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20B1 - 양면 유리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유리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20B1
KR101931020B1 KR1020170102675A KR20170102675A KR101931020B1 KR 101931020 B1 KR101931020 B1 KR 101931020B1 KR 1020170102675 A KR1020170102675 A KR 1020170102675A KR 20170102675 A KR20170102675 A KR 20170102675A KR 101931020 B1 KR101931020 B1 KR 10193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leaning
flexible supporting
cleaning unit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기
배훈열
Original Assignee
최완기
배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기, 배훈열 filed Critical 최완기
Priority to KR102017010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과 유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을 포함하되, 제1 청소 유닛과 제2 청소 유닛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제1 청소 유닛 및 제2 청소 유닛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 유리는 물론이고, 곡면 유리의 경우에도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 유리 청소 장치{An Both-Side Cleaner For Curved Glasses}
본 발명은 양면 유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의 굴곡에 따라 청소 장치의 청소 부재도 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곡면 유리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양면 유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의 청소를 위해서는, 세척액이 흡수된 스펀지 등의 세척포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내면 및 외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세척하고, 필요에 따라, 유리창에 잔류한 물기를 고무 블레이드로 긁어내어 제거한다. 유리창의 청소에는, 통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아파트, 사무실 등 고층건물에서는, 추락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어려워, 유리창 외면을 청소하기 곤란하다. 전문가가 건물 외부에서 로우프(rope)에 매달려, 유리창 외면을 직접 청소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으나, 전문가에 의한 유리창 외면 청소 역시 위험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유리창 외면을 자주 청소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가정,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 고층 유리창의 외면을 청소하기 위한 간편한 청소기구로서, 세척액이 흡수된 세척포 및 자석을 포함하는 한 쌍의 몸체를 유리창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부착하고, 유리창 내면에 부착된 내부 몸체를 이동시켜, 자력에 의하여, 유리창 외면에 부착된 외부 몸체도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유리창 외면을 청소하는 장치가 다수 문헌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유리창 청소기구에 있어서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는 유리창의 청소에는 적합하지만, 유리창 표면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곡면 유리창을 청소할 경우에는, 유리창 청소기구의 세척포 및 고무 블레이드가 유리창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유리창의 청소가 불완전하게 수행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 미관상 또는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 유리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곡면 유리창의 청소에 적합한 유리창 청소 기구에 대한 요청이 증대되고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517026호(2015.04.27.)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080호(2006.09.04.)
본 발명은 곡면 유리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유리 청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과 유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을 포함하되, 제1 청소 유닛과 제2 청소 유닛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제1 청소 유닛 및 제2 청소 유닛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를 구비하는 유리 청소 장치일 수 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청소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 부재를 더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는 상기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단위 블록을 복수 개 포함하고, 단위 블록은 중심 블록 및 중심 블록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중심 블록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블록 및 주변 블록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는 자력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청소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관통 홀 내에, 유리와 제1 및 제2 청소 유닛의 상호 간 슬라이딩을 촉진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회전체 및 회전체를 수용하는 회전체 수용 부재를 가지되, 유리와 상기 제1 및 제2 청소 유닛의 상호 간 슬라이딩시 회전체는 유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을 촉진할 수 있다.
회전체는 구형일 수 있다.
청소 부재는 압축력을 가하면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하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축성 소재는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 유닛은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상면에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대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중심부과 그립 부재의 중심부를 연결하고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의 최대 및 최소를 설정하여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 정도를 제어하는 중심부 연결대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주변부와 그립 부재를 연결하고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에 따라 신축이 가능한 주변부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수용 부재 및 수용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수용 부재의 홈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되, 삽입 부재의 움직임은 수용 부재에 형성된 홈의 길이의 범위 내로 한정될 수 있다.
주변부 연결대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1 스틱, 그립 부재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2 스틱 및 원통 형상을 가지고 양쪽 개구부로 제1 스틱 및 제2 스틱이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연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과 유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을 포함하되, 제1 청소 유닛과 제2 청소 유닛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제1 청소 유닛 및 제2 청소 유닛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측면에 청소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마감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청소 유닛은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상면에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 마감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 청소 유닛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구동 부재, 마감 부재의 외면에 장착되고 창틀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 그립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틀의 크기를 인식하여 제1 청소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일 수 있다.
구동 부재는, 그립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구동 모터와 연결된 톱니 바퀴에 장착되고 구동 모터의 회전시 유리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1 청소 유닛을 움직이게 하는 궤도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 유리는 물론이고, 곡면 유리의 경우에도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유리 청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를 창문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를 창문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단위 블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단위 블록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하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일부에 대한 하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중심부 연결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압축 모식도 및 인장 모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주변부 연결대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가 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가 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라는 표현은 순서,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면 유리는 물론이고 곡면 유리의 경우에도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유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는 유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평면 유리는 물론이고 곡면 유리의 경우에도 양면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는 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를 창문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단위 블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단위 블록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하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일부에 대한 하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중심부 연결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압축 모식도 및 인장 모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의 주변부 연결대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가 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리 청소 장치가 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100)과 유리(3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200)을 포함하되,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제1 청소 유닛(100) 및 제2 청소 유닛(200)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110)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를 구비하는 유리 청소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창문의 안쪽과 바깥쪽 유리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곡면으로 형성된 창문의 경우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측면은 창문 유리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하기 위하여 유리를 기준으로 일면에 제1 청소 유닛(100)이 배치되고 유리의 타면에는 제2 청소 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 유닛(100)이 실내 측 유리면에 장착되고 제2 청소 유닛(200)이 실외 측 유리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유리창을 중심으로 양쪽 면에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청소 유닛(100)이나 제2 청소 유닛(200) 어느 하나가 움직이면 나머지 하나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본 측면은 곡면 유리창의 유리의 양면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고 평면 유리창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고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곡면 유리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유리의 곡면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본 측면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는 청소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구부러지거나 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의 구부러짐 또는 휨을 담보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를 특정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즉 유리의 곡면에 따라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 블록(10)을 설계하고, 이러한 단위 블록(10)을 원하는 만큼 복수 개 배열하여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를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위 블록(10)의 개수를 가로 또는 세로로 조절하여 청소 장치의 전체 크기 및 모양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은 중심 블록(11)과 주변 블록(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중심 블록(11)을 중심으로 이를 둘러싸는 주변 블록(12)을 가질 수 있다. 주변 블록(1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블록(11)은 평면 모양이 한 변의 길이가 a 인 정사각형이고, 주변 블록(12)은 평면 모양이 한 변의 길이가 a 이고 다른 한 변의 길이는 2a+α (α 는 블록과 블록 사이의 거리)인 직사각형일 수 있다. 주변 블록(12) 4개가 중심 블록(11)을 중심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한 변의 길이가 3a+2α 인 평면 모양을 가지는 단위 블록(1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단위 블록(10)을 복수 개 배치하여 형성한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또한 정사각형이거나 또는 직사각형의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심 블록(11)과 주변 블록(12)의 평면 모양이 한 변의 길이가 a 인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심 블록(11)을 8개의 주변 블록(12)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 블록(11)과 주변 블록(12)을 모두 정육각형의 평면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중심 블록(11) 및 주변 블록(12)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수용부는 자력발생부(15)를 수용할 수 있다. 중심 블록(11) 및 주변 블록(12)은 상부 케이스(11a, 12a)와 하부 케이스(11b, 12b)로 나뉠 수 있다. 이렇게 블록을 상부 케이스(11a, 12a)와 하부 케이스(11b, 12b)로 구분함으로써 내부에 자력발생부(15)를 넣은 후에 조립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력발생부(15)에서는 자력을 발생시키며, 자력발생부로는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에 포함된 각 블록에는 서로 반대 자성을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청소 유닛(200) 상호 간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자석은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블록 모두에 자력발생부(15)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자력발생부(15)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과 유리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하고, 자력발생부(15)의 개수가 적을수록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과 유리(300) 사이의 밀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이 유리에 밀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밀착력을 가지도록 자력발생부(15)의 개수로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단위 블록(10)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15)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이 유리(300)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로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중심 블록(11) 및 주변 블록(12)에는 각 블록 간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 부재(14)가 삽입되는 연결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블록의 측면에 연결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이 상부 케이스(11a, 12a)와 하부 케이스(11b, 12b)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연결공(13)의 반이 상부 케이스(11a, 12a)에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반이 하부 케이스(11b, 12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연결 부재(14)를 하부 케이스(11b, 12b)의 연결공(13)에 삽입한 후 상부 케이스(11a, 12a)를 덮어 조립함으로써 쉽게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중심 블록(11)과 주변 블록(12)은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가 가볍기 때문에 창문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특성상 경량화에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중심 블록(11)과 각 주변 블록(12)은 물론이고, 주변 블록(12)과 주변 블록(12) 간에도 모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동적 연결이란 곡면 유리가 가지는 굴곡에 따라 각 블록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말한다. 유동적 연결은 각 블록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4) 자체를 유연한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각 블록에 형성된 연결공(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연결 부재(14)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구현할 수 있다. 유연한 소재로는 대표적으로 고무 등의 폴리머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곡면 유리의 곡률 반경의 크기에 맞추어 중심 블록(11)과 주변 블록(12)의 크기는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블록의 크기를 작게 하면 단위 블록(10)의 크기도 작아질 수 있고, 이 경우 곡률 반경이 작은 곡면 유리에 적합할 수 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에는 청소 부재(20)가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에 있어서 유리 쪽 방향의 면을 하면이라 하고 그 반대의 면을 상면이라 한다. 청소 부재(20)는 유리 표면과 접촉하여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부재를 말한다.
청소 부재(20)는 압축력을 가하면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하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성 소재로는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측면에는 마감 부재(30)가 형성되어 있어 청소 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청소 부재(20)는 한 쪽 방향이 외부로 오픈된 상태이고, 나머지 방향은 모두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와 마감 부재(30)로 둘러 쌓여 막혀 있는 상태이다. 즉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와 마감 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청소 부재(20)가 들어 있는 구조이다. 오픈된 방향으로는 청소 부재(20)가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다. 마감 부재(30)의 부위 중 청소 부재(2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로써 청소 부재(20)가 이탈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가 바닥면을 이루고,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측면을 마감 부재(30)가 둘러싸면서 마감 부재(30)에 의하여 턱이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다. 마감 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턱의 높이는 청소 부재(2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부재(20)가 유리 창에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청소 부재에 압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청소 부재(20)는 어느 정도 압축될 수 밖에 없는데, 마감 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턱의 높이는 청소 부재(20)가 압축된 후의 청소 부재(20)의 두께보다 더 작아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마감 부재(30)가 유리와 접촉하게 되어 청소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마감 부재(30)로 인하여 유리에 흠집이 생길 수 있다.
청소가 진행될 때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과 유리(300) 상호 간의 슬라이딩을 촉진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에는 슬라이딩 부재(41, 4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에 청소 부재(20)가 장착되는 경우,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와 슬라이딩 부재(41, 42)가 서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소 부재(20)에 관통 홀(슬라이딩 홀)(21)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부재(41, 42)가 슬라이딩 홀(21)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청소 부재(20)의 슬라이딩 부재(41, 42) 위치에 대응되는 부위에 슬라이딩 홀(21)을 형성한 후에 장착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41, 42)와 청소 부재(2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 42)는 회전체(41) 및 회전체를 수용하는 회전체 수용 부재(42)를 가질 수 있다. 회전체 수용 부재(42)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고, 회전체(41)는 유리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가 진행되는 경우 회전체(41)는 유리(300)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서 유리(300)와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의 상호 간 슬라이딩(움직임/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회전체(41)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41)가 구형인 경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회전체(41)는 유리 재질의 구(球), 금속 재질의 구(球) 또는 경도가 높은 고무 재질의 구(球)일 수 있다. 회전체 수용 부재(42)는 반구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 42)의 높이는 청소 부재(20)의 두께보다 작고, 마감 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턱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 42)의 높이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으로부터 측정된 높이를 말한다. 제1 및 제2 청소 유닛(100, 200)이 유리(300)에 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는 경우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청소 부재(20)는 압축되어 슬라이딩 부재(41, 42)의 높이와 같게 되고, 이 경우 슬라이딩 부재(41, 42)의 회전체(41)가 유리(300)와 접하게 된다. 즉 자석에 인력에 의하여 청소 부재(20)가 압축될 수 있는 최대 한도는 청소 부재(20)의 두께와 슬라이딩 부재(41, 42)의 높이와의 차이만큼이다. 청소 부재(20)의 압축 정도에 따라 청소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청소 부재(20)의 압축이 크면 그 만큼 유리(30)에 작용하는 압력이 크게 되어 청소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 부재(20)의 두께와 슬라이딩 부재(41, 4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청소 부재(20)의 이탈 방지를 위한 마감 부재(30)로 인하여 형성된 턱의 높이보다는 커야 한다.
제1 청소 유닛(100)은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상면에 연결대(60, 61)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청소 장치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청소 유닛(100)에 장착된 그립 부재(70)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립 부재(70)는 제1 청소 유닛(100) 또는 제2 청소 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만 장착될 수 있다. 그립 부재(70)는 실내 측 청소 유닛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 측에 배치된 청소 유닛에는 손이 닿지 않기 때문이다. 제1 청소 유닛(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2 청소 유닛(200)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유리(300)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은 유리(300)의 양쪽 면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므로 양자의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다.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은 유리(30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특성상 다음과 같은 구조적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 유닛(100)을 실내 측에 배치하고, 제2 청소 유닛(200)을 실외 측에 배치하는 경우, 수동 조작에 필요한 그립 부재(70)는 제1 청소 유닛(100)에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도 자동 동작에 필요한 각종 부재들도 제1 청소 유닛(10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200)에는 유리 청소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만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립 부재(70)와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를 연결하는 연결대(60, 61)는 중심부 연결대(61)와 주변부 연결대(60)로 구분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중심부 연결대(61)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중심부과 그립 부재(70)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중심부 연결대(61)는 수용 부재(61b)와 삽입 부재(61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부재(61b)는 길이 방향으로 홈(61d)이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수용 부재(61b)에 형성된 홈은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61a)는 수용 부재(61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수용 부재(61b)의 홈(61d)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61e)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61a)에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관통 홀을 형성한 후 여기에 핀을 꽂음으로써 돌출부(61e)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 부재는(61b)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고, 삽입 부재(61a)는 그립 부재(7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용 부재(61b)와 삽입 부재(61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61c)이 개재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61c)에 의하여 수용 부재(61b)와 삽입 부재(61a) 사이에는 인력(인장시) 또는 반발력(압축시)이 작용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에는 각각 압축 및 인장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유리 청소 과정에서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는 곡면 유리의 굴곡을 따라 휘거나 구부러지고, 이에 따라 수용 부재(61b)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휨의 정도나 구부러짐의 정도가 수용 부재(61b)에 형성된 홈(61d)의 길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립 부재(70)에 장착된 삽입 부재(61a)에 의하여 수용 부재(61b)의 움직임이 홈(61d)의 길이 범위 내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곡면 유리의 굴곡에 따라 중심부 연결대(61)의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휨의 정도 또는 구부러짐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심부 연결대(61)에 의하여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휨 및 구부러짐의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주변부 연결대(60)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주변부와 그립 부재(70)를 연결할 수 있다. 주변부 연결대(60)는 내부에 스프링 같은 탄성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의 휨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주변부 연결대(60)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1 스틱(60a), 그립 부재(70)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2 스틱(60c) 및 원통 형상을 가지고 양쪽 개구부(60k)로 제1 스틱(60a) 및 제2 스틱(60c)이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연결 파이프(6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60b)는 제1 스틱(60a) 또는 제2 스틱(60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60b)의 단부에는 턱(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 스틱 또는 제2 스틱의 단부에는 걸림부(60e, 60s)가 형성되어, 제1 스틱(60a) 또는 제2 스틱(60c)이 연결 파이프((60b))로부터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는 주변부 연결대(60)에 대한 사시 분해도를 도시하였고, 도 10b에는 이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였다.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연결 파이프(60b)는 제2 스틱(60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파이프(60b)의 측면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홈(60j)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틱(60a)의 단부에는 핀(60e)이 삽입 가능한 홀(60l)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60e)을 미리 개구부(60k)를 통하여 연결 파이프(60b)에 삽입하고, 제1 스틱(60a)을 연결 파이프(60b)에 삽입한 후에 관통 홀(60l)에 핀(60e)을 삽입함으로써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스프링(60d)에 의하여 일정한 힘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청소 과정에서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가 휘어지면 그에 따라 주변부 연결대(60)도 신축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결 파이프(60b)의 안쪽에 스프링(60d)이 하나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60e)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스프링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인 핀(60e)이 연결 파이프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게 되고, 핀(60e)은 유리의 굴곡에 따라 연결 파이프(60b)의 중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c에는 주변부 연결대(60)에 대한 사시 분해도를 도시하였고, 도 10d에는 이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연결 파이프(60b)는 제2 스틱(60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60b)의 단부에는 마개(60t)가 형성되며, 마개(60t)는 연결 파이프(60b)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마개(60t)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을 통하여 제1 스틱(60a)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1 스틱(60a)의 단부에는 걸림부(60s) 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60s)는 마개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스틱(60a)이 마개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조립 순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프링(60d)을 연결 파이프(60b) 안으로 삽입하다. 다음으로 제1 스틱(60a)을 마개의 중앙부 구멍을 관통시키고 제1 스틱(60a)의 단부에 걸림부(60s)를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마개(60t)를 연결 파이프(60b)에 결합시킨다. 스프링(60d)에 의하여 일정한 힘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청소 과정에서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가 휘어지면 그에 따라 주변부 연결대(60)도 신축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결 파이프(60b)의 안쪽에 스프링(60d)이 하나만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60s)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스프링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60s)가 연결 파이프(60b)의 중간 정도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60s)는 유리(300)의 굴곡에 따라 연결 파이프의 중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수동 조작의 경우와 비교하여 자동 조작과 관련된 구성이 추가되는데, 이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나머지 사항에 대하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리(3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100)과 유리(3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200)을 포함하되, 제1 청소 유닛(100)과 제2 청소 유닛(200)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제1 청소 유닛(100) 및 제2 청소 유닛(200)은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20) 및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측면에 청소 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마감 부재(30)를 포함하고, 제1 청소 유닛(100)은 플렉시블 지지 부재(110)의 상면에 연결대(60, 61)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70), 마감 부재(30)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 청소 유닛(100)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구동 부재, 마감 부재(30)의 외면에 장착되고 창틀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94), 그립 부재(70)의 내부에 수용되며 거리 센서(94)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틀의 크기를 인식하여 제1 청소 유닛(1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일 수 있다.
본 측면은, 자동으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사항으로, 구동 부재, 거리 센서(94),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동작에 필요한 사항은 제1 청소 유닛(1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실내 측 청소 유닛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센서(94)는 창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센서(94)는 마감 부재(30)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좌우 각 면마다 설치될 수 있다. 창틀 방향으로 소정의 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된 신호를 감지하여 창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94)가 상하 좌우 각 면에 설치된 경우 거리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창틀의 전체 크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청소 유닛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서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청소할 구역을 설정하고 구동 부재를 작동시켜 청소하지 않는 구역으로 청소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그립 부재(7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구동 모터(9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71), 구동 모터(93)와 연결된 톱니 바퀴(92), 톱니 바퀴에 연결되어 유리 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1 청소 유닛(100)을 움직이게 하는 궤도 바퀴(9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71)는 그립 부재(7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모터(93)는 마감 부재(3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톱니 바퀴(92)는 구동 모터(93)와 연결되어 동력을 궤도 바퀴(9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마감 부재(3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궤도 바퀴(91)로는 유리면과의 마찰력을 높은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단위 블록 11: 중심 블록
11a: 중심 블록 상부 케이스 11b: 중심 블록 하부 케이스
12: 주변 블록 12a: 주변 블록 상부 케이스
12b: 주변 블록 하부 케이스 13: 연결공
14: 연결 부재 15: 자력발생부
20: 청소 부재 21: 슬라이딩 홀
30: 마감 부재 41: 회전체
42: 회전체 수용 부재 60: 주변부 연결대
60a: 제1 스틱 60b: 연결 파이프
60c: 제2 스틱 60d: 스프링
60f: 제1 힌지 60g: 제1 체결핀
60h: 제2 체결핀 60i: 제2 힌지
60j: 측면 홈 60k: 개구부
60l: 핀 삽입공 60r: 제1 스틱 나사산
60s: 연결 파이프 마개 60t: 걸림부
61: 중심부 연결대 61a: 삽입 부재
61b: 수용 부재 61c: 코일 스프링
61d: 홈 61e: 돌출부
70: 그립 부재 100: 제1 청소 유닛
110: 플렉시블 부재 200: 제2 청소 유닛
300: 유리

Claims (15)

  1.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과 상기 유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청소 유닛과 상기 제2 청소 유닛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상기 제1 청소 유닛 및 상기 제2 청소 유닛은,
    상기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및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는 상기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단위 블록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은,
    중심 블록; 및
    상기 중심 블록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심 블록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주변 블록;
    을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청소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 부재를 더 구비하는, 유리 청소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블록 및 상기 주변 블록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자력발생부가 구비된, 유리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관통 홀 내에, 상기 유리와 상기 제1 및 제2 청소 유닛의 상호간 슬라이딩을 촉진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유리 청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는 회전체 수용 부재를 가지되, 상기 유리와 상기 제1 및 제2 청소 유닛의 상호간 슬라이딩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유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을 촉진하는, 유리 청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구형인, 유리 청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압축력을 가하면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하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소재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 유닛은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상면에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중심부과 상기 그립 부재의 중심부를 연결하고,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의 최대 및 최소를 설정하여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 정도를 제어하는 중심부 연결대; 및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주변부와 상기 그립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휨에 따라 신축이 가능한 주변부 연결대;
    를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수용 부재의 홈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삽입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부재의 움직임은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된 홈의 길이의 범위 내로 한정되는, 유리 청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연결대는,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1 스틱;
    상기 그립 부재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2 스틱; 및
    원통 형상을 가지고 양쪽 개구부로 상기 제1 스틱 및 상기 제2 스틱이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연결 파이프;
    를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14. 유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청소 유닛과 상기 유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청소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청소 유닛과 상기 제2 청소 유닛은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리 청소 장치로서,
    상기 제1 청소 유닛 및 상기 제2 청소 유닛은,
    상기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휠 수 있는 플렉시블 지지 부재;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하면에 장착되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부재; 및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측면에 상기 청소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 마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소 유닛은,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의 상면에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그립 부재;
    상기 마감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청소 유닛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구동 부재;
    상기 마감 부재의 외면에 장착되고, 창틀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 및
    상기 그립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거리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창틀의 크기를 인식하여 상기 제1 청소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지지 부재는 상기 유리의 곡면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단위 블록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블록은,
    중심 블록; 및
    상기 중심 블록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심 블록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주변 블록;
    을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그립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톱니 바퀴; 및
    상기 톱니 바퀴에 장착되고, 유리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청소 유닛을 움직이게 하는 궤도 바퀴;
    를 포함하는, 유리 청소 장치.
KR1020170102675A 2017-08-12 2017-08-12 양면 유리 청소 장치 KR10193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75A KR101931020B1 (ko) 2017-08-12 2017-08-12 양면 유리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75A KR101931020B1 (ko) 2017-08-12 2017-08-12 양면 유리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020B1 true KR101931020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675A KR101931020B1 (ko) 2017-08-12 2017-08-12 양면 유리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0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905A (ja) * 1998-07-28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ラス清掃装置
KR200207214Y1 (ko) * 2000-02-07 2000-12-15 전상모 유리창 내외면 청소구
KR101294820B1 (ko) * 2011-08-1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905A (ja) * 1998-07-28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ラス清掃装置
KR200207214Y1 (ko) * 2000-02-07 2000-12-15 전상모 유리창 내외면 청소구
KR101294820B1 (ko) * 2011-08-1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486B1 (ko) 창문닦기로봇
KR100987121B1 (ko) 창문닦기로봇
CN107546033B (zh) 一种环形线圈绕线机
KR101931020B1 (ko) 양면 유리 청소 장치
CN106050039A (zh) 一种冰箱用门体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207636180U (zh) 一种噪声源识别装置
CN208810761U (zh) 一种实验室试管清洗装置
CN211984911U (zh) 窗帘开合装置
EP1134349A2 (en) Overhead door closer with improved means of rotation
WO2010082392A1 (ja) 移動式脂肪減少用吸引器
EP0864719B1 (en)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in furniture, rooms and the like
CN205569238U (zh) 床体倾斜装置
KR200399555Y1 (ko) 도어의 열림각도 제어장치
KR101691864B1 (ko)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CN208149213U (zh) 一种基于ccd的汽车中控屏图像检测装置
CN216801003U (zh) 一种实验室器械消毒杀菌装置
KR20200066032A (ko) 청소용 지지대 및 청소 기구
CN211409141U (zh) 超声探头的安装结构
CN205206479U (zh) 把手装置
CN215804018U (zh) 便捷式平移开窗机及平移窗
KR200275840Y1 (ko) 미닫이문 가이드장치
KR101589508B1 (ko) 좌우회전으로 좌우닦기 가능한 건물외벽 청소장치
CN219599567U (zh) 一种磁吸工具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102369222B1 (ko) 내부에 자동회전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