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685B1 -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 Google Patents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685B1
KR101931685B1 KR1020160180491A KR20160180491A KR101931685B1 KR 101931685 B1 KR101931685 B1 KR 101931685B1 KR 1020160180491 A KR1020160180491 A KR 1020160180491A KR 20160180491 A KR20160180491 A KR 20160180491A KR 101931685 B1 KR101931685 B1 KR 10193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hosphorescent
deliner
presen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249A (ko
Inventor
박지군
강상식
문종욱
김성호
김대영
허예지
김교태
강수빈
조수연
이수민
양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6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DELINEATOR IMPROVED VISIBILITY USING PHOSPHORESCENT PLATE AND REFL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빛을 입사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하여 야간에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 및 가드레일과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델리네이터(Delineator)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 제품의 경우 재귀반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델리네이터의 크기를 증가시킨 제품이 존재하지만, 굴곡진 도로에서는 입사되는 빛이 존재하지 않으면 재귀반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사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되므로 굴곡진 도로나 야간 산길 주행 시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해외의 경우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교통안전표지판에 델리네이터를 부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표지판 지주 전체에 반사지를 부착하여 표지판의 시인성을 높이는 동시에 지주와의 접촉사고를 예방하고, 굴곡 도로에서의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야간 및 우천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면표시 테이프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굴절률을 높인 유리구슬을 개발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싱가폴과 일본의 경우 지주의 전/후면에 원형의 델리네이터를 부착하고 있으나, 그 크기는 서로 다른 규격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은 백색바탕에 유색글씨의 화면에 단순히 내부 조명을 하여 제작하며, 이는 야간 가독성은 우수하나, 주간 가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부가적인 전기시설을 필요로 한다.
또한, 미국에서 채택하는 방식은 외부조명에 의하므로, 설치 높이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재귀 반사 방식의 틀을 깨며, 외부조명기구의 낙하 등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외부조명이 필요함에 따라 부가적인 전기시설이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델리네이터의 기본크기인 지름 100mm은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불빛만으로는 시인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반사테이프만을 사용하여 차량 전조등에 의한 재귀반사로 운전자들이 델리네이터의 존재를 인식하지만 멀리서는 델리네이터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반사테이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명이 존재하며 수명이 다하면 교체 비용이 있으며, 교체 전까지 사고위험이 급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델리네이터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델리네이터의 지름을 증가시키거나, LED 램프를 접합시켜 직접 집중 투영되도록 하는 직접 반사효율을 높여 가시효과를 극대화 시켜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하지만 물리적인 힘에 쉽게 파손되며, 초기 설치비용이 비싸며 일정한 수명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델리네이터의 반사판 설치각도 조절을 통한 곡선차로 및 오르막, 내리막 등 도로에 반사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인성을 확보하지만 이에도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한 델리네이터의 구성을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야간 운행시, 외지거나 산길 등의 굴곡진 도로 운행 및 기상 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이 없는 흐린 날에도 자동차 전조등에 의해 축광되는 축광판을 포함하는 델리네이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공급 없이도 축광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으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광소재를 활용한 축광판을 접목한 델리네이터의 구조를 통해 종래의 LED 또는 태양광 등을 이용한 전기시설과는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LED 안내판의 경우와 같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나지 않으며, 주기적인 교체 및 전기시설 관리 등에 따른 불편한 요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의 관리를 위한 인적 소요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여 보다 경제적인 관리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는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판과 상기 반사판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균일하게 분할한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판과 상기 반사판은 각각 상기 원판형의 몸체 상에 동일한 면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판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의 중심부 상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축광판을 둘러싸는 영역을 균일하게 분할하는 영역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의 중심부 상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광판은 상기 원형의 반사판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의 테두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타면에,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제2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0형, L형,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한 델리네이터 제작을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야간 운행시, 외지거나 산길 등의 굴곡진 도로 운행 및 기상 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빛이 없는 흐린 날에도 자동차 전조등에 의해 축광되는 축광판을 포함하는 델리네이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공급 없이도 축광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으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소재를 활용한 축광판을 접목한 델리네이터는 종래의 LED 또는 태양광 등을 이용한 전기시설과는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LED 안내판의 경우와 같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나지 않으며, 주기적인 교체 및 전기시설 관리 등에 따른 불편한 요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의 관리를 위한 인적 소요 및 경제적 소요를 줄여 보다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100)는 몸체(11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된 몸체(110)의 표면에는 축광판(111)과 반사판(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광판(111)은 광을 축광하는 판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광을 축적하였다가 어두운 환경에서는 광을 방출하며, 상기 반사판(112)은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축광판(111)에 사용되는 축광소재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축광량이 다소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도로에서 운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해 지속적인 축광이 이루어지므로, 야간 시간 동안 안내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110)는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광판(111)과 상기 반사판(112)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균일하게 분할한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판(111)과 상기 반사판(112)은 각각 상기 원판형의 몸체 상에 동일한 면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빛이 없는 흐린 날에도 자동차 전조등에 의해 축광되는 축광판(111)을 포함하는 델리네이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공급 없이도 축광판(111)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으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100)는 몸체(11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된 몸체(110)의 표면에는 축광판(111)과 반사판(112)리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의 실시예의 상기 축광판(111)은 광을 축광하는 판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광을 축적하였다가 어두운 환경에서는 광을 방출하고, 상기 반사판(112)은 광을 반사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는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광판(111)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110)의 중심부 상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112)은 상기 축광판(111)을 둘러싸는 영역을 균일하게 분할하는 영역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112)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110)의 중심부 상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판(111)은 상기 원형의 반사판(112)을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15)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몸체(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1 몸체(110)의 표면에는 축광판(111)과 반사판(112)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110)의 타면에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제2 몸체(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가드레일에 설치되기 위해 O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옹벽에 설치되기 위해 L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옹벽에 설치되기 위해 I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중앙분리대에 설치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교량의 핸드레일에 설치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토공용 O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가 가드레일에 설치되기 위해 H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한 델리네이터 제작을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야간 운행시, 외지거나 산길 등의 굴곡진 도로 운행 및 기상 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소재를 활용한 축광판을 접목한 델리네이터는 종래의 LED 또는 태양광 등을 이용한 전기시설과는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LED 안내판의 경우와 같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나지 않으며, 주기적인 교체 및 전기시설 관리 등에 따른 불편한 요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의 관리를 위한 인적 소요 및 경제적 소요를 줄여 보다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델리네이터
110: 몸체, 제1 몸체
115: 제2 몸체
111: 축광판
112: 반사판
120: 지지대

Claims (7)

  1.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타면에, 광을 축광하는 축광판과,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제2 몸체;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축광판과 상기 반사판은,
    상기 원판형의 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균일하게 분할한 영역 상에 교대로 배치되는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판과 상기 반사판은,
    각각 상기 원판형의 몸체 상에 동일한 면적 상에 배치되는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0형, L형,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되는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KR1020160180491A 2016-12-27 2016-12-27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KR10193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91A KR101931685B1 (ko) 2016-12-27 2016-12-27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91A KR101931685B1 (ko) 2016-12-27 2016-12-27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49A KR20180076249A (ko) 2018-07-05
KR101931685B1 true KR101931685B1 (ko) 2018-12-21

Family

ID=6292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91A KR101931685B1 (ko) 2016-12-27 2016-12-27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12B1 (ko) * 2020-11-27 2022-03-22 허봉락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며 3가지 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및 이에 사용되는 도로표지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26Y1 (ko) * 2002-11-04 2003-02-19 김효석 발광체가 반사판에 표시되는 반사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26Y1 (ko) * 2002-11-04 2003-02-19 김효석 발광체가 반사판에 표시되는 반사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49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6367A1 (en) Road-Marking System
CA2584245C (en) Device and method of optical signaling for road or traffic lanes, specificall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WO2010028544A1 (zh) 一种太阳能led指示标
KR101931685B1 (ko) 축광판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델리네이터
KR101675377B1 (ko)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KR100297383B1 (ko) 도로표지구용 축광반사지
EP0539615A1 (en) Road display apparatus and light source for said road display apparatus
CN212316731U (zh) 一种反射路标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CN101173506A (zh) 警示装置
CN111593684B (zh) 一种能够提高行驶安全性的道路反光装置
US20140062690A1 (en) Vehicle Warning Device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111519558B (zh) 一种反射路标
KR101453242B1 (ko) 도로용 표지병
KR100288656B1 (ko) 가드레일 부착용 갈매기표지
CN216161233U (zh) 一种交通安全指示系统
KR20050006078A (ko) 표지병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JP3129180U (ja) 警告装置
JPH07331620A (ja) 道路用標識
KR101313265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0112963Y1 (ko) 도로용 주의 표시판
JP2865393B2 (ja) 光反射材および面発光表示物
CN206267058U (zh) 蓄能自发光附着式长方形轮廓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