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24B1 -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 Google Patents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24B1
KR100829124B1 KR1020020014840A KR20020014840A KR100829124B1 KR 100829124 B1 KR100829124 B1 KR 100829124B1 KR 1020020014840 A KR1020020014840 A KR 1020020014840A KR 20020014840 A KR20020014840 A KR 20020014840A KR 100829124 B1 KR100829124 B1 KR 10082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ischarge
kimchi refrigerator
kimchi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560A (ko
Inventor
신희인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배출버튼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쌀을 저장하는 쌀 저장고의 도어를 인출함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쌀배출수단이 김치냉장고의 하단에 구비된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김치를 저장 보관하는 김치저장고가 상단에 구획되어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하단부에 서랍식으로 구획되어 호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쌀을 그 내부에 저장하고, 그 하면에 유동됨으로 인해 쌀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쌀 저장고와; 상기 쌀 저장고의 하단에 서랍형태로 구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배출부재를 상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력을 가하는 작동부재가 융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배출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쌀을 배출시키기 위해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도어를 사용자측으로 인출하면 인출동작 도중에 일정량의 쌀이 자유 낙하되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쌀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KIMCHI REFRIGERATOR INSTITUTED A AUTO-RICE EXHAUST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쌀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2b는 종래의 쌀통 내에서 쌀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식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이용하여 쌀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배출부재, 18:작동부재,
122':원통, 124:스프링,
130':배출개폐판, 132':쌀유입방지판,
134a,134b:제1슬라이딩면, 182:배출공,
184a,184b:제2슬라이딩면.
본 발명은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쌀을 배출하는 쌀 배출통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주식으로 사용되는 쌀은 플라스틱 용기, 또는 옹기에 보관해 두었다가 그 필요한 양을 소량씩 꺼내어 사용하게 되었으나, 그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상품화된 쌀통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쌀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 도 2b는 종래의 쌀통 내에서 쌀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쌀통(150)은 제 1캐비닛(150a) 내부의 상부로 일정한 공간을가지는 저장부(150d)와, 이 저장부(150d)의 하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더(150b-1)를 구비한 호퍼(150b)와, 인출수단(160) 및 제 1커버(150c), 그리고 인출함(180)으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인출수단(160)은 제 1캐비닛(150a)의 외측에 구비된 노브(170)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172)와, 이 로드(172)의 단부에 맞닿는 경사 가이더(163)의 상, 하단에 구비된 제1,2플레이트(161,162)와, 제2플레이트(162)의 자유단에 연결된 인장스프링(164)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제 1플레이트(161)의 자유단부에는 제 1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구멍(161a)에 대향되도록 제2플레이트(162)에 제 2구멍(16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플레이트(161,162)는 호퍼(150b)의 하단에 구비된 가이더(150b-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쌀통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플레이트(162)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 스프링(16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2플레이트(161,162)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호퍼(150b)내의 쌀은 제 1플레이트(161)의 제1구멍(161a)을 통해 자유 낙하되어 제2플레이트(162)의 우측면에 의해 모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1캐비닛(150a)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노브(17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그 노브(170)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172)의 단부가 경사 가이더(163)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경사 가이더(163)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제 1플레이트(161)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구멍(161a)이 막히게 됨과 동시에 제 2플레이트(162)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구멍(162a)이 개방됨으로써, 그 내부에 모여 있던 쌀은 인출함(180)으로 자유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이후, 노브(170)에서 손을 떼게 됨과 동시에 인장 스프링(164)의 장력에 의해 제 2플레이트(16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이동하면서 개방되어 있던 제 2구멍(162a)이 폐쇄되고, 제 1구멍(161a)이 개방되면서 호퍼(150b)내의 쌀은 하부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즉, 노브(170)를 수회 작동시킴으로써, 인출함(180)내로 모여진 쌀을 인출하 여 사용한다.
그러나, 실온에서 장시간 쌀을 보관시 쌀통 내부와 외부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쌀이 변질되거나 해충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있으며, 동시에 쌀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쌀 배출용 노브(170)를 조작하고, 배출된 쌀을 다시 인출하기 위해 인출함(180)을 잡아당겨 쌀을 인출해야 하는 복수회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가 쌀을 인출하는 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원인중 일부인 쌀 보관시 해충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그 내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쌀통이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 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쌀의 변질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쌀통(100)은 하부로 방열장치(130)와 그 상부로 제1쌀보관부(142)가 내장되어 있는 제2캐비닛(110)과, 제1쌀보관부(142)에 덮여 있는 제2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방열장치(130)는 냉매를 압축하고, 이 압축된 냉매를 액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응축기(136) 및 제1블로워(134)로 구비되어 제2캐비닛(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쌀보관부(142)는 응축기(136)를 거친 액체화된 냉매가 미도시한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증발관(146) 내부의 공간을 가지는 내통(140)에 권취되어 있고, 그 외측에 제1단열재(144)로 쌓여 방열장치(130)의 상부와 제 2캐비닛(110)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쌀통은 미도시한 전원이 입력됨과 동시에 방열장치(130)의 압축기(132)와 제 1 블로워(134)가 구동을 하게 된다.
압축기(132)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36)를 통과하면서 제1 블로워(134)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변환된다.
액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증발관(146) 내를 흐르면서 내통(140)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쌀통은 쌀이 보관된 상기 내통(140)의 외벽을 증발관(146)에 의해 간접냉각하는 방법으로, 상기 내통(140)의 외벽과 쌀이 보관된 중심부까지의 온도차가 커서 냉각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배출버튼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쌀 배출통의 도어를 인출함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쌀배출수단이 김치냉장고의 하단에 구비된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김치를 저장 보관하는 김치저장고가 상단에 구획되어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하단부에 서랍식으로 구획되어 호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쌀을 그 내 부에 저장하고, 그 하면에 유동됨으로 인해 쌀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쌀 저장고와; 상기 쌀 저장고의 하단에 서랍형태로 구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배출부재를 상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력을 가하는 작동부재가 융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배출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쌀 저장고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부재는 상기 쌀 저장고의 하면에 형성된 슬롯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배출부재가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그 상면이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원통의 내부 소정위치에 지지판이 내경방향으로 구성되고, 그 지지판에는 쌀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천공되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지지봉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지지봉의 상단은 역원뿔형상의 배출 개폐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재의 원통 하면의 가장자리는 직하방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개된 제 1 슬라이딩 면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재의 원통 내측면은 일정두께 그 상부측으로 입설되어 스프링 결합부로 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쌀 유입방지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쌀 배출통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재의 동작에 의해 낙하되는 쌀을 쌀 배출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출공이 천공되며, 그 배출공의 가장자리는 상기 배출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면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절개된 제 2 슬라이딩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슬라이딩면은 10°∼4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2)는 김치를 저장하는 제 1 구획과 쌀을 보관하는 제 2 구획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바, 제 1 구획에 구성된 김치 저장고(4)의 구성과 그 동작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을 미리 밝힌다.
제 2 구획에 구성된 쌀보관 및 배출수단(6)에 대해 기술하면, 그 쌀보관 및 배출수단(6)은 본 김치냉장고(2)의 하단부에 서랍식으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바, 크게 쌀 인출수단과 쌀 보관수단으로 대별된다.
쌀 보관수단은 쌀을 그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호퍼 형태의 쌀 저장고(8)가 구성되며, 그 쌀 저장고(8)의 전면에는 그 쌀 저장고(8)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손잡이(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쌀 저장고(8)는 호퍼형태로 구성된 그 하면이 일정 직경을 갖는 원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쌀을 배출하는 배출부재(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쌀 인출수단은 도어(14)를 인출시킴으로 인해 쌀이 배출되도록 도어(14)의 후면에 장착된 쌀 배출부(15)가 제공되는 바, 그 쌀 배출부(15)는 사각의 배출통(16)으로 이루어지고, 그 배출통(16)의 상면에는 상기 쌀 저장고(8)로부터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재(12)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16)의 상면은 일부 절개되어 그 내부에 설치된 쌀받이(22)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0)이 형성된다.
미설명 참조부호 24는 냉기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쌀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쌀 배출수단의 도어 표면에 부착된 손잡이(14)를 잡고, 사용자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의 인출과 함께 쌀 배출통(16)이 사용자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쌀 배출통(16)이 사용자측으로 인출되면서, 쌀 배출통(16)의 상면에 형성된 작동부재(18)는 상기 쌀 저장고(8)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부재(12)를 밀어올리게 되고, 그 배출부재(12)의 상부측 유동으로 인해 쌀 저장고(8)에 저장된 쌀은 상기 쌀 배출통(16)측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도 5a를 참조하여, 상기 배출부재(12)와 작동부재(18)의 구성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쌀 저장고(8)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부재(12)는 상기 쌀 저장고(8)의 하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쌀 저장고(8)의 하면과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쌀 저장고(8)의 하면에는 스프링(124)을 결합하기 위한 슬롯(82)이 형성되고 있으며, 그 슬롯(82)에 스프링(124)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그 스프링(124)의 타단에는 상기 배출부재(12)의 상면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1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원통(122')의 내부 소정위치에 지지판(126)이 내경방향으로 구성되고, 그 지지판(126)에는 쌀을 배출시키는 배출공(128')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126)의 중앙으로부터 지지봉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지지봉의 상단은 역원뿔형상의 배출 개폐판(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12)의 원통(122') 내측면은 일정두께 그 상부측으로 입설된 쌀 유입방지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12)의 원통(122') 하면의 가장자리는 직하방에 대해 일정각도(10°∼40°)로 절개된 제 1 슬라이딩 면(134a, 134b)이 구성되어 진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재(18)는 상기 쌀 배출통(16)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재(12)의 동작에 의해 낙하되는 쌀을 쌀 배출통(16)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천공된 배출공(182)으로 이루어지며, 그 배출공(182)는 일정 높이가 그 상부측으로 융기되어 있으며, 그 융기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원통(122')의 하면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면(134a, 134b)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절개된 제 2 슬라이딩 면(184a, 184b)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쌀 배출통(16)의 인입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상기 작동부재(18)에 대해 상기 배출부재(12)가 상기 쌀 저장고(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게 되고, 그 유동에 따라 쌀이 배출되거나, 배출이 중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 장고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를 이용하여 쌀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쌀 배출통(16)이 김치냉장고(2)에 수납되어 있을 때, 상기 배출부재(12)는 상기 작동부재(18)의 전단에 위치되게 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출 부재(12)가 위치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쌀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쌀 배출통(16)의 도어 표면에 부착된 손잡이(14)를 잡고, 사용자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의 인출과 함께 쌀 배출통(16)이 사용자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쌀 배출통(16)이 사용자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쌀 배출통(16)의 상면에 형성된 작동부재(18)의 제 2 슬라이딩 면(184a)은 배출부재(12)의 제 1 슬라이딩면(134b)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부재(12)는 상기 쌀 저장고(8)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 개폐판(130')이 상부로 이동되고, 그 배출 개폐판(130')과 쌀 저장고(8)의 내측이 개방됨으로 인해 쌀이 배출된다(도 5b 참조).
지속적으로, 상기 쌀 배출통(18)은 사용자측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상기 배출부재(12)의 제 1 슬라이딩 면(134a)은 작동부재(18)의 제 2 슬라이딩 면(184b)에 대해 슬라이딩 되면서, 배출부재(12)가 쌀 저장고(8)의 하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개폐판(130')도 쌀 저장고(8)의 하면과 밀착되어 폐쇄되는 바, 쌀의 배출이 중지되고, 쌀 받이(22)를 인출공(20)을 통해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는 쌀을 배출시키기 위해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도어를 사용자측으로 인출하면 인출동작 도중에 일정량의 쌀이 자유 낙하되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쌀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김치를 저장 보관하는 김치저장고가 상단에 구획되어 설치된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하단부에 서랍식으로 구획되어 내부에 쌀을 저장하도록 호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된 쌀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배출부재가 하측에 구비된 쌀 저장고와;
    상기 쌀 저장고의 하단에 서랍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재를 상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력을 가하는 작동부재가 상면에 융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배출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내측에는 쌀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천공된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지지봉이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단은 역원뿔형상의 배출 개폐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원통 하면의 가장자리는 직하방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개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 슬라이딩 면과,
    상기 배출부재의 상면에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쌀 저장고의 하면에 형성된 슬롯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재가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원통 내측면은 일정두께가 상부측으로 입설되어 스프링 결합부로 쌀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쌀 유입방지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쌀 배출통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재의 동작에 의해 낙하되는 쌀을 쌀 배출통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출공이 천공되며, 상기 배출공의 가장자리는 상기 배출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면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절개된 제 2 슬라이딩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면은 10°∼4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20020014840A 2002-03-19 2002-03-19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082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840A KR100829124B1 (ko) 2002-03-19 2002-03-19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840A KR100829124B1 (ko) 2002-03-19 2002-03-19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560A KR20030075560A (ko) 2003-09-26
KR100829124B1 true KR100829124B1 (ko) 2008-05-13

Family

ID=3222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840A KR100829124B1 (ko) 2002-03-19 2002-03-19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30B1 (ko) 2017-11-30 2018-12-17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59Y1 (ko) * 1983-05-31 1985-06-08 삼성공업주식회사 (vtr)의 녹화 및 재생제어회로
KR890007051U (ko) * 1987-09-16 1989-05-15 주식회사 선 경 도어록
KR20030075561A (ko) * 2002-03-19 2003-09-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도어 개폐식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59Y1 (ko) * 1983-05-31 1985-06-08 삼성공업주식회사 (vtr)의 녹화 및 재생제어회로
KR890007051U (ko) * 1987-09-16 1989-05-15 주식회사 선 경 도어록
KR20030075561A (ko) * 2002-03-19 2003-09-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도어 개폐식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30B1 (ko) 2017-11-30 2018-12-17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560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5855B1 (en) Refrigerator
US10458697B2 (en) Refrigerator
US6591623B2 (en) Kim-chi refrigerator having a heater for a vegetable chamber
KR100829124B1 (ko) 자동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US20160370104A1 (en) Refrigerator and beverage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EP2413075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04603B1 (ko) 도어 개폐식 쌀배출수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US789120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4063734U (zh) 冰箱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100857561B1 (ko) 쌀 저장고의 자동 이동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0436937B1 (ko) 정량의 쌀 배출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2184537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16727Y1 (ko) 냉장고도어의캔저장장치
JP2006023042A (ja) 冷蔵庫
KR200181931Y1 (ko) 쌀통이 구비된 김치 냉장고
KR200157105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드레인 구조
KR200264140Y1 (ko)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101819927B1 (ko) 김치저장고의 응결수 드레인장치
KR100930878B1 (ko) 정수기와 곡물 냉장고 겸용 복합기
KR100587353B1 (ko) 냉장고의 야채 보관 장치
KR200347071Y1 (ko) 냉장고의 얼음배출 구조
KR102042220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44292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증발기 연결구조
KR100340323B1 (ko) 서랍식 김치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