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68B1 -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 Google Patents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68B1
KR101933568B1 KR1020180075775A KR20180075775A KR101933568B1 KR 101933568 B1 KR101933568 B1 KR 101933568B1 KR 1020180075775 A KR1020180075775 A KR 1020180075775A KR 20180075775 A KR20180075775 A KR 20180075775A KR 101933568 B1 KR101933568 B1 KR 10193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ipe body
shutter
intake pip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Ehs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Ehs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Ehs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7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측벽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배관몸체, 각각 동일한 크기의 곡면판 형태로 형성되고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 개의 흡기구를 모두 폐쇄하는 복수 개의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셔터, 및 각각이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셔터레일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흡기구가 형성된 측벽 영역은 복수 개의 셔터레일에 의해 복수 개의 셔터의 개수만큼의 복수 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셔터는 복수 개의 셔터레일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흡기영역 중 각 셔터와 맞닿아 있는 흡기영역을 폐쇄하고, 복수 개의 셔터레일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셔터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흡기배관몸체의 복수 개의 흡기구 중 라돈가스 흡기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흡기구의 흡기영역 면적 및 흡기 방향이 가변된다.

Description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Pipe assembly for ventilating radon gas and radon block mat applied thereof}
건축물의 하측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지상 대기 중에 배출하기 위한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평상시에 자연에 존재하는 자연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다. 자연방사선은 대기 및 흙이나 암석에 존재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방사되는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이 있다. 이러한 방사선은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1 mSv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사람이 피폭되는 자연방사선의 약 50%가 라돈에 의해 피폭되는 것이며, 라돈에 의한 방사선 노출은 대부분 공기에 포함된 라돈가스를 흡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라돈에 의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중 라돈의 농도를 148 Bq/m3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자연방사선 노출의 주요 원인인 라돈가스는 건축물 하부의 토양, 자갈 등을 통과하여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된다.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된 라돈가스는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라돈가스가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7076호 “건축 실내에 유입되는 라돈가스를 저감하는 탈기장치”는 건축물의 근방의 지반 하부에 다공성 흡기관을 매설하고, 다공성 흡기관에 탈기관과 탈기부를 연결하여, 건축물의 근방의 지반 하부에 매설된 다공성 흡기관을 통하여 건축물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라돈가스가 건축물의 실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정한 방향성 없이 흡기관 주변의 모든 라돈가스를 흡입하기 때문에, 건축물을 향해 이동하는 라돈가스 뿐만 아니라, 건축물을 향해 이동하지 않고 건축물로부터 멀리 있는 라돈가스까지도 모두 흡입하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라돈가스 탈기장치는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없는 라돈가스까지도 흡입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바닥면의 아래로부터 건축물의 실내로 스며드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지상 대기 중에 배출하기 위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 배관조립체가 적용된 라돈차단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는, 측벽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배관몸체; 각각 동일한 크기의 곡면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를 모두 폐쇄하는 복수 개의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셔터; 및 각각이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셔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가 형성된 측벽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셔터의 개수만큼의 복수 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 셔터는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영역 중 상기 각 셔터와 맞닿아 있는 흡기영역을 폐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셔터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복수 개의 흡기구 중 라돈가스 흡기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흡기구의 흡기영역 면적 및 흡기 방향이 가변된다.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 각각은 양 측면에 횡단면 “L“형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셔터의 측면 일단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의 측면 양단 각각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 사이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가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 사이에 끼워져 외력에 의해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끼워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과의 끼움 결합력에 의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 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는,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및 일단이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팬은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부 공기압이 낮아지고,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개방된 흡기영역을 통하여 라돈가스가 상기 흡기배관몸체의 내부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는, 상기 배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라돈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 각각의 크기는 상기 배기팬과 각 흡기구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라돈차단매트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라돈가스를 차단하는 사각매트; 원통형태로 상기 사각매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라돈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기둥; 및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를 포함한다.
건축물의 근처 지반에 매설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흡기배관몸체에서,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흡기구의 흡기방향 및 면적을 가변함으로써,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건축물의 근처 지반에 매설될 흡기배관몸체의 흡기방향을 건축물의 하부를 향하도록 조절하여, 배기팬의 흡입력을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데에 집중시켜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흡기배관몸체의 흡기 면적을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라돈가스의 흡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흡기방향 및 흡기면적의 제어를 통하여, 배기팬의 흡입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함으로써,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배출함으로써 배기팬에 사용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돈차단매트가 건축물의 저면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지반에서 발생하는 라돈가스가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라돈차단매트에 의해 유입이 차단된 라돈가스를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차단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차단매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건축물의 하부에 매설되는 라돈차단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라돈차단매트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돈 농도는 베크렐(Bq)이나 피코큐리(pCi)로 표한다. 베크렐은 방사성물질 국제표준 단위이며, 1초에 방사선 1개가 핵에서 한번 방출되는 것, 즉 1초 동안 하나의 방사성 붕괴가 일어나는 양을 나타낸다. 공기 중 라돈의 농도는 Bq/㎥이나 pCi/L로 표시하며, 1pCi/L 는 37 Bq/㎥ 에 해당하는 농도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제6조에 따른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에 의하면 실내 공기중 라돈의 농도를 148 Bq/㎥ 이하로 권고하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택,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지상 대기 중에 배출하기 위한 배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 및 배기관(2)이 건축물(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의 근방의 지반에 매립되어 건축물(4)의 아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한다. 배기팬(14)은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 내부의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관(2)은 ?노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의해 흡입된 라돈가스를 건축물(4)의 외부로 라돈 가스를 배출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배관조립체의 구성들의 연결부위는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밀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은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흡기배관몸체(11),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흡기구 중 일부 흡기구를 폐쇄하는 셔터(12), 셔터(12)가 레일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임으로써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셔터레일(13),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배기팬(14), 배기팬(14)이 고정되는 팬 고정 플레이트(15), 흡기배관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16), 배기팬(1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2), 흡기배관몸체(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17), 및 흡기배관몸체(11)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18)로 구성된다.
흡기배관몸체(11)는 측벽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흡기배관몸체(1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배관몸체(11)는 지반에 매립되고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지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한다.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는 전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흡기배관몸체(11)는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전방향으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기배관몸체(11)는 지면의 아래에 매립되기 때문에 흙과 같은 입자들이 흡기배관몸체(11)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흡기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배관몸체(11)는 측벽 전체가 촘촘한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그물망의 개구를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셔터(12)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곡면판 형태로 형성되고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흡기구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각 셔터(12)는 원호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곡면판으로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8개의 셔터(12)를 포함한다. 8개의 셔터(12)는 흡기배관몸체(11)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 중 상부 흡기영역에 맞닿는 4개의 셔터(12)와 흡기배관몸체(11)의 하부 흡기영역에 맞닿는 4개의 셔터(12)로 구성된다.
셔터(1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끼워져 외력에 의해 흡기배관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셔터(12)는 셔터레일(13)에 의해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에 삽입되고,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 중 일부 흡기구를 폐쇄할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셔터(1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과의 끼움 결합력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셔터레일(13) 각각은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각 셔터레일(13)은 양 측면에 횡단면“L”형의 돌출부(131)를 갖는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어 배치된다. 각 셔터레일(13)의 돌출부(131)와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 사이에는 셔터(12)의 측면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돌출부(131)와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홈에 셔터(12)의 측면 양단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셔터(12)가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셔터(12)가 흡기배관몸체(11)의 밀착되고 고정되어, 셔터(12)와 맞닿은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기구가 형성된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은 복수 개의 셔터레일(13)에 의해 복수 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된다.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은 복수 개의 셔터레일(13)의 개수만큼의 복수 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4개의 셔터레일(13)이 흡기배관몸체(11)에 배열되어 있고, 복수 개의 흡기구는 4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된다.
각 셔터(1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삽입된다. 셔터(12)의 양 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의 돌출부(131)와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삽입된 셔터(12)는 홈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삽입된 셔터(12)는 복수 개의 흡기영역 중 그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위치하는 흡기영역을 폐쇄한다. 복수 개의 셔터(12)가 모두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된 경우, 복수 개의 셔터(12)는 흡기배관몸체(11)의 복수 개의 흡기구 모두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8개의 셔터가 흡기배관몸체(11)에 모두 삽입되는 경우,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 모두가 폐쇄된다.
8개의 셔터 중 일부 셔터만을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하는 경우,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 중 셔터(12)와 맞닿은 부분에 위치한흡기구는 폐쇄되고, 셔터(12)와 맞닿지 않은 부분에 위치한 흡기구는 개방된다. 흡기배관몸체(11)는 셔터(12)와 맞닿지 않은 부분의 흡기구를 통하여, 이러한 흡기구가 개구된 방향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위치를 변경하여 흡기배관몸체(11)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셔터(12)가 삽입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특정방향에 존재하는 공기만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8개의 셔터(12) 중 일부 셔터만을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되는 셔터(12)의 개수에 따라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 중 개방되는 흡기영역의 면적이 가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8개의 셔터(12) 모두가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경우, 흡기배관몸체(11)의 복수 개의 흡기구 모두가 폐쇄되어, 흡기영역 면적은 0이 된다. 8개의 셔터(12) 전부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 전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 모두가 개방되어, 최대 흡기영역 면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8개의 셔터(12) 중 4개의 셔터가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경우, 흡기배관몸체(11)는 최대 흡기영역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흡기영역 면적을 가진다.
복수 개의 흡기구 중 개방되는 흡기영역 면적은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개수에 반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개수를 변경하여 흡기배관몸체(11)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영역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사용되는 배기팬(14)의 최대 출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흡기배관몸체(11)의 주변 공기의 흡입력은 한계가 있다. 흡기배관몸체(11)가 전방향으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배기팬(14)의 흡입력이 전방향으로 분산되어, 각 방향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느려진다. 이에 반하여, 흡기배관몸체(11)에 셔터(12)를 삽입하여 특정 방향을 향하는 흡기영역만 개방되도록 다른 흡기영역을 셔터(12)로 폐쇄하는 경우, 배기팬(14)의 흡입력이 개구된 흡기영역으로만 집중되어 특정 방향에 존재하는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흡기배관몸체(11)에 사용되는 배기팬(14)의 한정된 출력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흡기배관몸체(1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위치 및 개수를 조절하여, 흡기배관몸체(11)가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의 흡기영역 면적 및 흡기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흡기배관몸체(11)가 설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흡기배관몸체(11)가 라돈가스를 흡입하고자 하는 흡입방향과 흡입양을 조절하여, 건축물(4)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여 건축물(4)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4)의 실내로 라돈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4)의 좌측 지반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도면 상의 오른쪽(건축물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된 흡기영역만 개방되도록, 흡기배관몸체(11)의 4 개의 흡기영역 중에서 건축물(4) 측을 향해 있는 우측 흡기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 개의 흡기영역에 셔터(12)를 삽입할 수 있다. 건축물(4)의 우측 지반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도면 상의 왼쪽(건축물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된 흡기영역만 개방되도록, 흡기배관몸체(11)의 4 개의 흡기영역 중에서 건축물(4) 측을 향해 있는 좌측 흡기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 개의 흡기영역에 셔터(12)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를 설치하여 건축물 아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건출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기팬(14)은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팬(14)은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공간 중 흡기구가 형성되지 않은 무공형의 측벽 상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팬(14)은 흡기배관몸체(11)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배기팬(14)은 그것의 하측에 위치한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2)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기팬(14)은 흡기배관몸체(11)가 아닌 배기관(2) 내부에 삽입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팬 고정플레이트(15)는 평판링 형태로 형성되어 배기팬(14)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기팬(14)을 지지한다. 팬 고정플레이트(15)는 흡기배관몸체(11)의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과 배기팬(14)이 설치되는 부분을 분리한다. 팬 고정플레이트(15)의 중심에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원형 개구 상에 배기팬(14)의 프로펠러가 위치된다. 배기팬(14)은 팬 고정플레이트(15)의 중심에 형성된 원형 개구를 통해서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다.
상부 플랜지(16)는 원판형태로 중심에 개구가 형성되고 흡기배관몸체(11)의 상단에 결합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상측 개방면을 덮는다. 상부 플랜지(16)의 중심 개구에는 배기관(2)이 연결된다. 상부 플랜지(16)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배기팬(1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관(2)으로 흐르게 된다. 즉, 배기팬(14)에 의해 흡입된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는 상부 플랜지(16)의 개구를 통하여 배기관(2)으로 흘러 들어가고, 배기관(2)을 통해 건축물(4)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관(2)은 일단이 상부 플랜지(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상의 일정 높이 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배기관(2)의 일단은 흡기배관몸체(11)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배출구(21)가 연결된다. 배기관(2)은 배기팬(14)으로부터 흡입된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배출구(21)를 통하여 건축물(4)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관(2)에 의해 배출된 라돈가스가 건축물(4)의 창문, 환기구 등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4)로부터 가급적 멀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2)의 배출구(21)는 건축물(4)의 지붕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1 미터 이상)를 갖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2010년에 환경부가 발행한 ‘실내 라돈 저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지붕 위 최소 30 cm 이상, 창문 또는 건물 안의 다른 통로로부터 최소 3 m 이상에서 라돈가스를 배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2)의 타단의 배출구(21)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T” 형상의 관으로 제작함으로써 빗물이 배기관(2)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플랜지(17)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흡기배관몸체(11)의 하단에 결합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하측 개방면을 덮어 폐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배관몸체(11)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플랜지(17)는 흡기배관몸체(11)의 하측 개방면을 폐쇄하여, 흡기배관몸체(11)로 하여금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만을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복수 개의 지지다리(18)는 횡단면“L”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흡기배관몸체(11)의 하부 플랜지(17)와 결합됨으로써 흡기배관몸체(11)를 지지한다. 복수 개의 지지다리(18)는 흡기배관몸체(11)가 지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복수 개의 지지다리(18)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의 사용방식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는 원형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형 개구가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균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형 개구의 크기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배관몸체(11)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개구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원형 개구의 지름은 배기팬(14)과 각 개구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공기를 흡입하는 개구가 배기팬(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배기팬(14)에 의한 흡입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배기팬(14)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개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느려진다. 배기팬(14)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개구는 주변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각 원형 개구의 크기를 배기팬(14)과 각 개구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제조함으로써, 배기팬(14)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개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동일한 흡입력을 갖는 배기팬(14)에 의해 공기를 흡입할 때, 흡입되는 개구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증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배기팬(14)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개구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멀리 위치된 개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의 근방의 지반에 매설되어 지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라돈웰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4) 근처의 지반에 2개의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가 매설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의 좌측과 우측 지반에 각각 매설되어, 건축물(4)의 아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건축물(4)의 외부로 배출한다. 건축물(4)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흡기영역만 개방하고 나머지 흡기영역은 셔터(12)를 이용해 폐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도면 상 오른쪽 방향)의 흡기영역만 개방되고 나머지 흡기영역은 셔터(12)에 의해 폐쇄되고, 우측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건축물(4)의 우측을 향하는 방향(도면상 왼쪽 방향)의 흡기영역만 개방되고 나머지 흡기영역은 셔터(12)에 의해 폐쇄된다.
좌측에 매립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개방된 흡기영역을 통하여 건축물(4)의 좌측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고, 우측에 매립된 라돈가스용 배관조립체(1)는 개방된 흡기영역을 통하여 건축물(4)의 우측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배기팬(14)에 의한 흡입력을 건축물(4)이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데에 집중되도록, 건축물(4)의 하부를 향하는 흡기영역만 개방하여 건축물(4)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여 배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다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배기팬(14)의 제한된 흡입력 하에서 건축물의 하부 지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라돈가스가 건축물(4)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차단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a)는 라돈차단매트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라돈차단매트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건축물(4)의 하부에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가 설치되어, 지반으로부터 올라오는 라돈가스가 건축물(4)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라돈차단매트(3)는 라돈가스가 건축물(4)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매트(31), 건축물(4)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라돈가스가 포집되는 공간(33)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기둥(32), 및 건축물(4)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33)에 포집된 라돈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로 구성된다.
사각매트(3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라돈가스를 포함한 유해물질이 건축물(4)의 실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 레진 또는 금속재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둥(3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매트(31)의 저면에 결합된다. 복수 개의 기둥(32)은 사각매트(31)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빈 공간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기둥(32)에 의해 형성된 공간(33)에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라돈가스가 포집된다.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사각매트(31)의 저면에 결합되어 사각매트(31)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빈 공간에 포집된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라돈차단매트(3)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라돈차단매트(3)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의 복수 개의 흡기구의 개방된 흡기영역의 흡기방향을 가변하여 빈 공간(33)에 포집된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차단매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건축물(4)과 건축물(4)의 하부에 설치된 라돈차단매트(3)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건축물(4)과 건축물(4)의 하부에 설치된 라돈차단매트(3)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면에 건축물(4)이 건설되고, 건축물(4)의 하부에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가 결합되어 매립된다. 건축물(4)의 하부에 매립된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는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라돈가스가 건축물(4)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라돈차단매트(3)에 의해 형성된 건축물(4)의 하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33)에 라돈가스를 포집한다.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에 의해 형성된 건축물(4)의 하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포집된 라돈가스는 라돈차단매트(3)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돈차단매트(3)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라돈차단매트(3)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의 흡기방향을 상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8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건축물의 하부에 매설되는 라돈차단매트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라돈차단매트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10를 참조하면, 건축물(4)의 하부에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가 설치되고,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에서 4 개의 모서리와 중앙에 배치된 라돈차단매트(3) 각각은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를 포함한다. 라돈차단매트(3)에 포함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는 라돈차단매트(3)에 의해 형성된 건축물의 하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포집된 라돈가스를 흡입하고, 배기관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한다.
복수 개의 라돈차단매트(3)에 설치된 5 개의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는 건축물의 하부의 공간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흡기하기 위하여 각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에 삽입되는 셔터(12)의 개수와 위치를 조절하여 개방된 흡기영역의 방향 및 크기를 상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4, 105)는 건축물의 하부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흡기영역을 개방하고 나머지 흡기영역을 셔터로 폐쇄한다.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4, 105)는 개방된 흡기영역을 통하여 건축물의 바로 아래 공간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고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건축물의 중심부 하단에 배치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3)는 전방향의 흡기영역을 개방하여 전방향으로 라돈가스를 흡입한다.
각 모서리에 배치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4, 105)는 건축물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고, 중심에 배치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3)는 건축물의 중심의 아래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각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와 연결된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01, 102, 103, 104, 105)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흡기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건축물 하부로 향하는 라돈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라돈가스를 흡입하는 흡기방향 및 면적을 조절하여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라돈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실내로 라돈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위치를 조절하여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사용되는 배기팬(14)의 제한된 흡입력을 소정의 흡기방향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제한된 출력 하에서 종래의 라돈가스 제거 장치들 보다 에너지 효율적으로 건축물(4)의 하부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에 삽입되는 셔터(12)의 개수에 따라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의 흡기 면적을 조절하여 라돈가스가 흡입되는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특정 방향을 향해 개방된 흡기구의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라돈가스를 빠른 속도로 흡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는 동일한 전력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위치의 라돈가스를 빠르게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11: 흡기배관몸체 12: 셔터
13: 셔터레일 14: 배기팬
15: 팬 고정 플레이트 16: 상부 플랜지
17: 하부 플랜지 18:지지다리
2: 배기관 21: 배출구
3: 라돈차단매트 31: 사각매트
32: 기둥
4: 건축물

Claims (7)

  1. 측벽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흡기구를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배관몸체(11);
    각각 동일한 크기의 곡면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를 모두 폐쇄하는 복수 개의 셔터(12) 중 적어도 하나의 셔터(12); 및
    각각이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셔터레일(13)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가 형성된 측벽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13)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셔터(12)의 개수만큼의 복수 개의 흡기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 셔터(12)는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13)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기영역 중 상기 각 셔터(12)와 맞닿아 있는 흡기영역을 폐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13)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셔터(12)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복수 개의 흡기구 중 라돈가스 흡기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흡기구의 흡기영역 면적 및 흡기 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셔터레일(13) 각각은 양 측면에 횡단면 “L“형의 돌출부(131)를 갖고,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셔터(12)의 측면 일단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12)의 측면 양단 각각이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 사이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12)가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1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끼워져 외력에 의해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끼워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셔터(12)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과의 끼움 결합력에 의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셔터레일(13)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4); 및
    일단이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1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팬(14)은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관(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 공기압이 낮아지고,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개방된 흡기영역을 통하여 라돈가스가 상기 흡기배관몸체(11)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의 타단에 연결되어, 라돈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21)는 상기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흡기구 각각의 크기는 상기 배기팬(14)과 각 흡기구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7. 건축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실내로 라돈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라돈차단매트에 있어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라돈가스를 차단하는 사각매트(31);
    원통형태로 상기 사각매트(3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라돈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기둥(32); 및
    제 1 항에 따른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차단매트.
KR1020180075775A 2018-06-29 2018-06-29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KR10193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75A KR101933568B1 (ko) 2018-06-29 2018-06-29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75A KR101933568B1 (ko) 2018-06-29 2018-06-29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568B1 true KR101933568B1 (ko) 2019-04-05

Family

ID=6610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75A KR101933568B1 (ko) 2018-06-29 2018-06-29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500A (en) * 1989-04-10 1992-01-28 Superior Environmental Services, Inc. Rad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5697437A (en) * 1995-12-07 1997-12-16 Lockheed Idaho Technologies Company System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 soil-gas vapors
KR101027076B1 (ko) * 2010-03-22 2011-04-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축 실내에 유입되는 라돈가스를 저감하는 탈기장치
KR20120100532A (ko) * 2011-03-04 2012-09-1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라돈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500A (en) * 1989-04-10 1992-01-28 Superior Environmental Services, Inc. Rad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5697437A (en) * 1995-12-07 1997-12-16 Lockheed Idaho Technologies Company System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 soil-gas vapors
KR101027076B1 (ko) * 2010-03-22 2011-04-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축 실내에 유입되는 라돈가스를 저감하는 탈기장치
KR20120100532A (ko) * 2011-03-04 2012-09-1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라돈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43B1 (ko)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US5064457A (en) Particulate containment control system
KR102117535B1 (ko)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KR102553925B1 (ko) 조리흄 제거장치
KR201800638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33568B1 (ko) 라돈가스흡기용 배관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라돈차단매트
KR101724383B1 (ko) 방사능 측정 시스템
KR100785400B1 (ko)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US4801312A (en) Laminar air flow hazardous materials abatement method and system
KR102034666B1 (ko) 방사성 물질 흡착 필터링 장치
KR102656775B1 (ko) 창호형 환기장치
US20050048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against nuclear, biological and chemical (nbc) contamination
KR101404433B1 (ko) 방사성 라돈 가스 피폭 방지기능을 구비한 실내 오염물질 배기 제어시스템
US20040166795A1 (en) Airlock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toxic-free area
JP4796584B2 (ja) 抗原曝露室システム
KR100852765B1 (ko) 환기 캡 및 이를 적용한 환기장치
KR101374544B1 (ko) 방사성 라돈 가스 피폭 방지기능을 구비한 실내 오염물질 배기 제어시스템
KR101717267B1 (ko)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배기식 클린 시약장
KR20180076711A (ko) 방사성 기체 및 먼지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환기장치
KR101965901B1 (ko) 방사능 측정 장치
JP2001033072A (ja) 換気システム
KR101191732B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2015013906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216007940U (zh) 伽马刀机房的防漏射结构
KR20150002800U (ko) 라돈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