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75B1 -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 Google Patents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75B1
KR101933375B1 KR1020180011973A KR20180011973A KR101933375B1 KR 101933375 B1 KR101933375 B1 KR 101933375B1 KR 1020180011973 A KR1020180011973 A KR 1020180011973A KR 20180011973 A KR20180011973 A KR 20180011973A KR 101933375 B1 KR101933375 B1 KR 10193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dle
elevating
wrapp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8001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65C9/04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having means for ro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between a single screw and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풋컨베이어(11)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B)를 그대로 직선형으로 받아, 즉 용기(B)를 랩핑직선구간(L)으로 그대로 받아 랩핑시킨 후 아웃풋컨베이어(12)로 간단히 배출토록 설계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설비비를 대폭 감소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WRAPPING MACHINE OF CONTRACTION FILM FOR BOTTLE}
본 발명은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풋컨베이어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그대로 직선형으로 받아, 즉 용기를 랩핑직선구간으로 그대로 받아 랩핑시킨 후 아웃풋컨베이어로 간단히 배출토록 제안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설비비의 대폭 감소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Bottle; PET 병, 유리병, 캔 등)는 음료나 물을 담아 보관하는 것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유리로 제작된다.
이러한 용기는 다양한 광고문안이 인쇄된 수축필름이 씌워져 그 속에 담겨진 음료나 물의 성질, 상품명 또는 가격 등을 소비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수축필름은 용기에 씌워진 후 자동화 공정에 의한 스팀공간 속으로 들어가면서 순간적으로 수축되어 용기와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1e는 및 도 1f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컨베이어(11)에 의해 일렬로 이송되는 열수축 라벨지(2)가 씌워진 용기(1)를 가이드휠(12)에 의해 입출시키는 용기입출부(10); 용기입출부(10)의 후방에 설치되며 가이드휠(12)에 의해 입출되는 용기(1)를 회전이송하도록 베이스테이블(50)을 관통하도록 기립 설치되는 하부회동축(21) 및 상부회동축(22)과, 하부회동축(21)에 축설되며 인입되는 용기(1)가 안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척(23a)이 구비된 턴테이블(23)과, 상부회동축(22)에 축설되는 상부본체(24)로 구성된 회전이송부(20); 상부본체(24)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턴테이블(23)의 회전척(23a)과 일대일 형성되도록 환상 배열되는 다수의 승강로드(31)와, 승강로드(31)의 하단부에 형성된 분사구(32a)를 갖는 클램프노즐(32)과, 클램프노즐(32)의 외주면에 공기 또는 냉각공기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공급호스(33)가 체결되어 용기(1)의 주입구를 개폐하며 분사구(32a)를 통해 스팀에 의한 라벨지(2)의 수축과정에서 용기(1)의 형태변형이 방지되도록 공기 또는 냉각공기 중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클램핑수단(30); 용기입출부(10)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용기(1)에 라벨지(2)가 부착되도록 스팀챔버를 형성하는 스팀증착부(40);를 포함하며, 스팀증착부(40)는 상부본체(24)와 턴테이블(23) 사이에 설치되는 만곡된 형상의 스팀분사부(41)와, 스팀분사부(41)의 내측에 수개의 스팀분사노즐(42a)이 상하 일렬로 형성되며, 호형의 스팀분사부(41)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을 두고 내향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스팀분사열(42)과, 스팀분사부(41)로부터 분사되는 고열의 스팀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기(1) 주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챔버(4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는 열수축 라벨지(2)가 씌워진 용기(1)를 회전시키면서 스팀증착부(40)의 스팀으로 랩핑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1)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잡한 구성, 즉 회전척(23a)과 함께 회전되는 턴테이블(23) 그리고 베이스테이블(50)을 관통하여 기립되는 하부회동축(21) 및 상부회동축(22) 더 나아가 회전이송부(20)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고가의 설비투자가 필요로 함은 물론이거니와 유지보수의 어려움 나아가 잦은 고장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24647호 -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인풋컨베이어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그대로 직선형으로 받아, 즉 용기를 랩핑직선구간으로 그대로 받아 랩핑시킨 후 아웃풋컨베이어로 간단히 배출토록 설계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설비비의 대폭 감소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풋컨베이어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그대로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으로 유도하여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자리회전수단을 통한 용기의 회전과 더불어 스팀노즐의 분무로서 수축필름을 용기에 간단히 랩핑시킬 수 있고, 이후 아웃풋컨베이어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간단 설비 및 간단 작업에 의한 생산성 및 작업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을 제작함에 있어서 용기의 입력구간 및 출력구간의 피치보다 제자리회전구간의 피치를 더 크게 제작하여 용기의 유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용기의 랩핑 역시 신속하게 실현케 할 수 있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실린더의 하강하는 힘을 탑승강판의 푸싱봉을 쿠셔닝시키는 스프링으로 완충시키면서 용기의 입구에 전달되도록 하여 용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노즐의 스팀이 챔버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공회전승강축의 하강시에만 챔버홀을 개방시켜 에너지 낭비를 보다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축필름이 씌워진 용기를 공급하는 인풋컨베이어와, 상기 수축필름이 랩핑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아웃풋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에 있어서,
상기 인풋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상기 용기를 나선홈으로 유도하면서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시켜 랩핑시간동안 멈춘 후 랩핑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아웃풋컨베이어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이동회전 및 이동정지를 반복하는 스트레이트스크류와,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된 상기 용기를 제자리회전시키는 제자리회전수단과,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회전 후 이동정지와 더불어 제자리회전되는 상기 용기에 스팀을 분무하여 상기 수축필름으로 하여금 랩핑되도록 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풋컨베이어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그대로 직선형으로 받아, 즉 용기를 랩핑직선구간으로 그대로 받아 랩핑시킨 후 아웃풋컨베이어로 간단히 배출토록 설계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설비비의 대폭 감소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풋컨베이어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그대로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으로 유도하여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자리회전수단을 통한 용기의 회전과 더불어 스팀노즐의 분무로서 수축필름을 용기에 간단히 랩핑시킬 수 있고, 이후 아웃풋컨베이어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간단 설비 및 간단 작업에 의한 생산성 및 작업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을 제작함에 있어서 용기의 입력구간 및 출력구간의 피치보다 제자리회전구간의 피치를 더 크게 제작하여 용기의 유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용기의 랩핑 역시 신속하게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나선홈으로 유도되는 용기가 스트레이트스크류의 앞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약 70∼100℃의 온도를 지닌 스팀의 유실을 방지하여 수축필름에 가해지는 스팀열에 의한 랩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가 랩핑직선구간에 도착했을 때 제자리회전수단, 즉 용기를 받쳐주는 회전척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축과 더불어 용기의 입구를 눌러주어 공회전되는 공회전승강축에 의해 용기의 회전을 가능케 하여 스팀노즐에 의한 스팀의 고른 타게팅을 실현케 하고, 수축필름이 용기에 랩핑완료되어 공회전승강축이 상승하게 되면 메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한 메인회전축 및 회전척이 회전되더라도 용기의 회전이 해제되면서 스트레이트스크류의 이동회전으로 용기가 아웃풋컨베이어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서포터의 중단에 장착된 중단슬라이딩부싱에 고정된 중단높낮이프레임이 중력에 의해 임의대로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의 크기, 즉 높이에 따라 탑핸들의 좌우회전으로 공회전승강축이 장착된 중단높낮이프레임이 중단슬라이딩부싱에 의해 수직서포터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바에 고정되면서 공회전승강축들을 일거에 잡아주는 탑승강판을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회전승강축의 승강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성의 단순화까지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실린더의 하강하는 힘을 탑승강판의 푸싱봉을 쿠셔닝시키는 스프링으로 완충시키면서 용기의 입구에 전달되도록 하여 용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회전승강축이 중단베어링과 더불어 공회전베어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게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단높낮이프레임에 직립되면서 공회전베어링을 장착한 하우징을 스토퍼로 잡아주어 공회전베어링의 회전은 방지하는 대신 공회전승강축의 공회전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단높낮이프레임에 직립된 스토퍼로서 공회전승강축의 직립상태까지 더욱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여 공회전승강축의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노즐의 스팀이 챔버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공회전승강축의 하강시에만 챔버홀을 개방시켜 에너지 낭비를 보다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다양한 크기에 맞추어 언더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언더높낮이스크류로 챔버의 높낮이를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언더승강모터에 의한 언더높낮이스크류의 정역회전시 상당한 무게를 지닌 챔버를 보다 긴밀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직경 크기에 따라 스트레이트스크류를 스팀노즐을 향하여 더 가까이 접근시키거나 더 멀리 멀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핸들의 정역회전으로 사이드원근스크류에 의해 전후진되는 받침브래킷이 서보모터를 비롯한 스트레이트스크류를 용기에 간단히 원근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따른 랩핑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e는 및 도 1f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통상의 구성인 수축필름(F)이 씌워진 용기(B)를 공급하는 인풋컨베이어(11)와, 수축필름(F)이 랩핑된 용기(B)를 배출시키는 아웃풋컨베이어(12)를 포함한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는 로터리식(Rotary Type)으로 열수축 라벨지를 용기에 부착하므로 인하여 복잡한 구성에 따른 고가의 설비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인풋컨베이어(11)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B)를 그대로 직선형으로 받아, 즉 용기(B)를 랩핑직선구간(L)으로 그대로 받아 랩핑시킨 후 아웃풋컨베이어(12)로 간단히 배출토록 설계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설비비의 대폭 감소로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인풋컨베이어(11)로부터 공급된 용기(B)를 나선홈(21)으로 유도하면서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시켜 랩핑시간동안 멈춘 후 랩핑시간이 경과되면 아웃풋컨베이어(12)로 용기(B)를 배출시키도록 서보모터(22)에 의해 이동회전 및 이동정지를 반복하는 스트레이트스크류(Straight Screw; 20)와,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에 유도되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된 용기(B)를 제자리회전시키는 제자리회전수단(30), 그리고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에 유도되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회전 후 이동정지와 더불어 제자리회전되는 용기(B)에 스팀을 분무하여 수축필름(F)으로 하여금 랩핑되도록 하는 스팀노즐(4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이때, 스트레이트스크류(20)는 인풋컨베이어(11) 및 아웃풋컨베이어(12)에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후술하는 베이스프레임(60) 위에 서보모터(22)와 더불어 조립될 수 있다].
인풋컨베이어(11)로부터 공급된 용기(B)를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으로 유도하여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스트레이트스크류(20)는 서보모터(22)의 회전 및 정지에 의해 용기(B)를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회전 및 용기(B)를 랩핑시간동안 정지시키기 위한 이동정지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이동회전시 수축필름(F)이 랩핑된 용기(B)는 아웃풋컨베이어(12)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인풋컨베이어(11)으로부터 공급된 용기(B)는 나선홈(21)으로 유도되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스트레이트스크류(20)에 의한 용기(B)의 이동회전 및 이동정지의 반복을 통한 수축필름(F)의 랩핑 및 수축필름(F)이 랩핑된 용기(B)의 배출을 반복하게 되고, 이때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이동정지시 인풋컨베이어(11)로부터 공급되는 용기(B)들은 나선홈(21)으로 더 이상 진입되지 못하고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회전이동시에만 인풋컨베이어(11)로부터 공급된 용기(B)들이 나선홈(21)으로 유도되어 회전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이동정지와 더불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된 용기(B)는 제자리회전수단(30)에 의해 회전되고, 이때 스팀노즐(40)에 의한 스팀의 분무로서 수축필름(F)이 용기(B)에 밀착 랩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인풋컨베이어(11)를 통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용기(B)를 그대로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으로 유도하여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자리회전수단(30)을 통한 용기(B)의 회전과 더불어 스팀노즐(40)의 분무로서 수축필름(F)을 용기(B)에 간단히 랩핑시킬 수 있고, 이후 아웃풋컨베이어(12)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간단 설비 및 간단 작업에 의한 생산성 및 작업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랩핑직선구간(L)은 입력구간(L1), 제자리회전구간(L2) 및 출력구간(L3)으로 나뉘어지고,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은 입력구간(L1) 및 출력구간(L3)의 피치보다 제자리회전구간(L2)의 피치를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제자리회전구간(L2)에서의 나선홈(21)의 피치를 입력구간(L1) 및 출력구간(L3)에서의 피치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은 제자리회전수단(30)에 의해 회전되는 용기(B)의 회전반경을 보장하여 스팀노즐(40)을 통한 스팀의 분무를 철저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입력구간(L1) 및 출력구간(L3)에서의 나선홈(21)의 피치를 제자리회전구간(L2)에서의 피치보다 더 작게 하는 것은 인풋컨베이어(11)로부터 밀착 공급되는 용기(B)를 나선홈(21)으로 그대로 밀착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아웃풋컨베이어(12)로 밀착 배출시켜 용기(B)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스트레이트스크류(2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기(B)를 나선홈(21)에 밀착시켜주는 평행바(50)를 더 포함하여 나선홈(21)으로 유도되는 용기(B)가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앞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평행바(50)는 후술하는 챔버(70) 안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질수록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은 서보모터(22), 스트레이트스크류(20) 및 제자리회전수단(3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60)과, 베이스프레임(60)에 지지되어 수축필름(F)이 씌워진 용기(B)를 랩핑시키는 스트레이트스크류(20) 및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40)을 함께 커버링하는 챔버(7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60)은 지면에 세워져 서보모터(22), 스트레이트스크류(20) 및 제자리회전수단(30)을 지지하고, 챔버(70)는 베이스프레임(60)에 지지되어 수축필름(F)이 씌워진 용기(B)를 랩핑시키는 스트레이트스크류(20) 및 스팀노즐(40)을 커버링하여 스팀노즐(40)로부터 분무되는 약 70∼100℃의 온도를 지닌 스팀의 유실을 방지하여 수축필름(F)에 가해지는 스팀열에 의한 랩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수축필름 랩핑 머신에 적용된 제자리회전수단(30)은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에 유도되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된 각각의 용기(B)를 받쳐주는 회전척(31a)들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60)에 장착된 베이스베어링(31b)들에 각각 지지되는 메인회전축(31)들과, 베이스프레임(60)의 하부에 고정되어 메인회전축(31)들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모터(31c)와, 베이스프레임(60)의 양측에 지지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직립된 수직서포터(32a)들과, 수직서포터(32a)들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면서 상단베어링(32c)들을 지닌 상단수평프레임(32b)과, 수직서포터(32a)들의 중단에 장착된 중단슬라이딩부싱(33b)들을 지닌 중단높낮이프레임(33)에 구비된 중단베어링(33a)들에 각각 지지되면서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나선홈(21)에 유도되어 랩핑직선구간(L)으로 이동된 각각의 용기(B)의 입구를 랩핑시간동안 하강하여 눌러준 후 랩핑시간이 경과되면 상승하여 분리되는 공회전승강축(34)들과, 중단높낮이프레임(33)의 양측에 직립된 탑축(35a)들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탑바(35b)에 고정되어 공회전승강축(34)들의 하강 및 상승을 반복시키는 승강실린더(36)와, 상단베어링(32c)들에 각각 지지되면서 중단높낮이프레임(33)에 장착된 중단너트(33c)에 끼워져 탑핸들(37a)의 좌우회전에 의해 공회전승강축(34)들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탑높낮이스크류(37b)를 포함한다.
용기(B)가 랩핑직선구간(L)에 도착했을 때 제자리회전수단(30), 즉 용기(B)를 받쳐주는 회전척(31a)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축(31)과 더불어 용기(B)의 입구를 눌러주어 공회전되는 공회전승강축(34)에 의해 용기(B)의 회전을 가능케 하여 스팀노즐(40)에 의한 스팀의 고른 타게팅을 실현케 하고, 수축필름(F)이 용기(B)에 랩핑완료되어 공회전승강축(34)이 상승하게 되면 메인회전모터(31c)의 회전에 의한 메인회전축(31) 및 회전척(31a)이 회전되더라도 용기(B)의 회전이 해제되면서 스트레이트스크류(20)의 이동회전으로 용기(B)가 아웃풋컨베이어(12)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탑높낮이스크류(37b)는 수직서포터(32a)의 중단에 장착된 중단슬라이딩부싱(33b)에 고정된 중단높낮이프레임(33)이 중력에 의해 임의대로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B)의 크기, 즉 높이에 따라 탑핸들(37a)의 좌우회전으로 공회전승강축(34)이 장착된 중단높낮이프레임(33)이 중단슬라이딩부싱(33b)에 의해 수직서포터(32a)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B)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실린더(36)는 중단높낮이프레임(33)의 양측에 직립된 탑축(35a)들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탑바(35b)에 결합되어 용기(B)가 랩핑직선구간(L)에 도착하면 랩핑시간동안 공회전승강축(34)을 하강시키고 용기(B)에 수축필름(F)의 랩핑이 완료되면 공회전승강축(34)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승강실린더(36)는 탑바(35b)에 고정되면서 공회전승강축(34)들을 일거에 잡아주는 탑승강판(38a)을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회전승강축(34)의 승강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성의 단순화까지 기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공회전승강축(34)은 탑승강판(38a)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푸싱봉(38b)들을 각각 받아들이는 중공홈(38d)을 지닌 하우징(38c)들에 각각 결합되고, 하우징(38c)들은 중공홈(38d)에 푸싱봉(38b)을 쿠션닝시키는 스프링(38e)들을 각각 내장한다.
승강실린더(36)의 하강하는 힘을 그대로 공회전승강축(34)을 통해 용기(B)의 입구에 전달할 경우 용기(B)의 파손 또는 찌그러짐을 초래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승강실린더(36)의 하강하는 힘을 탑승강판(38a)의 푸싱봉(38b)을 쿠셔닝시키는 스프링(38e)으로 완충시키면서 용기(B)의 입구에 전달되도록 하여 용기(B)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38c)은 공회전승강축(34)을 받아들이는 공회전베어링(38f)을 내장하고, 중단높낮이프레임(33)에 직립되어 하우징(38c)을 잡아주어 공회전베어링(38f) 속에서 공회전승강축(34)이 공회전되도록 하는 스토퍼(39)를 포함한다.
공회전승강축(34)이 중단베어링(33a)과 더불어 공회전베어링(38f)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게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중단높낮이프레임(33)에 직립되어 공회전베어링(38f)을 장착한 하우징(38c)을 스토퍼(39)로 잡아주어 공회전베어링(38f)의 회전은 방지하는 대신 공회전승강축(34)의 공회전은 보장하고, 더불어 중단높낮이프레임(33)에 직립된 스토퍼(39)로서 공회전승강축(34)의 직립상태까지 더욱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여 공회전승강축(34)의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회전승강축(34)은 하강하여 용기(B) 속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34a)을 가질 수 있고, 이 에어노즐(34a)은 공기나 냉기로서 수축필름(F)의 랩핑시 용기(B)가 스팀의 열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케 하고, 이러한 공기나 냉기는 미 도시된 에어탱크로부터 공회전승강축(34)의 내부를 통해 에어노즐(34a)로 공급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챔버(70)는 공회전승강축(34)의 승하강 통로가 되는 챔버홀(71)을 지니고, 챔버홀(71)은 공회전승강축(34)의 하강시 열리고 상승시 닫히도록 개폐실린더(72)에 의해 여닫히는 챔버도어(73)를 가지도록 한다.
스팀노즐(40)의 스팀이 챔버(70)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공회전승강축(34)의 하강시에만 챔버홀(71)을 개방시켜 에너지 낭비를 보다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스팀노즐(40)은 챔버(70)에 고정되고, 챔버(70)는 베이스프레임(6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언더높낮이스크류(81)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고, 언더높낮이스크류(81)는 언더승강모터(82)에 의해 정역회전된다.
용기(B)의 다양한 크기에 맞추어 언더승강모터(82)에 의해 회전되는 언더높낮이스크류(81)로 챔버(70)의 높낮이를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한다.
이때, 언더높낮이스크류(81)는 챔버(70)의 하단에 장착된 하부베어링(83)에 끼워짐과 동시에 언더높낮이프레임(84)에 장착된 언더너트(85)에 치합되고, 언더높낮이프레임(84)은 챔버(70)의 하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베이스프레임(60)에 장착된 언더슬라이딩부싱(86)에 끼워져 승강되는 언더높낮이축(87)에 고정되어, 언더승강모터(82)에 의한 언더높낮이스크류(81)의 정역회전시 상당한 무게를 지닌 챔버(70)를 보다 긴밀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서보모터(22) 및 스트레이트스크류(20)는 베이스프레임(60)에 고정된 위치조정모듈(90)에 장착되어 용기(B)를 향해 원근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B)의 직경 크기에 따라 스트레이트스크류(20)를 스팀노즐(40)을 향하여 더 가까이 접근시키거나 더 멀리 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치조정모듈(90)은 베이스에 직립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91)과, 이들 한 쌍의 지지브래킷(91)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사이드핸들(92)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각 회전되는 사이드원근스크류(93)들과, 사이드원근스크류(93)들에 끼워져 용기(B)에 원근되면서 서보모터(22)를 받쳐주는 받침브래킷(94)을 포함한다.
사이드핸들(92)의 정역회전으로 사이드원근스크류(93)에 의해 전후진되는 받침브래킷(94)이 서보모터(22)를 비롯한 스트레이트스크류(20)를 용기(B)에 간단히 원근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B)에 따른 랩핑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용기에 수축필름을 씌워 랩핑시키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F : 수축필름 B : 용기
11 : 인풋컨베이어 12 : 아웃풋컨베이어
20 : 스트레이트스크류 21 : 나선홈
22 : 서보모터 30 : 제자리회전수단
31 : 메인회전축 31a : 회전척
31b : 베이스베어링 31c : 메인회전모터
32a : 수직서포터 32b : 상단수평프레임
32c : 상단베어링 33 : 중단높낮이프레임
33a : 중단베어링 33b : 중단슬라이딩부싱
33c : 중단너트 34 : 공회전승강축
34a : 에어노즐 35a : 탑축
35b : 탑바 36 : 승강실린더
37a : 탑핸들 37b : 탑높낮이스크류
38a : 탑승강판 38b : 푸싱봉
38c : 하우징 38d : 중공홈
38e : 스프링 38f : 공회전베어링
39 : 스토퍼 40 : 스팀노즐
50 : 평행바 60 : 베이스프레임
70 : 챔버 71 : 챔버홀
72 : 개폐실린더 73 : 챔버도어
81 : 언더높낮이스크류 82 : 언더승강모터
83 : 하부베어링 84 : 언더높낮이프레임
85 : 언더너트 86 : 언더슬라이딩부싱
87 : 언더높낮이축 90 : 위치조정모듈
91 : 지지브래킷 92 : 사이드핸들
93 : 사이드원근스크류 94 : 받침브래킷
L : 랩핑직선구간 L1 : 입력구간
L2 : 제자리회전구간 L3 : 출력구간

Claims (14)

  1. 수축필름이 씌워진 용기를 공급하는 인풋컨베이어와, 상기 수축필름이 랩핑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아웃풋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에 있어서,
    상기 인풋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상기 용기를 나선홈으로 유도하면서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시켜 랩핑시간동안 멈춘 후 랩핑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아웃풋컨베이어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이동회전 및 이동정지를 반복하는 스트레이트스크류와,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된 상기 용기를 제자리회전시키는 제자리회전수단과,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회전 후 이동정지와 더불어 제자리회전되는 상기 용기에 스팀을 분무하여 상기 수축필름으로 하여금 랩핑되도록 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서보모터, 스트레이트스크류 및 제자리회전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수축필름이 씌워진 상기 용기를 랩핑시키는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 및 스팀노즐을 커버링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자리회전수단은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된 각각의 용기를 받쳐주는 회전척들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된 베이스베어링들에 각각 지지되는 메인회전축들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회전축들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모터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지지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직립된 수직서포터들과, 상기 수직서포터들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면서 상단베어링들을 지닌 상단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서포터들의 중단에 장착된 중단슬라이딩부싱들을 지닌 중단높낮이프레임에 구비된 중단베어링들에 각각 지지되면서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에 유도되어 상기 랩핑직선구간으로 이동된 각각의 용기의 입구를 랩핑시간동안 하강하여 눌러준 후 랩핑시간이 경과되면 상승하여 분리되는 공회전승강축들과, 상기 중단높낮이프레임의 양측에 직립된 탑축들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탑바에 결합되어 상기 공회전승강축들의 하강 및 상승을 반복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상단베어링들에 각각 지지되면서 상기 중단높낮이프레임에 장착된 중단너트에 끼워져 탑핸들의 좌우회전에 의해 상기 공회전승강축들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탑높낮이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직선구간은 입력구간, 제자리회전구간 및 출력구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의 나선홈은 상기 입력구간 및 출력구간의 피치보다 상기 제자리회전구간의 피치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스크류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상기 나선홈에 밀착시켜주는 평행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탑바에 고정되면서 상기 공회전승강축들을 일거에 잡아주는 탑승강판을 하강 및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승강축은 상기 탑승강판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푸싱봉들을 각각 받아들이는 중공홈을 지닌 하우징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들은 상기 중공홈에 상기 푸싱봉을 쿠션닝시키는 스프링들을 각각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회전승강축을 받아들이는 공회전베어링을 내장하고,
    상기 중단높낮이프레임에 직립되어 상기 하우징을 잡아주어 상기 공회전베어링 속에서 상기 공회전승강축이 공회전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승강축은 하강하여 상기 용기 속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공회전승강축의 승하강 통로가 되는 챔버홀을 지니고,
    상기 챔버홀은 상기 공회전승강축의 하강시 열리고 상승시 닫히도록 개폐실린더에 의해 여닫히는 챔버도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은 상기 챔버에 고정되고,
    상기 챔버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언더높낮이스크류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언더높낮이스크류는 언더승강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높낮이스크류는 상기 챔버의 하단에 장착된 하부베어링에 끼워짐과 동시에 언더높낮이프레임에 장착된 언더너트에 치합되고,
    상기 언더높낮이프레임은 상기 챔버의 하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된 언더슬라이딩부싱에 끼워져 승강되는 언더높낮이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 및 스트레이트스크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위치조정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를 향해 원근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직립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사이드핸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각 회전되는 사이드원근스크류들과,
    상기 사이드원근스크류들에 끼워져 상기 용기에 원근되면서 상기 서보모터를 받쳐주는 받침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KR1020180011973A 2018-01-31 2018-01-31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KR10193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73A KR101933375B1 (ko) 2018-01-31 2018-01-31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73A KR101933375B1 (ko) 2018-01-31 2018-01-31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75B1 true KR101933375B1 (ko) 2018-12-31

Family

ID=6495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73A KR101933375B1 (ko) 2018-01-31 2018-01-31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256B1 (ko) * 2023-11-23 2024-04-24 주식회사 에이치디팩 슬라이딩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8589A1 (de) * 2013-05-10 2014-11-13 Krones Ag Vor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Behältern und zum Anbringen von Schrumpfhülsen auf Behältern und Verfahren dazu
KR101624647B1 (ko) * 2015-10-19 2016-05-30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8589A1 (de) * 2013-05-10 2014-11-13 Krones Ag Vor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Behältern und zum Anbringen von Schrumpfhülsen auf Behältern und Verfahren dazu
KR101624647B1 (ko) * 2015-10-19 2016-05-30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256B1 (ko) * 2023-11-23 2024-04-24 주식회사 에이치디팩 슬라이딩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2834B1 (en) Modular labeling station
US10773446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bottles
JP6321677B2 (ja) 容器充填機および容器充填方法
US7980046B2 (en) Apparatus for cleaning, filling, and capping a container
KR101530006B1 (ko) 블로우 성형기
CN113134995B (zh) 一种纸箱印刷设备及其印刷方法
KR101933375B1 (ko) 용기용 수축필름의 랩핑 머신
JP3775801B2 (ja) 加熱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加熱ブロー成形方法
KR101101557B1 (ko) 세병기
US11097459B2 (en) Blow molding apparatus
CN209467369U (zh) 注塑植毛装箱一体机
JP2014201343A (ja) 飲料充填システム
CN110587700A (zh) 一种瓶罐类切割瓶口用全自动切口机
CN114407565B (zh) 一种内壁光滑螺旋波纹管的标识压印装置
CN217383717U (zh) 一种瓶体用的吹干机柜体结构
CN213168817U (zh) 樱桃饮品瓶或罐套标用热缩装置
KR101729761B1 (ko) 리니어 타입 열수축 라벨지 부착장치
CN101633413B (zh) 铝盒包装机的封口装置
CN219903294U (zh) 一种自动化吹塑成品的装置
CN219007407U (zh) 一种瓶子的喷码装置
CN218753271U (zh) 一种铁罐加工用输送定位装置
CN210463932U (zh) 一种用于瓶外壁的吹干装置
CN215855047U (zh) 一种液体瓶用的多功能灌装装置
CN217442181U (zh) 一种酒类灌装后瓶体外部烘干设备
CN212767158U (zh) 一种水桶膜包装用蒸汽热收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