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20B1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0820B1 KR101930820B1 KR1020180116251A KR20180116251A KR101930820B1 KR 101930820 B1 KR101930820 B1 KR 101930820B1 KR 1020180116251 A KR1020180116251 A KR 1020180116251A KR 20180116251 A KR20180116251 A KR 20180116251A KR 101930820 B1 KR101930820 B1 KR 101930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r
- water
- image
- information
- charging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5440 Berlandiera lyrat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831576 Chlorophthalmus acutifron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2580 Concanaval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04N5/22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주기적인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지형변화 정보가 수치지도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며, 수치지도상에 해당 지역의 하천별 녹조 농도 정보가 함께 표시됨으로써 해당 하천의 관리자 내지 해당 하천에 대한 방문객 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하천별 현재 녹조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는 다수의 기준점적용장치, 촬영장치, 수치지도관리서버 및 하천수위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준점 적용장치 중 하천과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기준점 적용장치는 해당 하천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녹조 측정부(950)를 더 포함하고, 녹조 측정부는 하우징, 드론 착륙 플레이트, 녹조 측정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녹조측정기, 물 저장조, 측정조 세척장치, 하천수 취수용 드론, 무선통신모듈 및 측정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the coordinate data error of the digital map by performing the role of the reference point stably and compare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in the photographing area with the actual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hotographing area through the periodic aerial photographing, The change information can be quickly reflected on the digital map, and the greenhouse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each river in the area is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so that various users such as the manager of the river or the visitor to the ri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update system using grou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map updat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s, a photographing device, a digital map management A server and a river level management server,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ver among the apparatuses further includes a greenhouse measuring unit 950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The greeneye measuring unit includes a housing, a drone landing plate, a greenhouse measuring tank, a solenoid actuator, A green tide meter, a water storage tank, a measurement tank cleaning device, a river water intake dr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measurement section control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좌표정보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지피에스 좌표데이터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주기적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 위치정보(좌표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지형변화 정보가 수치지도에 신속하게 반영되도록 하는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perform the role of a coordinate information reference point in the field of digital map technology and accurately detect the error of the GPS coordinates data,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GPS GPS posi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update system that utilizes terrestrial feature information that allows terrain change information to be quickly reflected on a digital map by comparing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수치지도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이미지에 지피에스(GPS) 등을 이용하여 측량하므로 확보된 좌표정보를 각각 해석하고, 이들 이미지에 좌표정보를 이용한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제작된 전자지도이다. The digital map is used to analyze the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by surveying various images obtained by survey maps, aerial photographs, satellite images, etc. using GPS, etc., and numerically editing these images by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Is an electronic map.
따라서 수치지도는 이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지리정보가 도화된 지형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아울러 도화된 지형이미지 또한 지리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하며, 주로 각종 지적도 및 지형도로도 사용된다.Therefore, the numerical map should be accurately applied to the topographical image in which the digitized geographical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oint is accurately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geographical / geographical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map. In addition, It is mainly used for various cadastral maps and topographical maps.
이러한 수치지도는 항공촬영 및 지상촬영을 통해 편집과 수집된 도화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도화이미지는 이웃하는 도화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도화이미지로 완성되어 수치지도로 제작된다. These numerical maps are produced from the edited and collected drawing images through aerial photographing and ground photographing, and the drawn images thus obtained are completed as a complete picture image through the interconnection between neighboring drawing images, and are produced as a digital map .
그런데 이렇게 수집된 도화이미지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도화이미지들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을 정확히 잡기 위해서는 GP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의 촬영이 선행되어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interconnect the figure images, a reference for precise connection between drawn images is required. In order to accurately capture the reference, it is necessary to take an accurate aerial image image and a ground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GPS coordinates.
즉, GPS 좌표정보별로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정확히 수행해서 GPS 좌표정보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 및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That i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collect aerial image and ground image according to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aerial photographing and the ground photographing accurately according to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이를 위해서는 촬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For this purpose, a reference point, which is a reference of shooting, is required, and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outside is also required.
종래에는 카메라가 신호 또는 빛을 수신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시되었다.Conventionally, various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camera receives a signal or ligh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can be recognized.
그런데 종래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빛을 카메라가 정확히 수신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외부 오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전무했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devices have a technique of allowing the camera to accurately receive and irradiate the light irradiated by itself,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function of protecting itself from external pollution and managing itself, shortening the life span of the device.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해당 장치가 수행하는 기준점의 역할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게 하므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And this problem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urgently because the role of the reference point performed by the device can not be sufficiently exercised.
이에 더하여 해당 장치를 구성하는 모듈들이 발열에 의한 열화가 촉진됨으로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동시에 잦은 유지보수로 인해 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device are accelerated deterioration due to heat generation, the service life is shortened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due to frequent maintenance.
상술한 이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108257호인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1795011호인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For the above reasons, Korean Patent No. 10-1108257 entitled " A Digital Map System for Updating Coordinate Data of a Digital Map in Real Time "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95011 entitled " A digital map editing system "has been proposed.
한국 등록특허 제10-1795011호인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의 경우, 주기적인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 위치정보(좌표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지형변화 정보가 수치지도에 즉시 반영되게 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정확성 높은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항공촬영 시 각 하천별 강우량 측정정보도 함께 수집하여 수치지도에 반영되게 함으로써 하천 변화정보도 함께 반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0-1795011 entitled " a digital map editing system for correc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xact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rrain ", the aircraft GPS posi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actual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hooting area, the terrain change information is immediately reflected on the digital map so that accurate editing of the digital map can be performed. Also, So that the river change information can be also reflected.
그러나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795011호인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의 경우, 하천 변화정보로써 강우량에 따른 하천별 수위변화 정보를 통계화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하천별 수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진 못하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No. 10-1795011 entitled " Digital Map Editing System for Correcting Detailed Information of Precise Positions According to Topographic Changes ",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river according to the rainfall amount is statistically provided , And could not provide information on the water quality of rivers.
특히, 최근 들어 하천의 녹조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는 과거에 비해 심해지고 있는 고온 현상과 그 기간의 증가 및 잦은 가뭄과 지역별 강수량 편차 등으로 인해 국토 전체는 물론 지역별로 그 정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recent years, the green algae phenomenon of river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This is due to the high temperature phenomenon that is worsening compared with the past, the increase of the period, frequent droughts, and fluctuation of rainfall in each reg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require continued attention and manag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수치지도의 좌표정보 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주기적인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 위치정보(좌표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지형변화 정보가 수치지도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며, 수치지도상에 해당 지역의 하천별 녹조 농도 정보가 함께 표시됨으로써 해당 하천의 관리자 내지 해당 하천에 대한 방문객 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하천별 현재 녹조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the reference point can be stably performed, the error of the coordinate information data of the digital map can be accurately detected, and the aircraft GPS posi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n the actual location coordinates of the area, the terrain change information can be quickly reflected on the digital map, and the greenhouse concentration information for each river in the area is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And a digital map update system using land feature information that enables various users to check the current greenhouse information of each stream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는 상측이 개방된 회전통수용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수용공간(a)의 하부와 통하는 개구홀(113b)이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통수용공간(a)의 서로 마주하는 내면에는 각각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1a,113a)가 형성되고 상면의 삽입홀(111b) 및 상기 삽입홀(111b)로부터 상기 회전통안착부(111a,113a)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회전통수용공간(a)과 통하도록 연장된 세척액방출홀(111c)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의 빗물 수집홀(111d) 및 상기 빗물 수집홀(111d)에 비해 축소된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빗물 수집홀(111d)로부터 측면까지 관통되는 빗물 유도홀(111e)이 형성되되 상기 빗물 수집홀(111d) 및 빗물 유도홀(111e)은 경사면(111f)을 통해 연결되는 베이스(110), 관통홀(123)을 통해 개방되는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110)의 회전통안착부(111a,11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설치부(122)를 포함하는 회전통(120), 상기 베이스(110)의 개구홀(113b)을 통해 상기 회전통수용공간(a)의 하부를 대상으로 수납 및 인출되는 이물질수용기구(130)를 포함하는 기초대(100); 상기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통(120)을 회전시키는 회전통구동장치(M); 상기 태양전지판설치부(122)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210) 및 상기 본체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210)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22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200);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액수용체(310) 및 상기 세척액수용체(310)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삽입홀(111b)에 삽입되는 주입구(320) 그리고 상기 세척액수용체(310)에 수용된 세척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밸브(330)를 포함하는 세척액공급장치(300);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발생장치(410) 및 상기 회전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에어분사라인(420) 그리고 상기 에어분사라인(420)의 투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120)을 향하는 다수의 노즐(430)을 포함하는 에어분사장치(400); 상기 베이스(110)의 회전통안착부(111a,113a)들 중 상기 세척액방출홀(111c)이 관통되지 않는 회전통안착부(111a,113a)에 상기 태양전지판(210)의 회전 시 상기 태양전지판(210)의 외면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섬유 재질의 이물질제거부재(500); 상기 회전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시키며, 발생되는 승하강 동력에 따라 상기 회전통(120)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회전통(140) 내로 수납되는 송신기설치부(650)를 포함하는 승강장치(600); 상기 승강장치(600)의 송신기설치부(650)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의 GPS좌표값을 포함한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700); 상기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조도센서(800); 상기 조도센서(800)의 조도 신호에 따라 주간에는 상기 송신기(700)가 좌표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야간에는 상기 회전통구동장치(M)를 통해 상기 회전통(12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척액공급장치(300) 및 에어분사장치(400)를 구동시키며, 상기 기초대(100)가 설치된 지점의 GPS좌표값을 입력받아 상기 좌표신호로 입력하는 제어부(900); 상기 기초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i)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준점적용장치(A)와: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관측소통신기(2040)와 통신하여 하천의 수위 및 강우 정보를 수신하는 관측서버통신모듈(1100), 상기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 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0)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각 하천의 강우-수위관측소에 설치된 관측소제어기(2010), 하천의 수위변화를 실시간 검측하여 상기 관측소제어기(2010)로 송신하는 수위계(2020), 강우 시 강우량을 검측하여 강우와 수위와의 관계변화를 확인하도록 상기 관측소제어기(2010)로 송신하는 강우량계측기(2030), 상기 관측소제어기(2010)의 제어하에 상기 관측서버통신모듈(1100)과 통신하는 관측소통신기(2040)를 포함하는 하천수위관측서버(2000): 및 상기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을 포함하는 수치지도관리서버(20)가 포함된 수치지도 편집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 중 하천과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기준점 적용장치(A')는 해당 하천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녹조 측정부(9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조 측정부(95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써 상기 기초대(100)의 베이스(110)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와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베이스(110)의 빗물 유도홀(111e)과 연결되는 급수용 관통홀(951a)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배수홀(951b)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배수홀(95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물 흐름 유도벽체(951c)가 형성되는 하우징(951); 상기 하우징(951)의 개방된 상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951)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하우징(951) 내부와 통하기 위한 개방구(952a)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952a)를 중심으로 상면의 양측에는 레이저광의 방출 기능을 갖는 발광소자(952b)가 각각 설치되며, 일측의 상기 발광소자(952b) 및 상기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 그리고 타측의 상기 발광소자(952b) 및 상기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에 (+)극성 또는 (-)극성의 제1 충전단자(952c)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충전단자(952c)들은 상기 태양전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개방구(952a)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951)의 내측 하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951)의 물 흐름 유도벽체(951c)와 연결되는 제2 배수홀(953a)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배수홀(953a)에 전자식 개폐밸브(953b)가 설치되고, 측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90° 간격으로 노즐 결합홀(953c)이 각각 형성되는 녹조 측정조(953);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하면에 로드(954a)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로드(954a)는 하향 이동 시 그 하단이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의 로드(954a)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954a)의 하향 이동 시 연동하여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되는 녹조 측정기(955); 상기 하우징(951)의 급수용 관통홀(951a)과 대응되는 급수홀(956a)이 형성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95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홀(956a)을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956b)이 형성되는 물 저장조(956); 상기 물 저장조(956)의 배출홀(956b)에 설치되는 배수펌프(957a), 상기 배수펌프(957a)와 연결되는 메인 배출관(957b) 및 상기 메인 배출관(957b)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분기된 선단이 상기 녹조 측정조(953)의 노즐 결합홀(953c)들 중 어느 하나의 노즐 결합홀(953c)에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957c), 상기 분기관(957c)들의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분사노즐(957d)을 포함하는 측정조 세척장치(957); 하면의 양측에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발광소자(952b)들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광소자(958a-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광소자(958a-1)들에 각각 상기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제1 충전단자(952c)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충전단자(958a-2)가 하면에 형성되는 드론 본체(958a), 상기 드론 본체(958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958b), 상기 연결부(958b)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드론 본체(958a)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958b)별 설치되는 지지대(958c), 상기 지지대(958c)의 상기 연결부(958b)와 결합된 일단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며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958d), 상기 지지대(958c)의 아래에 구비되는 착륙부(958e), 상기 드론 본체(958a)의 하면 중앙에 상단이 결합되는 지지포스트(958f), 상기 지지포스트(958f)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에 전자식 개폐 도어(958ㅎ-1)가 형성되는 하천수 취수조(958g)를 포함하는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 상기 하천수위관측서버(2000)의 관측소통신기(2040)와 통신하여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녹조 측정기(955)의 녹조 측정 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959); 상기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작동을 위한 하천의 임계수위가 설정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수위 이하로 낮아진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임계수위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에 작동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에 따른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비행 및 이에 연계되는 상기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 해제 신호가 입력된 후 다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되는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를 작동시켜 상기 녹조 측정기(955)가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로 인입되게 하며, 상기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을 상기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상기 수치지도관리서버(20)에 전송하고, 상기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측정값이 입력되면 상기 녹조 측정조(953)의 전자식 개폐밸브(953b)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측정조 세척장치(957)의 배수펌프(957a)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측정부 제어부(960)를 포함하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은 상기 측정부 제어부(960)로부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 시 기지정된 하천으로 비행하여 해당 하천의 물을 상기 하천수 취수조(958g)에 담은 후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복귀하는 비행 및 작동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광소자(958a-1)들에 상기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하강하는 작동을 하도록 설정되며, 비행에 따른 상기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및 착륙에 따른 상기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여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후 다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시 상기 하천수 취수조(958g)의 전자식 개폐 도어(958g-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후 폐쇄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수치지도관리서버(20)는 상기 녹조 측정부(950)의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전송되는 하천의 녹조에 대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수치지도에 맵핑한 맵핑정보를 상기 이미지편집모듈(23)에 제공하는 하천 녹조 정보 맵핑기(26)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utilizing the grou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수치지도의 좌표정보 데이터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주기적인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 위치(좌표)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지형변화 정보가 수치지도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으며, 수치지도상에 해당 지역의 하천별 녹조 농도 정보가 함께 표시됨으로써 해당 하천의 관리자 내지 해당 하천에 대한 방문객 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하천별 현재 녹조 정보를 실시간 확인 및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le of the reference point is stab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coordinate information data error of the digital map, and th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GPS position (coordinate) The terrain change information can be quickly reflected on the digital map by comparing the actual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and the greenhouse concentration information for each river in the area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digital map, And other users can check and use the current greenery information of each stream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기준점적용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적용장치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적용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된 변형된 실시 예를 예시한 시스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기준점 적용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 적용장치에서 요부인 녹조 측정부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1 is a system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map update system utilizing la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pplying a reference point in a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la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7 is a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in which some configurations are added in a digital map update system utilizing terrestrial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in the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the grou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green tide measuring unit as a main part in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 "... Module " or the like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1 to 9, a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la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1 to 6, a digital map update system using la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는 특정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A)와,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장치(10)와,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일종의 컴퓨터 시스템인 수치지도관리서버(20)를 포함한다.1 to 3, a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la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installed at a specific photographing position, And a digital
여기서, 촬영장치(10)는 항공기에 탑재되고, 수치지도관리서버(20)는 촬영장치(10)와 무선통신 가능한 상태로 원격지에 구비된다.Here, the photographing
그리고 기준점적용장치(A)는 기초대(1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회전통구동장치(M)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200)와, 태양전지(200)를 세척하는 세척액공급장치(3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분사장치(4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재(5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승강장치(600)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설치위치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7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조도센서(800)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900)와,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i)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d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includes a
기초대(100)는 기초를 이루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120)과,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이물질수용기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베이스(110)는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111)과,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2)과, 하부판(112)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측판(111)과 대향되는 제2측판(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1측판(111)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향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1a)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111b)과, 삽입홀(111b)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연장되어 회전통안착부(111a)을 통해 개구되는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111b)과 연통되는 메인라인(111d)이 제1측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이 메인라인(111d)로부터 분기된다.The
하부판(112)은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The
제2측판(113)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향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3a) 및 측방으로 개구되어 회전통안착부(113a)의 하부에 배치되는 개구홀(113b)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제1측판(111)에 대향되게 하부판(112)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측판(111) 및 하부판(112)과 함께 회전통수용공간(a)을 형성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안착부(113a)에는 내부를 향해 형성된 이물질제거부제설치홈(113c)이 구비되고, 이러한 이물질제거부재설치홈(223c)에 이물질제거부재(500)가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10)는 전후방에서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3)을 연결하는 전판(114) 및 후판(115)을 구비하며, 회전통수용공간(a)이 상방 개구된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회전통(120)은 내부에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설치부(122)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개구하는 관통홀(123)을 포함하며, 이러한 회전통(120)은 베이스(110)의 전판(114) 및 후판(11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본체의 회전통안착부(111a,113a)에 안착된다.The rotating
이물질수용기구(13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이물질수용공간(131)이 형성되며,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통(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수용기구(130)의 단부에 이물질수용기구(130)가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로부터 용이하게 삽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2)가 구비된다.The foreign
회전통구동장치(M)는 베이스(110)의 전판(114) 또는 후판(115)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The rotary driving device M is installed on the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구동장치(M)는 통상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ventional motor may be applied to the rotary drive device M. [
태양전지(200)는 회전통(120)의 태양전지판설치부(122)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210)과,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내설되어 태양전지판(210)으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22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20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세척액공급장치(3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며 세척액이 수용되는 세척액수용체(310)와, 세척액수용체(310)에 연결되어 제1측판(111)의 삽입홀(111b)에 삽입되는 주입구(320)과, 세척액수용체(310)에 수용된 세척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밸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eaning
여기서, 전자식밸브(330)는 주입구(3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액으로 물 또는 세제 등이 함유된 세제물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에어분사장치(4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발생장치(410)와, 베이스(110)에 설치된 회전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에어분사라인(420)과, 에어분사라인(420)에 형성된 투수구(도면번호 생략)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통(120)을 향하는 다수의 노즐(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에어발생장치(410)는 팬 등을 이용한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물질제거부재(500)는 베이스(110)의 제2측판(113)에 형성된 회전통안착부(113a)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태양전지판(210)과 맞닿아 태양전지판(210)에 묻은 세척액 및 이물질을 닦아낸다.The foreign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제거부재(500)는 섬유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oreign
승강장치(600)는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설치되어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연동하며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620)와,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설치되며 스크류(6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630)와, 일단이 스크류(620)와 나사산을 매개로 맞물리고 타단이 가이드(6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스크류(620)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이드(630)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부재(640)와, 가이드(6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승강부재(640)에 설치되고 타단이 회전통(120)의 관통홀(12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된 송신기설치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ing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구동장치(61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송신기(700)는 승강장치(600)의 송신기설치부(65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일정세기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참고로, 좌표신호에는 기준점적용장치(A)가 위치한 GPS좌표값 및 기준점적용장치(A)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GPS좌표값 및 식별코드를 포함한 좌표신호는 통상적인 A/D변환 등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인접 지역을 통행 중인 항공기 또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장치(10)가 이를 수신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본 발명에서 촬영장치(1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데, 기준점적용장치(A)는 모두 동일한 세기로 좌표신호를 송신하므로, 촬영장치(10)는 수신한 좌표신호의 세기차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s given in more detail below
조도센서(8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외부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신호를 출력한다.The
제어부(9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회전통구동장치(M), 태양전지(200), 세척액공급장치(300), 에어분사장치(400), 스크류구동장치(610), 송신기(700), 조도센서(800)를 작동제어하며, 기초대(100)가 설치된 지점의 GPS 좌표값이 입력되어 상기 좌표신호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고 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정지시킨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제어부(900)는 태양전지(200)에 충전된 전기를 각각의 전기적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한다.Here, the
그리고 제어부(900)는 입력된 기준점 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매개로 송출한다.The
입력장치(i)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작동제어되도록 한다.The input device i is installed on the
디스플레이장치(ds)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The display device ds is installed on the
촬영장치(10)는 항공촬영을 위한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형 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otographing
본 실시예에서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 및 항공기는 항공촬영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컨트롤러(14)는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며, GPS장치(11)로부터의 GPS위치신호와 수신기(13)로부터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를 비교하여 GPS위치신호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와 기준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한다.The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PS장치(11)를 통해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항공기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추가로 수신한다.More specifically, an aircraft which confirms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이때,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는 각각 동일한 세기의 좌표신호를 송출하지만 항공기와의 거리차로 인해 촬영장치(10)가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좌표신호의 세기는 기준점적용장치(A)별로 모두 다르게 된다.At this time, the thre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es A transmit the coordinate signals of the same intensity respectively, but the intensity of the coordinate signal finally received by the photographing
결국 컨트롤러(14)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한 좌표신호를 통해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에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가 위치한 절대위치에 대한 GPS좌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물론, 이렇게 확인된 GPS좌표값과 GPS장치(11)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을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 수정대상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재촬영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재촬영을 수행한다.Of course, if the GPS coordinate value thus confirmed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confirmed by the
참고로,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가 송출하는 좌표신호의 송출 세기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신한 상기 좌표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해당 기준점적용장치(A)의 거리를 추적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좌표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4)는 공지,공용의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적용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적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작업자는 본 실시 예의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점으로 설정된 특정장소에 위치시킨다.First, the operator places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a specific place set as a reference point.
작업자는 입력장치(i)를 통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사용 가능상태로 세팅한다.The operator sets each electrical component to the usable state via the input device i.
이때, 작업자는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에 기준점적용장치(A)가 설치된 위치의 절대좌표를 입력하고, 제어부(900)가 입력된 절대좌표의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inputs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is installed in the
이와 같이 세팅이 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변 환경이 밝으면(주간)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송신기(700)가 도 4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he
이에 따라 송신기(70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높은 송신율을 보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때, 태양전지(200)는 태양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술한 상태에서 항공촬영을 위해 항공기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상공을 비행할 시 촬영장치(10)의 수신기(13)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한다.When the airplane is flying over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for aerial photographing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이때, 촬영장치(10)의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수신한 좌표신호를 처리해서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으로 한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위치와 GPS장치(11)로부터 확인한 항공기의 위치를 비교하여 좌표신호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해당 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설정하고, 아울러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서 도화시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항공촬영은 통상적으로 주간에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기준점적용장치(A)는 야간에는 작동될 필요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erial photographing is usually carried out during the daytime, so that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does not need to be operated at night.
따라서,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주변환경이 어두워졌다는 조도신호를 수신하면,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를 원위치시킨다.The
이후,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을 구동시켜 회전통(120)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세척액공급장치(300) 및 에어분사장치(400)를 작동한다.Then, the
그러면 도 5와 같이 세척액공급장치(3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세척액을 공급하고, 에어분사장치(4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에어를 분사한다.Then, as shown in FIG. 5, the cleaning
이때, 태양전지(200)의 태양전지판(210)은 회전통(1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에어분사장치(4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먼지가 제거되고, 세척액공급장치(3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표면이 세척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회전통(120)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태양전지판(210)은 도 6과 같이 이물질제거부재(500)와 맞닿게 되고, 이때 에어분사장치(400)에 의해 제거되고 남은 잔여 먼지와 세척액이 혼합된 이물질혼합액이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의해 닦이면서 이물질혼합액이 베이스(110)와 회전통(120)의 유격 사이로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된다.Thereafter, when the
한편,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회전통(120)에 뭍은 일부 혼합액은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접촉하기 전에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되기도 한다.Meanwhile, some mixed liquids that flow into the
이와 같이 태양전지판(120)의 세척단계가 여러 번 반복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 세척액공급장치(300), 에어분사장치(400)의 구동을 멈춰 도 2와 같이 기준점적용장치(A)가 초기상태가 되도록 한다.When the washing process of the
이후,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아침이 오면 승강장치(600), 송신기(700)를 구동시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한편, 수치지도관리서버(20)는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관리서버(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26)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지리 및 지형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수치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수치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27)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여기서, 이미지편집모듈(23)은 촬영장치(1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Here, the
또한, 이미지편집모듈(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general graphic editing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촬영이 요구되는 영상이미지는 편집시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도록 처리되며, 이에 따라 재촬영에 의한 새로운 영상이미지가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교체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좌표합성모듈에서 새로운 GPS좌표를 합성하고 이를 통해 도화이미지를 작성하여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좌표데이터를 정확한 좌표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image requiring re-imaging is processed so that it can be replaced at any time during editing. Accordingly, when a new video image is inputted by re-shooting, the video imag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can be replaced, The coordinate synthesis module synthesizes new GPS coordinates on the basis of the image and creates a drawn image thereby to update the coordinate data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with accurate coordinates.
또한, 재촬영이 바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반영하여 수치지도의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If the re-photographing is performed immediately, the numerical data of the digital map may be updated in real time.
아울러, 좌표합성모듈(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하여 이미지상에 좌표데이터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ordinate
이 경우,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point may be displayed in a process of creating a video image or a drawn image, and the display method may include a natural display method through shooting or an artificial display method through drawing.
그리고 영상도화모듈(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n, the
여기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 공용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n application-type image drawing module based on a video image is a publicly known technology widely used in the field of digital map production,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아울러, 정보링크모듈(27)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는 입출력모듈(26)을 통해 출력된다.The completed numeric map is output through the input /
이에 더하여, 도 7의 예시와 같이, 촬영장치(10)에는 관측서버통신모듈(1100)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관측서버통신모듈(1100)은 관측소통신기(2040)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7, the photographing
이때, 관측소통신기(2040)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각 하천의 강우-수위관측소에 설치된 하천수위관측서버(2000)를 구성하는 관측소제어기(2010)의 제어하에 통신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관측소제어기(2010)에는 수위계(2020)와 강우량계측기(20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lso, the
여기서, 수위계(2020)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실시간 검측하여 검측된 수위정보를 관측소제어기(2010)로 실시간 송신하며, 강우량계측기(2030)는 강우시 강우량 정보를 관측소제어기(2010)로 실시간 송신하는데, 강우량에 따른 수위 변화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이를 통계화시켜 관리함으로써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Here, the
때문에, 각 하천별로 구비된 하천수위관측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강우, 수위 정보를 수치지도상에 월별, 계절별 포함시킴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rainfall and water leve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iver water
그리고 수치지도관리서버(20)에는 수위정보맵핑기(1200)가 더 구비된다.The numerical
이러한 수위정보맵핑기(1200)는 이미지편집모듈(23)이 편집할 때 하천의 좌표정보와 함께 하천 주변에 월별 강우량에 따른 수위변화 정보를 함께 표시토록 수치지도에 맵핑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하천 관리 및 하천 주변 거주자나 혹은 어부 등이 디지탈 수치지도를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 등을 통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다음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기준점 적용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8 and 9, another embodiment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in the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the grou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기준점 적용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점 적용장치에서 요부인 녹조 측정부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in the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tilizing the ground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green tide measuring unit as a lobe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하천과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기준점 적용장치(A')는 해당 하천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녹조 측정부(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apparatus A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ver further comprises a
그리고 녹조 측정부(950)는 하우징(951),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 녹조 측정조(953),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4), 녹조측정기(955), 물 저장조(956), 측정조 세척장치(957),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 무선통신모듈(959) 및 측정부 제어부(9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reen
하우징(95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써 기초대(100)의 베이스(110) 측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하우징(951)은 베이스(110)와 마주하는 일 측면에 베이스(110)의 빗물 유도홀(111e)과 연결되는 급수용 관통홀(951a)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951)은 하부에 제1 배수홀(951b)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1 배수홀(95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물 흐름 유도벽체(951c)가 형성된다.The
부연 설명하면, 베이스(110)에는 상면에 빗물 수집홀(111d)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빗물 수집홀(111d)에 비해 축소된 지름을 가지면서 빗물 수집홀(111d)로부터 측면까지 관통되는 빗물 유도홀(111e)이 형성된다. 이때, 빗물 수집 기능의 향상을 위해 빗물 수집홀(111d) 및 빗물 유도홀(111e)은 경사면(111f)을 통해 연결된다.In addition, a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는 하우징(951)의 개방된 상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상태로 하우징(951)에 결합된다. 이러한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는 중앙에 하우징(951) 내부와 통하기 위한 개방구(952a)가 형성되고, 개방구(952a)를 중심으로 상면의 양측에는 레이저광의 방출 기능을 갖는 발광소자(952b)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는 일측의 발광소자(952b) 및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 및 타측의 발광소자(952b) 및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에 (+)극성 또는 (-)극성의 제1 충전단자(952c)가 각각 설치되고, 제1 충전단자(952c)들은 태양전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녹조 측정조(953)는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개방구(952a)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하우징(951)의 내측 하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녹조 측정조(953)는 일 측면의 하부에 하우징(951)의 물 흐름 유도벽체(951c)와 연결되는 제2 배수홀(953a)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2 배수홀(953a)에 전자식 개폐밸브(953b)가 설치된다. 또한, 녹조 측정조(953)는 측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90° 간격으로 노즐 결합홀(953c)이 각각 형성된다.The green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는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하면에 로드(954a)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로드(954a)는 하향 이동 시 그 하단이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된다.The
녹조 측정기(955)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의 로드(954a) 하단에 결합되어 로드(954a)의 하향 이동 시 연동하여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되며, 녹조 측정조(955) 내 하천수의 녹조 농도를 측정한다.The
물 저장조(956)는 하우징(951)의 급수용 관통홀(951a)과 대응되는 급수홀(956a)이 형성된 형태로 하우징(951)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물 저장조(956)는 급수홀(956a)을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956b)이 형성된다.The
측정조 세척장치(957)는 물 저장조(956)의 배출홀(956b)에 설치되는 배수펌프(957a), 배수펌프(957a)와 연결되는 메인 배출관(957b), 메인 배출관(957b)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분기된 선단이 녹조 측정조(953)의 노즐 결합홀(953c)들 중 어느 하나의 노즐 결합홀(953c)에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957c) 및 분기관(957c)들의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분사노즐(957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측정조 세척장치(957)는 물 저장조(956) 내의 물을 이용하여 녹조 측정조(953)의 내부를 세척하는 기능을 한다.The measurement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은 드론 본체(958a), 연결부(958b), 지지대(958c), 추진부(958d), 착륙부(958e), 지지포스트(958f) 및 하천수 취수조(958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iver
드론 본체(958a)는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본체로써, 이러한 드론 본체(958a)에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주요 부분들이 설치된다. 또한, 드론 본체(958a)는 하면의 양측에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발광소자(952b)들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광소자(958a-1)가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수광소자(958a-1)들에 각각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제1 충전단자(952c)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충전단자(958a-2)가 하면에 형성된다. 즉, 드론 본체(958a)는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제1 충전단자(952c)를 매개로 태양전지(200)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The drone
연결부(958b)는 드론 본체(958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부(958b)들 각각은 이어서 설명될 복수의 지지대(958c)를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A plurality of
지지대(958c)는 연결부(958b)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드론 본체(958a)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부(958b)별 설치된다.The
추진(958d)는 지지대(958c)의 연결부(958b)와 결합된 일단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추진부(958d)는 추력을 발생시킨다.The
착륙부(958e)는 지지대(958c)의 아래에 구비되며, 이러한 착륙부(958e)는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착륙 시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상면에 접하면서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착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The
지지포스트(958f)는 드론 본체(958a)의 하면 중앙에 상단이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하천수 취수조(958g)는 지지포스트(958f)의 하단에 결합되며, 이러한 하천수 취수조(958g)는 하부에 전자식 개폐 도어(958ㅎ-1)가 형성된다.The river
무선통신모듈(959)은 하천수위관측서버(2000)의 관측소통신기(2040)와 통신하여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959)는 녹조 측정기(955)의 녹조 측정 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무선통신모듈(959)은 이어서 설명되는 측정부 제어부(960)로부터 녹조 측정기(955)의 녹조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수치지도관리서버(20)에 전송한다.The
측정부 제어부(960)는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작동을 위한 하천의 임계수위가 설정되어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수위 이하로 낮아진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임계수위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에 작동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한다.The measuring
또한, 측정부 제어부(96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에 따른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비행 및 이에 연계되는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 해제 신호가 입력된 후 다시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되는 신호가 입력 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를 작동시켜 녹조 측정기(955)가 녹조 측정조(953) 내로 인입되게 한다.The measuring
또한, 측정부 제어부(960)는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을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수치지도관리서버(20)에 전송한다.Also, the measurement
또한, 측정부 제어부(960)는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측정값이 입력되면, 녹조 측정조(953)의 전자식 개폐밸브(953b)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 및 측정조 세척장치(957)의 배수펌프(957a)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When the measured value is inputted from the
그리고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은 측정부 제어부(960)로부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 시 기지정된 하천으로 비행하여 해당 하천의 물을 하천수 취수조(958g)에 담은 후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복귀하는 비행 및 작동 정보가 저장된다.The drain
또한,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은 수광소자(958a-1)들에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하강하는 작동을 하도록 설정되며, 비행에 따른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및 착륙에 따른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여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후 다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시 하천수 취수조(958g)의 전자식 개폐 도어(958g-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후 폐쇄시키도록 설정된다.The stream
그리고 수치지도관리서버(20)는 녹조 측정부(950)의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전송되는 하천의 녹조에 대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수치지도에 맵핑한 맵핑정보를 이미지편집모듈(23)에 제공하는 하천 녹조 정보 맵핑기(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n, the digital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수치지도상에 해당 지역의 하천별 녹조 농도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하천의 관리자 내지 해당 하천에 대한 방문객 등 다양한 사용자들이 하천별 현재 녹조 정보를 실시간 확인 및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greenhouse concentration information for each river in the area can be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and various users such as the manager of the river or the visitor to the river can check the current greenhouse information .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촬영장치 11 : GPS장치
12 : 카메라 13 : 수신기
14 : 컨트롤러 20 : 수치지도관리서버
21 : 영상이미지DB 22 : 도화이미지DB
23 : 이미지편집모듈 24 : 좌표합성모듈
25 : 영상도화모듈 26 : 하천 녹조 정보 맵핑기
100 : 기초대 110 : 베이스
120 : 회전통 130 : 이물질수용기구
200 : 태양전지 210 : 태양전지판
220 : 축전지 300 : 세척액공급장치
310 : 세척액수용체 320 : 주입구
330 : 전자식밸브 400 : 에어분사장치
410 : 에어발생장치 420 : 에어분사라인
430 : 노즐 500 : 이물질제거부재
600 : 승강장치 700 : 송신기
800 : 조도센서 900 : 제어부
950 : 녹조 측정부 951 : 하우징
952 : 드론 착륙 플레이트 953 : 녹조 측정조
954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955 : 녹조측정기
956 : 물 저장조 957 : 측정조 세척장치
958 : 하천수 취수용 드론 959 : 무선통신모듈
960 : 측정부 제어부 2000 : 하천수위관측서버
2010 : 관측소제어기 2020 : 수위계
2030 : 강우량계측기 2040 : 관측소통신기10: photographing device 11: GPS device
12: camera 13: receiver
14: controller 20: digital map management server
21: video image DB 22: picture image DB
23: image editing module 24: coordinate synthesis module
25: image drawing module 26: river greenhouse information mapper
100: Foundation base 110: Base
120: Rotary 130: Foreign body accommodating device
200: solar cell 210: solar panel
220: storage battery 300: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310: Washing liquid receiver 320: Inlet port
330: Electronic valve 400: Air injection device
410: air generating device 420: air jet line
430: nozzle 500: foreign matter removing member
600: lifting device 700: transmitter
800: illuminance sensor 900:
950: green tide measuring unit 951: housing
952: Drone landing plate 953: Green tide measuring tank
954: Solenoid actuator 955: Green tester
956: Water storage tank 957: Measuring bath cleaning device
958: Drinking water drones 959: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60: Measuring section control section 2000: River level monitoring server
2010: Station controller 2020: Water gauge
2030: Rainfall measuring instrument 2040: Station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
GPS장치(11)와 카메라(12)와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와 하천의 수위 및 강우 정보를 수신하는 관측서버통신모듈(1100),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0):
하천의 강우-수위관측소에 설치된 관측소제어기(2010), 하천의 수위변화를 실시간 검측하여 송신하는 수위계(2020), 강우와 수위의 관계변화를 확인하도록 송신하는 강우량계측기(2030), 관측서버통신모듈(1100)과 통신하는 관측소통신기(2040)를 포함하는 하천수위관측서버(2000): 및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을 포함하는 수치지도관리서버(20)가 포함된 수치지도 편집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 중 하천과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기준점 적용장치(A')는 해당 하천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녹조 측정부(9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조 측정부(95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써 상기 기초대(100)의 베이스(110)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와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베이스(110)의 빗물 유도홀(111e)과 연결되는 급수용 관통홀(951a)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배수홀(951b)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배수홀(95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물 흐름 유도벽체(951c)가 형성되는 하우징(951);
상기 하우징(951)의 개방된 상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951)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하우징(951) 내부와 통하기 위한 개방구(952a)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952a)를 중심으로 상면의 양측에는 레이저광의 방출 기능을 갖는 발광소자(952b)가 각각 설치되며, 일측의 상기 발광소자(952b) 및 상기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 그리고 타측의 상기 발광소자(952b) 및 상기 개방구(952a) 사이의 상면 영역에 (+)극성 또는 (-)극성의 제1 충전단자(952c)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충전단자(952c)들은 상기 태양전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개방구(952a)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951)의 내측 하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951)의 물 흐름 유도벽체(951c)와 연결되는 제2 배수홀(953a)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배수홀(953a)에 전자식 개폐밸브(953b)가 설치되고, 측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90° 간격으로 노즐 결합홀(953c)이 각각 형성되는 녹조 측정조(953);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하면에 로드(954a)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로드(954a)는 하향 이동 시 그 하단이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의 로드(954a)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954a)의 하향 이동 시 연동하여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부로 인입되는 녹조 측정기(955);
상기 하우징(951)의 급수용 관통홀(951a)과 대응되는 급수홀(956a)이 형성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95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홀(956a)을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956b)이 형성되는 물 저장조(956);
상기 물 저장조(956)의 배출홀(956b)에 설치되는 배수펌프(957a), 상기 배수펌프(957a)와 연결되는 메인 배출관(957b) 및 상기 메인 배출관(957b)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분기된 선단이 상기 녹조 측정조(953)의 노즐 결합홀(953c)들 중 어느 하나의 노즐 결합홀(953c)에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957c), 상기 분기관(957c)들의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분사노즐(957d)을 포함하는 측정조 세척장치(957);
하면의 양측에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발광소자(952b)들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광소자(958a-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광소자(958a-1)들에 각각 상기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의 제1 충전단자(952c)들과 각각 대응되는 제2 충전단자(958a-2)가 하면에 형성되는 드론 본체(958a), 상기 드론 본체(958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958b), 상기 연결부(958b)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드론 본체(958a)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958b)별 설치되는 지지대(958c), 상기 지지대(958c)의 상기 연결부(958b)와 결합된 일단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며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958d), 상기 지지대(958c)의 아래에 구비되는 착륙부(958e), 상기 드론 본체(958a)의 하면 중앙에 상단이 결합되는 지지포스트(958f), 상기 지지포스트(958f)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에 전자식 개폐 도어(958ㅎ-1)가 형성되는 하천수 취수조(958g)를 포함하는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
상기 하천수위관측서버(2000)의 관측소통신기(2040)와 통신하여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녹조 측정기(955)의 녹조 측정 정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959);
상기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작동을 위한 하천의 임계수위가 설정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959)로부터 전송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수위 이하로 낮아진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임계수위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에 작동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에 따른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의 비행 및 이에 연계되는 상기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 해제 신호가 입력된 후 다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 및 제2 충전단자(958a-2) 간 접속되는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54)를 작동시켜 상기 녹조 측정기(955)가 상기 녹조 측정조(953) 내로 인입되게 하며, 상기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을 상기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상기 수치지도관리서버(20)에 전송하고, 상기 녹조 측정기(955)로부터 측정값이 입력되면 상기 녹조 측정조(953)의 전자식 개폐밸브(953b)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측정조 세척장치(957)의 배수펌프(957a)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측정부 제어부(960)를 포함하며,
상기 하천수 취수용 드론(958)은 상기 측정부 제어부(960)로부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전송 시 기지정된 하천으로 비행하여 해당 하천의 물을 상기 하천수 취수조(958g)에 담은 후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복귀하는 비행 및 작동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광소자(958a-1)들에 상기 발광소자(952b)의 레이저광이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드론 착륙 플레이트(952)로 하강하는 작동을 하도록 설정되며, 비행에 따른 상기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및 착륙에 따른 상기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여 제2 충전단자(958a-2)에 대한 상기 제1 충전단자(952c)의 전기적 접속 해제 후 다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시 상기 하천수 취수조(958g)의 전자식 개폐 도어(958g-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후 폐쇄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수치지도관리서버(20)는 상기 녹조 측정부(950)의 무선통신모듈(959)을 통해 전송되는 하천의 녹조에 대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수치지도에 맵핑한 맵핑정보를 상기 이미지편집모듈(23)에 제공하는 하천 녹조 정보 맵핑기(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A base (100) including a base (110), a rotor (120), and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chanism (130); A rotary driving device M installed on the foundation 100; A solar cell 200 including a solar panel 210 and a battery 220; A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300 including a cleaning liquid container 310, an inlet port 320 and an electronic valve 330; An air injection device 400 including an air generating device 410, an air injection line 420, and a nozzle 430; A foreign material removing member 500 made of a fiber material installed to abut the outer surface of the solar panel 210; A lifting device 600 including a transmitter mounting part 650 which is drawn out or housed outside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rotator 120; A transmitter 700 for transmitting a coordinate signal of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elevating device 600; An illuminance sensor 800 installed on the base 100; A controller 900 for transmitting the coordinate signal by the transmitter 700 during the daytime and rotating the rotator 120 through the rotary drive device M during the nighttime;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s (A) installed on the foundation (100) and including an input device (i)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A receiver 13 for receiving the coordinate signal, a monitoring server communication module 1100 for receiving the water level and the rain information of the river, and a controller 14 for checking the image of the imag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 water level meter 2020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river in real time, a rainfall meter 2030 for transmitting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an observing server communication module (2000) comprising an observatory communicator (2040) in communication with a water elevation observation station (1100): and
A picture image DB 21 for storing a picture image, a picture image DB 22 for storing a picture image, an image editing module 23 for synthesizing and editing a plurality of picture images, And a numerical map management server (20) including a coordinate synthesizing module (24) for generat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and an image drawing module (25) for cre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the image image,
The reference point applying device (A ')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ream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 applying devices (A) further comprises a greenhouse measuring part (950)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The green tide measuring unit 950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10 of the base 100 in a top opened form and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duction hole 111e of the base 110 on one side facing the base 110, A first water drain hole 951b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951a and a water flow guide wall 951c for guiding the moveme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951b is formed, (951);
An opening 952a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95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951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951 in a state where the open top of the housing 951 is closed from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element 952b having a function of emitting laser ligh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952b and an upper surface region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952b and the opening 952a on one side, A first charging terminal 952c having a positive polarity or a negative polarity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rea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2b and the opening 952a, A drones landing plate 9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ones 952;
A water flow guide wall 951 of the housing 951 is installed on an inner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951 so as to face the opening 952a of the drum landing plate 95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952a of the housing 951, A second drain hole 953a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hole 953a is formed in the second drain hole 953a and an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 953b is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hole 953a. A green tide measuring tank 953 in which each of the green tide measuring tanks 953 is formed;
A rod 954a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um landing plate 952 so as to reciproc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rod 954a moves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rod 954a is led into the greenhouse measuring tank 953 Solenoid actuator 954;
A green tide meter 955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954a of the solenoid actuator 954 and interlocked with the rod 954a when the rod 954a moves downward and into the green tank measuring tank 953;
A water supply hole 956a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hole 951a of the housing 951 is formed in the housing 951 and discharges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956a, A water reservoir 956 in which a discharge hole 956b is formed;
A drain pump 957a provided in the discharge hole 956b of the water reservoir 956, a main discharge pipe 957b connected to the drain pump 957a and a tip branched and branched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957b, A plurality of branch pipes 957c coupled to any one nozzle coupling hole 953c of the nozzle coupling holes 953c of the green tide measuring tank 953, (957d);
A light receiving element 958a-1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952b of the dragon landing plate 95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958a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958a- A second charging terminal 958a-2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s 952c of the drones landing plate 9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ones 952a-2,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958b form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drone main body 958a,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958b,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rone main body 958a A pushing portion 958d installed at the opposite end of one end of the support 958c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958b and generating a thrust force, A landing portion 958e provided below the support table 958c, A support post 958f to which an upper end is coup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958a and a river water intake tank 958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st 958f and having an electronic opening / closing door 958h- A stream water intake drone 958;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59 communicating with the observatory communicator 2040 of the river level monitoring server 2000 to receive the river level information of the river and transmitting the green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green level measuring instrument 955 to an external receiving destination;
A threshold water level of the river for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intake drone 958 is set and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ent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module 959 is set And transmits a first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to the river water intake drone (958) when the information is not recovered to the threshold water level or low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information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water level or lower, After the flight of the river water intake drones 958 and the connection release signal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2c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958a-2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2c The solenoid actuator 954 is operated to input the green tide meter 955 into the green tide measurement tank 953 when a signal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8a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958a-2 is input, The measurement value inputted from the greenhouse meter 955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map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59. When the measurement value is inputted from the greenhouse meter 955, And a measuring unit controller 960 for sequentiall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electronic opening / closing valve 953b and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rain pump 957a of the measuring tank cleaning apparatus 957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ddition,
The river water intake drones 958 flow from the measurement unit controller 960 to a designated riv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first control signal to store the water in the river water intake tank 958g, And the operation to descend to the drone landing plate 952 in a state in which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952b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958a-1 (958a-2) as a result of electrical disconnection and landing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2c) with respect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958a-2) When the electric connection is made again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952c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958a-2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952c,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958g-1 is set After the opening for the liver is set so as to close,
The numerical map management server 20 transmits mapping information mapped to a digital map based on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greenhouse of a river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59 of the greenhouse measurement unit 950 to the image editing module 23 And a river greenhouse information mapper (26) for providing the river greenhouse information to the greenhouse information mapper (2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6251A KR101930820B1 (en) | 2018-09-28 | 2018-09-28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6251A KR101930820B1 (en) | 2018-09-28 | 2018-09-28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0820B1 true KR101930820B1 (en) | 2018-12-19 |
Family
ID=6500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6251A Active KR101930820B1 (en) | 2018-09-28 | 2018-09-28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082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28322A (en) * | 2019-01-23 | 2019-05-31 | 南京信息工程大学 | A kind of ornamental value Changes in weather simulator of adjustable rainfall size |
KR102043415B1 (en) * | 2019-07-04 | 2019-12-03 |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 Image processing system to synthesis photo image with location information |
KR102346220B1 (en) * | 2021-08-25 | 2022-01-04 | (주)스페이스 | Facilities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IS |
KR102361322B1 (en) * | 2021-08-31 | 2022-02-1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hecks the degree of error of the reference poi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0699B1 (en) | 2005-10-04 | 2006-03-17 | (주)아세아항측 | Method of Manufacturing 3D Virtual Reality Digital Map Using Model Aerial Photography System and WPS / INS System |
KR101108257B1 (en) | 2011-11-16 | 2012-01-31 | (주)올포랜드 | Numeric map system that updates the coordinate data of the digital map in real time |
-
2018
- 2018-09-28 KR KR1020180116251A patent/KR1019308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0699B1 (en) | 2005-10-04 | 2006-03-17 | (주)아세아항측 | Method of Manufacturing 3D Virtual Reality Digital Map Using Model Aerial Photography System and WPS / INS System |
KR101108257B1 (en) | 2011-11-16 | 2012-01-31 | (주)올포랜드 | Numeric map system that updates the coordinate data of the digital map in real ti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28322A (en) * | 2019-01-23 | 2019-05-31 | 南京信息工程大学 | A kind of ornamental value Changes in weather simulator of adjustable rainfall size |
CN109828322B (en) * | 2019-01-23 | 2024-05-14 | 南京信息工程大学 | Ornamental weather change simul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rainfall |
KR102043415B1 (en) * | 2019-07-04 | 2019-12-03 |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 Image processing system to synthesis photo image with location information |
KR102346220B1 (en) * | 2021-08-25 | 2022-01-04 | (주)스페이스 | Facilities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IS |
KR102361322B1 (en) * | 2021-08-31 | 2022-02-1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hecks the degree of error of the reference poi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8257B1 (en) | Numeric map system that updates the coordinate data of the digital map in real time | |
KR101930820B1 (en)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
KR101116289B1 (en) | Updating system for digital map | |
KR101126350B1 (en) |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 |
KR101795011B1 (en) | A digital map editing system that corrects the details of the exact posi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hange | |
KR101813203B1 (en) | Digit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change of terrain environment | |
CN104949660B (en) | Natural river unmanned hydrometric cableway remote auto flow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 |
KR100946942B1 (en) | Real time observation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ceanographic information | |
KR101815259B1 (en) | Digital map update system of changed features through geospatial identification | |
CA2695270C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building structures | |
KR101200523B1 (en) | Digital Map Update System | |
KR101116292B1 (en)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
US12115731B2 (en) | Primary-secondary type disease detection and repair system and method for infrastructure | |
CN106595506A (en) | Reservoir dam deforma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KR101327727B1 (en) | Updating system for renewal digital map with recording 3 dimensional point by standard point applied underground facilities | |
CN206074842U (en) | A kind of irrigated area integration water level Pluviogram is as monitoring system | |
KR101891305B1 (en)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
KR102206007B1 (en) |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upd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ground water based on GPS | |
CN106197294A (en) | A kind of optically-based overhead transmission line ice covering thicknes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
KR101928828B1 (en) | Apparatus for editing of digital map | |
KR101848324B1 (en) | A system that monitor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eatures and applies them to digital maps | |
CN206876155U (en) | Dilapidated hous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 |
KR101234350B1 (en) | Map data updating system for confirming topography change by gps coordinate data | |
KR101350925B1 (en) | Gps data management for increasing precision | |
KR101524232B1 (en) | Digital maps and aerial laser scann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using a digital map production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