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911B1 -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911B1
KR101933911B1 KR1020170031876A KR20170031876A KR101933911B1 KR 101933911 B1 KR101933911 B1 KR 101933911B1 KR 1020170031876 A KR1020170031876 A KR 1020170031876A KR 20170031876 A KR20170031876 A KR 20170031876A KR 101933911 B1 KR101933911 B1 KR 101933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discharge
blis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944A (ko
Inventor
안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17003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9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용기부 내에서 밀폐상태로 수납되고 있다가 사용 직전 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이나 분말 간 또는 액상과 고체상의 서로 다른 이종의 내용물이 두 개의 분리 독립된 용기부 내에 수용, 포장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공지의 파우치 용기의 상부 시트 내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파우치 용기부와 상호 분리 독립된 형태의 전이용 내용물 수용부를 갖도록 한 블리스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전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배출 유도부내의 덮개 필름에 구성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 장공 외에 배출 유도부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내용물 수용부의 플랜지에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을 관통 상태로 구성토록 하여 배출유도부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마련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으로 토출되는 전이 내용물이 파우치 용기 내부로 이동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시트와 접착되는 블리스터 용기의 플랜지에 파우치 용기의 상부 시트와 분리되면서 통로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 장공의 외측으로 미 접착부를 구성하여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전이 내용물이 작은 누름압력으로도 신속 용이하게 파우치 용기부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로 이동 전이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내용물 수용부중 격리 접착부와 접하는 부위의 내측으로 압력 유도부를 구성하여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누름압력이 격리 접착부까지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격리 접착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취급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이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USAGE METHOD FOR THE BLISTER PACKAGE FOR TWO COMPONENTS TO JOINED BLISTER TYPE PACKAGE AND POUCH TYPE PACKAGE}
본 발명은 유통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용기부 내에서 밀폐상태로 수납되고 있다가 사용 직전 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이나 분말 간 또는 액상과 고체상의 서로 다른 이종의 내용물이 두 개의 분리 독립된 용기부 내에 수용, 포장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공지의 파우치 용기의 상부 시트 내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파우치 용기부와 상호 분리 독립된 형태의 전이용 내용물 수용부를 갖도록 한 블리스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배출 유도부내의 덮개 필름에 구성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 장공 외에 배출 유도부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내용물 수용부의 플랜지에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을 관통 상태로 구성토록 하여 배출유도부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마련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으로 토출되는 전이 내용물이 파우치 용기 내부로 이동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시트와 접착되는 블리스터 용기의 플랜지에 파우치 용기의 상부 시트와 분리되면서 통로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 장공의 외측으로 미 접착부를 구성하여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전이 내용물이 작은 누름압력으로도 신속 용이하게 파우치 용기부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로 이동 전이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내용물 수용부중 격리 접착부와 접하는 부위의 내측으로 압력 유도부를 구성하여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누름압력이 격리 접착부까지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격리 접착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취급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리스터 포장구조는(Blister package)는 열가소성 시트를 다시 가열하여 가소화 시킨 후 금형 위에 위치시키고 이를 압공 또는 진공 성형해 용기부를 성형한 후에 이 용기부에 내용물을 넣은 뒤 종이나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덮개 필름으로 용기체의 평평한 플랜지 부분만을 히트 실(heat seal), 고주파, 초음파 등으로 접착하는 방법으로서 식품, 일용품, 잡화, 공산품, 정제약품, 액상의 화장품 등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용해하거나 분산, 흡수시켜 사용하는 예를 들어, 사용 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내용물이 있지만 처음부터 혼합하여 동일 용기부에 수용하는 경우 침전으로 인한 배출불량, 시간 경과에 따른 변질 우려가 있어 별도의 용기부에 격리 수용되었다가 사용 시 함께 혼합하게 되는 내용물 예를 들어 소정의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좋은 파우더 상의 비타민과 같은 이종의 내용물 또는 건조 상태의 펄프시트와 보습 또는 세안용 액제 등과 같은 경우는 기존에는 두 내용물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포장 판매되다가 사용 시 덮개 필름을 개봉한 후 일측 내용물을 타측 내용물로 옮겨 혼합시킴으로써 용해, 분산, 흡수시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 인해 취급의 불편함을 물론 부주의 시 주변이나 손에 내용물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내용물이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혼합되는 것이어서 이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의 침투 우려가 있어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노출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8내지 도 9에서와 같은 출원번호 10-2012-0106510호 "내용물의 전이유도수단을 갖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이종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두 용기부 중에서 전이용 내용물이 담겨지는 전이 측 용기부의 입구가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조건하에서 타 부위로의 내용물 누설없이 온전히 피 전이 측 용기부의 입구로만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상에 흡사 장벽과 같은 이동 가이드 접착부를 둠과 동시에 포장체의 미사용 시에는 두 용기부의 사이에서 입구를 상호 격리 차단하고 있다가 사용을 위해 전이 측 용기부를 눌러 변형 시키는 경우 강제적인 박리를 통해 통로를 형성시키는 기능을 하는 격리 접착부를 구비하며 나머지 플랜지 부분은 엠보싱 형태의 기본 접착부를 형성하되 플랜지 상의 모든 접착부가 덮개 필름과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의 상세한 구조는 아래와 같다.
사용 시 상호 혼합시켜 사용하는 전이용 내용물(A)과 피 전이용 내용물(B)을 수용하는 전이 측 용기부(2A) 및 피 전이 측 용기부(2B)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용기체(1)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체(1)의 플랜지(2C)상면에 상기 전이 측 용기부(2A)와 피 전이 측 용기부(2B)의 입구를 실링시키기 위한 덮개 필름(3)이 접착되도록 구성되는 공지의 블리스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전이 측 용기부(2A) 및 피 전이 측 용기부(2B)사이의 플랜지(2C)면에 구성되어 상기 덮개 필름(3)과 접착되며 전이 측 용기부(2A) 및 피 전이 측 용기부(2B)간의 수용공간을 상호 격리 차단시켜 미사용 시 내용물간의 유동 혼입을 차단시키기 위한 격리 접착부(4)와; 상기 플랜지(2C)면에서 상기 격리 접착부(4)가 점유하지 않은 상기 전이 측 용기부(2A)의 나머지 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격리 접착부(4)의 양 측단 및 피 전이 측 용기부(2B)의 내연부와 상호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되는 이동 가이드 접착부(5)와; 상기 플랜지(2C)상에 상기 격리 접착부(4)와 이동 가이드 접착부(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구성되는 기본 접착부(6)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이종 내용물 포장체는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용기체(1)는 상기 전이 측 용기부(2A)와 피 전이 측 용기부(2B)의 입구를 실링시키기 위한 덮개 필름(3)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로서 취급이 부주의 할 경우 박리되어 무단으로 개봉될 우려가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이 측 용기부(2A)와 피 전이 측 용기부(2B)의 내용물이 유출 또는 공기와의 접촉우려가 있어 산패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전이 측 용기부(2A)와 피 전이 측 용기부(2B)가 단일체의 블리스터로 구성되는 관계로 용기의 제조 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의 생산성 저하와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이 측 용기부(2A)의 내용물이 피 전이측 용기부(2B)로 모두 이동되어야 하므로 피전이측 용기부의 부피는 전이측 용기부(2A)의 부피와 피전이측 용기부(2B)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의 부피를 더 한 것이 되어 지나치게 커짐으로서 오히려 부피가 커져서 포장이나 운송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우치의 일부분을 열 접착함으로써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킨 이종 내용물 수납 파우치를 만들고, 사용 직전에 한쪽을 가압해 다른 한쪽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이동 시켜 섞은 후에 사용하는 파우치 형 포장체도 있으나, 전이부의 많은 면적을 동시에 가압해 주어야만 되며, 같은 파우치 내에 공존하는 관계로 피전이부로 수분의 이행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의 전이 측 용기부와 유사한 독립적인 구조의 블리스터 용기(40)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전이용 내용물(A)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41)과, 이 내용물 수용부(41)의 입구를 실링시킴과 동시에 내용물 수용부(41)의 가압 수축 시 전이용 내용물(A)을 외부로 배출 수 있도록 격리 접착부(43A), 가이드 접착부(43B), 플랜지(42)의 이면에 접착되는 덮개 필름(43)과, 상기 플랜지(42)와 덮개 필름(43) 사이에 구성되는 비 접착상태의 배출 유도부(44) 및 상기 배출 유도부(4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절결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45)이 구비되는 구조로서, 이는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45)가 배출 유도부(44)의 덮개필름(43)에만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고 또한 플랜지(42)의 상면 전체에 접착층(46)이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플랜지(42)의 전 부분이 파우치의 상부 시트에 부착되는 것이어서 전이 측 내용물(A)이 내재되어 있는 내용물 수용부(41)를 누르는 경우 전이 측 내용물의 토출이 발생되지만, 토출되는 내용물은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45)의 단 한 곳을 통해 배출하게 됨으로써 배출속도가 느리고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취급이 불편하게 되고 특히 파우치 내에 패드나 파우더 등의 피전이 측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 전이 측 내용물(A)의 토출 유로를 막아 토출 시 원활하게 전이 측 내용물이 파우치 안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격리 접착부(43A)가 접하는 내용물 수용부(41)의 하변부가 직각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블리스터 용기(40)의 누름 시 내용물 수용부(41)내의 누름압력이 격리 접착부(43A)로 바로 전이되지 못하고 내용물 수용부(41)의 하변부에서 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격리 접착부(43A)까지 신속 용이하게 전이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격리 접착부(43A)의 파열을 위해서는 비교적 강한 누름압력이 요구되는 취급상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유도부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마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으로 토출되는 전이 내용물이 파우치 용기 내부로 이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전이 내용물이 작은 누름압력으로도 신속 용이하게 파우치 용기부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로 이동 전이될 수 있도록 하며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누름압력이 격리 접착부까지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격리 접착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취급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배출 유도부내의 덮개 필름에 구성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 장공 외에 배출 유도부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내용물 수용부의 플랜지에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을 관통 상태로 구성토록 하여 배출유도부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으로 토출되는 전이 내용물이 파우치 용기 내부로 이동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시트와 접착되는 블리스터 용기의 플랜지에 파우치 용기의 상부 시트와 분리되면서 통로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 장공의 외측으로 미 접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압력이 격리 접착부까지 신속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내용물 수용부중 격리 접착부와 접하는 부위의 내측으로 압력 유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포장체는 이종의 내용물이 서로 혼합된 상태로 유통되는 경우에 각각의 고유한 성질이 변화되는 이유로 사용 직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그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내용물 수용부를 압압하는 경우 배출유도부내에 형성된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어서 전이 내용물이 파우치 용기 내부로 신속 용이하게 이동 공급될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갖게 되는 것이며,
또한 누름압력을 전달하는 내용물이 압력 유도부를 통해 격리 접착부까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블리스터 용기의 누름 시 압력의 손실 없이 즉시 격리접착부위에 쐐기효과를 부여시키면서 덮개필름을 벌려줌으로써 격리 접착부를 신속 간편하게 파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취급에 편의성을 갖게 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전이용 내용물을 수용시킨 본 발명 블리스터 용기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블리스터 용기를 임의의 파우치에 적용 부착시킨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리스터 용기를 파우치 용기부에 적용하는 상태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리스터 용기를 피 전이용 내용물을 수용시킨 파우치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블리스터 용기를 가압 수축시켜 전이용 내용물을 파우치 용기부내의 피 전이 측 용기부로 이동 혼입시키는 과정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8은 공지 구조의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9는 도 8 구조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10은 기존의 구조의 블리스터 용기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전이용 내용물(A)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11)과, 이 내용물 수용부(11)의 입구를 실링시킴과 동시에 내용물 수용부(11)의 가압 수축 시 전이용 내용물(A)을 외부로 배출 수 있도록 격리 접착부(13A), 가이드 접착부(13B)를 통하여 플랜지(12)의 이면에 접착되는 덮개 필름(13)과, 상기 격리 접착부(13A)의 외측으로 플랜지(12)의 저면에 포켓 형태로 구성되는 배출 유도부(14) 및 상기 배출 유도부(14)의 하방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절결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5)과, 상기 내용물 수용부(11) 둘레의 플랜지(12)의 표면에 구성되는 파우치 접착부(16)를 포함하는 공지의 블리스터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도부(14)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내용물 수용부(11)의 플랜지(12)에 관통되게 구성하는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17)과;
상기 파우치 접착부(16)중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16)을 기준으로 배출 유도부(14)의 반대쪽으로 형성되는 비 접착부(18)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1)중 격리 접착부(13A)와 접하는 하변 부위에 구성되는 압력 유도부(19)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10)는 피 전이용 내용물(B)을 수용하는 파우치 용기부(20) 내면에 플랜지(12)의 파우치 접착부(16)가 접착됨으로 해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리스터 용기(10)는 기존의 용기체와 같이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소재의 시트를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을 이용하여 내용물 수용부(11)를 성형한 후 이에 수납하고자 하는 소정의 전이용 내용물(A)을 충전한 후, 이지 필 특성을 갖는 덮개 필름(13)으로 열, 고주파 또는 초음파 롤을 이용하여 접착한 후에 정해진 모양으로 절단하여 구성하는 블리스터 제품이다.
도 4는 블리스터 용기(10)가 파우치 용기부(20)에 접착되어 완성된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블리스터 용기부(10)를 파우치 용기부(20)를 구성하는 상부 시트(21)에 접착시키는 과정을 보이는 것으로,
내용물 수용부(11)를 상부 시트(22)에 천공된 블리스터 용기 설치공(23)을 관통하는 상태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블리스터 용기부(10)의 플랜지(12)에 피착된 파우치 접착부(16)를 상부 시트(21)의 내면에 열, 고주파 또는 초음파 롤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시트(22)에 하부 시트(22)를 일치시키고 공지의 열, 고주파 또는 초음파 롤을 이용하여 일 측이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구성시킴과 동시에 일련의 기계적 장치에 투입하여 피 전이용 내용물(B)을 용입시킨 후 최종적으로 나머지 비 접착부분을 접착시켜 밀폐된 공간을 유지하는 파우치 용기부(2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이용 내용물(A)로는 주로 유체상의 액상 내용물이 적용되고 피전이용 내용물(B)로는 액상 또는 분말 상, 그레뉼, 타블릿, 패드 등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내용물이 적용되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다.
도 6에서와 같이 내용물을 포장한 상태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리스터 용기(10)가 결합된 파우치 용기부(20)는 휴대, 보관 등의 미사용 시에는 블리스터 용기(10)의 경우 덮개 필름(13)이 격리 접착부(13A)와 가이드 접착부(13B)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내용물 수용부(11)의 내부와 상,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6)(15)이 형성된 비 접착 상태의 배출 유도부(14)가 상호 격리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내용물 수용부(11)의 전이용 내용물(A)이 무단으로 파우치 용기부(20)로 유입되어 피 전이용 내용물(B)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상태이며,
이때 덮개 필름(13)은 상부 시트(21)에 덮여져 은폐되는 상태이므로 무단으로 외부에서 덮개 필름(13)을 개봉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파우치 용기부(20)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B)도 밀폐된 포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이종 내용물 포장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블리스터 용기(10)의 내용물 수용부(11)의 상단을 손가락을 이용해 압력을 가하면 내용물 수용부(11)의 내용적이 강제로 수축하면서 내압이 발생되고 그 내압은 내용물 수용부(11)의 내부 전체와 가이드 접착부(13B)과 격리 접착부(13A)에 가해지게 되지만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접착력의 가이드 접착부(13B)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력과 폭이 좁은 격리 접착부(13A)에 집중하게 되고 또한 누름압력을 전달하는 내용물이 압력 유도부(19)를 통해 격리 접착부(13A)까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내압력의 손실 없이 즉시 격리 접착부(13A)에 쐐기효과를 부여시키면서 덮개필름(13)을 벌려줌으로써 격리 접착부(13A)를 신속 간편하게 파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덮개필름(13)과 격리 접착부(13A)가 파열 박리되면서 배출 유도부(14)로 통하는 통로를 만들게 된다.
이 통로를 통해 배출 유도부(14)로 이동된 전이용 내용물(A)은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5)과 상부 내용물 배출장공(16)을 강제적으로 벌리면서 파우치 용기부(20)의 내부로 외부로 배출되어 피 전이용 내용물(B)에 혼입되어 용해, 흡수, 혼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내용물 배출장공(16)으로 배출되는 전이용 내용물(A)은 배출 압력을 이용하여 미 접착부(18)를 통해 상부 시트(21)와 미 접착상태로 분리되는 플랜지(12)의 미 접착부분이 강제적으로 상부 시트(21)에서 들떠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파우치 용기부(20)의 내부로 배출되어 피 전이용 내용물(B)로 이동 전이되는 것으로
배출 유도부(14)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 수용부(11)의 누름 시 전이 내용물(A)이 작은 누름압력으로도 신속 용이하게 파우치 용기부(20)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B)로 이동 전이될 수 있어 사용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적은 누름압력으로도 전이용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취급에 편의성을 갖게 된다.
한편 전이 내용물(A)과 피 전이용 내용물(B)간의 혼합이 완료되면 파우치 용기부(20)를 절취 개방하여 전이용 내용물(A)이 함유, 혼합된 피 전이용 내용물(B)을 꺼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한 분야로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공산품등 특별한 제한은 없다.
A: 전이용 내용물
B: 피 전이용 내용물
10: 블리스터 용기
11: 내용물 수용부
12: 플랜지
13: 덮개 필름
13A: 격리 접착부
13B: 가이드 접착부
13C: 기본 접착부
14: 배출 유도부
15: 하부 내용물 배출 장공
16: 파우치 접착부
17: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
18: 비 접착부
19: 압력 유도부
20: 파우치 용기
21: 상부 시트
22: 하부시트
23: 통공

Claims (1)

  1. 전이용 내용물(A)이 수용되는 블리스터 용기부(10)와, 상기 블리스터 용기부(10)와 결합되고 피 전이용 내용물(B)이 수용되는 파우치 용기(20)를 포함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블리스터 용기부(10)는 전이용 내용물(A)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11)과, 이 내용물 수용부(11)의 입구를 실링시킴과 동시에 내용물 수용부(11)의 가압 수축 시 전이용 내용물(A)을 외부로 배출 수 있도록 격리 접착부(13A), 가이드 접착부(13B)를 통하여 플랜지(12)의 이면에 접착되는 덮개 필름(13)과, 상기 격리 접착부(13A)의 외측으로 플랜지(12)의 저면에 포켓 형태로 구성되는 배출 유도부(14) 및 상기 배출 유도부(14)의 하방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절결되는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5)과, 상기 내용물 수용부(11) 둘레의 플랜지(12)의 표면에 구성되는 파우치 접착부(16)와, 상기 배출 유도부(14)의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내용물 수용부(11)의 플랜지(12)에 관통되게 구성하는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17)과, 상기 파우치 접착부(16)중 상부 내용물 배출 장공(17)을 기준으로 배출 유도부(14)의 반대쪽으로 형성되는 비 접착부(18)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1)중 격리 접착부(13A)와 접하는 하변 부위에 구성되는 압력 유도부(19)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용기(20)는 블라스터 용기 설치공(23)이 형성된 상부 시트(21)와 상기 상부 시트(21)와 일치되는 하부 시트(22)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수용부(11)를 상부 시트(22)에 천공된 블리스터 용기 설치공(23)을 관통하는 상태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블리스터 용기부(10)의 플랜지(12)에 피착된 파우치 접착부(16)를 상부 시트(22)의 내면에 접착하고,
    상부 시트(22)에 하부 시트(22)를 일치시키되 일 측이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로 구성시킴과 동시에 피 전이용 내용물(B)을 용입시킨 후 접착시켜 밀폐된 공간을 유지하여 파우치 공간부(20)를 구성하며,
    미사용 시에는 블리스터 용기(10)의 경우 덮개 필름(13)이 격리 접착부(13A)와 가이드 접착부(13B)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서 내용물 수용부(11)의 내부와 상,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6)(15)이 형성된 비 접착 상태의 배출 유도부(14)가 상호 격리 차단되어 있어 전이용 내용물(A)이 피 전이용 내용물(B)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시 내용물 수용부(11)의 상단을 압력을 가하면 내용물 수용부(11)의 내용적이 수축하면서 내압이 발생되고 그 내압은 내용물 수용부(11)의 내부 전체와 가이드 접착부(13B)과 격리 접착부(13A)에 가해지게 되며, 상기 내압은 가이드 접착부(13B) 보다는 낮은 접착력과 폭이 좁은 격리 접착부(13A)에 집중하게 되어 격리 접착부(13A)에 쐐기효과를 부여시키면서 덮개필름(13)을 벌려줌으로써 격리 접착부(13A)를 파열시키고 덮개필름(13)과 격리 접착부(13A)가 파열 박리되면서 배출 유도부(14)로 통하는 통로를 만들게 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배출 유도부(14)로 이동된 전이용 내용물(A)은 하부 내용물 배출장공(15)과 상부 내용물 배출장공(16)을 강제적으로 벌리면서 파우치 용기부(20)의 내부로 외부로 배출되어 피 전이용 내용물(B)에 혼입되며,
    상기 상부 내용물 배출장공(16)으로 배출되는 전이용 내용물(A)은 배출 압력을 이용하여 미 접착부(18)를 통해 상부 시트(21)와 미 접착상태로 분리되는 플랜지(12)의 미 접착부분이 강제적으로 상부 시트(21)에서 들떠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파우치 용기부(20)의 내부로 배출되어 피 전이용 내용물(B)로 이동 전이되어,
    배출 유도부(14)내에 상, 하 두 곳의 배출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 수용부(11)의 누름 시 전이 내용물(A)이 파우치 용기부(20)내의 피 전이용 내용물(B)로 이동 전이되며,
    상기 전이 내용물(A)과 피 전이용 내용물(B)간의 혼합이 완료되면 파우치 용기부(20)를 절취 개방하여 전이용 내용물(A)이 함유, 혼합된 피 전이용 내용물(B)을 꺼내 사용하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KR1020170031876A 2017-03-14 2017-03-14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KR101933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76A KR101933911B1 (ko) 2017-03-14 2017-03-14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76A KR101933911B1 (ko) 2017-03-14 2017-03-14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44A KR20180104944A (ko) 2018-09-27
KR101933911B1 true KR101933911B1 (ko) 2018-12-31

Family

ID=6371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876A KR101933911B1 (ko) 2017-03-14 2017-03-14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25A (ko) 2019-10-17 2021-04-27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종 내용물 혼합 블리스터
KR20240053744A (ko) 2022-10-18 2024-04-25 송태용 블리스터 포장재 및 상기 블리스터 포장재에 의한 제품의 포장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4857A1 (en) * 2013-10-30 2015-04-30 Le Papillon Bioplan Container for dispensing a combination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4857A1 (en) * 2013-10-30 2015-04-30 Le Papillon Bioplan Container for dispensing a combination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25A (ko) 2019-10-17 2021-04-27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종 내용물 혼합 블리스터
KR20240053744A (ko) 2022-10-18 2024-04-25 송태용 블리스터 포장재 및 상기 블리스터 포장재에 의한 제품의 포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44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47B1 (ko) 배합물을 보유 및 분배하는 용기, 및 저장된 유체를 주위로 배출하는 장치
EP1777173B1 (en) Easily opened flexible vacuum packaging for single portions of pasty fluids
CZ20002528A3 (cs) Sáček
KR101933911B1 (ko) 이종 내용물 포장체용 블리스터 용기의 사용 방법
KR101455733B1 (ko) 내용물의 전이유도수단을 갖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
CA2914129A1 (en) Multi-compartment packaging device
EP1144269A2 (en) Pack for a two-component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it
KR101620076B1 (ko) 가압 개방되는 비접합선을 가진 2중 파우치
JP2666961B2 (ja) 塗布物質用ディスペンサーアプリケーター
KR20210145546A (ko)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JPH05294350A (ja) 使い捨て容器
KR101014671B1 (ko)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KR200316761Y1 (ko)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3957235B2 (ja) 包装袋
JP2975834B2 (ja) 流動性物質包装体、該包装体の製造方法、該包装体用包装袋並びに該包装袋の製造方法
EP1038792A1 (en) Improved packaged article
KR101505978B1 (ko) 물주머니의 제조 방법
JP7285672B2 (ja) 包装容器
KR101876542B1 (ko) 브리스터를 구비한 미용 팩용 이중 파우치
KR10225297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블리스터
JP7303049B2 (ja) 包装体
KR101152745B1 (ko) 포장용기
KR20090012632U (ko)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JP2022021246A (ja) 包装用容器
WO2005100196A1 (ja) 封入容器および封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