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311B1 -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 Google Patents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311B1
KR101202311B1 KR1020100060806A KR20100060806A KR101202311B1 KR 101202311 B1 KR101202311 B1 KR 101202311B1 KR 1020100060806 A KR1020100060806 A KR 1020100060806A KR 20100060806 A KR20100060806 A KR 20100060806A KR 101202311 B1 KR101202311 B1 KR 10120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stairs
smoke
entrance
evacuation st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442A (ko
Inventor
김동기
손명기
Original Assignee
김동기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기,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동기
Priority to KR102010006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3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 전실과, 피난계단 전실과 연결되는 출입구와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과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과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을 포함하는 피난계단실과,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Structure for refuge stair case to block off smoke}
본 발명은 피난계단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여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행 건축법 및 소방법령상 고층건물(일반건물은 11층이상, 공동주택은 16층이상)의 경우 계단은 화재발생시 피난을 위한 피난계단으로 규정되어 있고, 피난계단 전실 및 피난계단실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고 피난계단 전실에 제연설비를 설치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가 피난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제연설비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은 각 층에 거실(31), 피난계단 전실(32) 및 피난계단실(33)을 포함한다. 피난계단 전실(32)에는 거실(31)과 연결되는 출입구(32a)와 제연설비(1)가 설치되어 있고, 피난계단실(33)에는 피난계단 전실(32)과 연결되는 출입구(33a)와 출입구(33a)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33b)과 출입구(33a)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33c)과 제1 피난계단(33b)과 제2 피난계단(33c)을 연결하는 층계참(33d)을 포함한다.
제연설비(1)는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용 송풍기(11)와, 급기용 송풍기(11)에서 흡입된 공기를 각 층의 피난계단 전실(32)로 안내하는 급기덕트(12)와, 급기댐퍼(13)와, 배출용 송풍기(21)와, 화재시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구(32a, 33a)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또는 피난계단 전실(32)과 거실(31)의 차압에 따라 피난계단 전실(32)에서 거실(31)로 누설되는 유입공기를 옥외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22)와, 배출댐퍼(23)를 포함한다.
피난계단 전실(32)에 설치되는 제연설비(1)는 연기 감지기 등에 의하여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발생된 연기가 제연구역, 즉 피난계단 전실(32)과 피난계단실(3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된다. 소방법령에 따르면, 피난계단 전실(32)과 거실(31)의 차압은 40~60파스칼로 유지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피난계단 전실(32)의 기압을 화재가 발생한 거실(31)의 기압보다 40~60파스칼 높게 유지하여 거실(31)의 연기가 피난계단실(33)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를 송전하는 전선이 소실되면서 엘리베이터 작동은 물론 전기로 운전되는 안전 시스템 대부분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화재가 발생한 층에 있는 사람들은 연기를 피해 제연구역, 즉 피난계단 전실과 피난계단실로 피난하게 되고, 이때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피난계단실로 몰려들어 출입구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층의 거실과 피난계단 전실 사이에 차압이 유지되지 않게 되며, 피난계단실은 피난을 위한 구역이 아니라 굴뚝과 같은 구역이 된다. 이에 종래 건물의 피난계단실은 화재가 발생한 층을 포함한 상부층 전체를 유독가스와 연기로 가득차게 만들어 버리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가 발생하여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연기 차단막이 설치된 피단계단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가 발생하여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면서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피단계단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출입구와,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과,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과,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과,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구멍과 피난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층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에 연기 차단부가 설치됨으로써, 화재로 인해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피난용 이동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제연설비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예,
도 2 는 도 1의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평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
도 4b 는 도 4a의 평면도,
도 4c 는 도 4b의 층계참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예,
도 5a,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부을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한 모범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고, 도 4b 는 도 4a의 평면도이고, 도 4c 는 도 4b의 층계참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는 크게 피난계단 전실(41) 및 피난계단실(42)을 포함한다. 피난계단실(42)은 피난계단 전실(41)과 연결되는 출입구(421)와, 출입구(421)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422)과, 출입구(421)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423)과, 연기 차단부(424)와, 제1 피난계단(422)과 제2 피난계단(423)을 연결하는 층계참(425)을 포함한다.
연기 차단부(424)는 화재가 발생하여 피난계단실로 들어온 연기가 다른 층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피난계단실(42)의 출입구(421)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부(424a)와, 피난계단실(42)의 출입구(421)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하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연기 차단부(424b)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기 차단부(424a)는 제1 피난계단(422)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연기 차단부(424b)는 제2 피난계단(423)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연기 차단부(424b)는 출입구(421)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는 피난용 이동장치(426)와 펜스(42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피난용 이동장치(426)는 화재가 발생한 층의 상부층 피난계단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층의 피난계단실의 제1, 제2 피난계단(422, 423)을 이용하지 않고도 화재를 피해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 그 구조는 수직 또는 곡선형태의 막대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피난용 이동장치(426)는 2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에서 피난용 이동장치(426)는 막대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끄럼틀과 같은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층계참(425)의 바닥에 형성되는 피난 구멍(425a)은 밀폐기구, 예컨대 뚜껑으로 닫혀 있도록 할 수 있다.
피난용 이동장치(426)는 일례로, 층계참(425)의 바닥에 피난 구멍(425a)이 형성되며, 피난 구멍(425a)에 삽입되어 하부층의 층계참(425)의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난용 이동장치(426)는 피난계단실(42)의 출입구(42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427)는 피난용 이동장치(426)를 보호하며, 화재 발생시 개방된다. 펜스(427)는 일례로, 투명한 유리문이나 철재문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람이 미는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는 벽체(42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벽체(428)는 제1 피난계단(422)과 제2 피난계단(423) 사이의 틈을 벽으로 막아 연기가 상부층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5a,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계단실 구조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부를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기 차단부(50)는 상부 차단막(51)과, 상부 차단막(51)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52a)과, 상부 차단막(51)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5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차단막(51)은 보빈(53)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보빈(53)은 모터(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 역회전 구동된다. 제1 하부 차단막(52a)과 제2 하부 차단막(52b)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되어, 피난자는 겹쳐진 제1 하부 차단막(52a)과 제2 하부 차단막(52b) 사이를 벌리고 나갈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부 차단막(51)과 제1 하부 차단막(52a)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현되고, 제2 하부 차단막(52b)은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41: 피난계단 전실
42: 피난계단실
421: 출입구 422: 제1 피난계단
423: 제2 피난계단 424: 연기 차단부
424a: 제1 연기 차단부 424b: 제2 연기 차단부
425: 층계참 425a: 피난 구멍
426: 피난용 이동장치
427: 펜스
428: 벽체

Claims (11)

  1. 출입구;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부층과 연결되는 제1 피난계단;
    상기 출입구로부터 하부층과 연결되는 제2 피난계단;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 사이에 형성되는 벽체;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을 연결하는 층계참; 및
    상기 제1 피난계단 위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상기 제1 피난계단을 통하여 상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연기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기 차단막이:
    상부 차단막;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 및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차단막과 제2 하부 차단막이 서로 겹쳐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제2 피난계단 위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기가 상기 제2 피난계단을 통하여 하부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연기 차단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기 차단막이:
    상부 차단막;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1 하부 차단막; 및
    상기 상부 차단막에 연결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제2 하부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차단막과 제2 하부 차단막이 서로 겹쳐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가,
    상기 제1 피난계단과 제2 피난계단 사이의 틈을 막아 연기가 상부층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의 바닥에는 피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피난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층의 피난계단실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피난용 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가:
    상기 피난계단실의 출입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제1 피난용 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가:
    상기 피난계단실의 층계참에 설치되는 제2 피난용 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계단실 구조가:
    상기 피난용 이동장치를 보호하며, 화재 발생시 개방되는 펜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계단실 구조.
KR1020100060806A 2010-06-25 2010-06-25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120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06A KR101202311B1 (ko) 2010-06-25 2010-06-25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06A KR101202311B1 (ko) 2010-06-25 2010-06-25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42A KR20120000442A (ko) 2012-01-02
KR101202311B1 true KR101202311B1 (ko) 2012-11-16

Family

ID=4560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806A KR101202311B1 (ko) 2010-06-25 2010-06-25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926B (zh) * 2014-03-25 2016-03-02 美信佳集团建设有限公司 高层建筑楼梯间防火扼落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543A (ja) 2004-03-01 2005-09-15 Nohmi Bosai Ltd 階段室用排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543A (ja) 2004-03-01 2005-09-15 Nohmi Bosai Ltd 階段室用排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42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191732B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1202311B1 (ko) 연기 차단부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20110077895A (ko)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CN102380174B (zh) 一种消防逃生系统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JP4889594B2 (ja) 火災時避難エレベーター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JPH09287787A (ja) 排煙制御システム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JP6842278B2 (ja) 集合住宅
KR102368341B1 (ko) 계단실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 시스템
JPH07116279A (ja) 排煙方法及び排煙設備
JP2003334261A (ja) アトリウムの防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