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895B1 -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895B1
KR101932895B1 KR1020180142859A KR20180142859A KR101932895B1 KR 101932895 B1 KR101932895 B1 KR 101932895B1 KR 1020180142859 A KR1020180142859 A KR 1020180142859A KR 20180142859 A KR20180142859 A KR 20180142859A KR 101932895 B1 KR101932895 B1 KR 10193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facilit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429A (ko
Inventor
한상호
서병수
이창익
이혜진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4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F17/3087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시설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EARCHED INFORMATION BASED ON USER LOC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주소록 관리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14-0031532호는 주소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추가 사용자 정보 요청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사용자 정보 요청 신호를 주소록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록 관리 장치로부터 주소록 업데이트 알림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주소록 관리 장치에 업데이트된 주소록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기 등록된 단말 주소록을 업데이트하는 사용자 단말을 개시한다. 공개특허는 주소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검색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시설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검색 히스토리는,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히스토리가 고려될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는 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에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 서버로부터 제공된 지역 시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시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에 상기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선택 시설의 광고 정보, 쿠폰 정보, 평가 정보 또는 제공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시설에 대한 주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입력을 상기 선택 시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선택 시설로의 온라인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선택 시설로의 연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시설로의 온라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검색 서비스의 제공 주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검색 서비스의 제공 주체를 통한 연결에 따라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주요 시설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상기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할 때,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고려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에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시설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 서버로부터 제공된 지역 시설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선택 시설의 광고 정보, 쿠폰 정보, 평가 정보 또는 제공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시설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검색 정보를 자신의 위치에 기반하여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역 서버들을 통해 검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검색어와 관련된 다양한 상세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 시설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정보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연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및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가 도시되어 있다.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는 각각의 지역(10-1 내지 10-5)의 정보를 관리한다. 지역(10-1 내지 10-5)의 정보는 지역의 시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이란 편의점, 체육 시설, 대형 마트와 같은 편의시설과, 의류 매장, 식료품 판매점, 전자 제품 판매점 및 백화점과 같은 쇼핑몰과, 한식당, 중식당, 레스토랑, 배달 음식점 및 패스트푸드 판매점과 같은 음식점과, 주민센터, 구청, 시청, 경찰서 및 소방서와 같은 관공서와, 지하철 역, 버스 정류장 및 버스 터미널과 같은 교통시설 등의 시설들을 의미한다.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는 자신이 관리하는 지역(10-1 내지 10-5)의 시설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로부터 각각의 지역(10-1 내지 10-5)의 시설 정보를 수신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1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각각의 지역(10-1 내지 10-5)의 시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100)로 정보를 제공할 때, 단말의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지역(10-1)에 위치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지역 서버(300-1)로부터 수신한 정보나 지역 서버(300-1)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로 정보를 요청할 때, 서비스 서버(100)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및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정보의 제공 과정을 단말(100)의 입장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단말(100)은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한다. 연락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100)의 내부 저장 장치에 저장되거나, 외부 서버에 의해 동기화된 것일 수 있다. 연락처 검색 창은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로부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시설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종전에 연락처 검색 방법으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정보 제공 방식에서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한다. 검색어는 앞서 설명된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검색어는 특정 업종, 명칭, 상호, 지역 및 서비스의 종류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검색어가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경우, 단말(100)은 수신된 검색어를 적절한 기준으로 분할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단말(10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한다. 사용자의 위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치는 네트워크 기반의 Cell ID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이나, 단말기 기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이나, A_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혼합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말(100)은 검색어를 통한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결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인접한 주변 시설을 검색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주변 시설은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위치하면서, 검색어와 연관된 시설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역(10-1)에 위치하는 경우, 주변 시설은 지역(10-1)에 위치하는 시설일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시설의 정보는 지역 서버(300-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단말(100)은 검색을 위해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지역 서버(10-1 내지 10-5)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시설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단말(100)은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검색 히스토리는 단말(100) 또는 단말(100)과 구분되는 다른 단말에 의한 검색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히스토리는 검색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횟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검색되거나 다수의 사용자에게 노출된 횟수를 의미한다. 주요 시설은 주변 시설 중에 사용자들에 의해 검색된 검색 히스토리를 갖는 시설을 의미한다.
단말(100)은,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할 때,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고려하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에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주요 시설을 결정할 때, 사용자에 의한 검색 히스토리를 갖는 주변 시설을 타 사용자에 의한 검색 히스토리를 갖는 주변 시설보다 우선적으로 주요 시설로 결정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는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동작들은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기초하여,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주요 시설을 결정하고,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단말(100)은 주요 시설 중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선택 시설은 단말(100)에 출력된 주요 시설 중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시설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선택 입력 전에는 주요 시설에 관해 기본적인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 이후에 주요 시설에 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세 정보는 선택 시설의 광고 정보, 쿠폰 정보, 평가 정보 또는 제공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로부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단말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 3의 (a)는 연락처 검색 화면을, 도 3의 (b)는 검색어에 따른 주요 시설 리스트를 나타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연락처 검색 창(31)을 포함하는 연락처 검색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연락처 검색 창(31)의 하단에는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32)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31)을 통해 특정 시설에 관한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헬스"라는 검색어에 따른 주요 시설의 리스트가 도시되어 있다. 리스트에서 각각의 주요 시설에는 정보 제공 서비스의 주체를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주요 시설에는 온라인 연결을 위한 버튼(33-1, 33-2)을 포함하는 영역(3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정렬 방식의 선택을 위한 버튼(35)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33-1)은 주요 시설과의 전화 연결을 위한 버튼이고, 버튼(33-2)은 주요 시설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는 버튼(33-1)을 통해 A 헬스클럽의 고객 센터에 전화를 걸거나, 버튼(33-2)을 통해 A 헬스클럽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다운로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접속 버튼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시설에 관해서만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시설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35)는 정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정렬 방식에는 인기순 정렬, 가나다순 정렬 및 거리순 정렬 등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인기순 정렬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검색 횟수나 타 사용자에 의한 검색 횟수에 따른 정렬 방식을 의미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 시설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요 시설들이 표시된 지도(41)와 주요 시설의 리스트가 도시되어 있다. 주요 시설의 리스트는 사용자와 각각의 주요 시설 간의 거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41)에는 사용자의 위치와 각각의 주요 시설에 대응하는 마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주요 시설의 리스트에도 지도에 표시된 마크에 대응되는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단말의 화면에는 단말의 출력 방식이 지도(41)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기 위한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지도(41)가 표시될 경우, 리스트는 앞서 설명된 거리순 정렬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 정보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세 정보 창에는 광고 정보 버튼(51), 서비스 정보 버튼(52), 쿠폰 정보 버튼(53) 및 평가 정보 버튼(54)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각각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광고 정보 버튼(5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선택 시설에서 시설의 홍보를 위해 제공하는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선택 시설에 의해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정보 버튼(5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선택 시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정보는, 운동 시설의 경우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배달 음식점의 경우 제공되는 메뉴 정보 및 각각의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창에는 프로그램의 신청이나 메뉴의 주문을 위한 추가적인 대화 창 및 결제를 위한 결제 창이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서비스 정보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동 프로그램(61), 해당 프로그램의 가격 정보(62) 및 서비스 신청 버튼(63)이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신청 버튼(6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을 경우, 앞서 설명된 결제 창이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세 정보에서 서비스 정보 버튼(51)을 선택함으로써 선택 시설의 상세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고, 서비스 신청이나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쿠폰 정보는 쿠폰 정보 버튼(5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쿠폰 정보는 선택 시설에서 제공되는 프로모션에 관한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이 특정한 서비스 주체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쿠폰 정보는 이러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이미지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m 서비스"라는 서비스를 통해 쿠폰이 제공될 경우, 단말의 화면에 일정한 정보 또는 일정한 쿠폰이 "m 서비스"를 통해 제공된다는 점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m 서비스"는 앞서 설명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서비스 정보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연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어플리케이션 연결 버튼에 응답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는 경우, 도 7의 (a)와 같이 검색 서비스의 제공 주체에 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m 서비스를 통해 A 헬스클럽에 연결 중입니다"(71)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온라인 연결이 유지되는 시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제공 서비스 버튼(72) 및 고객 후기 버튼(73)과 함께 혜택 정보 버튼(74)이 출력될 수 있다. 혜택 정보 버튼(74)에는 특정 검색 서비스의 제공 주체를 통한 연결에 따라 제공되는 혜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b)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혜택 정보 - m 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특별한 혜택!"(74)과 같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을 경우, 추가적인 대화 창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혜택 정보 버튼(74)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m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쿠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평가 정보는 평가 정보 버튼(5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수치화된 평점 또는 텍스트를 통한 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정보 창에는 평가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창이나 사용자로부터 평점 또는 후기를 입력 받기 위한 창이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정보들은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를 통해 관리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통신부(110), 출력부(120), 입력부(130) 및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 출력부(120), 입력부(130) 및 처리부(140)는 각각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비스 서버(200)나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와 검색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10)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통신 모듈들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나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사용자에게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출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주요 시설 중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시설에 관해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20)는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고, 주변 시설의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처리부(140)는 검색 히스토리를 고려할 때,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고려하되, 사용자에 의한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를 타 사용자에 의한 주변 시설의 검색 횟수에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시설은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 서버(300-1 내지 300-5)로부터 제공된 지역 시설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는 선택 시설의 광고 정보, 쿠폰 정보, 평가 정보 또는 제공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10), 출력부(120), 입력부(130) 및 처리부(14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된 단말(100)의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락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된 연락처 및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각각의 주요 시설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이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순으로 정렬된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인기순, 가나다순 및 거리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의 정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6.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락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된 연락처 및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주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입력을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각각의 주요 시설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이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순으로 정렬된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인기순, 가나다순 및 거리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의 정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11.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검색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검색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락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을 결정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된 연락처 및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을 출력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와 각각의 주요 시설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이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순으로 정렬된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인기순, 가나다순 및 거리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의 정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는,
    단말.
  16.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의 검색을 위한 연락처 검색 창을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락처 검색 창을 통해 검색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검색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락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주변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주변 시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을 결정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된 연락처 및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에 관한 주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문 입력을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로 전송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을 출력하는,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와 각각의 주요 시설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이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순으로 정렬된 주요 시설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인기순, 가나다순 및 거리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시설의 정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는,
    단말.
KR1020180142859A 2018-11-19 2018-11-19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3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59A KR101932895B1 (ko) 2018-11-19 2018-11-19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59A KR101932895B1 (ko) 2018-11-19 2018-11-19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77A Division KR101932797B1 (ko) 2015-01-28 2015-01-28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29A KR20180126429A (ko) 2018-11-27
KR101932895B1 true KR101932895B1 (ko) 2018-12-26

Family

ID=6460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859A KR101932895B1 (ko) 2018-11-19 2018-11-19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896B1 (ko) * 2020-09-01 2022-06-08 네이버 주식회사 위치 기반의 로컬 검색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29A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0170A1 (zh) 一种推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8688366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US20160019553A1 (en) Information interaction in a smart service platform
US10452233B2 (en) Information interactive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20130040654A1 (en) Location-based automated check-in to a social network recognized location using a token
CN11137219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1343249A (ja) ドライバ案内システムおよび広告料課金方法
US20130275043A1 (e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and Wishing Service Method Thereof
JP5562666B2 (ja) 観光スポットを案内する宿泊予約サーバ、観光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1624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s to evaluation information
US20160371727A1 (en) Affiliate-Driven Benefits Matching System and Methods
JP200903749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5325954B2 (ja) 経路探索装置、誘導端末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
KR101932895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18316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024257A (ko) 위치기반 맞춤형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2797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106095A1 (en) Navigator With Dataform Decoder
JP200900282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JP2004325648A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地図情報提供方法
JP2009053208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018713A1 (en) Information distribu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5829723B2 (ja) スポットを案内する予約サーバ、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9284795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
JP20151529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