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925B1 - 백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백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925B1
KR101933925B1 KR1020170149545A KR20170149545A KR101933925B1 KR 101933925 B1 KR101933925 B1 KR 101933925B1 KR 1020170149545 A KR1020170149545 A KR 1020170149545A KR 20170149545 A KR20170149545 A KR 20170149545A KR 101933925 B1 KR101933925 B1 KR 10193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portion
plate member
support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과,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상기 패널과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트랜스버스트림과,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버스트림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눌림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패널과 트랜스버스트림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인해 외부 가압 시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부가 패널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므로 지지부와 패널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패널 어셈블리{BACK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패널과 트랜스버스트림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인해 외부 가압 시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부가 패널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므로 지지부와 패널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트렁크룸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트렁크룸은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백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획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4560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패널(1)과, 패널(1)의 위쪽 부위를 통한 수분침투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패널(1)의 위쪽부위에 대한 강성을 강화하는 상단 폐단면(Ka)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 멤버(2, 또는 트랜스버스트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외부 가압 시 꿀렁거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버스트림(2)에 복수 개의 리브(3)를 형성하여 상대물인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서로간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꿀렁거림을 방지하고 있으며, 리브(3)가 패널(1)에 접촉하여 발생되는 떨림 및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리브(3)의 단부에 부직포(4)를 고정시켜 부직포(4)가 패널(1)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리브와 패널 간의 공차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므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리브를 보다 길게 형성할 경우 트랜스버스트림 또는 패널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리브의 단부에 별도로 부직포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제품의 이송 또는 날씨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리브의 단부에 고정된 부직포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45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패널과 트랜스버스트림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인해 외부 가압 시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부가 패널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므로 지지부와 패널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백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패널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과,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상기 패널과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트랜스버스트림과,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버스트림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눌림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단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버스트림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눌림방지리브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눌림방지리브에 고정되고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패널과 트랜스버스트림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인해 외부 가압 시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지지부가 패널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므로 지지부와 패널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지지부가 패널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어도 패널 또는 트랜스버스트림이 돌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부직포 및 이에 따른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 이송 또는 날씨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부직포가 이탈하는 문제 자체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백패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의 트랜스버스트림 및 지지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의 트랜스버스트림 및 지지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100)과,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패널(100)과 이격 배치되도록 패널(100)과 결합되는 트랜스버스트림(200)과, 트랜스버스트림(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부(230)와, 트랜스버스트림(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트랜스버스트림(200)과 지지부(230) 사이를 지지하는 눌림방지부(222)를 포함하되, 지지부(230)는 패널(100)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는 것을 포함한다.
패널(100)은 차량의 후방충돌에 대한 강성을 높여주는 부재로써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룬다.
패널(100)은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절곡된 판의 형태를 가진다.
패널(100)은 제1판상부재(110) 및 제2판상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판상부재(1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판상부재(110)는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인 트렁크룸(미도시)을 외부와 구획토록 한다.
제1판상부재(110)의 상부에는 제2판상부재(120)가 형성된다.
제2판상부재(120)는 제1판상부재(110)의 상단에서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판상부재(120)는 제1판상부재(110)의 상단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전체에 걸쳐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판상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판의 형태로 제1판상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트렁크리드(미도시)의 잠금을 위한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패널(100)에는 트랜스버스트림(200)이 결합된다.
트랜스버스트림(20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절곡된 판의 형태를 가진다.
트랜스버스트림(200)은 패널(100)의 상부 및 전방부를 마감하는 동시에 차량의 후방충돌에 대한 강성을 높여주는 부재로써, 트랜스버스트림(200)은 패널(100)의 상측 및 전방측에 걸쳐 배치된다.
트랜스버스트림(200)은 적어도 패널(100)의 상부 및 전방부 일부분을 덮도록 패널(100)에 결합되며, 볼팅 등에 의해 패널(100)에 고정된다.
또한, 트랜스버스트림(200)은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패널(100)의 상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패널(1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버스트림(200)은 제3판상부재(210) 및 제4판상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판상부재(2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3판상부재(210)는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인 트렁크룸(미도시)의 후방측 내벽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판상부재(210)는 제1판상부재(11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볼팅 등에 의해 제1판상부재(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3판상부재(210)의 상부에는 제4판상부재(220)가 형성된다.
제4판상부재(220)는 제3판상부재(210)의 상단에서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판상부재(220)는 제3판상부재(210)의 상단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전체에 걸쳐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4판상부재(220)는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4판상부재(22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220a)이 형성되어 제2판상부재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미도시)가 홀(220a)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4판상부재(220)는 제2판상부재(1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4판상부재(220)와 제2판상부재(120)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한편, 트랜스버스트림(200)의 하면에는 후술할 지지부(230)의 일단이 고정되는 눌림방지리브(221)이 형성된다.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 후방측에는 눌림방지리브(221)가 형성된다.
눌림방지리브(221)는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 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으로써,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에서 하측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눌림방지리브(221)는 지지부(230)가 눌러질 경우, 지지부(230)의 일단을 지지하여 지지부(230) 함께 눌러지게 된다.
눌림방지리브(221)에는 후술할 하부지지부(231)의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어 트랜스버스트림(20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후술할 하부지지부(231)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힘을 눌림방지리브(221)측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4판상부재(220)의 중앙측에는 눌림방지부(222)가 형성된다.
눌림방지부(222)는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전방측 단부가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 중앙 전방측에 일체로 고정되며, 후방측 단부가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 중앙 후방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눌림방지부(222)와 제4판상부재(220)의 사이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눌림방지부(222)는 후술할 하부지지부(231)와 제4판상부재(220) 사이를 지지하여 트랜스버스트림(200)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후술할 지지부(23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4판상부재(220)의 하부에는 지지부(230)가 형성된다.
지지부(230)는 제4판상부재(22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2판상부재(120)의 상면에 하단부가 눌러져 변형되도록 접촉됨으로써 제2판상부재(120)와 제4판상부재(220)의 이격된 사이를 연결한다.
지지부(230)는 패널(100)과 트랜스버스트림(200)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100)과 트랜스버스트림(200)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지지부(230)는 제2판상부재(120)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30)는 제4판상부재(220)의 외부 가압 시, 특히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4판상부재(220)를 누르는 것 등에 의한 가압 시 제2판상부재(120)와 제4판상부재(220)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패널(100) 및 트랜스버스트림(200)이 꿀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널(100)과 트랜스버스트림(200)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100)에 대해 트랜스버스트림(200)를 지지한다.
지지부(230)는 하부지지부(231) 및 상부지지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지지부(231)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부(231)와 제4판상부재(220)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이 눌림방지부(222), 후술할 제1분기부(231a), 후술할 제2분기부(231b), 후술할 연결부(231c), 후술할 상부지지부(232)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부지지부(231)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전방측 단부가 트랜스버스트림(200)에 고정되고, 후방측 단부가 눌림방지리브(22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지지부(231)는 전방측 단부가 제1분기부(231a) 및 제2분기부(231b)로 분기되어 각각 트랜스버스트림(200)에 일체로 고정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채 눌림방지리브(221)의 전면에 면접촉의 형태로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하부지지부(231)의 제1분기부(231a)는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제3판상부재(21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지지부(231)의 제2분기부(231b)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4판상부재(220)에 일체로 고정된다.
제1분기부(231a) 및 제2분기부(231b)는 제4판상부재(220)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하부지지부(231)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힘을 전방측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눌림방지리브(221)의 전면에 하부지지부(231)가 면접촉 형태로 고정되는 것은 제4판상부재(220)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하부지지부(231)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힘을 후방측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제1분기부(231a)와 제2분기부(231b) 사이에는 제1분기부(231a)와 제2분기부(231b)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보다 더 분산시킴과 동시에 보강할 수 있는 연결부(231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31c)는 전방측 단부가 제1분기부(231a)에 일체로 고정되고, 후방측 단부가 제2분기부(231b)에 일체로 고정된다.
연결부(231c)는 제1분기부(231a)와 제2분기부(231b)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하부지지부(231)는 패널(100)의 제2판상부재(120)에 접촉되는데, 특히 하면 중앙부가 제2판상부재(120)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어 지지부(230)의 하부지지부(231)와 패널(100)의 제2판상부재(120)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하부지지부(231)와 제2판상부재(120)가 부딪히거나 비벼지는 것 등에 따른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부(231)가 제2판상부재(120)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된다는 것은 하부지지부(231)의 하면이 제2판상부재(120)의 상면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측으로 다소 올라가도록 눌러지게 제2판상부재(120) 상면에 접촉된다는 것이며, 이는 하부지지부(231)와 제2판상부재(120) 사이의 이격을 없애 이로 인한 떨림 및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하부지지부(231)의 하면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양, 즉 변형되는 일정량은 1.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부(231)의 상면에는 상부지지부(232)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부(232)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지지부(232)는 제1분기부(231a)의 후단과 하부지지부(231)의 후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방측 단부가 하부지지부(231)의 상면 중앙 전방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후방측 단부가 하부지지부(231)의 상면 중앙 후방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부지지부(232)는 눌림방지부(222)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지지부(231)와 눌림방지부(222) 사이에 배치되어 눌림방지부(222)와 접촉되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지지부(232)는 상면 중앙부가 눌림방지부(222)의 하면 중앙부와 일체로 고정된 채 접촉되어져 눌림방지부(222)와 함께 제2판상부재(120)와 제4판상부재(220) 사이를 보강하여 지지함으로써 외부 가압에 따른 패널(100) 및 트랜스버스트림(200)의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30)의 하단 중앙부에는 돌기(233)가 형성된다.
돌기(233)는 하부지지부(231)의 하면 중앙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지지부(231)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돌기(233)는 하부지지부(231)가 제2판상부재(120)에 눌러지도록 접촉될 경우 제2판상부재(120)와 접촉부위를 집중시켜 하부지지부(231)와 제2판상부재(120)가 외력에 의해 비벼지는 포인트를 줄여줌으로써 이에 따른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3판상부재(210), 제4판상부재(220), 눌림방지리브(221), 눌림방지부(222), 하부지지부(231), 제1분기부(231a), 제2분기부(231b), 연결부(231c), 상부지지부(232) 및 돌기(233)는 서로 일체의 단일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재질,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패널 110 : 제1판상부재
120 : 제2판상부재 200 : 트랜스버스트림
210 : 제3판상부재 220 : 제4판상부재
220a : 홀 221 : 눌림방지리브
222 : 눌림방지부 230 : 지지부
231 : 하부지지부 231a : 제1분기부
231b : 제2분기부 231c : 연결부
232 : 상부지지부 233 : 돌기

Claims (4)

  1. 차량의 후방부위를 이루는 백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상기 패널과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과 결합되는 트랜스버스트림;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버스트림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눌림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 눌러져 일정량 변형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버스트림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눌림방지리브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눌림방지리브에 고정되고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트랜스버스트림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어셈블리.
KR1020170149545A 2017-11-10 2017-11-10 백패널 어셈블리 KR10193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5A KR101933925B1 (ko) 2017-11-10 2017-11-10 백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5A KR101933925B1 (ko) 2017-11-10 2017-11-10 백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925B1 true KR101933925B1 (ko) 2019-01-02

Family

ID=6502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45A KR101933925B1 (ko) 2017-11-10 2017-11-10 백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9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25B1 (ko) 2006-12-05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에너지 업소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25B1 (ko) 2006-12-05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에너지 업소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524B2 (en) Glove box for vehicle
US20090321182A1 (en) Vehicle interior panel assembly
KR101933925B1 (ko) 백패널 어셈블리
JP6187495B2 (ja) 車両用アッパバックパネル構造
CN110461654A (zh) 车辆扬声器布置结构
US9434324B2 (en) Garnish with molding and vehicle door mounted with same
US20170282976A1 (en) Cowl top garnish
JP7001913B2 (ja) 乗物用シート
JP4019355B2 (ja) 成形トリムのホルダ構造
JP2011116190A (ja) ラゲッジボードの取付構造
JP6598055B2 (ja) インシュレータの取付構造
US7823947B1 (en) Interchangeable speaker pocket
JP2006213258A (ja) スペアタイヤ固定ベース
JP4203580B2 (ja) 車両の収納装置
JP5222266B2 (ja) フロアマット連結構造
JP6488708B2 (ja) 車両の天井収納構造
JP6674653B2 (ja) ドアトリム取付構造
JP6941295B2 (ja) センタークラスタ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0264145A (ja) 車両用バンパーの支持構造
EP2789508B1 (en) Vehicle luggage board & vehicle including a luggage storage space
KR20180106954A (ko) 차량 뒷부분 구조
JP6346805B2 (ja) 収納容器、収納容器ユニット及び収納容器付き車両用シート
JP6955695B2 (ja) キャブの上部構造
US20230111971A1 (en) Hood inner panel and vehicle hood
KR100836099B1 (ko) 차량용 선루프 지지브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