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84B1 -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 Google Patents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84B1
KR101934284B1 KR1020160071018A KR20160071018A KR101934284B1 KR 101934284 B1 KR101934284 B1 KR 101934284B1 KR 1020160071018 A KR1020160071018 A KR 1020160071018A KR 20160071018 A KR20160071018 A KR 20160071018A KR 101934284 B1 KR101934284 B1 KR 10193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deck
plate portion
deck panels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773A (ko
Inventor
백현기
Original Assignee
(주)세양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양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세양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6007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84B1/ko
Priority to PCT/KR2017/004942 priority patent/WO2017213354A1/ko
Publication of KR2017013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8Paving take-off areas for vertically starting aircraf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패널은,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구비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암수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일부에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DECK PANEL AND HELIPOR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접한 데크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리포트(heliport)는 헬리콥터(약칭으로 "헬기"라고도 함)의 발착(즉, 착륙과 이륙)을 위한 비행장을 말하는 것으로, 헬리콥터는 항상 수직으로만 이착륙하는 것이 아니라 기체(機體)의 무게나 기온, 기압 등의 관계로 짧은 거리를 활주하면서 이륙할 때도 있고, 일단 이륙한 후에도 전진을 하면서 고도를 취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활주로나 착륙면(着陸面) 및 진입표면(進入表面)은 필요하게 됨에 따라 헬리콥터가 들어갈 수 있을 만한 넓이의 공터만으로는 헬리포트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헬리콥터가 비교적 많이 보급된 선진국에서도 완비된 헬리포트의 수는 많지 않다.
민간용의 헬리포트는 관계법규에 의하여 활주로의 길이나 착륙대(着陸帶)의 넓이 등에 따라 몇 개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등급에 따른 면적이나 시설 등이 규제되고 있는데, 그것은 헬리콥터의 성능이나, 만일의 경우 엔진 및 기타의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비행 중이나 출발 직후에 엔진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자유 회전 낙하(오토 로테이션)하여 불시착할 수 있을 만한 공터(대체비행장)의 설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헬리콥터의 선진국인 미국이나 영국에서도 가급적 도심지를 피해서 하천이나 넓은 도로의 연변에 헬리포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헬리포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헬리포트에 대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07년 10월 25일에 출원된 KR2007-0107635에는 '헬리포트 자동 수평조절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결합부가 구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여 인접한 데크 패널에 대하여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는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전체 해체의 요구 없이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특정 데크 패널만 분리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어, 시공 오차가 감소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패널은,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구비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암수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일부에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요소; 및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절곡 요소에 연결되는 삽입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요소의 단면은 상기 상판부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개방 요소는 상기 절곡 요소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요소 내에서 상기 삽입 요소의 회전이 허용되고, 상기 개방 요소는 상기 삽입 요소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요소로부터 상기 삽입 요소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삽입 요소의 단면적은 상기 개방 요소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동심축을 향하여 증가되고, 상기 동심축으로부터 상기 수용 요소의 내측을 향하여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는, 상판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및 상기 상판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을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일부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상판부 하단에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 결합부, 지지부 및 히터 장착부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된 물받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상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에 의하면, 결합부가 구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여 인접한 데크 패널에 대하여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에 의하면, 전체 해체의 요구 없이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특정 데크 패널만 분리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에 의하면,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어, 시공 오차가 감소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상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데크 패널이 인접한 데크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서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상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데크 패널이 인접한 데크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여,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10)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 및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의 조립 또는 결합에 의해 헬리데크(10)가 옥상 위 또는 지면 상에서 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헬리데크를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경량화되어 시공이 보다 용이할 수 있으며, 헬리데크(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적은 부하가 걸리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x축은 데크 패널(100)의 측방향 또는 폭방향을 의미하며, y축은 데크 패널(100)의 전후방 또는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z축은 데크 패널(100)의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의 결합 또는 분리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된다.
한편,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에는 히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에 장착되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을 가열시킴으로써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 내 존재하는 습기 또는 수분 등을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의 길이방향, 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열선으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데크 패널(100)은 상판부(110), 결합부(120), 지지부(130), 히터 장착부(140) 및 물받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판부(110), 결합부(120), 지지부(130), 히터 장착부(140) 및 물받이부(1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각각의 데크 패널(100)이 모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0)에는 헬리콥터(미도시)가 이륙 또는 착륙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상판부(110) 상에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부(110)는 임의의 폭 및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판부(110)의 폭은 x축 방향으로 상판부(110)의 양측면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고, 상판부(110)의 길이는 y축 방향으로 상판부(110)의 전단 및 후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하고자 하는 헬리데크(10)의 규모에 따라서 상판부(110)의 폭 및 길이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판부(110)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판부(110)와 상판부(110) 상에 배치된 다른 대상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판부(110) 상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판부(110)의 양측면에는 결합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제1 결합 부재(122) 및 제2 결합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결합 부재(122)가 상판부(110)의 좌측(일측)에 연결되고, 제2 결합 부재(124)가 상판부(110)의 우측(타측)에 연결되며, 제1 결합 부재(122) 및 제2 결합 부재(124)가 암수 결합하게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부재(122)는 절곡 요소(1222) 및 삽입 요소(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요소(1222)는 상판부(1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부(110)의 좌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절곡 요소(1222)의 일단은 상판부(110)의 좌측에 연결되고 절곡 요소(1222)의 타단은 삽입 요소(12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상판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z축 방향으로 상판부(110)의 좌측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 요소(1222)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판부(110)의 좌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 요소(1222)의 일단의 단면적이 절곡 요소(1222)의 타단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 요소(1222)의 타단에는 삽입 요소(122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절곡 요소(1222) 및 삽입 요소(1224)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삽입 요소(1224)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요소(1224)의 단면적은 절곡 요소(122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고, 제1 중심점(O)을 지나면서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심점(O)을 데크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을 제1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부재(124)는 수용 요소(1242) 및 개방 요소(1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요소(1242)는 삽입 요소(1222)가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 요소(1242)에는 인접한 데크 패널(100)에 구비된 삽입 요소(1222)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요소(1242)는 상판부(110)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삽입 요소(12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1242)의 일부는 삽입 요소(1222)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1242)의 다른 일부는 삽입 요소(1222)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 요소(1242) 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은 삽입 요소(12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용 요소(1242) 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제2 중심점(O')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점(O')을 데크 패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을 제2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삽입 요소(1224)에 대하여 제1 중심점(O) 또는 제1 중심축이 정의될 수 있으며, 수용 요소(1242)에 대하여 제2 중심점(O') 또는 제2 중심축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데크 패널(100)에서 제1 중심점(O) 및 제2 중심점(O')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 패널(10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중심점(O)과 제2 중심점(O'), 그리고 제1 중심축과 제2 중심축이 서로 일치할 수 있으며, 이를 동심점 또는 동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삽입 요소(1222)의 직경은 수용 요소(124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용 요소(1242) 및 삽입 요소(1222)의 결합 또는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며, 수용 요소(1242) 내에 삽입 요소(12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동심점 또는 동심축을 중심으로 원활한 상대 회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용 요소(1242)의 일측에는 개방 요소(12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 요소(1244)는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제1 결합 부재(122)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 요소(1244)에는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절곡 요소(1222)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개방 요소(1244)의 크기는 절곡 요소(1222)의 단면보다 크고 개방 요소(1244)에 인접하게 배치된 삽입 요소(1224)의 단면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방 요소(1244)를 통해 삽입 요소(1224)가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용 요소(1242)의 내부 공간에는 삽입 요소(1224)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 요소(1244)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개방 요소(1244)를 통해 삽입 요소(1224)가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접한 데크 패널(100) 사이의 상대 회전이 허용되게 한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삽입 요소(1224)의 단면적 크기 변화를 개방 요소(1244)에 대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삽입 요소(1224)의 단면적은 개방 요소(1244)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제2 중심점(O') 또는 제2 중심축을 향하여 증가되고, 상기 제2 중심점(O') 또는 제2 중심축으로부터 수용 요소(1242)의 내측을 향하여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결합부(120)의 구조에 의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이 결합부(12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데크 패널(100)의 삽입 요소(1224)는 수용 요소(124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한 데크 패널(100)의 절곡 요소(1222)는 개방 요소(124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 요소(1224) 및 수용 요소(1242)는 서로 동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한 데크 패널(100)의 절곡 요소(1222)는 개방 요소(1244) 내 하단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요소(1244)의 크기가 절곡 요소(1222)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상판부(110)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회전 허용 공간(B)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 허용 공간(B)은 데크 패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10)에는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B)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B)은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허용 공간(B)이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데크 패널(100) 간에 상대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데크 패널(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한 데크 패널(100)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때, 인접한 데크 패널(100)의 절곡 요소(1222) 및 삽입 요소(1224)는 수용 요소(1242) 및 개방 요소(1244) 내에서 동심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A)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데크 패널(100)의 절곡 요소(1222)는 개방 요소(1244) 내 상단에 접할 때까지 동심축을 중심으로 개방 요소(124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 요소(1222)의 회전각은 회전 허용 공간(B)의 크기, 또는 개방 요소(1244)와 절곡 요소(1222) 단면 크기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데크 패널(100) 간 상대 회전은 인접한 데크 패널(100)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패널(100)을 인접한 데크 패널(100)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린 상태에서, 데크 패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데크 패널(1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특정 데크 패널(100)을 상방으로 살짝 들어올림으로써 특정 데크 패널(1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데크 패널(100)에 인접한 데크 패널(100)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데크 패널(100)은 예를 들어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데크 패널(10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12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전체 해체의 요구 없이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특정 데크 패널만 분리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어, 시공 오차가 감소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판부(110)의 하단에는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30)는 데크 패널(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130)의 형상 자체가 데크 패널(100)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0)는 경사 부재(132), 수직 부재(134) 및 받침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부재(132)는 상판부(110)의 하단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경사 부재(132) 내에는 예를 들어 정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부재(134)는 경사 부재(132)의 하단에 연결되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136)는 수직 부재(136)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부재(136)의 하단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 부재(136)에 헬리데크(10)가 설치되는 지면 또는 다른 구조물 상에 고정되도록 고정 요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판부(110)의 하단에는 히터(미도시)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14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지지부(130)의 양측면, 특히 경사 부재(132)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 장착부(140)는 데크 패널(100)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가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열선으로 마련된 경우를 가정하여, 히터 장착부(140)는 제2 결합 부재(124)의 수용 요소(1242)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히터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히터 장착부(140)가 상판부(1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데크 패널(1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히터의 유지 보수 또한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판부(110)의 하단에는 물받이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50)는 제1 결합 부재(122) 및 제2 결합 부재(12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받이부(150)가 제1 결합 부재(122)에 인접하게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물받이부(150)는 상판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제1 결합 부재(12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상판부(110)로부터 스며든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받이부(150)의 하단은 결합부(120), 특히 삽입 요소(1224)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와의 충돌 없이 데크 패널(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150)는 데크 패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접한 상판부(1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스며든 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히터에 의해 물받이부(150)에 스며든 물과 같은 액체를 증발시켜, 액체의 동결에 의한 데크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는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가 구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여 시공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데크 패널 자체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데크 시스템이 요구되는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헬리데크
100: 데크 패널
110: 상판부
120: 결합부
130: 지지부
140: 히터 장착부
150: 물받이부

Claims (9)

  1.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구비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암수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일부에는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요소; 및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절곡 요소에 연결되는 삽입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삽입 요소가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 요소; 및
    상기 수용 요소의 일측에 형성되어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제1 결합 부재를 향해 개방된 개방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요소의 일부는 상기 삽입 요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요소의 다른 일부는 상기 삽입 요소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요소에는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절곡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 요소의 크기가 상기 절곡 요소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특정 데크 패널의 상판부 및 인접한 데크 패널의 상판부 사이에 회전 허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특정 데크 패널을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데크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요소의 단면은 상기 상판부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데크 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는 상기 삽입 요소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요소로부터 상기 삽입 요소의 이탈이 방지되는 데크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요소의 단면적은 상기 개방 요소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동심축을 향하여 증가되고, 상기 동심축으로부터 상기 수용 요소의 내측을 향하여 감소되는 데크 패널.
  6. 상판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데크 패널; 및
    상기 상판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을 가열시키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구비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요소; 및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절곡 요소에 연결되는 삽입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삽입 요소가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 요소; 및
    상기 수용 요소의 일측에 형성되어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제1 결합 부재를 향해 개방된 개방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요소의 일부는 상기 삽입 요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요소의 다른 일부는 상기 삽입 요소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요소에는 인접한 데크 패널의 절곡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 요소의 크기가 상기 절곡 요소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이 측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 허용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인접한 데크 패널을 상대 회전시켜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 중 특정 데크 패널을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헬리데크.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상판부 하단에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 결합부, 지지부 및 히터 장착부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헬리데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데크 패널은,
    상기 상판부의 하단에 연결된 물받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상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헬리데크.
KR1020160071018A 2016-06-08 2016-06-08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KR10193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18A KR101934284B1 (ko) 2016-06-08 2016-06-08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PCT/KR2017/004942 WO2017213354A1 (ko) 2016-06-08 2017-05-12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18A KR101934284B1 (ko) 2016-06-08 2016-06-08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73A KR20170138773A (ko) 2017-12-18
KR101934284B1 true KR101934284B1 (ko) 2019-01-03

Family

ID=6057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018A KR101934284B1 (ko) 2016-06-08 2016-06-08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4284B1 (ko)
WO (1) WO2017213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65B1 (ko) 2018-01-23 2019-12-13 경도에어로 주식회사 콘크리트 바닥 설치용 조립식 헬리포트
CN112647434A (zh) * 2020-12-08 2021-04-13 武汉海力克机场设备有限公司 一种航空铝合金停机坪及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759A (ja) * 1998-11-27 2000-06-13 Showa Alum Corp パネルの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9524B2 (ja) * 2008-12-27 2012-05-30 エアロファシリティー株式会社 ヘリポート及びヘリポート用デッキ材
KR20130030427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포트시설
RU2015122657A (ru) * 2012-11-13 2017-01-10 СЭЙФСПИЛЛ СИСТЕМЗ ЭлЭлСи Модульный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пол
KR101451087B1 (ko) * 2013-06-07 2014-10-15 세보테크 주식회사 히트 트레이싱 케이블 포설을 위한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 플랭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759A (ja) * 1998-11-27 2000-06-13 Showa Alum Corp パネルの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3354A1 (ko) 2017-12-14
KR20170138773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6629B (zh) 无人机起降平台
US841895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pherical loading portion and unmanned ground vehicle therefor
KR101934284B1 (ko) 데크 패널 및 상기 데크 패널을 포함하는 헬리포트
US9896187B2 (en) Connector between two aircraft components, such as a wing and wing tip device
EP2870068A1 (en) Landing arresting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erial vehicles, landing and take-off platform for vtol aerial vehicles and vtol locking member for aerial vehicles
CA2961116C (en)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KR101205225B1 (ko) 조립식 헬리포트
KR20110122469A (ko) 무인 항공기용 영상 감지기 승강 장치
CN108016608A (zh) 无人机起落架及无人机
US10513348B2 (en) Support for a radio equipment of an aircraft, radio system and aircraft
LT6846B (lt) Nusileidimo platforma ir orlaivio pozicionavimo ir orientavimo joje sistema
CN104411586A (zh) 具有双向离合器的起落架
ES2672528T3 (es) Sección de fuselaje de aeronave
CN106218482A (zh) 自行走载车的龙门架装配结构及集装箱/车辆检查设备
KR101696666B1 (ko) 전술교량
EP3279094B1 (en) Movable boarding bridge
US8672270B2 (en) Tie down and jack fitting assembly for helicopter
US11408193B2 (en) Telescopic mast
CA2958890C (en) Modular roadway structure and runway constructed therefrom
CN104802984A (zh) 飞行器起落架附接件和飞行器
CN108016607B (zh) 无人机起降装置
KR101679599B1 (ko) 화물이동용 스케이트
KR200443680Y1 (ko)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CN102381619B (zh) 配重提升装置、配重提升结构和提升配重的方法
KR20120026654A (ko) 선박의 헬리콥터 기름 주입기용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