향 천공니들의 양측 단부에 각각 안전마개를 결합시킴으로써 취급 도중 양방향 천공노즐의 날카로운 끝 부분에 찔리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
110...포트 결합부
111...포트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
112...절개부
115...보강부
120...약병 결합부
130...연결부
131...흔들림 방지 리브
132...걸림 구멍
134...안내돌기
135...걸림유지돌기
200...접속 유닛
210...약병마개 결합부
215...약병 이탈 방지용 걸림돌기
216...절개부
220...수용부
230...분리벽
235...구멍
240...밀착부
245...끼움부
246...걸림돌기
300...약병
310...약병마개
400...수액 백
410...포트
415...포트마개

Claims (8)

  1. 일측 단부가 수액 백(400)의 포트(4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약병이 결합될 수 있게 된 본체(100);와
    상기 약병(300)의 약병마개(310)가 수용되고 상기 약병(300)과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유닛(200)은 약병(200)에 결합된 약병마개(310)가 삽입되는 약병마개 결합부(210)와, 상기 포트 결합부(110)의 상단 부분이 삽입되는 수용부(220)와, 약병(300)과 수액 백(400)의 포트(410)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결합되는 구멍(235)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약병마개 결합부(210)와 수용부(220)를 구획하는 분리벽(230)과,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벽에 부착되는 곡선 형상의 밀착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240)는 상기 연결부(13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수직 방향의 안내돌기(134)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 약병 접속 소켓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포트 결합부(110)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기 포트 결합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13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130)의 직경보다 큰 확대된 약병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30)는 접속 유닛(2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접속 유닛(200)을 고정하도록 그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흔들림 방지 리브(13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130)의 하단 외측 둘레에 걸림유지돌기(1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245)의 하단에 바깥쪽을 향하여 걸림돌기(2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246)가 상기 걸림유지돌기(135)와 결합되어 상기 접속 유닛(200)이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접속 소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의 하단면에 형성된 걸림 구멍(132)과 포트 결합부(110)의 외벽 사이에 포트 결합부(110)를 지지하는 보강부(11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접속 소켓.
KR1020160116926A 2016-09-12 2016-09-12 약병 접속 소켓 KR10193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26A KR101934373B1 (ko) 2016-09-12 2016-09-12 약병 접속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26A KR101934373B1 (ko) 2016-09-12 2016-09-12 약병 접속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95A KR20180029295A (ko) 2018-03-21
KR101934373B1 true KR101934373B1 (ko) 2019-01-02

Family

ID=6190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26A KR101934373B1 (ko) 2016-09-12 2016-09-12 약병 접속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089A (ko) *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797B1 (ko) 2019-08-30 2021-10-01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KR102510413B1 (ko) 2020-09-09 2023-03-17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제 혼합용 키트
KR102510416B1 (ko) 2020-09-09 2023-03-1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KR102555112B1 (ko) 2021-03-11 2023-07-14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KR102597395B1 (ko) 2021-08-13 2023-11-03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1763A (ja) * 2014-05-02 2015-11-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1763A (ja) * 2014-05-02 2015-11-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089A (ko) *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102245535B1 (ko) * 2019-04-29 2021-04-28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95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373B1 (ko) 약병 접속 소켓
JP6371369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システム
ES2780857T3 (es) Aparato de conexión para un dispositivo médico
JP5888606B2 (ja) 薬剤調製器具
US8721614B2 (en) Connector assembly
WO2017022741A1 (ja) オスコネクタ用アダプタ及びアダプタ付きオスコネクタ
PT1507502E (pt) Conector para embalagens contendo fluidos medicinais e embalagem para fluidos medicinais
JP5802220B2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容器用のクロージャーキャップ、及び容器
EA033927B1 (ru)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ед, имеющее адаптер, застопориваемый без возможности разъединения
US11278674B2 (en) Sealed medication dispensing and administering device
JPWO2007032352A1 (ja) セーフティシリンジ
KR102307797B1 (ko) 약병접속소켓
KR101639328B1 (ko) 약병 교체 방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접속구 및 이 접속구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1657150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1639329B1 (ko)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1646998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2245535B1 (ko)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11000395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KR101640159B1 (ko) 일체형 주사 키트
JP6741209B2 (ja) フィルタ組立品
CN108126256A (zh) 内置有药瓶功能的注射药瓶的输液器
US10736818B2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EP2874594B1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KR102510413B1 (ko) 약제 혼합용 키트
KR102597395B1 (ko)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