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32B1 -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 Google Patents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32B1
KR101191732B1 KR20100060805A KR20100060805A KR101191732B1 KR 101191732 B1 KR101191732 B1 KR 101191732B1 KR 20100060805 A KR20100060805 A KR 20100060805A KR 20100060805 A KR20100060805 A KR 20100060805A KR 101191732 B1 KR101191732 B1 KR 10119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smoke
stairs
evacuation stairs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441A (ko
Inventor
김동기
손명기
Original Assignee
김동기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기,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동기
Priority to KR2010006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32B1/ko
Priority to PCT/KR2010/007401 priority patent/WO2011162450A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E04F17/023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made of masonry,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Insulating measures and joi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출입구와,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과,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과,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과,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Structure for refuge stair case with an exhaust duct}
본 발명은 건물의 피난계단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시켜 주는 피난계단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행 건축법 및 소방법령상 건물(일반건물은 11층이상, 공동주택은 16층이상)의 경우 계단은 피난계단실로 규정되어 있고, 피난계단 전실 및 피난계단실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고 피난계단 전실에 제연설비를 설치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가 피난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제연설비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은 각 층에 거실(31), 피난계단 전실(32) 및 피난계단실(33)로 되어 있다. 피난계단 전실(32)에는 거실(31)과 연결되는 출입구(32a)와 제연설비(1)가 설치되어 있다. 피난계단실(33)에는 피난계단 전실(32)과 연결되는 출입구(33a)와 출입구(33a)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33b)과 출입구(33a)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33c)과 제1 피난계단(33b)과 제2 피난계단(33c)을 연결하는 층계참(33d)을 포함한다.
제연설비(1)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용 송풍기(11)와, 급기용 송풍기(11)에서 흡입된 공기를 각 층의 피난계단 전실(32)로 안내하는 급기덕트(12)와, 급기댐퍼(13)와, 화재시 피난을 위한 제연구역의 출입구(32a, 33a)와, 배출용 송풍기(21)와, 배출덕트(22)와, 배출댐퍼(23)로 되어 있다.
피난계단 전실(32)에 설치되는 제연설비(1)는 연기 감지기 등에 의하여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발생된 연기가 제연구역, 즉 피난계단 전실(32)과 피난계단실(3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된다. 소방법령에 따르면, 피난계단 전실(32)과 거실(31)의 차압은 40~60파스칼로 유지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피난계단 전실(32)의 기압을 화재가 발생한 거실(31)의 기압보다 40~60파스칼 높게 유지하여 거실(31)의 연기가 피난계단실(33)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를 송전하는 전선이 소실되면서 엘리베이터 작동은 물론 전기로 운전되는 안전 시스템 대부분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화재가 발생한 층에 있는 사람들은 연기를 피해 제연구역, 즉 피난계단 전실과 피난계단실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피난계단실로 몰려들어 출입구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층의 거실과 피난계단 전실 사이에 차압이 유지되지 않게 되며, 피난계단실은 피난을 위한 구역이 아니라 굴뚝과 같은 구역이 된다. 이에 피난계단실은 화재가 발생한 층을 포함한 상부층 전체가 유독가스와 연기로 가득차게 되어 버리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단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2의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가 일어난 층에서 발생한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고,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피난계단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출입구와,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과,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과,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과,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배기덕트가 공간부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연기구멍을 통해 유입된 연기를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연기구멍을 통해 피난계단실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의 제1 피난계단 공간을 통해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부와, 피난계단실의 제2 피난계단 공간을 통해 연기가 하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연기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구멍과 피난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층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에 설치되는 배기덕트가 피난계단실로 유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피난계단실을 통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배기덕트 내부에 가림막을 설치함으로써, 하부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상부층의 피난계단실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에 연기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연기가 배기덕트로 쉽게 유입되도록 하고,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피난용 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화재발생층의 상부층에 있는 사람들이 화재발생층의 피난계단을 통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제연설비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예,
도 2 는 도 1의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평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
도 4b 는 도 4a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 7a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 7b 는 도 7a의 평면도,
도 7c 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피난계단실 내 층계참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
도 8a 내지 도 8d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 9a,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부를 도시한 일 실시예,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한 모범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고, 도 4b 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41) 및 피난계단실(42)을 포함한다. 피난계단실(42)은 피난계단 전실(41)과 연결되는 출입구(421)와, 출입구(4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422)과, 출입구(4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423)과, 제1 피난계단(422)과 제2 피난계단(423)을 연결하는 층계참(424)과, 배기덕트(425)를 포함한다.
배기덕트(425)는 피난계단실(42)로 유입된 연기가 통과하는 연기구멍(425a)과 연기구멍(425a)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425b)를 포함한다. 일례로, 배기덕트(425)는 피난계단실(42)의 제1 피난계단(422)과 제2 피난계단(4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425)는 그 내부에 가림막(425c)과 송풍팬(425d, 425e)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림막(425c)은 공간부(425b)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연기구멍(425a)을 통해 피난계단실(42)로부터 유입된 연기가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연기구멍(425a)을 통해 피난계단실(4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송풍팬(425d, 425e)은 배기덕트(425)의 공간부(425b)에 유입된 연기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도록 해주는 것으로, 일례로, 공간부(425b) 중앙에 설치되는 송풍팬(425d)과, 연기구멍(425a) 입구에 설치되는 송풍팬(425e)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먼저, 도 5 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51)과, 피난계단실(52)를 포함한다. 피난계단실(52)은 피난계단 전실(51)과 연결되는 출입구(521)와, 출입구(5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522)과, 출입구(5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523)과, 제1 피난계단(522)과 제2 피난계단(523)을 연결하는 층계참(524)과, 배기덕트(525-1, 525-2)를 포함한다.
배기덕트(525-1, 525-2)는 피난계단실(42)로 유입된 연기가 통과하는 연기구멍(525a)과 연기구멍(525a)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525b)를 포함한다. 배기덕트(525-1, 525-2)는 그 내부에 가림막(525c)과 송풍팬(525d, 525e)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림막(525c)은 공간부(525b)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연기구멍(525a)을 통해 피난계단실(52)로부터 유입된 연기가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연기구멍(525a)을 통해 피난계단실(5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송풍팬(525d, 525e)은 배기덕트(525-1, 525-2)의 공간부(525b)에 유입된 연기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도록 해준다.
배기덕트(525-1, 525-2)는 제1 피난계단(522)과 제2 피난계단(523) 사이에 제1 배기덕트(525-1)와, 피난계단실(42)의 출입구(421)의 좌측에 제2 배기덕트(525-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2 배기덕트(525-2)가 피난계단실(52)의 출입구(521)의 좌측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배기덕트(525-2)는 피난계단실(52)의 출입구(521)의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61)과, 피난계단실(62)를 포함한다. 피난계단실(62)은 피난계단 전실(61)과 연결되는 출입구(621)와, 출입구(6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622)과, 출입구(6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623)과, 제1 피난계단(622)과 제2 피난계단(623)을 연결하는 층계참(624)과, 배기덕트(625-2)를 포함한다.
배기덕트(625-2)는 피난계단실(62)의 출입구(621)의 좌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기덕트(625-2)는 피난계단실(62)의 출입구(621)의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배기덕트(625-2)는 피난계단실(62)로 유입된 연기가 통과하는 연기구멍(625a)과 연기구멍(625a)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625b)를 포함한다. 배기덕트(625-2)는 그 내부에 가림막(625c)과 송풍팬(625d, 625e)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림막(625c)은 공간부(625b)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연기구멍(625a)을 통해 피난계단실(62)로부터 유입된 연기가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공간부(625b)의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연기구멍(625a)을 통해 피난계단실(4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송풍팬(625d, 625e)은 배기덕트(625-2)의 공간부(625b)에 유입된 연기가 위로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도록 해준다.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고, 도 7b 는 도 7a의 평면도이고, 도 7c 는 층계참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71) 및 피난계단실(72)을 포함한다. 피난계단실(72)은 피난계단 전실(71)과 연결되는 출입구(721)와, 출입구(7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722)과, 출입구(7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723)과, 제1 피난계단(722)과 제2 피난계단(723)을 연결하는 층계참(724)과, 배기덕트(725)를 포함한다.
배기덕트(725)는 피난계단실(72)로 유입된 연기가 통과하는 연기구멍(725a)과 연기구멍(725a)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725b)를 포함한다. 일례로, 배기덕트(725)는 피난계단실(72)의 제1 피난계단(722)과 제2 피난계단(7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725)는 그 내부에 가림막(725c)과 송풍팬(725d, 725e)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림막(725c)은 공간부(725b)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연기구멍(725a)을 통해 피난계단실(72)로부터 유입된 연기가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공간부(725b)의 아래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연기구멍(725a)을 통해 피난계단실(7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송풍팬(725d, 725e)은 배기덕트(725)의 공간부(725b)에 유입된 연기가 위로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도록 해준다.
도 7a, 도 7b,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층계참(724)의 바닥에 피난 구멍(724a)이 형성되며, 이 피난 구멍(724a)에 삽입되어 하부층의 층계참(724)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726)와 펜스(727)를 더 포함한다.
피난용 이동장치(726)는 화재가 발생한 층의 상부층 피난계단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층의 피난계단실의 제1, 제2 피난계단(722, 723)을 이용하지 않고도 화재를 피해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 일례로 그 구조는 수직 또는 곡선형태의 막대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피난용 이동장치(726)는 2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 피난용 이동장치(726)는 막대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끄럼틀과 같은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층계참(724)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구멍(724a)은 밀폐기구, 예컨대 뚜껑으로 닫혀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펜스(727)는 피난용 이동장치(726)를 보호하며, 화재 발생시 개방된다. 펜스(727)는 일례로 투명한 유리문이나 철재문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람이 미는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81) 및 피난계단실(82)을 포함한다. 피난계단실(82)은 피난계단 전실(81)과 연결되는 출입구(821)와, 출입구(8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822)과, 출입구(8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823)과, 제1 피난계단(822)과 제2 피난계단(823)을 연결하는 층계참(824)과, 배기덕트(825, 825-2)와, 피난용 이동장치(826)와, 펜스(827)와, 연기 차단부(828a, 828b)를 포함한다.
배기덕트(825, 825-2)는 연기구멍(825a)과 연기구멍(825a)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825b)와 가림막(825c)과 송풍팬(825d, 825e)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난용 이동장치(826)는 화재가 발생한 층의 상부층 피난계단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층의 피난계단실의 제1, 제2 피난계단(822, 823)을 이용하지 않고도 화재를 피해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 일례로 그 구조는 수직 또는 곡선형태의 막대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미끄럼틀과 같은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피난용 이동장치(826)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난계단실(82)의 출입구(82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펜스(827)는 피난용 이동장치(826)를 보호하며, 화재 발생시 개방된다. 펜스(827)는 일례로 투명한 유리문이나 철재문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람이 미는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기 차단부(828a, 828b)는 화재가 일어난 층에서 발생한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피난계단실(82)의 제1 피난계단(822) 공간을 통해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부(828a)와, 피난계단실(82)의 제2 피난계단(823) 공간을 통해 연기가 하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연기 차단부(828b)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기 차단부(828a)는 제1 피난계단(822)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연기 차단부(828b)는 제2 피난계단(823)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기 차단부(828b)는 출입구(821)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벽체(82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벽체(829)는 제1 피난계단(822)과 제2 피난계단(823) 사이의 틈을 벽으로 막아 연기가 상부층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출입구가 2개이고, 각 출입구는 층계참(824)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2개의 층계참(824-1, 824-2)이 형성되고, 2개의 층계참(824-1, 824-2) 사이에는 피난계단(822-1)이 형성된다.
도 9a,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부를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9a,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기 차단부(90)는 상부 차단막(91)과, 상부 차단막(91)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92a)과, 상부 차단막(91)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9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차단막(91)은 보빈(93)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보빈(93)은 모터(9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 역회전 구동된다. 제1 하부 차단막(92a)과 제2 하부 차단막(92b)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되어, 피난자는 겹쳐진 제1 하부 차단막(92a)과 제2 하부 차단막(92b) 사이를 벌리고 나갈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부 차단막(91)과 제1 하부 차단막(92a)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현되고, 제2 하부 차단막(92b)은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110) 및 피난계단실(120)을 포함한다. 피난계단실(120)은 피난계단 전실(110)과 연결되는 출입구(121)와, 피난계단(122)과, 연기 차단부(123)과, 층계참(124)과, 배기덕트(125)와, 피난용 이동장치(126)와, 펜스(127)와, 연기 가이드부(128)을 포함한다.
연기 가이드부(128)은 피난계단실(120)에 유입된 연기를 배기덕트(125)의 연기구멍(120)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피난계단실(120)의 출입구(121) 상부 공간으로부터 배기덕트(125)의 연기구멍(120)까지 설치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41: 피난계단 전실
42: 피난계단실
421: 출입구 422: 제1 피난계단
423: 제2 피난계단 424: 층계참
425: 배기덕트
425a: 연기구멍 425b: 공간부
425c: 가림막 425d, 425e: 송풍팬

Claims (18)

  1. 출입구;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
    상기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 및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덕트는, 각 층의 상기 출입구들을 통해 유입된 연기가 통과하는 연기구멍들 및 상기 연기구멍들을 통과한 연기를 건물 외부로 안내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가: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배기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가:
    상기 출입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제2 배기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가:
    상기 공간부가 맞닿는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연기구멍을 통해 유입된 연기를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연기가 상기 연기구멍을 통해 피난계단실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가:
    상기 연기구멍을 통해 유입된 연기가 신속하게 위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상기 배기덕트의 연기구멍으로 안내하는 연기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제1 피난계단의 공간을 통해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기 차단부가:
    상부 차단막;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 및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차단막과 제2 하부 차단막이 서로 겹쳐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제2 피난계단의 공간을 통해 연기가 하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연기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기 차단부가:
    상부 차단막;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 및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의 바닥에는 피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피난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층의 피난계단실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의 바닥에는 피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피난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층의 피난계단실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가,
    상기 피난계단실의 출입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가,
    상기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의 출입구가:
    상기 층계참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를 보호하며, 화재 발생시 개방되는 펜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8.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 사이에 형성되는 벽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KR20100060805A 2010-06-25 2010-06-25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119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805A KR101191732B1 (ko) 2010-06-25 2010-06-25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PCT/KR2010/007401 WO2011162450A1 (ko) 2010-06-25 2010-10-27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805A KR101191732B1 (ko) 2010-06-25 2010-06-25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41A KR20120000441A (ko) 2012-01-02
KR101191732B1 true KR101191732B1 (ko) 2012-10-16

Family

ID=4537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0805A KR101191732B1 (ko) 2010-06-25 2010-06-25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1732B1 (ko)
WO (1) WO2011162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674A (zh) * 2017-03-22 2017-06-13 无锡市卡德姆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空间利用型户外消防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10032U (zh) * 2012-04-23 2013-03-20 邱楚盛 逆烟楼梯
CH715247A1 (de) * 2018-08-14 2020-02-14 Jomos Brandschutz Ag Druckabschirmungssystem zur Aufrechterhaltung des Druckunterschieds an einer Öffnung eines Gebäudes zwischen zwei Bereichen mit unterschiedlichem Dru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571A (ja) 2004-08-04 2006-02-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バグフィルタ用ダク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319A (ja) * 1993-04-28 1994-11-08 Nkk Corp 地下連絡立坑内の非常用螺旋階段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KR100893205B1 (ko) * 2007-08-21 2009-04-16 윤명오 급기가압 제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571A (ja) 2004-08-04 2006-02-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バグフィルタ用ダク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674A (zh) * 2017-03-22 2017-06-13 无锡市卡德姆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空间利用型户外消防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62450A1 (ko) 2011-12-29
KR20120000441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1191732B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247847B1 (ko)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929B1 (ko)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90043669A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US3915258A (en) Escape system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CN102380174B (zh) 一种消防逃生系统
KR20190038050A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101202311B1 (ko)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KR20160131512A (ko)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KR102447913B1 (ko) 누기량 성능이 개선된 자동 차압 제연급배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