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19B1 -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 Google Patents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19B1
KR101929219B1 KR1020180027877A KR20180027877A KR101929219B1 KR 101929219 B1 KR101929219 B1 KR 101929219B1 KR 1020180027877 A KR1020180027877 A KR 1020180027877A KR 20180027877 A KR20180027877 A KR 20180027877A KR 101929219 B1 KR101929219 B1 KR 10192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ir
reinforcing
fram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기
Original Assignee
박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기 filed Critical 박명기
Priority to KR102018002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eismic-resistant reinforcement prefabricated container capable of preventing collapse and deformation of a container structure and ensuring safety. The seismic-resistant reinforcement prefabricated container includes: a framework part having a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materials assembled at both ends of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materials assembled at both ends of a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fo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on material to the lower connection material to form a hexahedron frame; a ceiling part having at least one ceiling panel and at least one ceiling reinforcing panel; a front/rear surface part having at least one front/rear panel and at least one front/rear reinforcing panel; a lateral side part having a lateral side panel; and a bottom part having at least one bottom panel and at least one bottom reinforcing panel.

Description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A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본 발명은 내진 설계되어 보강된 조립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풍하중 및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지진발생시 전달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지진에 특화된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ontainer reinforced by earthquake resistant construction,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in consideration of wind load and seismic load, and capable of withstanding external forces transmitted when an earthquake occurs, .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하우스와 같은 조립식 컨테이너는 현장관리 사무실이나 농장 등의 임시거처, 창고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In general, prefabricated containers, such as container houses, are used mainly in temporary housing such as field offices or farms, warehouses, and the like.

최근 들어 조립식 컨테이너는 농가주택이나 주말주택와 같은 하우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컨테이너를 이어 붙인 연동형으로 하여 주방이나 거실 등의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prefabricated containers are often used for houses such as farmhouses and weekend houses. In many cases, a large space such as a kitchen or a living room is secured by making the container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이러한 조립식 컨테이너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는 기성품화된 일종의 가건물이며, 이는 종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해 제작하던 가건물과는 다른 것으로 종래 건축물에 비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곳에서 다른 사용처로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Such a prefabricated container is a ready-made product that can be installed at a desired place after being manufactured in a facto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manufactured using a sandwich panel and can be installed more quickly than a conventional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oved and reused.

조립식 컨테이너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후 화물차를 통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 및 부피에 대한 제한이 수반된다. Since the prefabricated containers must b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and then moved to a location to be installed through a truck, there is a restriction on size and volume.

즉, 통상 하우스용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컨테이너는 이동 및 운반시 도로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폭이 3~4m 정도로 제한되고 길이는 10~12m 정도까지만 제작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prefabricated container designed for a house is limited to a width of 3 ~ 4m and a length of 10 ~ 12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road structure during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따라서, 조립식 컨테이너를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를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연동형으로 조립하여 사용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assembled container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two or more containers in the interlocking type in the field where they are to be installed.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서 설치되는 육면체상의 컨테이너는 철재 마감재로 이루어져 있어 무거운 자중을 가지며 기본적인 철골구조를 갖기 때문에 컨테이너 위에 또 다른 컨테이너를 적층하여도 상층의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하층의 컨테이너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성이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hexagonal container installed at the factory is made of steel finishing material and has a heavy weight and has a basic steel structure, even if another container is stacked o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tructure of the lower layer is deformed The stability can be maintained to some extent without being damaged.

그러나 강풍이나 지진 등과 같은 갑작스러운 자연재해 발생시 컨테이너에 전달되는 외력에 대해서 컨테이너가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event of a sudden natural disaster such as a strong wind or an earthquake, the container may be deformed or damaged due to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상하 적층된 컨테이너를 와이어 또는 클램프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단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컨테이너를 건축구조적인 검토없이 단순히 연결하므로 시설물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the stacked containers are connected by means of a wire or a clamp. However, this means that the stability of the facilities is deteriorated by simply connecting the containers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out any structural structural examination.

또한 근래에 경주, 울산, 포항에서 걸쳐서 다발적인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2017년 부터 건축법상 2층 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일정강도의 진도에도 견질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eismic design should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more than two floors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Code from 2017 in order to be able to withstand the constant intensity with the recent earthquakes occurring in Gyeongju, Ulsan and Pohang.

그러나 건설현장, 작업장에서 임시로 사용되거나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고 있어 지진발생시 내진설계가 반형되지 않은 컨테이너의 붕괴위험성이 높고, 이에 따른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seismic design is not applied to the containers that are temporarily used or used for residential use at the construction site or the workplace, there is a high risk of the collapse of the container, And it is urgent to take measures against it.

(특허문헌 1) KR10-2013-0051596 A(Patent Document 1) KR10-2013-0051596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풍하중 및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지진발생시 전달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지진에 특화된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in consideration of wind load and seismic load, We want to provide prefabricated container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을 갖추고,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상부연결재와 하부연결재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을 갖추어 육면체상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조부 ;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패널을 갖추고, 상기 천정패널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지붕을 형성하는 천정부 ;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패널을 갖추고, 상기 전후면패널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외벽을 을 형성하는 전후면부 ;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측면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부 ; 및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판넬을 갖추고, 상기 바닥패널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ng members assembled at both ends of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 frame having a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ng members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to form a skeleton on a hexahedron; And at least one ceiling reinforcing panel having at least one ceiling panel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nd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in contact with ends of the ceiling panel, Ceiling; At least one front and rear panel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pair of upper transverse frames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so as to abut the ends of the front and rear panel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s each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to form a closed outer wall; A side part having a side panel having upper ends fixed to the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lower ends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and side panels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thereby forming sealed side walls; And at least one floor reinforcement panel having at least one bottom panel to which both ends are fixe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loor panel, And a bottom portion defining a bottom portion defining the bottom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패널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측면보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ide portion includes a side reinforcing panel having a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so as to contact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anels, and lower end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 및 바닥보강패널 중 어느 하나는 내부보강판과 외부보강판과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와,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의 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preferably, any one of the ceiling-reinforcing panel, the front-back reinforcing panel, the side reinforcing panel, and the bottom reinforcing panel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the outer reinforcing plate,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assembled between a corner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a corner formed on the support fram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보강바는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산단면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산단면상의 다른 연결부재를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nclined reinforcing ba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on an articulation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an edge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another connecting member on an artificial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dge formed on the supporting frame, .

바람직하게, 상기 천정부의 천정보강패널, 상기 전후면부의 전후면보강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바닥보강패널은 지진발생시 상기 골조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견딜 수 있는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에 일대일 대응하여 연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eiling-reinforcement panel of the ceiling portion,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the bottom reinforcement panel of the botto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portion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against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rame portion, And ar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상측 골조부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상부커플러박스와, 상기 하측 골조부의 상부가로프레임에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하부커플러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커플러박스가 서로 접하게 되는 접합면에 각각 관통형성된 연결공과 대응하도록 상기 상,하부 커플러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결합부재와, 상기 상,하부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oupler box integrally provided in the lower horizontal frame of the upper frame part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lower coupler box having a lower side frame part and a lower coupler box, And a lower coupler box provided on the upper transverse frame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d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so as to correspond to connec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joint surfaces where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upling pin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to generate a coupling force for integrall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골조부의 천정, 전후면, 측면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천정패널, 전후면패널, 측면패널 및 바닥패널과 내,외부보강판사이에 보강프레임을 배치한 보강패널을 복합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태풍이나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 상하적층되는 컨테이너 구조물의 붕괴 및 변형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보장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ceiling panel,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frame, the front and rear panels, the side panels and the floor panel, and the reinforced panel with the reinforced frame placed on the inside and outside reinforced panel,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durability to prevent collapse and deformation of container structures stacked vertically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such as a typhoon or an earthquake, and to secure safety, thereby preventing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또한,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용접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상,하부커플러박스와 결합핀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매개로 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frame portion and the lower frame portion can be assembled in the field easily and quickly via the coupler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and the coupling pin without depending on the welding method, fiel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바닥보강패널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바닥보강패널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보강프레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한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X방향 풍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Y방향 풍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X방향 지진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Y방향 지진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vy duty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corrosion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eiling-reinforced panel, a front-side reinforcing panel, a side reinforcing panel, and a bottom reinforcing panel provided in the anti-corrosion rigid-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assembled view illustrating a ceiling-reinforced panel, a front-and-rear reinforcing panel, a side reinforcing panel, and a bottom reinforcing panel provided in the anti-corrosion rigid-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frame of a heavy-duty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front and top views, respectively, of a heavy-duty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r included in a heavy-duty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r included in the anti-glare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graph showing a wind load displacement in the X direction in a structure in which a corrosion resistant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stacked and assembled. FIG.
FIG. 7B is a graph showing a wind load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in a structure in which a corrosion resistant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vertically.
FIG. 7C is a graph showing the X-direction earthquake load displacement in a structure in which a corrosion resistant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vertically.
FIG. 7D is a graph showing the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of a seismic load in a structure in which a high strength steel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vert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골조부(110), 천정부(120), 전후면부(130), 측면부(140) 및 바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n anti-seize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 ceiling portion 120, front and rear portions 130, side portions 140, And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150.

상기 골조부(110)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재(112)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의 단부와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members 110 include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111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ng members 112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nd a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113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upper transverse frames 111 at right angles.

또한, 일정길이를 갖추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4)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재(115)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1)의 단부와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116)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1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ng members (115) assembl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And a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116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111 at right angles.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재(112)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재(115)에 하단이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7)을 갖춤으로써 상기 상부가로프레임(111)과 상부세로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물과 상기 하부가로프레임과 하부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을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의해서 연결한 대략 육면체상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7 a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12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115 so as to connec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12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115, (113), and a lower structure compose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vertical frame are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to form a skeleton on a substantially hexahedron.

상기 천정부(1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에 양단이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패널(121)을 포함하고, 상기 천정패널(121)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보강패널(124)을 갖춤으로써 상기 골조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지붕을 형성하는 것이다. The ceiling panel 120 includes at least one ceiling panel 121 having both ends integrally fixed to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111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least one ceiling-reinforcing panel 124 having both ends integrally fixed to a pair of upper transverse frames 111 forms a roof that seals the open top of the frame.

이때, 상기 천정패널(121)은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102)을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판(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eiling panel 121 may include an inner plate 101 integrally provided with a corrugated plate 102 on which an acid and a bone are repeatedly formed.

그리고, 상기 골조부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되는 천정보강패널(124)은 도 3a 와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보강판(104)과 외부보강판(105)과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03)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103a)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103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의 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103c)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eiling-reinforcing panel 124 provide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frame portion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104 and the outer reinforcing plate 105 And a reinforcing frame 103. The reinforcing frame 103 includes a central reinforcing bar 103b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support frame 103a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103c assembled with the corner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여기서, 상기 한쌍의 경사보강바(103c)는 상기 수평보강바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103c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또한, 상기 경사보강바(103c)는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산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3d)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산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연결부재(103d)를 양단에 각각 포함할 수 있다. The inclined reinforcing bar 103c may be formed of a connecting member 103d formed on an artificial surface so as to increase the area of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edge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other connecting members 103d, which are formed on the acid surface, so as to increase the area.

상기 연결부재(103d)는 상기 경사보강바의 양단에 조립식으로 체결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the connecting member 103d is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clined reinforcing bars in the assembled manner, the connecting member 103d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전후면부(130)는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4)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패널(131)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패널(131)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111)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4)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보강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골조부의 전후면을 밀폐하는 수직한 외벽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front and rear part 130 includes at least one front and rear panel 131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111 and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114 And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111) fixed integrally with upper ends of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114)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s (111) are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front and rear panel (131) And a vertical outer wall including the face reinforcement panel for sealing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frame part.

이때, 상기 전후면패널(131)은 천정패널과 마찬가지로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102)을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판(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panels 131 may include an inner plate 101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late 102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like a ceiling panel.

상기 전후면보강패널(134)은 상기 천정보강패널(124)과 마찬가지로 내부보강판(104)과 외부보강판(105)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03)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103a)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103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10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 134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103 fixed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104 and the outer reinforcing plate 105 like the ceiling reinforcing panel 124. The reinforcing frame 103 ) Comprises a central reinforcing bar (103b) fixedly mounted at the center of a support frame (103a)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103b) assembled between the corners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s Bar 103c.

상기 측면부(140)는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113)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116)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프레임(117)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측면패널(141)을 포함하여 상기 골조부의 양측면을 밀폐하는 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The upper part of the side part 140 i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113 and the lower ends of the lower vertical frames 116 are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116, And a side wall for seal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by including the side panel 141 to be fixed.

상기 측면패널(141)은 상기 전후면패널(131), 천정패널(121)과 마찬가지로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102)을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판(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ide panel 141 may include an inner plate 101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late 102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like the front and rear panels 131 and the ceiling panel 121.

여기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패널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113)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116)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측면보강패널(144)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ide surface portion may include a side reinforcing panel 144 (see FIG. 1) in which an upper e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113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anels, and a lower e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116 ).

상기 측면보강패널(144)은 상기 전후면보강패널(134), 천정보강패널(124)과 마찬가지로 내부보강판(104)과 외부보강판(105)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03)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103a)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103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10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reinforcing panel 144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103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104 and the outer reinforcing plate 105 like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s 134 and the ceiling reinforcing panel 124 , And the reinforcing frame (103) includes a central reinforcing bar (103b)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support frame (103a)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between a corner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an edge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103c assembled to the side wall 103a.

상기 바닥부(15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4)에 양단이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패널(151)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패널(151)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114)에 양단이 각각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보강패널(154)을 포함하여 상기 골조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bottom part 150 includes at least one bottom panel 151 having both ends integrally fixed to a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114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bottom part 150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bottom panel 151 And at least one floor reinforcement panel 154 having both ends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114 to form a bottom for sea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상기 바닥패널(151)은 상기 측면패널(141), 전후면패널(131) 및 천정패널(121)과 마찬가지로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102)을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판(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or panel 151 includes an inner plate 101 having a corrugate plate 102 integrally formed with an outer surface thereof such that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like the side panel 141, the front and rear panels 131 and the ceiling panel 121 ).

상기 바닥보강패널(154)은 상기 측면보강패널(144), 상기 전후면보강패널(134) 및 천정보강패널(124)과 마찬가지로 내부보강판(104)과 외부보강판(105)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03)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103a)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103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10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reinforcement panel 154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einforcement plate 104 and the outer reinforcement plate 105 like the side reinforcement panel 144,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134 and the ceiling reinforcement panel 124 Wherein the reinforcement frame 103 includes a central reinforcement bar 103b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03a of a rectangular frame and has a corner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ement bar 103b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103c assembled between the corner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그리고 상기 천정부(120)에 구비되는 천정보강패널(124), 상기 전후면부(130)에 구비되는 전후면보강패널(134) 및 상기 바닥부(150)에 바닥보강패널(154)은 지진발생시 상기 골조부(110)에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외력을 견딜 수 있는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에 일대일 대응하여 연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eiling reinforcement panel 124 provided on the ceiling portion 120,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134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 portions 130 and the floor reinforcement panel 154 on the bottom portion 150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portion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part 110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ame par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so as to enhance an earthquake-proof performance capable of withstanding an external force generated due to a wind load or an earthquake load.

또한, 상기 천정부(120)의 천정보강패널(124), 상기 전후면부(130)의 전후면 보강패널(134), 상기 측면부(140)의 측면보강패널(144) 및 상기 바닥부(150)의 바닥보강패널(154)에 각각 구비되는 외부보강판(105)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보강판(104)과 대응하여 독립적인 사각판상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보강판(105a)은 도 5b 에 도시한 바와같이 골판(102)과 동일하게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판재로 내부보강판과 마주하도록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102)이 내부보강판과 마주하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ceiling reinforcement panel 124 of the ceiling portion 120,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134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 portions 130, the side reinforcement panel 144 of the side portion 140, As shown in FIG. 5A, the external reinforcing plate 105 provided on the bottom reinforcing panel 154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rectangular plate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10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5B, the external reinforcing plate 105a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to face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such as a corrugated plate 102,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C, The repeatedly formed corrugated plates 102 may be extended to fac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조립식 컨테이너(100)를 상하구조로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상측 골조부(110)와 하측 골조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플러(17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170)는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골조부의 하부가로프레임(114)에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상부커플러박스(171)와, 상기 하측 골조부의 상부가로프레임(111)에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하부커플러박스(172)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ers 170 connecting the upper frame part 110 and the lower frame part 110 to each other so that the assembled container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stacked and assembled in an upper and lower structure, 5A to 5C and FIGS. 6A to 6B, an upper coupler box 171 integrally provided in the lower transverse frame 114 of the upper frame part and having one open side, And a lower coupler box 172 provided on the upper transverse frame 111 of the lower frame part and opened at one side.

상기 상,하부커플러박스(171,172)가 서로 접하게 되는 접합면에 각각 관통형성된 연결공과 대응하도록 상기 상,하부 커플러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결합부재(171a,172a)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결합핀(173)을 포함할 수 있다.And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171a, 172a)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so as to correspond to connec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joint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171, 172) And a coupling pin 173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to generate a coupling force for integrall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이때, 상기 결합핀(173)은 상기 상,하부결합부재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외부면에 형성된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커플러박스의 내부에는 진동에 의한 상기 결합핀(173)과 상,하부결합부재(171a,172a)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핀고정용 클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upling pin 173 may be a bolt memb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coupling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a female threa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I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boxes,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171a and 172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in fixing clip to prevent loosen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173 and 173.

도 7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X방향 풍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Y방향 풍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7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X방향 지진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7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를 상하적층하여 조립한 구조물에서 Y방향 지진하중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 7a is a graph showing the X-directional wind load displacement in a structure in which a corrosion resistant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stacked, FIG. 7b is a cross- FIG. 7C is a graph showing displacement in the X direction of a seismic load in a structure assembled by vertically stacking an anti-seize rigid prefabricat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C is a graph showing a Y-direction earthquake load displacement in a structure obtained by stacking upside-down steel reinforced prefabricated contain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가 상하적층되어 조립된 구조물에서 상기 골조부에 구비되는 상기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 및 바닥보강패널에 의해서 바람이나 지진에 기인하는 외력전달시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켜 보강됨을 확인할 수 있다. 7A to 7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ti-resilience rigid type prefabricated containers are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the wind force is generated by the ceiling reinforcement panel,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the side reinforcement panel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urability is improved by reinforcing the durability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ferred due to an earthquake or an earthquak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1 : 내부판
102 : 골판
103 : 보강프레임
110 : 골조부
111 : 상부가로프레임
112 : 상부연결재
113 : 상부세로프레임
114 : 하부가로프레임
115 : 하부연결재
116 : 하부세로프레임
117 : 수직프레임
120 : 천정부
121 : 천정패널
124 : 천정보강패널
130 : 전후면부
131 : 전후면패널
134 : 전후면보강패널
140 : 측면부
141 : 측면패널
144 : 측면보강패널
150 : 바닥부
151 : 바닥패널
154 : 바닥보강패널
170 : 커플러
171,172 : 상,하부커플러박스
171a,172a : 상,하부결합부재
173 : 결합핀
101: Internal plate
102: Corrugated board
103: Reinforced frame
110: frame part
111: upper horizontal frame
112: upper connector
113: upper vertical frame
114: Lower horizontal frame
115: Lower connector
116: Lower vertical frame
117: Vertical frame
120: Ceiling
121: Ceiling panel
124: Ceiling reinforcement panel
130: Front rear face
131: Front and rear panels
134: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
140:
141: side panel
144: side reinforcement panel
150:
151: Floor panel
154: Floor reinforcement panel
170: Coupler
171,172: Upper and lower coupler box
171a, 172a: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173:

Claims (6)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상부연결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을 갖추고,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의 각 양단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하부연결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상부연결재와 하부연결재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을 갖추어 육면체상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조부 ;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패널을 갖추고, 상기 천정패널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지붕을 형성하는 천정부 ;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패널을 갖추고, 상기 전후면패널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가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면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외벽을 을 형성하는 전후면부 ;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측면패널을 갖추고, 상기 측면패널의 단부와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상부세로프레임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세로프레임에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측면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부 ; 및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패널을 갖추고, 상기 바닥패널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한쌍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보강패널을 갖추어 밀폐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 및 바닥보강패널은 내부보강판과 외부보강판과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사각틀형상의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중앙보강바와,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의 사이에 조립되는 한쌍의 경사보강바를 포함하며,
상기 천정패널, 전후면패널, 측면패널, 바닥패널은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골판을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내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정보강패널, 전후면보강패널, 측면보강패널 및 바닥보강패널의 외부보강판은 상기 천정패널, 전후면패널, 측면패널, 바닥패널의 골판과 동일하게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보강바는 상기 중앙보강바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산단면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모서리와 접하여 연결되는 산단면상의 다른 연결부재를 양단에 포함하며,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상측 골조부의 하부가로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상부커플러박스와, 상기 하측 골조부의 상부가로프레임에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하부커플러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커플러박스가 서로 접하게 되는 접합면에 각각 관통형성된 연결공과 대응하도록 상기 상,하부 커플러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결합부재와, 상기 상,하부 결합부재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측 골조부와 하측 골조부를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력을 발생시키도록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
And a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ng members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members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A frame having a lower vertical fram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members to form a skeleton on a hexahedron;
And at least one ceiling reinforcing panel having at least one ceiling panel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and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in contact with ends of the ceiling panel, Ceiling;
At least one front and rear panel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pair of upper transverse frames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so as to abut the ends of the front and rear panel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s each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pair of lower transverse frames to form a closed outer wall;
A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fixed to upper ends of the pair of upper vertical frames and having lower ends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vertical frame, A side surface reinforcing panel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integrally fixed to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to form a closed side wall; And
At least one floor reinforcement panel having at least one bottom panel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and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loor panel, And a bottom portion for forming the bottom portion,
The ceiling reinforcing panel,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anel, the side reinforcing panel, and the bottom reinforcing panel include a reinforcing frame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the outer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includes a central reinforcing bar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support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and a pair of inclined reinforcing bars assembled between a corner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a corner formed on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ceiling panel, the front and rear panels, the side panels, and the bottom panel are each composed of an inner plate having a corrugated plate repeatedly formed with mountains and valleys,
The external reinforcing plate of the ceiling-reinforcing panel, the front-back reinforcing panel, the side reinforcing panel, and the bottom reinforcing panel is made of a sheet material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like the ceiling panel, the front and rear panels, the side panels,
Wherein the inclined reinforcing ba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on an articulating surface connected to an edge formed by the central reinforcing bar and another connecting member on an artificial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edge formed on the suppor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couplers connecting the upper frame part and the lower frame part to each other,
The coupler includes an upper coupler box integrally provided in a lower horizontal frame of the upper frame part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lower coupler box provided in an upper transverse frame of the lower frame part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 upper and a lower coup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so as to correspond to connec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a joint surfac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x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engaging pin which is screwed to form a male screw so as to generate a coupling force for integrally joining the upper frame part and the lower frame part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의 천정보강패널, 상기 전후면부의 전후면보강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바닥보강패널은 지진발생시 상기 골조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견딜 수 있는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에 일대일 대응하여 연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reinforcement panel of the ceiling portion, the front and rear reinforcement panel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 portions, and the bottom reinforcement panel of the bottom portion are provid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frame portion in order to enhance seismic performance to withstand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rame portion, Wherein the container is disposed so as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KR1020180027877A 2018-03-09 2018-03-09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KR101929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77A KR101929219B1 (en) 2018-03-09 2018-03-09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77A KR101929219B1 (en) 2018-03-09 2018-03-09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19B1 true KR101929219B1 (en) 2019-03-14

Family

ID=6575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77A KR101929219B1 (en) 2018-03-09 2018-03-09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99B1 (en) 2023-11-22 2024-04-05 주식회사 에이이 Earthquake reistant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96A (en) * 2003-06-30 2005-01-27 Sekisui Chem Co Ltd Unit building having building unit having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5171711A (en) * 2003-12-15 2005-06-30 Sekisui Chem Co Ltd Vibration-damping unit, building unit provided with the same and the unit building
JP2008180072A (en) * 2006-12-27 2008-08-07 Kase Soko:Kk Container obtainable for certificate of confirmation and certificate of inspection based on building standard code
JP2013185375A (en) * 2012-03-08 2013-09-19 Kaiteki Keikaku Kk Connection structure of container ho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96A (en) * 2003-06-30 2005-01-27 Sekisui Chem Co Ltd Unit building having building unit having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5171711A (en) * 2003-12-15 2005-06-30 Sekisui Chem Co Ltd Vibration-damping unit, building unit provided with the same and the unit building
JP2008180072A (en) * 2006-12-27 2008-08-07 Kase Soko:Kk Container obtainable for certificate of confirmation and certificate of inspection based on building standard code
JP2013185375A (en) * 2012-03-08 2013-09-19 Kaiteki Keikaku Kk Connection structure of container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99B1 (en) 2023-11-22 2024-04-05 주식회사 에이이 Earthquake reistant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386B2 (en) Metallic frame structure, assembly kit for mobile housing, mobile housing and hollow profile
US20090307994A1 (en) Module with moment frame and composite panels for a building structure
CN201151950Y (en) Dismounting type integral hoisting movable dwellings
US20160319534A1 (en) Reversible module co-ordination system for buildings
US20120279141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20230145279A1 (en) System for architectural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KR100821972B1 (en) Prefabricated water tank reinforced the outside
KR101929219B1 (en)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assembly container
JP5953016B2 (en) Attached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JP4583778B2 (en) Unit building
CN215212568U (en) Reassembling type steel frame composite sheet house
JP5271739B2 (en) Rooftop structures and unit buildings
KR101827146B1 (en) Outside strengthen type prefabricated water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362310B2 (en) Unit building
JP4012911B2 (en) Wall panel material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method
JP5128313B2 (en) Unit building
CN217711132U (en) Box type house for quickly building system
JP5629147B2 (en) Unit building
JP4567857B2 (en) Unit building
KR101566801B1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using half slab
JP7320713B2 (en) container house
JP5053137B2 (en) Unit building
JP2005240359A (en) Unit building and building unit
EP0929726B1 (en) Multiple occupancy accommodation
JP5362318B2 (en) Unit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