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04B1 - 난시축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난시축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04B1
KR101933304B1 KR1020170058385A KR20170058385A KR101933304B1 KR 101933304 B1 KR101933304 B1 KR 101933304B1 KR 1020170058385 A KR1020170058385 A KR 1020170058385A KR 20170058385 A KR20170058385 A KR 20170058385A KR 101933304 B1 KR101933304 B1 KR 10193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asuring
roll
axis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221A (ko
Inventor
민병직
Original Assignee
민병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직 filed Critical 민병직
Priority to KR102017005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시용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난시용 몰드의 광학전 난시축을 측정하여 실질적인 난시축에 맞추어 정렬된 상태로 몰드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난시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는 한 쌍의 콘베이어에 받쳐져 이동되게 하고, 상기 콘베이어의 중앙에 몰드의 하부를 흡착한 후 상부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패드가 설치된 바디의 측면으로 측정장치가 몰드 방향으로 전후진하게 하고, 상기 측정장치에는 스케일이 상하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스케일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케일에는 몰드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롤측정구를 몰드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롤측정구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작동과 흡착패드의 이동 및 회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난시축 측정장치{Astigmatic axis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난시용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난시용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을 측정하여 난시축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로 몰드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난시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안경렌즈 형태를 갖는 두 장의 몰드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 모노마를 몰드 사이로 주입하여 고정시킨 후 몰드를 분리하여 얻어내게 되고,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몰드는 자동으로 투입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콘베이어(5)(6)(7)를 타고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시축(2)이 표시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는 초기에 난시축(2) 방향을 맞추어 투입하더라도 여러 개의 콘베이어(5)(6)(7)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난시축(2)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여기서, 몰드(1)에 표시되는 난시축(2)은 초기에 몰드(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난시축을 찾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몰드(1)를 장기간 사용하면 재연마 후 사용하여야 하나,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를 재연마하는 과정에서 난시축(2)이 광학적 난시축(3)과 일치하지 못하고 서로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난시축(2)과 광학적 난시축(3)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과 같이 난시축(2)에 맞추어 정렬을 하면 광학적 난시축(3)이 틀어져 정밀한 난시용 안경렌즈를 제조하지 못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찾아 정렬되어야 한다.
그러나,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측정하여 확인한 후 몰드(1)의 투입과정에서 광학적 난시축(3)에 맞추어주지 못하고, 몰드(1)의 최초 제작과정에서 확인하여 표시한 난시축(2)에 맞추어 투입하기 때문에 난시축(2)과 광학적 난시축(3)의 틀어짐은 무시하고 사용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문헌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48090호(2004.04.07 등록) [문헌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728171호(2007.06.07 등록) [문헌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63817호(2011.09.02 등록) [문헌4]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038485호(2010.04.15 공개)
본 발명은 난시용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몰드에 표시된 난시축을 중심으로 정렬이 이루어지게 하는 경우, 여러 개의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난시축이 틀어져도 이를 바로 잡지 못하게 되고, 또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를 재연마할 때 난시축과 틀어지게 광학적 난시축이 형성되더라도 난시 교정에 중요한 광학적 난시축은 무시하고 기존의 난시축을 기준으로 정렬이 이루어짐으로써 정확히 난시를 교정하는 안경렌즈의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을 중심으로 정렬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는 한 쌍의 콘베이어에 받쳐져 이동되게 하고, 상기 콘베이어의 중앙에 몰드의 하부를 흡착한 후 상부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흡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패드가 설치된 바디의 측면으로 측정장치가 몰드 방향으로 전후진하게 하고, 상기 측정장치에는 스케일이 상하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스케일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케일에는 몰드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접촉하는 롤측정구를 몰드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롤측정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작동과 흡착패드의 이동 및 회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몰드가 투입되면 흡착패드로 흡착할 때 롤측정구는 몰드쪽으로 이동하여 하강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몰드의 상승으로 롤측정구가 상부 가장자리면에 닿게 한 후 몰드를 회전시켜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을 측정한 다음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을 정해진 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파지틀에서 파지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을 찾아서 정확한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으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가 투입과정이나, 재연마 과정에서 난시축과 광학적 난시축이 틀어져 있더라도 정확히 광학적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난시용 안경렌즈에서의 난시 교정이 정확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기존 난시용 몰드에 난시축과 광학적 난시축이 표현된 상태의 평면과 측면도
도 2는 기존 몰드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몰드가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몰드를 흡입패드가 흡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몰드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키며 롤측정구로 높낮이를 측정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측정장치가 복귀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몰드를 파지틀에 끼운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은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를 투입할 때 몰드에 표시된 난시축 방향보다는 실질적인 광학적 난시축에 맞추어 정렬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난시용 안경렌즈에서 난시 교정이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가 투입될 때 실질적으로 몰드의 상면 높낮이를 측정하여 정확히 광학적 난시축을 확인 후 정렬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게 되는 롤측정구가 몰드 회전시 몰드의 두께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하고, 이러한 롤측정구의 상하 이동거리를 스케일 헤드에서 측정함으로써, 몰드의 광학적 난시축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측정된 광학적 난시축을 이용하여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띠 형상을 갖는 콘베이어(7)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콘베이어(7)를 타고 이동하는 몰드(1)는 콘베이어(7)의 중앙에 위치한 흡착패드(10)의 상부에 놓이게 한 후 파지척(20)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며 몰드(1)를 사방에서 잡아주어, 몰드(1)의 중심이 흡착패드(10)의 중심과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흡착패드(10)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진공을 걸어서 몰드(1)의 저면을 흡착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흡착패드(10)는 내부에 진공을 걸어서 상부에서 몰드(1)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평 회전과 수직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흡착패드(10)는 당 업계의 공지된 장치이며,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의 제어 명령을 받아서 진공 흡착과 상하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흡착패드(10)의 이동과 회전은 정해진 위치에서 조절된다.
본 발명의 흡착패드(10)는 바디(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30)의 일측으로 측정장치(50)를 설치하여 몰드(1)의 상면 높낮이를 롤측정구(55)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측정장치(50)는 스크류(51)의 회전에 의해 LM가이드(52)를 타고 몰드(1)쪽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측정장치(50)에는 스케일(54)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스케일 헤드(53)를 설치하고, 상기 스케일 헤드(53)에 결합된 스케일(54)에는 몰드(1) 방향으로 돌출되는 롤측정구(55)를 설치하며, 상기 롤측정구(55)는 측정장치(50)에 고정된 실린더(56)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받침구(57)에 받쳐진 채로 상부로 이동하게 구성되며, 롤측정구(55)는 몰드(1)의 표면에 닿은 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롤측정구(55)는 받침구(57)에 받쳐진 채로 상부로 이동하고, 받침구(57)가 롤측정구(55)를 받치지 않을 경우에는 롤측정구(55)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상기 롤측정구(55)의 상하 이동은 스케일(54)의 이동으로 표현되고, 상기 스케일(54)의 이동을 스케일 헤드(53)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롤측정구(55)의 상하 이동 거리에 의해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롤측정구(55)를 실린더(56)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으로, 몰드(1)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56)를 사용하여 롤측정구(55)를 이동시키지 않고, 몰드(1)의 직경에 따라 미리 롤측정구(55)를 몰드(1)쪽으로 이동시킨 후 몰드(1)의 상승에 의해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게한 상태에서 몰드(1)를 상승 시킨후 몰드(1)를 회전시키며 난시축 측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실린더(56)를 사용하지 않아도 광학적 난시축(3)의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콘베이어(7)를 타고 이동하는 난시용 안경렌즈 제조용 몰드(1)를 흡착패드(10)로 흡착이 이루어지게 하되 측정장치(50)를 몰드(1)쪽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롤측정구(55)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밀착되게 한 후 흡착패드(10)로 몰드(1)를 회전시켜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두께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케일(54)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는 스케일 헤드(53)에서 측정함으로써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면 측정장치(50)를 본래위치로 복귀시킨 후 흡착패드(10)를 회전시켜 광학적 난시축(3)을 정확히 정렬한 후 파지틀(60)로 몰드를 이동시킨 후 흡착패드(10)를 복귀시킴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을 측정 과정에 따라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난시용 몰드(1)는 한 쌍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콘베이어(7)를 타고 투입이 이루어지고,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에서는 몰드(1)의 투입과정에서 이미 몰드(1)의 직경이 파악되는 한편 콘베이어(7)를 타고 이동하는 몰드(1)는 흡착패드(10)의 상부에서 정지하게 된다.
콘베이어(7)를 타고 이동한 몰드(1)는 가운데로 모아지는 파지척(20)을 이용하여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몰드(1)의 중심과 흡착패드(10)의 중심이 일치되게 한 후 흡착패드(10)로 몰드(1)를 흡착한 다음 파지척(20)의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함께 측정장치(50)의 스크류(51)를 회전시켜 측정장치(50)가 LM가이드(52)를 타고 몰드(1)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측정장치(50)의 이동거리는 최초 몰드(1)의 투입시 몰드(1)의 직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인지한 콘트롤러에서 측정장치(50)를 이동시키되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을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되게 한다.
몰드(1)의 직경이 적으면 이동거리가 많아지고, 몰드(1)의 직경이 크면 이동거리가 적어지나, 반드시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을 수 있는 위치까지 측정장치(50)를 이동시키며, 이때, 실린더(56)를 작동시켜 받침구(57)에 받쳐진 롤측정구(55)를 하부로 이동시켜 몰드(1)에 닿도록 한다.
롤측정구(55)의 측정이 완료되면 실린더(56)로 롤측정구(55)를 상부로 이동시켜 측정장치(50)의 이동시 롤측정구(55)에 몰드(1)가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즉, 몰드(1)의 직경은 변화되나 최대 두께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롤측정구(55)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56)를 사용하면 보다 빠르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롤측정구(55)를 상하 이동시키게 되고, 실린더(56)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롤측정구(55)의 위치가 결정되면, 측정장치(50)를 이동시켜 롤측정구(55)가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게 할 수 잇으며, 몰드(1)의 난시축에 대한 측정은 롤측정구(55)가 몰드(1)이 상측 가장자리면에 닿은 후 몰드(1)를 상승시켜 이루어지기 때문에 롤측정구(55)가 몰드(1)에 밀착된 상태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같이 롤측정구(55)가 이동된 상태에서 몰드(1)를 흡착한 흡착패드(1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몰드(1)는 흡착패드(10)의 상부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측 가장자리면에 롤측정구(55)가 받쳐진 상태가 되게 한 후 몰드(1)를 회전시키면서 측정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은 콘트롤러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작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흡착패드(10)에 의해 몰드(1)가 상부로 이동하여 롤측정구(55)를 받친 상태에서 흡착패드(10)로 몰드(1)를 회전시키게 되면, 롤측정구(55)는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밀착된 상태로 몰드(1)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몰드(1)의 두께가 두꺼운 곳에서는 상부로 이동하고, 얇은 곳에서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롤측정구(55)의 상하 이동은 스케일(54)의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되고, 상기 스케일(54)의 움직임은 스케일 헤드(53)에서 측정하게 되므로, 상기 스케일 헤드(53)의 측정값을 인지하는 콘트롤러에서는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이 광학적 난시축(3)이 확인되면, 실린더(56)로 받침구(57)를 상승시켜 롤측정구(55)를 들어올린 후 측정장치(50)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광학적 난시축(3)을 맞추기 위하여 몰드(1)를 회전시키게 되고, 몰드(1)의 회전이 완료되면, 흡착패드(10)를 상부로 이동시켜 몰드(1)를 테이프를 감아주기 위한 동작을 하게 되는 파지틀(60)에서 파지되게 함으로써, 광학적 난시축(3)이 정렬된 상태로 몰드(1)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난시용 몰드(1)의 난시축이 형성되는 상면을 직접 롤측정구(55)를 닿게 한 상태로 몰드(1)를 회전시키며 높낮이 측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게 한 후 광학적 난시축(3)을 정확히 정렬한 상태로 공급되게 하여, 정확한 난시 교정이 이루어지는 난시용 안경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롤측정구(55)를 실린더(56)로 상하 이동시키지 않고, 측정장치(5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위치로 롤측정구(55)를 이동시킨 후 몰드(1)를 상승시켜 롤측정구(55)가 몰드(1)에 닿게 한 상태에서 몰드(1)를 회전시켜 측정이 이루어지면, 몰드(1)를 하강시킨 다음 측정장치(50)를 복귀시키고, 몰드(1)를 상승시켜 파지틀(60)에 끼워주워도 무방하다.
1 : 몰드 3 : 광학적 난시축
10 : 흡착패드 7 : 콘베이어
20 : 파지척 30 : 바디
50 : 측정장치 51 : 스크류
52 : LM가이드 53 : 스케일 헤드
54 : 스케일 55 : 롤측정구
56 : 실린더 57 : 받침구
60 : 파지틀

Claims (5)

  1. 광학적 난시축(3)이 상면을 향하게 놓인 난시용 몰드(1)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7)를 구비하고;
    상기 콘베이어(7)를 타고 이동하는 몰드(1)의 하면을 흡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흡착패드(10)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패드(10)가 설치된 바디(30)의 측면에서 측정장치(50)가 몰드(1) 쪽으로 전후진되게 설치하되 상기 측정장치(50)에는 스케일(54)이 상하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스케일 헤드(53)를 구비하고, 상기 스케일(54)에는 몰드(1)의 상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몰드(1)와 같이 회전하는 롤측정구(55)를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롤측정구(55)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실린더(56)를 설치하고;
    상기 측정장치(50)를 몰드(1)쪽으로 이동시켜 흡착패드(10)로 흡착하여 상부로 이동시킨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롤측정구(55)가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흡착패드(10)로 몰드(1)를 회전시켜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콘트롤러가 인지하게 구성하고;
    상기 측정장치(50)의 작동과 흡착패드(10)의 이동 및 회전을 제어하여 광학적 난시축(3)을 인지하여 몰드(1)의 광학적 난시축(3)을 정렬한 후 공급되게 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장치(50)는 바디(30)에 설치된 LM가이드(52)를 타고 몰드(1)쪽으로 이동하되 이송 스크류(51)에 의해 이동이 선택되고, 상기 측정장치(50)의 롤측정구(55)는 자중에 의해 몰드(1)의 상측 가장자리면에 받쳐져 밀착되고, 상기 롤측정구(55)가 밀착된 채로 몰드(1)를 회전시켜 롤측정구(55)가 회전하면서 몰드(1)의 두께에 따른 높낮이를 스케일 헤드(53)에서 감지하여 콘트롤러에서 인지되게 하고, 상기 롤측정구(55)는 실린더(56)에 의해 이동하는 받침구(57)에 받쳐진 채로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 측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8385A 2017-05-11 2017-05-11 난시축 측정장치 KR10193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85A KR101933304B1 (ko) 2017-05-11 2017-05-11 난시축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85A KR101933304B1 (ko) 2017-05-11 2017-05-11 난시축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21A KR20180124221A (ko) 2018-11-21
KR101933304B1 true KR101933304B1 (ko) 2018-12-27

Family

ID=6460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385A KR101933304B1 (ko) 2017-05-11 2017-05-11 난시축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325A (zh) * 2019-08-15 2019-11-15 临海市锦铮机械有限公司 散光镜片制模检测定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55Y1 (ko) * 2003-07-08 2003-10-17 민병직 몰드의 곡률 측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55Y1 (ko) * 2003-07-08 2003-10-17 민병직 몰드의 곡률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21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965A (en) Manufacturing ophthalmic lenses using lens structure cognition and spatial positioning system
KR101122905B1 (ko) 안경 렌즈 프레임 형상 측정 장치
CN104407425B (zh) 一种自动胶合机
JP5139792B2 (ja) 玉型形状測定装置
US8091244B2 (en) Holding mechanism for use with an ophthalmic tracer, and method
JP2000314617A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979418B2 (ja) 眼鏡フレームの形状測定装置
KR101933304B1 (ko) 난시축 측정장치
CN205363589U (zh) 磨削设备磨头升降柔性控制装置
JPS61274859A (ja) レンズ研削装置
CN111251118A (zh) 一种镜片磨边机弯曲度扫描机构
JPH0524438Y2 (ko)
US7970487B2 (en) Method of calibrating an ophthalmic processing device, machine programme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KR101327238B1 (ko) 연결 블록 장착이 용이한 자동 렌즈 블록커
US7332045B2 (en) Automatic blocking and lens blank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283650B (zh) 背反光装置
CN210552516U (zh) 散光镜片制模检测定位装置
KR100956545B1 (ko) 형상 왜곡을 최소화한 3차원 자동 안경테/패턴 형상 측정 방법
KR101935893B1 (ko)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CN210071292U (zh) 一种焦度计屈光度准直调节装置
US2878567A (en) Apparatus for cutting spectacle-glasses
KR101870082B1 (ko) 몰드 공급장치
KR100815204B1 (ko) 피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안경 렌즈 치수측정용 트레이서
JPS6324106A (ja) フレ−ム形状測定装置
JP2005225113A (ja) 成形型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並びにレンズ成形型組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