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34B1 -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 Google Patents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34B1
KR101931734B1 KR1020177027555A KR20177027555A KR101931734B1 KR 101931734 B1 KR101931734 B1 KR 101931734B1 KR 1020177027555 A KR1020177027555 A KR 1020177027555A KR 20177027555 A KR20177027555 A KR 20177027555A KR 101931734 B1 KR101931734 B1 KR 10193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itting body
main fitting
pressing sleev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773A (ko
Inventor
프랭크 호프만
Original Assignee
피이가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가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피이가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3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6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an axially moveable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6Connecting tubes to tube-like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피팅 바디(6)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4)을 구비하고, 프레싱 섹션(8)을 구비하며, 수용 섹션(4)의 내경이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에 적합하며,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프레싱 섹션(8)의 내경이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는, 밀봉, 해제-불가능 파이프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에 있어서, 반경 방향(R)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탄력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10)가 수용 섹션(4) 내에 제공되어 있는 프레싱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 프레싱 슬리브는, 고정 러그(10)가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 섹션(4)의 내부 안쪽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 섹션(12)을 구비하는 사실에 의해 대별된다.

Description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본 발명은 밀봉 및 해제-불가능한 파이프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피팅 용 프레싱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피팅 바디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을 구비하고 프레싱 섹션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 섹션의 내경은 상기 메인 피팅 바디의 외경에 적합하고, 상기 프레싱 섹션의 내경은,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상기 메인 피팅 바디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를 구비하는 프레스 피팅, 및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피팅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프레싱 슬리브는 메인 피팅 바디와 함께 파이프들을 기계적으로 밀봉하고 해제-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라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포괄적인 프레싱 슬리브가 WO 2014/00089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WO 2014/000897 A1호에 따르면, 금속성 밀봉부로 해제 불가능한 파이프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단면을 메인 피팅 바디 개구로 삽입하여 메인 피팅 바디가 파이프 단부의 둘레를 둘러싸게 한다. 프세싱 툴을 사용하여 프레싱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 위로 민다. 여기서, "축 방향(the axial direction)"이란 파이프 단부의 길이 축 방향을 따라 지향하는 것으로 파이프 단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프레싱 슬리브의 내부 측면 직경은 축 방향을 따라 측정하는 프레싱 슬리브 전장에 걸쳐 테이퍼져 있어서, 프레싱 슬리브가 축 방향으로 밀릴 때,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가 플랜지로 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단부 내로 가압된다. 즉,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는 그 직경이 반경 방향으로 좁아진다. 이에 따라, 프레싱 슬리브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바람직하기로는 테이퍼진 측면에 의해, 프레싱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미는 행위는 프레싱 슬리브가 메인 피팅 바디를 반경 방향으로의 변형으로 변환된다. "반경 방향"은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단부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로지르는 방향 이에 따라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싱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밀면, 메인 피팅 바디와 파이프 단부가 소성 변형되어 서로 가압(pressed)된다.
WO 2014/000897 A1호에 공지되어 있는 피팅의 경우, 사전-설치된 프레싱 슬리브가 프레싱 되기 전에 메인 피팅 바디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slip off)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사용 환경에서는, 프레스된 연결부에서 굽힘(bending) 또는 인장(tensile) 하중에 의해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들이 없는 혹은 단점이 있더라도 적어도 적은 정도만 있으며, 특히 단순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견고한 밀봉 파이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싱 슬리브, 그러한 프레싱 슬리브를 구비하는 프레스 피팅 및 그러한 프레싱 슬리브 또는 그러한 프레스 피팅의 용도를 규정하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다.
이 기술적 문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청구항 제13항에 따라 프레싱 슬리브를 구비하는 프레스 피팅 및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의 용도 및 프레스 피팅의 용도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이 프레싱 슬리브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탄력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가 수용 섹션 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고정 러그는, 고정 러그가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 섹션의 내부 안쪽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싱 슬리브는,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러그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프레싱 슬리브는 고정 러그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와 클램핑되며, 프레싱 슬리브가 축 방향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해하는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의 마찰이 반경 방향 클램핑 힘에 의해 증가된다. 이에 부가하여 또는 이와는 다르게,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해하는 형상-맞춤 연결(form-fit connection)이 존재한다. 이러한 형상-맞춤 연결은, 고정 러그가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 소재 내로 침투하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및/또는 소성적으로 메인 피팅 바디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이러한 형상-맞춤 연결은 고정 러그가 메인 피팅 바디 상에서 원주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협 채널, 그루브 프로파일 등과 같은 리세스와 특히 스냅 연결 방식으로 맞물려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한 고정 러그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의 형상-맞춤 연결은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에 의한 프레싱 슬리브의 메인 피팅 바디 상에서의 축 방향 고정은, 사전-설치 상태에서 메인 피팅 바디가 프레싱 슬리브의 수용 섹션 내에 삽입되어 있고, 사전-설치 상태에서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 또는 주연부가 아직 플랜지로 되지 않은 프레싱 슬리브의 사전-설치 상태에서 이미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사전-설치 상태에서 수용 섹션이 원주 방향으로 프레스 될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 또는 주연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프레스 섹션은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 또는 주연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용 섹션의 내부는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메인 피팅 바디의 외경에 적합한(adapted) 원통형 개구일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적합한(adapted)"이란 용어는 모든 적용분야에서 유효한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에 신뢰성 있는 (사전)(pre-) 설치가 될 수 있게 하는, 적당한 압입(press fit), 중간 끼워 맞춤(transition fit) 또는 헐거운 끼워 맞춤(clearance fit)이 수용 섹션과 메인 피팅 바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인 피팅 바디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슬리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프레싱 슬리브가 포밍 특히 딥 드로잉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레싱 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해 비용 효율적이고 재료를 절감하는 포밍 특히 시트 금속 포밍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데, 이는 고정 러그가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메인 피팅 바디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형성되어 생산된 서두에 기재한 프레싱 슬리브의 경향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프레싱 슬리브는 금속 시트를 딥 드로잉하여 단편(one piece)으로 생산될 수 있다.
프레싱 섹션을 강화 또는 보강하기 위해, 수용 섹션 반대편을 향하는 프레싱 섹션의 둘레 또는 주연부가 바깥쪽으로 플랜지될 수 있다. 플랜지로 된 프레싱 섹션의 둘레 또는 주연부는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고리 모양, 원형의 원주방향의 칼라 형태일 수 있다.
고정 러그는, 프레싱 슬리브의 내부 측면과 외부 측면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반경 방향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개구는 예를 들면 펀칭 및/또는 기계가공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고정 러그가 배출된 후 또는 개구를 생성한 후, 고정 러그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져서 고정 러그 자유 단부 섹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 섹션 내부와 맞물릴 수 있다. 고정 러그의 소재 두께 또는 벽 두께는 프레싱 슬리브의 소재 두께 또는 벽 두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싱 슬리브와 고정 러그는 특히 단편으로 형성된다. 고정 러그는 하나의 금속 시트로부터 프레싱 슬리브와 함께 또는 프레싱 슬리브와 통합된 구성품으로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용 섹션 영역 내에서 프레싱 슬리브가 메인 피팅 바디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면 측(face side)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러그는 상기 면 측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고정 러그는 메인 피팅 바디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된 면 측에 대해 설치 베벨(installation bevel) 방식으로 특히 경사져 있다. 메인 피팅 바디의 삽입은 고정 러그의 배향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고정 러그가 수용 섹션 영역 내에서 면 측 위에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러그의 면 측은, 금속 시트 또는 슬리브를 펀칭 및/또는 기계가공하고, 이어서 프레싱 슬리브의 수용 섹션의 면 측 둘레 영역을 딥 드로잉 및/또는 플랜지 가공하여 생산될 수 있다.
특히, 면 측을 향하는 고정 러그의 안내면이 프레싱 슬리브의 중심 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는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다. 즉, 안내면이 프레싱 슬리브의 중심 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피팅 바디를 삽입할 때, 안내면은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의 축 방향 상대 이동을 메인 피팅 바디에 대한 고정 러그의 클램핑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안내면은 메인 피팅 바디의 면 측을 따라 또는 면 측 상에서 메인 피팅 바디의 외부 측면을 획정하는 메인 피팅 바디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드하고, 이에 따라 메인 피팅 바디에 의해 원주 방향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피팅 바디에 대해 탄성 변형되어 탄력적으로 안쪽으로 클램핑된다. 이러한 효과는 프레싱 슬리브가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을 때 및,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프레싱 슬리브, 메인 피팅 바디 및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프레싱할 때 달성될 수 있다.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프레싱 에지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프레싱 에지는 특히 예리한-에지(sharp-edged)이다. 이 경우에서 "예리한-에지(sharp-edged)"라는 용어는 90도 이하의 각을 형성하는 프레싱 에지를 의미한다. 작도가 작으면 작을수록, 프레싱 에지가 더 예리하게 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의 축 방향 이동에 항하는 고정 러그의 클램핑 효과는 프레싱 에지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프레싱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원주부에서 메인 피팅 바디 소재 내로 침입하도록 형성된다. 고정 러그는 이 프레싱 에지에 의해 형상-맞춤 방식으로 메인 피팅 바디 소재 내로 물릴(claw) 수 있다. 프레싱 에지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은, 프레싱 슬리브의 사전-설치 상태 및/또는 설치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의 축 방향 이동에 형상-맞춤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러그가 프레싱 슬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프레싱 슬리브의 면 측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프레싱 에지가 제공되어 있는 고정 러그는 가시형 훅 또는 클로 방식으로 프레싱 슬리브가 메인 피팅 바디로부터 축 방향으로 미끄러지는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프레싱 슬리브는 설치 방향 또는 가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 위로 축 방향으로 밀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설치 방향 반대 방향으로 프레싱 슬리브의 분리는 고정 러그에 의해 방해 또는 저지되어서, 프레싱 슬리브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메인 피팅 바디로부터 프레싱 슬리브를 분리할 수 없다.
프레싱 슬리브의 수용 섹션은 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전장을 따라 기본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은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수용 섹션의 개구 폭이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러그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용 섹션은 프레싱 슬리브와 함께 프레스 되는 메인 피팅 바디를 사전-설치하고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설치 공정 또는 프레스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수용 섹션의 내부 윤곽은 축 방향 길이 섹션에서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원뿔형 및/또는 곡선 방식 및/또는 선형으로 테이퍼지게 설계될 수 있다. 이 내부 윤곽은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는 특히 수용 섹션의 내부 윤곽에서 시작해서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는 특히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러그가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수용 섹션의 명확한 폭을 획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는 수용 섹션의 내부 측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러그의 내부 측면과 함께 직경 또는 명확한 폭이 메인 피팅 바디의 외경보다 작은 개구부를 한정할 수 있다. 프레싱 슬리브가 메인 피팅 바디 위로 밀어질 때,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이 메인 피팅 바디의 외부 측면에 의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어 메인 피팅 바디에 대해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프레싱 슬리브가 설계될 수 있다. 프레싱 슬리브가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 위로 밀어질 때, 추가적인 생산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고정 러그의 클램핑이 자동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WO2014/000897 A1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는 프레싱 툴을 사용하여 프레싱 슬리브가 결합되어 클램핑될 수 있다.
면 측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싱 섹션이 수용 섹션에 부착될 수 있고, 프레싱 섹션의 내경이 면 측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수용 섹션과 프레싱 섹션 특히 수용 섹션과 프레싱 섹션의 내부 윤곽들은 서로가 직접 하나로 특히 불연속이 없으면서 즉 접선 방향으로 연속적이거나 곡률이 연속적이면서 병합될 수 있다. 메인 피팅 바디가 사전-설치된 후, 프레싱 슬리브가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 바로 위로 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방식으로, 프레싱 공정이 특히 가능하면 최대한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면 측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 섹션이 프레싱 섹션에 부착될 수 있고, 프레싱 슬리브는 단부 섹션 내에서 특히 기본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구비한다. 메인 피팅 바디 위에서 프레싱 슬리브의 축 방향 고정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프레싱 슬리브와 메인 피팅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싱 면 또는 접촉이 이 단부 영역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레싱 섹션을 보강하기 위해 단부 섹션이 바깥방향으로 플랜지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면 특히 기본적으로 원형의 원주 칼라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면 측 상의 수용 섹션이 원형의 원주 플랜지에 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피팅 바디를 더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프레싱 슬리브는 예를 들어 이 면 측 영역에서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에서 시작하는 고정 러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특히 적어도 세 개의 고정 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축 방향 고정이 강화된다.
고정 러그는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싱 슬리브를 메인 피팅 바디 위로 밀 때 고정 러그에 의해 근본적으로 안내가 대칭적으로 이루어져서 프레싱 슬리브가 틀어지는 것(tilting)이 방지된다.
고정 러그들이 특히 별개의 부재들로 형성된다. 그 결과, 고정 러그들이 프레싱 슬리브의 다른 부분의 다른 소재 특히 프레싱 섹션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적당한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당히 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러그들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고정 러그 상에 프레싱 에지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경질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 러그들을 별개의 부재들로 형성하면, 고정 러그들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후속하여 프레싱 슬리브 내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싱 슬리브의 제조가 단순해진다. 특히, 프레싱 슬리브를 단순하게 제조하기 위해, 고정 러그들이 별개의 절단 링(cutting 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러그들을 구비하는 절단 링은 형상-맞춤 방식으로 프레싱 슬리브 내의 그루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피팅 바디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를 구비하는, 밀봉, 해제-불가능한 파이프 연결부를 위한 프레스 피팅에도 관한 것이다. 메인 피팅 바디는 기본적으로 회전 대칭 특히 예를 들어 슬리프 또는 파이프 섹션 같은 원통형의 구성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러그는 특히 그루브 및/또는 리세스 없이 기본적으로 매끈한 메인 피팅 바디 위의 외부 측면 상에 프레싱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 러그와 체결되는 특히 스냅 연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협채널, 그루브 프로파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프레스 피팅과 프레싱 슬리브는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레싱 슬리브 및/또는 메인 피팅 바디는 예를 들면 강 재료 특히 고-등급 강 재료 혹은 동 재료 특히 황동 또는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프레싱 슬리브 재료는 메인 피팅 바디 재료보다 경도가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이 더 쉽게 메인 피팅 바디 재료 내로 침입하게 되어 프레싱 슬리브를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을 히팅 설비, 공기조화 설비, 위생 설비 또는 음료수 설비 또는 산업용 유체 또는 의료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하는 용도에도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프레싱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을 사용하여, 전술한 적용 분야에서 2개의 파이프 단부들 사이에서 금속적으로 밀봉되는 연결부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가지고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3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10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10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5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13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13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6 프레싱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사전-설치되어 있는, 도 16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2개의 파이프 단부를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 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 16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 2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제1 프레싱 슬리브(2)의 사시도이다. 밀봉, 해제-불가능 파이프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2)는 반경 방향으로 프레스되는 메인 피팅 바디(6)를 수용하는 수용 섹션(4)을 구비힌다(도 2 참조). 프레싱 슬리브(2)는, 축선 A를 따라 보았을 때 테이퍼져 있으며, 메인 피팅 바디(6)를 반경 방향으로 좁아지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프레싱 섹션(8)을 구비한다. 수용 섹션(4)의 내경은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에 적합하다. 프레싱 섹션(8)의 내경은,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보다 작다.
프레싱 슬리브(2)는 반경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에 대해 탄성 변형되어 탄력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는 3개의 고정 러그(10)를 구비한다. 고정 러그(10) 각각은 자유 단부 섹션(12)을 구비한다. 고정 러그(10)가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도 1)에서, 자유 단부 섹션(12) 각각은 반경 방향(R)으로 수용 섹션(4)의 안쪽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한다.
프레싱 슬리브(2)는 금속 시트를 딥 드로잉하여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러그(10)는 프레싱 슬리브(2)의 내부 측면(14)과 외부 측면(1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반경방향 개구(18)를 통해 배출된다. 반경방향 개구(18)는 펀칭으로 형성된다. 펀칭한 후에 고정 러그(10)는 반경 방향(R) 안쪽으로 구부러져서,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도 1)에서, 고정 러그(10)의 자유 단부 섹션(12)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섹션(4)의 안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프레싱 슬리브(2)는 메인 피팅 바디(6)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면 측(face side)(20)을 구비한다. 고정 러그(10)는 그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면 측(20)을 향하는 각 고정 러그(10)의 안내면(22)은 축선(A)에 대해 예각(α)으로 경사져 있다(도 2 참조).
고정 러그(10)는 고정 러그의 자유 단부 섹션(12) 영역에서 직사각형 즉 예리한-에지의 프레싱 에지(24)를 구비하며, 이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맞닿게 제공된다.
프레싱 슬리브(2)의 수용 섹션(4)은 메인 피팅 바디(6)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면 측(20)에 할당된다. 수용 섹션(4)은 축 방향으로 측정된 전장을 따라 기본적으로 폭이 일정한 개구를 구비한다.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싱 섹션(8)이 수용 섹션(4)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싱 섹션(8)은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부 섹션(26)이 프레싱 섹션(8)에 부착되어 있으며, 프레싱 슬리브(2)은 기본적으로 일정한 개구 폭을 갖는다. 고정 러그(10)는 수용 섹션(4) 내에 제공되어 있다. 고정 러그(10)들이 서로에 대해 규칙적인 각 거리로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사전-설치 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프레싱 슬리브(2)에 의해 프레스 되는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슬리브(2)들과 메인 피팅 바디(6)는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스 피팅(28)을 형성한다(도 3 참조). 파이프 단부들(30)은 각각이 메인 피팅 바디(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인 피팅 바디(6)의 둘레(32)를 플랜지 가공함으로써, 파이프 단부들(30)이 메인 피팅 바디(6)에 의해 프레스 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사전-설치된 위치에서 시작해서 프레싱 슬리브(2)가 축선(A)을 따른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 위로 밀어진다.
도 3은 프레스 되어 설치된 상태에 있는,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프레스 피팅(28)을 도시하고 있다. 파이프 단부들(30) 각각이 메인 피팅 바디(6)의 내부 측면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정지부(34)까지 메인 피팅 바디(6) 내로 삽입되어 있다.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이 각 케이스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 지를 확대되어 있는 도면으로부터 인지할 수 있다.
프레스 피팅(28)이 각각의 파이프 단부(30)와 프레스되면, 프레싱 슬리브(2)가 축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 위로 밀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WO 2014/000897 A1호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는, 프레싱 툴이 사용된다.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메인 피팅 바디(6)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32)가 프레싱 슬리브(2)의 프레싱 섹션(8)을 따라 습동(slide)하여 직경이 좁아진다. 메인 피팅 바디(6)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32)는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플랜지로 되어 있다. 즉, 프레싱 슬리브(2)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메인 피팅 바디(6)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32)는 프레싱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 프레싱 슬리브(2)의 테이퍼진 프레싱 섹션(8) 위에 타이트하게 맞닿아서, 메인 피팅 바디(6)의 둘레 영역 또는 주연부(32)가 프레싱 섹션(8)의 내부 윤곽을 따라 미끄러져서 소성 변형된다. 프레싱 슬리브(2)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고정 러그(10)는 고정 러그의 프레싱 에지(24)가 메인 피팅 바디(6)의 재료와 맞물려서 각 프레싱 슬리브(2)가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축 방향으로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프레싱 슬리브(2) 재료가 메인 피팅 바디(6) 재료보다 더 경(hard)하다. 각 프레싱 슬리브(2)가 메인 피팅 바디(6) 위로 축 방향으로 밀어진 후에는, 각 프레싱 슬리브(2)는 프레싱 슬리브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 되는데, 이는 고정 러그(10)메인 피팅 바디(6)의 자유 단부 섹션(12)을 타이트하게 파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프레싱 슬리브의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전의 예시적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이 프레싱 슬리브의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작용효과가 동일한 컴포넌트 또는 구조적 피처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4는 프레싱 슬리브(2)의 제2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싱 슬리브(2)는, 단부 섹션이 없다는 점만이 도 1에 설명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5는 사전-설치 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예시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고정 러그(10)는 사전-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2)가 설치 방향 또는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끌어당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미 고정하고 있다.
도 6은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4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의 상호 작용을 상세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프레싱 슬리브(2)의 제3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로, 도 1에 설명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형태와는, 단부 섹션이 없고 면 측 위의 수용 섹션(4)이 원형 원주 플랜지(36)로 병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고정 러그(10)는 플랜지(36)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러그(10)는 이전에 설명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축선(A)에 대해 기본적으로 더 가파른 각(α)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특히 좁은 프레싱 슬리브(2)의 디자인이 얻어진다.
도 8은 사전-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7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되어 있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고정 러그(10)는 사전-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2)가 설치 방향 또는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끌어당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미 고정하고 있다.
도 9는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7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의 상호 작용을 상세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프레싱 슬리브(2)의 제4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싱 슬리브(2)는, 고정 러그(10)가 수용 섹션(4) 위의 면 측 바로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 섹션의 주연부와 프레싱 섹션의 주연부 모두는 원형 또는 곡선 형태의 플랜지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싱 슬리브(2)는 프레싱 공정 중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에 대해 강화 또는 보강된다.
도 11은 사전-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0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되어 있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고정 러그(10)는 사전-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2)가 설치 방향 또는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끌어당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미 고정하고 있다.
도 12는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0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의 상호 작용을 상세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은 프레싱 슬리브(2)의 제5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고정 러그(10)가 수용 섹션(4) 위의 면 측 바로 위에 제공되어 있고, 고정 러그(10)는 프레싱 슬리브(2)의 주연부 전체에 걸쳐 연장한다. 이를 위해, 수용 섹션(4)의 주연부는 90도 보다 안쪽으로 곡선 형태의 플랜지로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형태들과는 달리, 프레싱 슬리브(2)는, 특히 프레싱 영역(8)을 강화시키기 위해 벽 두께가 다른 컴포넌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사전-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3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러그(10)는 사전-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싱 슬리브(2)가 설치 방향 또는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메인 피팅 바디(6)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끌어당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미 고정하고 있다.
도 15는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3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의 상호 작용을 상세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6은 프레싱 슬리브(2)의 제6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고정 러그(10)는 프레싱 슬리브(2)의 메인 바디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절단 링(38) 요소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 러그(10)가 프레싱 슬리브의 둘레를 따라 절단 링(38)을 통해 제공되어 있다. 절단 링(38)과 고정 러그(10)는 프레싱 슬리브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7은 사전-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6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와 메인 피팅 바디(6)를 도시하고 있다. 위쪽에 고정 러그가 배치되어 있는 절단 링(38)이 수용 섹션(4) 내의 그루브(40) 내에 유지되어 있다. 고정 러그(10)는 사전-설치된 상태에서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프레싱 슬리브(2)를 고정시킨다.
도 18은 2개의 파이프 단부들(30)을 구비하는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는 도 13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 2개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슬리브(2), 메인 피팅 바디(6) 및 파이프 단부들(30)의 상호 작용을 상세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9)

  1. 메인 피팅 바디(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섹션(4)을 구비하고, 수용 섹션에 부착되는 프레싱 섹션(8)을 구비하고,
    수용 섹션(4)의 내경이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에 일치하고,
    적어도 섹션들 내에서, 프레싱 섹션(8)의 내경이 메인 피팅 바디(6)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어, 프레싱 섹션(8)이 메인 피팅 바디(6) 위로 축 방향으로 밀어질 때, 프레싱 섹션의 축선 방향 이동이 메인 피팅 바디의 반경 방향 변형으로 변화됨으로써 메인 피팅 바디(6)의 주연부가 플랜지로 되고 연결될 파이프 단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된,
    밀봉, 해제-불가능 파이프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에 있어서,
    반경 방향(R)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탄력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10)가 수용 섹션(4) 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고정 러그(10)는, 고정 러그(10)가 클램핑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 섹션(4)의 내부 안쪽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 섹션(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싱 슬리브(2)가 포밍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러그(10)가, 프레싱 슬리브의 내부 측면(14)과 외부 측면(16)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반경 방향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 섹션(4) 영역 내에서 프레싱 슬리브(2)가 메인 피팅 바디(6)를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면 측(20)을 구비하고, 고정 러그(10)는 상기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5. 제4항에 있어서,
    면 측(20)을 향하는 고정 러그(10)의 안내면(22)이 프레싱 슬리브(2)의 중심 축선(A)에 대해 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도(α)는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인 피팅 바디(6) 위에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프레싱 에지(24)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10)의 자유 단부 섹션(12)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싱 에지(24)는 예리한-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 섹션(4)이 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전장을 따라 일정한 개구 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8. 제4항에 있어서,
    면 측(20)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싱 섹션(8)이 수용 섹션(4)에 부착되어 있고, 프레싱 섹션의 내경이 면 측(20) 반대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면 측(20) 반대편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 섹션(26)이 프레싱 섹션(8)에 부착되어 있고, 프레싱 슬리브(2)는 단부 섹션(26) 내에서 일정한 개구 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0. 제4항에 있어서,
    면 측 상의 수용 섹션(4)이 원형의 둘레 플랜지(36)에 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고정 러그(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정 러그(10)가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 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3. 제11항에 있어서,
    고정 러그(10)가 개별의 요소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4.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30)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피팅 바디(6)를 구비하고,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프레싱 슬리브(2)를 구비하는,
    밀봉, 해제-불가능한 파이프 연결부를 위한 프레스 피팅.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히팅 설비, 공기조화 설비, 위생 설비 또는 음료수 설비, 또는 산업용 유체 또는 의료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6. 제14항에 있어서,
    히팅 설비, 공기조화 설비, 위생 설비 또는 음료수 설비, 또는 산업용 유체 또는 의료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
  17. 제2항에 있어서,
    프레싱 슬리브(2)가 딥 드로잉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8. 제11항에 있어서,
    셋 또는 그 이상의 고정 러그(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19. 제13항에 있어서,
    고정 러그(10)가 절단 링(38)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피팅용 프레싱 슬리브.
KR1020177027555A 2015-03-05 2016-02-17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KR10193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3228.7A DE102015103228B4 (de) 2015-03-05 2015-03-05 Presshülse, Pressfitting und Verwendung des Pressfittings oder der Presshülse
DE102015103228.7 2015-03-05
PCT/EP2016/053362 WO2016139062A1 (de) 2015-03-05 2016-02-17 Presshülse, pressfitting und verwendung des pressfittings oder der presshül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773A KR20170132773A (ko) 2017-12-04
KR101931734B1 true KR101931734B1 (ko) 2018-12-24

Family

ID=5536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555A KR101931734B1 (ko) 2015-03-05 2016-02-17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051834A1 (ko)
EP (1) EP3265711B1 (ko)
JP (1) JP6475857B2 (ko)
KR (1) KR101931734B1 (ko)
CN (1) CN107407446B (ko)
AU (1) AU2016227853B2 (ko)
BR (1) BR112017017534B1 (ko)
CA (1) CA2978367C (ko)
DE (1) DE102015103228B4 (ko)
DK (1) DK3265711T3 (ko)
ES (1) ES2722525T3 (ko)
PL (1) PL3265711T3 (ko)
RU (1) RU2660231C1 (ko)
WO (1) WO2016139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7091B1 (fr) * 2014-10-08 2017-04-07 Air Liquide Raccord a sertir sur au moins un tuyau, ensemble de tuyaux comprenant un tel raccord et procede d'assemblage de tuyau a un tel raccord
DE102017108206B4 (de) 2017-04-18 2020-06-18 Faurecia Autositze Gmbh Verstellanordnung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eines Fahrzeugsitze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erstellanordnung sowie Fahrzeugsitz
CN108326551B (zh) * 2017-12-29 2023-06-20 江苏集萃智能制造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上螺母及扩口机构
TWI670903B (zh) * 2018-05-30 2019-09-01 大陸商中山市慶誼金屬制品企業有限公司 快速接頭改良結構
CA3134077A1 (en) 2019-03-25 2020-10-01 Velan Inc. Thermal insulating sleeve liner for fluid flow device and fluid flow device incorporating such liner
DE102020131455B4 (de) 2020-11-27 2024-05-29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bindungssystem
CN114871732B (zh) * 2022-06-09 2023-04-25 安庆中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柴油机缸盖喷油器铜套的压装结构
WO2024076732A1 (en) * 2022-10-06 2024-04-11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Press fit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7165U1 (de) * 1996-10-02 1996-11-14 Novopress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von zwei Rohrenden
DE10125304C1 (de) * 2001-05-16 2002-06-20 Mapress Gmbh & Co Kg Rohr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727A (en) * 1969-11-14 1974-08-06 K Moebius Constrictor ring and tube joint
JPS5160515U (ko) * 1974-11-07 1976-05-13
JPS57205486U (ko) * 1981-06-23 1982-12-27
JPS5972818U (ja) * 1982-11-04 1984-05-17 未来工業株式会社 管用連結装置
IL72279A (en) * 1983-07-19 1988-11-30 Pfister Juerg Pipe coupling device
JPS60189692U (ja) * 1984-05-28 1985-12-16 鈴木 秀男 管体の接続機構
JPH0324952Y2 (ko) * 1986-06-27 1991-05-30
CN2037022U (zh) * 1988-07-07 1989-05-03 沈仲山 管件快速接头
US5303958A (en) * 1991-10-31 1994-04-19 The Deutsch Company Axially swaged fitting with composite swaging ring
DE19631574C1 (de) 1996-07-26 1997-11-13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US5797168A (en) * 1996-09-05 1998-08-25 Kabushiki Kaisha Kenlock Two-loop coiled type clamping device
JPH1113952A (ja) * 1997-06-25 1999-01-22 Hitachi Ltd 管材同士および容器の気密接合方法並びに空調機および電池
CN2361938Y (zh) * 1999-01-07 2000-02-02 张和生 管道插接装置
CN2504805Y (zh) * 2001-08-17 2002-08-07 林泰源 快速接头
FR2831642B1 (fr) * 2001-10-30 2003-12-19 Legris Sa Coupleur
DE102006050427A1 (de) * 2006-08-22 2008-02-28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Pressfittings sowie Presswerkzeug hierzu
DE202006019578U1 (de) 2006-12-29 2007-03-08 Ipa Produktions- & Vertriebsges.M.B.H. Presshülse für eine Pressverbindung von Rohren
DE102008039446B4 (de) * 2008-07-07 2015-12-17 Viega Gmbh & Co. Kg 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nlösbaren Werkstückverbindung
JP5325547B2 (ja) * 2008-11-26 2013-10-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逆止弁
US8303001B2 (en) * 2009-01-13 2012-11-06 Kofulso Co., Ltd. Pipe connector
AT507566B1 (de) * 2009-04-28 2010-06-15 Ke Kelit Kunststoffwerk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kunststoffrohr an einem anschlussnippel
US8783735B2 (en) * 2011-10-24 2014-07-22 The Boeing Company Conductance on hydraulic fittings using a soft metal interlayer
DE102012105655A1 (de) 2012-06-28 2014-01-02 Viega Gmbh & Co. Kg Pressback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unlösbaren Rohrverbindung und System aus einer Pressbacke und einem Fitting
GB2505946B (en) * 2012-09-17 2020-07-08 Parker Hannifin Mfg Uk Limited A compressible coupling
DE102012110086A1 (de) 2012-10-23 2014-04-24 Viega Gmbh & Co. Kg Hülse für unlösbare Verbind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ülse und System mit einer Hül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7165U1 (de) * 1996-10-02 1996-11-14 Novopress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von zwei Rohrenden
DE10125304C1 (de) * 2001-05-16 2002-06-20 Mapress Gmbh & Co Kg Rohrv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265711T3 (en) 2019-04-23
JP2018511012A (ja) 2018-04-19
EP3265711B1 (de) 2019-04-03
CN107407446A (zh) 2017-11-28
AU2016227853A1 (en) 2017-09-28
EP3265711A1 (de) 2018-01-10
ES2722525T3 (es) 2019-08-13
DE102015103228A1 (de) 2016-09-08
WO2016139062A1 (de) 2016-09-09
CA2978367C (en) 2018-10-02
JP6475857B2 (ja) 2019-02-27
BR112017017534B1 (pt) 2021-02-23
CN107407446B (zh) 2019-10-08
AU2016227853B2 (en) 2018-08-30
US20180051834A1 (en) 2018-02-22
BR112017017534A2 (pt) 2018-12-11
KR20170132773A (ko) 2017-12-04
PL3265711T3 (pl) 2019-07-31
RU2660231C1 (ru) 2018-07-05
DE102015103228B4 (de) 2018-03-22
CA2978367A1 (en)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734B1 (ko) 프레스 슬리브, 프레스 피팅 및 프레스 슬리브 또는 프레스 피팅의 용도
CA2255331C (en) Undetachable pressed connection between a fitting and a metal pipe end
CA3056481C (en) Fitting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ip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EP2110593B1 (en) Hos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arrangement
US4021062A (en) Coupling assemblies
US9599264B2 (en) Clamping joint for pipes
KR101472299B1 (ko) 유체 이송 튜브 조인트 구조물
US20110204624A1 (en) Universal connection socket
US20080277931A1 (en) Connection for conduits and method for making it
MX2014012976A (es) Una junta a deslizante compuesta para uniones de alta presión.
KR20190087612A (ko) 프로파일된 클램프
EP2379929B1 (en) Fitting with a protection element
US20120242079A1 (en) Coupling system, distributor, pipe system, and pipe offset system
US9803786B2 (en) Press fitting for a pipe, in particular plastic pipe or plastic and metal composite pipe
EP1432943B1 (en) Connections
US20160186904A1 (en)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fluid-conducting components
EP3699468A1 (en) Fluid drain connector
EP3523564B1 (en) Hose end fitting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080258464A1 (en) Fitting for a tube
WO2020092556A1 (en) Fitting for connecting a main pipe liner to a branch conduit
EP3479997B1 (en) Hygienic junction pipe made of plastic material
WO2023202800A1 (en) Conduit fitting
EP2444708A1 (en) Accessory for connecting tubes by sliding
JPH10504878A (ja) 管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管継手および導管
AU2002362521A1 (en) Conn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