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830B1 -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830B1
KR101929830B1 KR1020170162522A KR20170162522A KR101929830B1 KR 101929830 B1 KR101929830 B1 KR 101929830B1 KR 1020170162522 A KR1020170162522 A KR 1020170162522A KR 20170162522 A KR20170162522 A KR 20170162522A KR 101929830 B1 KR101929830 B1 KR 10192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pening
tank
clos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성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6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5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using a liquid bath or a liquid curt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하부로 돌출된 제1 중공부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2 중공부가 형성되는 챔버부, 챔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하부로 돌출된 제8 중공부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9 중공부가 형성된 탱크 배출부가 형성되는 탱크부, 제1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중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부, 상부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측벽부가 형성되는 제1 개폐부, 돌출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되, 돌출부의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스프링부 및 제8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측벽부와 맞닿을 수 있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탱크부의 이동에 따라, 제1 개폐부가 제1 가압부에 의해 돌출부를 축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챔버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탱크유닛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배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중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DRAINAGE DEVICE OF ARTIFICIAL TOOTH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가 개폐부를 상,하로 가압하는 구조 및 스프링부의 탄성 회복력만으로 유체의 배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특별한 장치 없이, 탱크유닛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배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중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치아의 외상 또는 우식으로 인하여 발치를 해야 할 경우, 자연스러운 치간 유두 및 치은의 형성과, 저작, 발음, 심미적 기능 회복을 위해 치아 보철물을 수복하고 있다. 치아 보철물은 의치 또는 인공치아라고도 하며, 자연치아와 그에 연관된 조직이 결손 되었을 때,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보철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치아는 치과 치료 기간에 발생하는 발치한 인접 치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인공치아는 전적으로 치과 기공사의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인공치아 제작 작업을 더욱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4176호('인공치아 가공장치')를 통해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의 특허를 등록받았다.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 배수장치의 배수 구조를 간략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종래의 인공치아 배수장치의 배수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하부에는 인공치아의 장치 가공에 사용된 물이 모이는 챔버(1)가 형성된다. 또한, 챔버(1)의 하부에는 지그에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한 탱크(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챔버(1)의 하부에는 호스(3)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된 물을 인공치아 가공장치로부터 배수시키기 위해, 탱크(2)를 챔버(1)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챔버(1)-호스(3)-탱크(2)의 순서로 물(W)이 배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물(W)이 챔버(1)에서 호스(3)를 통해 탱크(2)로 낙수 배수되는 단순한 구조(중력을 이용)이므로, 챔버(1) 내에 물(W)이 잔존하는 상태이거나, 챔버(1)에서 탱크(2)로 배수 중인 상태에서 탱크(2)를 탈거 시키는 경우, 탱크(2)에 담기지 못한 물(W)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하부 부품에 튀어 부품의 부식을 유발하고, 누전이나 감전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호스(3)가 플랙서블 한 경우에도, 플랙서블한 호스(3)가 휘면서 호스(3) 내부에 남아있던 물(W)이 튀게 되어 위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가 개폐부를 상,하로 가압하는 구조 및 스프링부의 탄성 회복력만으로 유체의 배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특별한 장치 없이, 탱크유닛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배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중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는 하부로 돌출된 제1 중공부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2 중공부가 형성되는 챔버부, 챔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하부로 돌출된 제8 중공부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9 중공부가 형성된 탱크 배출부가 형성되는 탱크부, 제1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중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부, 상부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측벽부가 형성되는 제1 개폐부, 돌출부와 홈 사이에 위치되되, 돌출부의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스프링부 및 제8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측벽부와 맞닿을 수 있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탱크부의 이동에 따라, 제1 개폐부가 제1 가압부에 의해 돌출부를 축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챔버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는 유체가 배출되지 않을 때, 제1 가압부의 상단부는 탱크부의 상단면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제1 개폐부의 측벽부의 하단부는 챔버부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의 탱크부가 챔버부에 인접하여 제1 가압부에 의해 제1 개폐부가 상승되는 경우, 제1 스프링부가 수축되고, 탱크부가 챔버부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제1 스프링부가 이완되어 제1 개폐부와 상기 챔버부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의 제1 개폐부의 밑면에는 제1 씰이 삽입되어, 제1 개폐부와 챔버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의 제1 가압부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상단부가 제1 가압부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로 인해, 탱크유닛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배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중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 배수장치의 배수 구조를 간략하게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를 상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차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를 하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탱크유닛이 지그유닛에서 탈거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챔버유닛를 통해 유체가 배수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탱크유닛이 지그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챔버유닛을 통해 유체가 배수되는 상태)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를 상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하부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탱크유닛이 지그유닛에서 탈거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챔버유닛을 통해 유체가 배수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탱크유닛이 지그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챔버유닛을 통해 유체가 배수되는 상태)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챔버유닛(100), 탱크유닛(200) 및 지그유닛(300)을 포함한다.
챔버유닛(100)은 인공치아 가공에 사용된 물이 1차적으로 저장되는 장소이고, 탱크유닛(200)은 챔버유닛(100)을 통해 배수된 물을 2차적으로 저장하여 외부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지그유닛(300)은 탈거 및 장착이 가능한 탱크유닛(200)을 분리 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챔버유닛(1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챔버유닛(100)은 챔버부(110), 필터부(120), 제1 하우징부(130), 제1 개폐부(140) 및 부싱부(160)를 포함한다.
챔버부(110)는 중심부에 제1 중공부(S1)가 형성되고, 제1 중공부(S1)의 중심부에 제2 중공부(S4)가 형성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중공부(S1) 및 제2 중공부(S4)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제1 하우징부가 상승 및 하강을 통해 유체(W)의 배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원통 형상인 경우 다른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챔버부(110)는 도 5와 같이 챔버상부(111), 챔버하부(112) 및 챔버중부(113)로 나뉜다. 이는 설명을 위해 구역을 구분한 것으로, 명칭에 따라 반드시 해당 구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부(120)는 챔버상부(111)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1 중공부(S1)를 덮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를 통해 유체(W)에 포함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챔버상부(111)의 상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턱에 필터부(120)가 걸림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필터부(120)의 수명이 다한 경우,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부(130)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이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되어 다리를 지니게 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 홈 사이로, 필터부(120)를 통해 걸러진 유체(W)가 유입되어, 제1 개폐부(140)와 제1 하우징부(130)의 사이의 공간인 제2 중공부(S2)로 유입된다.
원통형상으로만 이루어져 유체(W)가 제1 중공부(S1)에만 머물러 있는 경우에는, 챔버부(110)에 저장할 수 있는 유체(W)량이 한정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고, 장치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되어 다리를 지니는 구조가 형성되면, 제1 중공부(S1) 뿐만 아니라 제2 중공부(S2)에도 유체(W)를 저장할 수 있어, 저장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고(제2 중공부(S2)에 유체(W)를 저장하더라도, 후술할 제1 개폐부(140)의 밀폐로 배수되지 않는다),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하우징부(130)의 상면에는 제1 하우징부 결합홀(133)이 복수 개 형성되며, 챔버하부(112)에 형성된 챔버 결합홀(1121)과 상응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제1 하우징부 결합홀(133)과 챔버 결합홀(1121)을 동시에 관통시켜 제1 하우징부(130)와 챔버부(110)를 고정할 수 있다. 볼트-홀 구조로 간단하게 결합 및 탈착이 가능한 바,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하우징부(130)의 내면의 중심부에는 돌출부(131)가 형성된다. 돌출부(131)는 제1 스프링부(132)가 결합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프링부(132)는 돌출부(131)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개폐부(140)는 제1 스프링부(132)의 탄성 회복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제1 개폐부(140)는 제1 스프링부(13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40)는 상부 및 하부로 구분된다. 제1 개폐부(140)의 상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폐부(140)의 하면의 단부는 챔버하부(112)의 상면과 맞닿게 된다. 이는, 탱크유닛(200)이 챔버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되어 유체(W)가 배수되지 않는 상태로, 제2 중공부(S2)에 머무는 유체(W)가 제3 중공부(S3)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제1 개폐부(140)의 상부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그루브(143)가 형성되어 제1 씰(141)이 삽입된다. 제1 씰(141)로 인해, 밀폐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1 개폐부(140)의 상부에는 돌출부(131) 및 제1 스프링부(132)가 삽입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31) 및 제1 스프링부(13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상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개폐부(140), 제1 스프링부(132) 및 돌출부(131)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개폐부(140)는 돌출부(131)의 중심축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제1 개폐부(140)의 하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측벽부(1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측벽부(142) 사이에는 유체(W)가 유입되어 흐를 수 있게 된다.
측벽부(142)는 제4 중공부(S4) 내에 위치되어 챔버하부(11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측벽부(142)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배수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챔버하부(112)의 내측면에는 부싱부(16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유닛(200)을 설명하도록 한다.
탱크유닛(200)은 탱크부(210), 제2 개폐부(220), 제1 가압부(230)를 포함한다.
탱크부(210)는 중심부에 제8 중공부(S8)가 형성되고, 제8 중공부(S8)의 중심부에 제9 중공부(S9)가 형성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8 중공부(S8) 및 제9 중공부(S9)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탱크부(210)는 탱크상부(211), 탱크 하부(212) 및 탱크 중부(213)로 나뉜다. 이는 설명을 위해 구역을 구분한 것으로, 명칭에 따라 반드시 해당 구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탱크 하부(212)의 상면에는, 제9 중공부(S9)를 따라, 챔버부(110)를 향해 돌출된 탱크배출부(2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배출부(214)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심부에 제9 중공부(S9)가 형성된다. 돌출된 탱크배출부(214)의 구조로 인해, 유체(W)가 제8 중공부(S8)에 머물 수 있게 되어 배수량 조절이 가능하고, 후술할 제2 스프링부(2141)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압부(230)는 제8 중공부(S8)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탱크상부(211) 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압부(230)는 탱크 중부(21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링크부(231)에 의해 제8 중공부(S8)의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링크부(231)의 형상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링크부(231)가 제1 가압부(230)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로 인해, 유체(W)가 제1 가압부(230)를 통과하여 배수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고, 후술할 제2 개폐부(220)의 라운딩부(221)가 복수 개의 링크부(231) 사이를 관통하여 제2 개폐부(220)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탱크배출부(214)의 외측면에는 제2 스프링부(2141)가 결합된다. 제2 스프링부(2141)의 상부에는 제2 개폐부(2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개폐부(220)는 제2 스프링부(2141)의 탄성 회복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제2 개폐부(22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원통형상의 하우징이다. 또한, 제2 개폐부(220)의 중심부에는 제7 중공부(S7)가 형성된다. 제2 개폐부(220)의 상면은 제1 가압부(230)의 하면과 맞닿아 유로를 밀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사 챔버유닛(100)을 이탈한 유체(W)가 탱크유닛(200)으로 유입되더라도, 제2 개폐부(220)와 제1 가압부(230)가 맞닿고 있어, 유체(W)가 제7 중공부(S7)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2 개폐부(220)의 측부에는 제7 중공부(S7)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라운딩부(221)가 형성된다. 한 쌍의 라운딩부(221)는 챔버하부(112)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가압부(114)와 맞닿을 수 있다(도 3 참조). 가압부와 개폐부의 동작 원리는 후술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이때, 라운딩부(221)의 상부는 만곡되어 라운드 처리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가압부(114)는 하단부가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유닛(100)과 탱크유닛(200)이 맞닿아 유체(W)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제2 가압부(114)가 라운딩부(22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라운드 처리된 경우,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배수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가압부(114)의 하단부와 라운딩부(221)의 상단부가 맞닿기 전까지는 제2 가압부(114) 및 라운딩부(221)의 접촉이 최소화 되어 동작이 유연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2 개폐부(220)의 상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를 따라 제2 씰(222)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밀폐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제1 씰(141)의 원리와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여, 탱크유닛(200)으로 배수가 되지 않을 때의 배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스프링은 고유의 특성 상 가압이 되지 않는 경우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중력과 더불어 제1 스프링부(132)에 결합된 제1 개폐부(140)는 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도 5와 같이, 제1 개폐부(140)의 하면과 챔버하부(112)의 상면이 맞닿게 된다.
챔버유닛(100)으로 유입된 유체(W)는 제1 중공부(S1) 및 제2 중공부(S2)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제1 개폐부(140)와 챔버하부(112)가 맞닿아, 제3 중공부(S3)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즉, 제1 스프링부(132) 및 이와 관련된 구조로 인해, 유체(W)가 제2 중공부(S2)에서 제3 중공부(S3)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가 차단되어 탱크유닛(200)을 향하여 배수될 수 없게 된다. 이를 1차 밀폐 효과라고 지칭한다.
또한, 제2 스프링부(2141)는 상 방향으로 제2 개폐부(22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개폐부(220)의 상면과 제1 가압부(230)의 하면이 맞닿게 된다.
탱크유닛(200)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챔버유닛(100)에서 튄 유체(W)가 탱크유닛(200)으로 유입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2 개폐부(220)와 제1 가압부(230)의 측부에서의 간격인 제5 중공부(S5)에 유체(W)가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제2 개폐부(220)와 제1 가압부(230)가 맞닿아, 제7 중공부(S7)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즉, 제2 스프링부(2141) 및 이와 관련된 구조로 인해, 제5 중공부(S5)에서 제7 중공부(S7)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가 차단되어 탱크유닛(200)의 하부로 배수될 수 없게 된다. 이를 2차 밀폐 효과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1차적으로 탱크유닛(200)으로 유체(W)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사 일부 유입되더라도 2차적으로 탱크유닛(200) 하부로 유체(W)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밀폐 효과가 발생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탱크유닛(200)으로 배수될 때의 배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탱크유닛(200)이 지그유닛(300)에 결합되어 챔버유닛(100)과 탱크유닛(200)의 중심축이 일치되는 경우, 챔버유닛(100)에 저장된 유체(W)가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 형태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필요된다.
먼저, 제1 가압부(230)의 상단부는 탱크상부(211)의 상단면보다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며, 측벽부(142)의 하단부는 챔버하부(112)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제1 가압부(230)와 제1 개폐부(140)가 만나는 지점이 챔버부(110)와 탱크부(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부(220)의 라운딩부(221)의 상단부는 탱크상부(211)의 상단면보다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며, 제2 가압부(114)의 하단부는 챔버하부(1112)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제2 가압부(114)와 제2 개폐부(220)가 만나는 지점이 챔버부(110)와 탱크부(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탱크유닛(200)이 챔버유닛(100)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제1 가압부(230)가 제1 개폐부(140)를 상부로 가압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제2 가압부(114)가 제2 개폐부(220)를 하부로 가압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탱크유닛(200)과 챔버유닛(100)이 인접되는 경우에만, 상호 맞닿아 가압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탱크유닛(200)과 챔버유닛(100)이 인접되는 과정에서, 먼저, 제1 가압부(230)는 제1 개폐부(140)를 상승시킨다. 이는, 제1 가압부(230)는 고정되어 있고, 제1 개폐부(140)는 제1 스프링부(132)에 의해 유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도 7과 같이, 제1 개폐부(140)가 상승되어 챔버하부(112)와 제1 개폐부(140)의 상부의 하면 간 이격된다.
이때, 제1 가압부(23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상단부가 제1 가압부(230)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라운딩부(221)의 라운드 처리된 이유와 동일한 이유로,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가압부(114)는 제2 개폐부(220)를 하강시킨다. 이는, 제2 가압부(114)는 고정되어 있고, 제2 개폐부(220)는 제2 스프링부(2141)에 의해 유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도 7과 같이, 제2 개폐부(220)가 하강되어 제1 가압부(230)의 하부와 제2 개폐부(220)의 상면 간 이격된다. 이격되어 발생된 공간을 제6 중공부(S6)라 한다.
챔버유닛(100) 및 탱크유닛(200)에 이격되어 발생된 공간을 통해 유로가 확보된다. 중공부의 위치를 통해 유체(W)의 흐름을 살펴보면, 제1 중공부(S1)에서 제9 중공부(S9)로 순차적으로 유체(W)가 이동되어 탱크유닛(200) 하부로 유체(W)가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유체(W)의 배수가 이루어지고, 이후 다시 유로가 봉쇄되어 밀폐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탱크유닛(200)에 유체(W)를 가득채우고, 탱크유닛(200)을 다시 챔버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탱크유닛(200)이 멀어질수록, 제1 가압부(230)가 제1 개폐부(140)를 가압하지 않게 되고, 제2 가압부(114)가 제2 개폐부(220)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스프링은 고유의 탄성회복력이 있다. 이로 인해, 수축되었던 제1 스프링부(132) 및 제2 스프링부(2141)는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다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부(132)와 결합된 제1 개폐부(140)는 하강하여 챔버하부(112)의 상면과 맞닿아 유로를 봉쇄하고, 제2 스프링부(2141)와 결합된 제2 개폐부(220)는 상승하여 제1 가압부(230)의 하면과 맞닿아 유로를 봉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압부가 개폐부를 상,하로 가압하는 구조 및 제1 스프링부(132) 및 제2 스프링부(2141)의 탄성 회복력만으로 유체(W)의 배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특별한 장치 없이, 탱크유닛(200)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배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중 밀폐 구조가 형성되어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챔버유닛 110…챔버부
111…챔버상부 112…챔버하부
113…챔버중부 114…제2 가압부
120…필터부 130…제1 하우징부
131…돌출부 132…제1 스프링부
133…제1 하우징부 결합홀 140…제1 개폐부
141…제1 씰 142…측벽부
143…그루브 160…부싱부
200…탱크유닛 210…탱크부
211…탱크상부 212…탱크하부
213…탱크중부 214…탱크배출부
2141…제2 스프링부 220…제2 개폐부
221…라운딩부 222…제2 씰
230…제1 가압부 231…링크부
300…지그유닛

Claims (5)

  1. 하부로 돌출된 제1 중공부(S1)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2 중공부(S4)가 형성되는 챔버부;
    상기 챔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하부로 돌출된 제8 중공부(S8)를 포함하되, 중심부에 제9 중공부(S9)가 형성된 탱크 배출부가 형성되는 탱크부;
    상기 제1 중공부(S1)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중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부;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측벽부가 형성되는 제1 개폐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 스프링부; 및
    상기 제8 중공부(S8)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측벽부와 맞닿을 수 있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축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챔버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가압부의 상단부는 상기 탱크부의 상단면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는 상기 챔버부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가 상기 챔버부에 인접하여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1 개폐부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프링부가 수축되고,
    상기 탱크부가 상기 챔버부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상기 제1 스프링부가 이완되어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챔버부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의 밑면에는 제1 씰이 삽입되어,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챔버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상단부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KR1020170162522A 2017-11-30 2017-11-30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KR10192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22A KR101929830B1 (ko) 2017-11-30 2017-11-30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22A KR101929830B1 (ko) 2017-11-30 2017-11-30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830B1 true KR101929830B1 (ko) 2018-12-17

Family

ID=6500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22A KR101929830B1 (ko) 2017-11-30 2017-11-30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8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24B1 (ko) 2002-03-19 2008-05-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24B1 (ko) 2002-03-19 2008-05-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677B1 (ko)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CN108843625A (zh) 一种生产肝素钠用的离心泵及化工设备
KR101929830B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IT8921926A1 (it) Sistema di smorzamento di impatti applicabile a scarpe sportive.
CN105456022A (zh) 一种眼科用医疗冲洗架
US20120325736A1 (en) Dialysis fluid pump, and hemodialysis apparatus having same
KR20050032337A (ko) 내연기관의 오일 필터 어셈블리
RU2370304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станция
KR20120004318U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밸브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CN205434331U (zh) 一种眼科用医疗冲洗架
CN105443192A (zh) 机油滤清器
JP2009299795A (ja) 流体スプリ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成形装置
DE69011175T2 (de) Verbindungsvorrichtung.
US11737863B2 (en) Intraocular lens with a spreadable haptic
KR102114545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JPH0446156Y2 (ko)
KR100783885B1 (ko) 차량 오일 필터의 드레인 밸브 구조
CN106369215B (zh) 伸缩机构
ITTO960802A1 (it) Fondello con guarnizioni di tenuta ancorate, per una cartuccia per rubinetto idraulico.
JP4958675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KR20200065785A (ko) 이물 방지구조를 갖는 세탁기 급수밸브
KR20160090044A (ko) 세면대용 팝업 밸브
KR20200120629A (ko)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치과용 앵커링 시스템
CN103556687A (zh) 存水弯弹性体活盖旋出芯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