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839B1 -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839B1
KR101927839B1 KR1020170058013A KR20170058013A KR101927839B1 KR 101927839 B1 KR101927839 B1 KR 101927839B1 KR 1020170058013 A KR1020170058013 A KR 1020170058013A KR 20170058013 A KR20170058013 A KR 20170058013A KR 101927839 B1 KR101927839 B1 KR 101927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upport
guide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819A (ko
Inventor
이문재
최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Priority to KR102017005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8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재, 상측단에는 버튼부재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대경부가 구비되고 하측단에는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 형성되어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부재, 하우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버튼부재의 누름시 버튼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부재,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 결합되어 버튼부재의 누름시 샤프트부재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전원스위치부를 지지하여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EMERGENCY 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제 및 재가동시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해지고 또한,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과 해제 및 재가동시키는 구조가 간단해져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 및 조립공정도 줄어드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비상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신속하게 전원을 제어할 수 있기에 산업 기기에 주로 설치되어 안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최근에 제공되고 있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장치와 같은 설비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접점소켓(1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외부소켓(20), 이 외부소켓(20)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는 내부소켓(30), 내부소켓(30)의 타단부에 결합된 푸시버튼(40)을 포함하는 비상용 푸시버튼 스위치로, 푸시버튼(40)은 둘레부에 오목부(42)와 돌출부(44)가 교호로 배치된 파지부(4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오목부(42)와 돌출부(44)가 교호로 이루어진 파지부(45)를 파지하여 푸시버튼(4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는 일예로 산업기기의 운행 중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전원을 긴급하게 차단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푸시버튼을 눌러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는 기계장치와 같은 설비를 비상 정지시키거나 비상 정지시킨 후에 재가동시킬 때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로 인한 부품수의 증가와 조립공정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제 및 재가동시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과 해제 및 재가동시키는 구조가 간단해져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 및 조립공정도 줄어드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재, 상측단에는 버튼부재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대경부가 구비되고 하측단에는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 형성되어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부재, 하우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버튼부재의 누름시 버튼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부재,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 결합되어 버튼부재의 누름시 샤프트부재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전원스위치부를 지지하여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제 및 재가동시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과 해제 및 재가동시키는 구조가 간단해져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 및 조립공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200)는, 버튼부재(210), 상측단에는 버튼부재(210)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대경부(220a)가 구비되고 하측단에는 대경부(220a)에서 직경이 축소 형성되어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소경부(220b)가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부재(220), 하우징부재(220)의 내측에 삽입되며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버튼부재(210)와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부재(230),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 결합되어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샤프트부재(230)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전원스위치부(미도시)를 지지하여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작동부재(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200)는, 비상시 버튼부재(210)를 누름으로써 작동되고 해제시 버튼부재(210)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으로, 버튼부재(210)와 함께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회전 이동을 하는 샤프트부재(230), 샤프트부재(230)가 내장되며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재(220), 버튼부재(210)의 누름과 복귀시 전원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부재(240) 등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들의 위치 작동 방향 등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과 관련된 기준은 버튼부재(210)를 누르는 방향을 하측, 버튼부재(210)가 원위치로 튀어나오며 복귀되는 방향을 상측으로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튼부재(210)는 하측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측단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재(220)의 상측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비상시 누름이 가능한 그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재(220)의 상측단에는 버튼부재(210)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대경부(220a)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단에는 대경부(220a)에서 직경이 축소 형성되어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소경부(220b)가 구비되어 있으며, 소경부(220b)의 외주면에는 장착대상과 나사결합이 될 수 있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부재(230)는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버튼부재(210)와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버튼부재(210)의 회전시 버튼부재(21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우징부재(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위치작동부재(240)는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샤프트부재(230)와 함께 축방향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원스위치부를 지지하여 전원을 개폐하도록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버튼부재(210)의 상측단 내주면과 샤프트부재(230)의 상측단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260)가 구비되어 버튼부재(210)를 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버튼부재(210)에 미세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고 원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부재(210)의 상측단 내주면에는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211)가 구비되어 샤프트부재(23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샤프트부재(230)의 상측단에는 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플랜지(230a)가 형성되고 이 지지플랜지(230a)에는 버튼부재(210)의 지지돌기(211)가 관통 결합되는 지지홀(231)이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의 지지돌기(211)가 지지홀(231)에 지지되며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1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들에서는 일례로 지지돌기(211)가 4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가 함께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그 갯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돌기(211)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경방향돌기(211a)가 구비되어 있고, 지지홀(231)에도 경방향돌기(211a)와 대응되는 경방향수용홀(231a)이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조립성을 위해 지지홀(231)과의 간극이 있더라도 버튼부재(210)의 회전력이 경방향돌기(211a)와 경방향수용홀(231a)에 의해 샤프트부재(23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튼부재(210)의 상측단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누름돌기(213)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누름돌기(213)가 지지플랜지(230a)를 축방향 하측으로 지지하면서 샤프트부재(230)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돌기(213)와 지지플랜지(230a) 사이가 소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되어 있어서 비상시가 아닌 상황에서 버튼부재(210)에 미세한 힘이 전달되더라도 버튼부재(210)만 제1탄성부재(260)를 압축시키며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부재(230)의 슬라이딩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치작동부재(240)는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삽통부(240a)와 삽통부(240a)의 하측단에서 직경이 확대 형성되어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 지지되는 확경부(240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삽통부(240a)의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41)가 구비되고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는 삽입돌기(241)가 삽입되는 삽입홀(233)이 구비되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삽통부(240a)의 외주면에는 확경부(240b)까지 축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삽통부돌기(245)가 구비되어 있고 샤프트부재(230)의 하측단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샤프트슬릿(23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작동부재(240)를 샤프트부재(230)에 조립시 삽통부돌기(245)가 샤프트슬릿(235)을 따라 삽입되면서 삽입돌기(241)가 삽입홀(233)에 결합됨으로써 축방향과 원주방향의 결합력이 좋아짐과 더불어 조립성이 좋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220)의 소경부(220b) 하측단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하우징슬릿(223)이 구비되어 있고, 스위치작동부재(240)의 확경부(240b) 외주면에는 하우징슬릿(223)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경방향으로 돌출된 확경부돌기(243)가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누름후 원위치로 복귀될 때 더 이상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하우징부재(220)의 대경부(220a) 내측에는,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샤프트부재(230)와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어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회전이동과 축방향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2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270)는 회전이동과 축방향이동을 탄성지지해야 하므로 토션스프링의 기능과 압축인장스프링의 기능을 같이 수행하도록 제2탄성부재(270)의 일측단은 샤프트부재(230)의 샤프트걸림홈(23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하우징부재(220)의 하우징걸림홈(222)에 고정된다.
따라서,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제2탄성부재(270)가 압축되면서 복원탄성력이 발생되고 이 후 해제를 위해 버튼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제2탄성부재(270)에 토션하중이 걸리면서 회전복원력도 발생되며, 버튼부재(210)를 놓아 버튼부재(210)에 가하던 힘이 제거되면 축방향의 슬라이딩 복원과 함께 원주방향의 회전 복원도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샤프트부재(230)에는 중심축에서 경방향 양측으로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237)가 구비되어 있고, 실린더부(237)에는 경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280)가 삽입되어 내장되며, 제3탄성부재(280)의 양단에 각각 하우징부재(22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5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3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50)가 하우징부재(220)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50)는 경방향의 내측단부에 제3탄성부재(280)가 삽입되는 수용홈(2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립시 제3탄성부재(280)가 양측 지지부재(250)의 수용홈(251)에 삽입되어 양측 지지부재(250)가 제3탄성부재(280)를 압축시키며 실린더부(237)에 조립됨으로써 경방향의 외측으로 탄성력이 발생되게 되어 있다.
아울러 버튼부재(210)를 누르지 않은 일반 상태에서의 지지부재(250)와 인접된 하우징부재(220)의 내주면(220c)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225)가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지지부재(250)가 제3탄성부재(280)를 압축하면서 경방향으로 수축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가이드부(225)의 상측단과 하우징부재(220)의 내주면(220c)이 연결되는 단턱 부위에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사부(227)가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의 누름시 지지부재(250)가 경사부(227)를 따라 보다 용이하게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25)의 하측단과 하우징부재(220)의 내주면(220c)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단턱지게 직각으로 형성되는 제1단턱부(225a)가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50)의 축방향 상측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비상시 버튼부재(210)를 누를때,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제 비상 상황처럼 일정 이상의 큰 누름력으로 누르는 경우에 지지부재(250)가 경사부(227)를 따라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된 후에는 제1단턱부(225a)로 인해 복귀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25)에는 지지부재(250)의 원주방향 양측에 위치되도록 경사부(227)의 양측 끝단에서 가이드부(225)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의 상측으로 연장 되어 지지부재(25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단턱부(225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부재(21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단턱부(225b)가 지지부재(250)의 원주방향 양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225)의 하측단에는 원주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하우징부재(220)의 내주면에서 점진적으로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25e)가 구비된다.
따라서, 비상 상황이 종료되어 해제를 위해 버튼부재(210)를 회전시키면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지지부재(250)가 제1가이드부(225e)를 따라 원주방향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25)의 하측단에는 제1가이드부(225e)와 반대쪽인 원주방향 타측에 축방향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단턱부(225c)가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50)가 원주방향의 일측인 제1가이드부(225e)로만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원주방향 타측으로의 회전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부재(230)에는 실린더부(237)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3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25)에는 제3단턱부(225c)의 원주방향 타측에 제4단턱부(225d)가 구비되어 있어서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회전시 지지부재(250)가 제1가이드부(225e)를 따라 원주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가이드돌기(239)가 제4단턱부(225d)에 지지되면서 회전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이드부(225)에는 제4단턱부(225d)의 상측단에서 축방향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원주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아크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25f)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시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회전 복귀 이동이 이루어질때 가이드돌기(239)가 제2가이드부(225f)를 따라서 이동되어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가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1가이드부(225e)의 원주방향 일측 끝단에는 가이드부(225)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제2단턱부(225b)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225g)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버튼부재(210)와 샤프트부재(230)의 회전 복귀 이동시 지지부재(250)가 제3가이드부(225g)를 따라서 제2단턱부(225b)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 이동이 제한되면서 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해제 및 재가동시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산업 전반 시설에 설치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비상 정지 동작과 해제 및 재가동시키는 구조가 간단해져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 및 조립공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210: 버튼부재
211: 지지돌기 213: 누름돌기
220: 하우징부재 223: 하우징슬릿
230: 샤프트부재 233: 삽입홀
235: 샤프트슬릿 237: 실린더부
239: 가이드돌기 240: 스위치작동부재
241: 삽입돌기 243: 확경부돌기
245: 삽통부돌기 250: 지지부재

Claims (22)

  1. 버튼부재;
    상측단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대경부가 구비되고 하측단에는 상기 대경부에서 직경이 축소 형성되어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시 상기 버튼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시 상기 샤프트부재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전원스위치부를 지지하여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작동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 삽입되는 삽통부와 상기 삽통부의 하측단에서 직경이 확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이 지지되는 확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확경부까지 축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삽통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샤프트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상측단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측단 사이에는 상기 버튼부재를 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상측단 내주면에는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측단에는 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랜지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관통 결합되는 지지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지지돌기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경방향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홀에도 상기 경방향돌기와 대응되는 경방향수용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상측단 내주면에는 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시 상기 누름돌기가 상기 지지플랜지를 축방향 하측으로 지지하며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부의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소경부 하측단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하우징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작동부재의 확경부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슬릿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경방향으로 돌출된 확경부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대경부 내측에는,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상기 샤프트부재와 하우징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재와 샤프트부재의 회전이동과 축방향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에는 중심축에서 경방향 양측으로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경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3탄성부재의 양단에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경방향의 내측단부에 상기 제3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부재와 인접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3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경방향으로 수축 이동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단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단과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1단턱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축방향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원주방향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의 상측으로 연장 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단턱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단에는 원주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에서 점진적으로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와 샤프트부재의 회전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원주방향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반대쪽인 원주방향 타측에 축방향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단턱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원주방향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에는 상기 실린더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3단턱부의 원주방향 타측에 제4단턱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와 샤프트부재의 회전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원주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4단턱부에 지지되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4단턱부의 상측단에서 축방향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원주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아크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와 샤프트부재의 회전 복귀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의 원주방향 일측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단턱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와 샤프트부재의 회전 복귀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3가이드부를 따라서 상기 제2단턱부 사이로 삽입되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KR1020170058013A 2017-05-10 2017-05-10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KR101927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13A KR101927839B1 (ko) 2017-05-10 2017-05-10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13A KR101927839B1 (ko) 2017-05-10 2017-05-10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19A KR20180123819A (ko) 2018-11-20
KR101927839B1 true KR101927839B1 (ko) 2018-12-12

Family

ID=6456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013A KR101927839B1 (ko) 2017-05-10 2017-05-10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49B1 (ko) * 2020-02-28 2021-05-26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비상 스위치
KR200495726Y1 (ko) * 2021-02-22 2022-08-03 주식회사 미아금속 잠금장치의 걸림쇠 수용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140A1 (ja) * 2013-02-04 2014-08-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140A1 (ja) * 2013-02-04 2014-08-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19A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39B1 (ko) 비상 누름버튼 스위치
JP4551591B2 (ja) 構造部品連結装置
US8552325B2 (en) Click mechanism for electric part
JPH07208425A (ja) バネ式プレスピン
US20150265110A1 (en) Vertica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US4175222A (en) Pushbutton switch
EP2273521A1 (en) Fuse block with integral door sensing rotary disconnect
KR20190004339A (ko) 푸시 리프터
TW201819780A (zh) 面板安裝緊固件
JP2016218283A (ja) 三脚
US6972387B2 (en) Padlockable push-button
JP200517849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20515370A (ja) ダンス練習ポール用の端部アセンブリ
CN107019453B (zh) 用于按钮式卫浴装置的传动调节组件及按钮式淋浴装置
JP7042136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2010033797A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KR20180002649U (ko) 전기 콘센트의 판스프링 체결구조
KR101482744B1 (ko) 당김회전식 로터리 스위치
JP6639045B2 (ja) 巻線装置用ワーク支持具
JP6605560B2 (ja) 複合操作スイッチ並びにこの複合操作スイッチを用いた操作盤
JP4255274B2 (ja) 管継手
US3971908A (en) Snap-in arrangement for mounting devices in a support panel aperture
GB2410526A (en) Thermostatic valve top part housing
JPWO2019049220A1 (ja) 逆入力ロッククラッチ
CN113040648B (zh) 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