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838B1 -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838B1
KR101927838B1 KR1020180085841A KR20180085841A KR101927838B1 KR 101927838 B1 KR101927838 B1 KR 101927838B1 KR 1020180085841 A KR1020180085841 A KR 1020180085841A KR 20180085841 A KR20180085841 A KR 20180085841A KR 101927838 B1 KR101927838 B1 KR 10192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drum
ai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원
신만호
Original Assignee
이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원 filed Critical 이경원
Priority to KR102018008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드럼의 외부를 감싸서 고온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는 히팅드럼을 형성하는 슬러지 건조부; 및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건조드럼 내부의 진공조건을 형성하고, 배기시킨 공기를 압축 및 가열시켜 고온의 압축공기를 히팅드럼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폐수슬러지를 체계적으로 신속 처리할 수 있는 반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여 대량의 폐수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터보블로워를 이용해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동시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히팅드럼 내부를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습기배출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Drying System in Sludge}
본 발명은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투입하는 건조드럼의 외면을 건조열을 투입하는 히팅드럼으로 감싸는 2중관형태의 슬러지 건조부를 통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수슬러지를 가열 및 교반, 진공 배습하는 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완전 건조 처리하도록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각종 산업 슬러지 또는 하수 슬러지는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또는 소각로를 통하여 소각처리를 수행할 경우, 슬러지의 매립에 의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침출수의 누출로 인한 2차 오염으로 인하여 법적으로 규제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슬러지의 소각 처리시 막대한 소각 연료의 소비가 가중됨은 물론, 슬러지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대기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슬러지를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시켜, 건조된 슬러지를 연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의 효과적인 탈수가 불가능함은 물론, 슬러지의 건조시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하게 되어 이를 채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슬러지의 발생원으로부터 슬러지내 수분의 함량을 줄이면서,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효율을 높이는 슬러지 건조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6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러지를 투입하는 건조드럼의 외면을 건조열을 투입하는 히팅드럼으로 감싸는 2중관형태의 슬러지건조부를 통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수슬러지를 가열 및 교반, 진공 배습하는 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완전 건조 처리하도록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드럼의 외부를 감싸서 고온의 건조공기가 공급되는 히팅드럼을 형성하는 슬러지 건조부; 및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건조드럼 내부의 진공조건을 형성하고, 배기시킨 공기를 압축 및 가열시켜 고온의 압축공기를 히팅드럼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건조부는,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팅드럼; 상기 히팅드럼을 관통하여 건조드럼으로 연결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도록 하는 슬러지투입구; 상기 건조드럼 내에 투입된 폐수슬러지가 건조과정에서 고르게 뒤섞여 지도록 하는 슬러지 교반부; 상기 건조드럼으로부터 히팅드럼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건조드럼 내의 습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구; 상기 건조드럼으로부터 히팅드럼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슬러지배출구; 상기 히팅드럼의 일측에 고온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히팅공기투입구; 및 상기 히팅드럼에 투입된 고온 압축공기가 폐수슬러지 건조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폐열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는, 흡기측이 슬러지건조부의 습기배출라인과 연결되며, 배기측이 슬러지건조부의 히팅공기투입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건조드럼 내부의 진공조건을 형성하고, 배기시킨 공기를 압축 및 가열시켜 고온의 압축공기를 히팅드럼으로 공급하는 터보블로워; 습기배출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기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친 배기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균압화하여 터보블로워에 공급되도록 하는 균압처리부; 및 상기 균압처리부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슬러지를 투입하는 건조드럼의 외면을 건조열을 투입하는 히팅드럼으로 감싸는 2중관형태의 슬러지 건조부를 통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수슬러지를 가열 및 교반, 진공 배습하는 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건조 처리하는 것으로써, 폐수슬러지를 체계적으로 신속 처리할 수 있는 반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여 대량의 폐수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터보블로워를 이용해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동시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 내부를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습기배출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압축할 때 발생되는 압축열을 슬러지 건조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가열설비(전기히터 또는 보일러 설비)를 별도로 갖추지 않고도 습기배기와 열원 공급의 2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설비비용 절감 및 공간 활용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건조드럼 내의 가열된 배습공기를 압축시켜 건조열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에 사용되고 난 공기를 폐열배출구를 통해 배출함에 있어, 보조 산소공급라인을 연결하여 폐수처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미생물 활동에 적합한 온도의 열원과 산소를 제공하여 신속한 폐수처리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부의 교반날개 설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압처리부와 외부공기 공급라인 상에 압력밸브를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은 폐수처리장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은 크게 슬러지 건조부(100)와, 열풍공급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러지 건조부(100)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수슬러지가 투입되어 가열 및 교반, 배습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완전 건조 처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러지 건조부(100)는 열풍공급부(200)와 연결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부(200)는 슬러지 건조부(100)에 공급된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동시에 배출된 공기를 고온 압축시켜 폐수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열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건조부(100)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의 폐열공기는 버려지지 않고, 폐수처리장(300)으로 공급하여 폐수처리에 필요한 산소공급원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슬러지 건조부(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러지 건조부(100)는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110)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드럼(110)은 원통형 구조로서 원통중심축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히팅드럼(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히팅드럼(120)과 건조드럼(110) 사이는 적정거리를 유지하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2중관 형태로 제작되며, 히팅드럼(120)과 건조드럼(110)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고온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건조드럼(110) 내부의 폐수슬러지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 내부로 폐수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한 슬러지투입구(130)를 형성하는데, 상기 슬러지투입구(130)는 히팅드럼(120)을 관통하여 건조드럼(110)으로 연결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러지투입구(130)에는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에는 슬러지 교반부(140)를 설치하여 상기 건조드럼(110) 내에 투입된 폐수슬러지가 건조과정에서 고르게 뒤섞여 지도록 교반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에는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습기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습기배출구(150)는 히팅드럼(120)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습기배출구(150)에는 건조드럼(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의 하부에는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슬러지배출구(160)를 형성한다. 상기 건조슬러지배출구(160)는 상기 건조드럼(110)으로부터 히팅드럼(120)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히팅드럼(120)의 일측에는 고온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히팅공기투입구(1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팅공기투입구(170)에는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드럼(120)의 타측에는 투입된 고온 압축공기가 폐수슬러지 건조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폐열배출구(18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폐열배출구(180)에는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공기투입구(170)로부터 폐열배출구(180) 사이 구간에는 고온압축공기가 히팅드럼(120)과 건조드럼(110) 사이 공간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회전유로가이드(19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유로가이드(190)는 히팅공기투입구(170)로부터 폐열배출구(180)까지의 고온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최대한 연장시킴으로써, 공급열원이 폐수슬러지를 건조하는 열에너지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슬러지 건조부(100)에 설치되는 슬러지 교반부(1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건조드럼(1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4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41) 상에는 복수의 교반날개(142)가 설치된다. 상기 교반날개(142)는 회전축(141)과 함께 회전되면서 폐수슬러지를 뒤섞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42)는 기본적으로 슬러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뒤섞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42)의 형상을 선풍기날개나 스크류 형상(이하 스크류 형상이라 칭함.)으로 제작할 경우, 건조드럼(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역할과 원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폐수슬러지를 원주방향과 축방향으로 동시에 유동시켜 뒤섞이도록 함으로써, 폐수슬러지의 균일하고 빠른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폐수슬러지가 원심력에 의해 건조드럼(110)의 어느 일측방향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교반날개(142)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스크류형상의 교반날개(142)는 접촉 대상물(슬러지)을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의 방향성을 갖고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향성은 교반날개(142)의 회전축 설치방향에 따라 반전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스크류형상의 교반날개(142)를 상호 대향되도록 축 설치하는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교반날개(142)에 의한 슬러지의 진행방향은 서로 상반된 진행방향을 갖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부의 교반날개 설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141) 중심에 슬러지를 건조드럼(110)의 중심에서 좌우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교반날개(142)를 상반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건조드럼(110)의 양측단부 회전축(141) 상에는 바깥쪽으로 밀려난 슬러지를 건조드럼(110)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교반날개(142)를 축중심에 설치된 각각의 교반날개(142)와 상반되도록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드럼(110)의 양측단부에는 회전축지지부(143)가 설치되어 회전축(141)의 양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지지부(143)는 히팅드럼(120) 외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회전축(141) 양측단부를 축베어링을 이용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중지지와 함께 회전마찰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구동부(144)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축구동부(144)는 회전축(141) 어느 일단에 풀리 또는 스프로킷 기어 등을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벨트 또는 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회전축(141)을 구동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열풍공급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열풍공급부(200)는 터보블로워(210)를 주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터보블로워(210)는 공기를 흡기시켜 고압으로 압축함으로써, 압축열에 의한 고온의 압축공기를 형성하여 이를 슬러지 건조부(100)의 히팅드럼(1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터보블로워(210)는 흡기측이 슬러지 건조부(100)의 습기배출라인(L1)과 연결되며, 배기측이 슬러지 건조부(100)의 히팅공기투입라인(L2)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드럼(110)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건조드럼(110) 내부의 진공조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흡입압은 720mmHg 이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공기는 압축가열과정을 통해 고온의 압축공기를 형성한 후, 히팅드럼(120)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보블로워(210) 전단의 습기배출라인(L1) 상에는 배기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20)를 거친 배기 공기는 균압처리부(230)를 거쳐서 터보블로워(210)에 공급되는데, 상기 균압처리부(230)는 터보블로워(210)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공기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밀폐된 공간인 건조드럼(110) 내부의 공기량은 배기과정에서 급속도로 감소하게 되며, 이는 터보블로워(210)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기유량의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다시 말해 터보블로워(210)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없다면 터보블로워(210)를 통해 생산되는 고온압축공기를 만들어 낼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슬러지 건조부(100)에 건조 열원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히팅드럼(120) 내의 배기공기 외에 상기 균압처리부(230)에 외부공기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외부공기공급부(240)를 더 형성하여 터보블로워(210)에 안정적인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공기공급부(240)는 별도의 공기 흡입펌프(241)를 통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라인에 압력제어밸브(24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펌프(241) 및 압력제어밸브(242)는 균압처리부(230) 내의 공기압에 연동하여 설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흡입유량 및 유속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보블로워(210)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압축공기는 170도 이상의 고온 상태의 열원을 제공하게 되며, 이 열원은 슬러지 건조부(100)의 히팅공기투입구(170)를 통해 히팅드럼(120)으로 공급되어 회전유로가이드(190)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드럼(110) 내부를 가열시켜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된다.
슬러지 건조에 사용되고 난 공기는 폐열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폐열배출구(180)의 말단에는 폐수처리장(300)으로 연결되는 보조 산소공급라인(L4)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산소공급라인(L4)을 통해 폐수처리장(300)에 보내진 공기는 산소를 공급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산소공급라인(L4)을 통해 공급되는 폐열 공기는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처리장(300)에 직접 산소를 공급하는 메인 산소공급라인(L3)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보조 산소공급라인(L4)을 상기 메인 산소공급라인(L3)과 연결하여 폐수처리장(300)의 정화작업에 필요한 보조산소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슬러지를 투입하는 건조드럼의 외면을 건조열을 투입하는 히팅드럼으로 감싸는 2중관형태의 슬러지 건조부를 통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수슬러지를 가열 및 교반, 진공 배습하는 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건조 처리하는 것으로써, 폐수슬러지를 체계적으로 신속 처리할 수 있는 반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여 대량의 폐수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터보블로워를 이용해 폐수슬러지에 포함된 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동시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 내부를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습기배출 및 빠른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공기를 압축할 때 발생되는 압축열을 슬러지 건조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가열설비(전기히터 또는 보일러 설비)를 별도로 갖추지 않고도 습기배기와 열원 공급의 2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설비비용 절감 및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고, 일부 히팅드럼 내의 가열된 배습공기를 압축시켜 건조열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며, 슬러지 건조에 사용되고 난 공기를 폐열배출구를 통해 배출함에 있어, 보조 산소공급라인을 연결하여 폐수처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미생물 활동에 적합한 온도의 열원과 산소를 제공하여 신속한 폐수처리 과정이 진행되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슬러지 건조부 110: 건조드럼
120: 히팅드럼 130: 슬러지투입구
140: 슬러지 교반부 141: 회전축
142: 교반날개 143: 회전축지지부
144: 회전축구동부
150: 습기배출구 160: 건조슬러지배출구
170: 히팅공기투입구 180: 폐열배출구
190: 회전유로가이드
200: 열풍공급부 210: 터보블로워
220: 필터부 230: 균압처리부
241: 흡입펌프 242: 압력제어밸브
240: 외부공기공급부 300: 폐수처리장
L1: 습기배출라인 L2: 히팅공기투입라인
L3: 메인 산소공급라인 L4: 보조 산소공급라인

Claims (6)

  1.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는 건조드럼(110);
    상기 건조드럼(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팅드럼(120);
    상기 히팅드럼(120)을 관통하여 건조드럼(110)으로 연결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폐수슬러지가 투입되도록 하는 슬러지투입구(130);
    상기 건조드럼(110) 내에 투입된 폐수슬러지가 건조과정에서 고르게 뒤섞여 지도록 하는 슬러지 교반부(140);
    상기 건조드럼(110)으로부터 히팅드럼(120)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건조드럼(110) 내의 습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구(150);
    상기 건조드럼(110)으로부터 히팅드럼(120)을 관통하는 관로를 형성하여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슬러지배출구(160);
    상기 히팅드럼(120)의 일측에 고온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히팅공기투입구(170); 및
    상기 히팅드럼(120)에 투입된 고온 압축공기가 폐수슬러지 건조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폐열배출구(180);를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부(100);
    흡기측이 슬러지건조부(100)의 습기배출라인(L1)과 연결되며, 배기측이 슬러지건조부(100)의 히팅공기투입라인(L2)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드럼(110)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건조드럼(110) 내부의 진공조건을 형성하고, 배기시킨 공기를 압축 및 가열시켜 고온의 압축공기를 히팅드럼(120)으로 공급하는 터보블로워(210);
    습기배출라인(L1) 상에 설치되어 배기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부(220);
    상기 필터부(220)를 거친 배기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균압화하여 터보블로워(210)에 공급되도록 하는 균압처리부(230); 및
    상기 균압처리부(230)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부(240);를 포함하는 열풍공급부(200)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공기투입구(170)로부터 폐열배출구(180) 사이 구간에 고온압축공기가 히팅드럼(120)과 건조드럼(110) 사이 공간을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회전유로가이드(19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교반부(140)는,
    건조드럼(1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41);
    상기 회전축(141) 상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교반날개(142);
    상기 건조드럼(110)의 양측단부에 회전축(141)의 양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하는 회전축지지부(143); 및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구동부(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배출구(180)의 말단에 폐수처리장(300)으로 공급하는 메인 산소공급라인(L3)과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 산소공급라인(L4)을 형성하여 폐열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되는 히팅공기를 폐수처리장(300)의 정화작업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20180085841A 2018-07-24 2018-07-24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192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41A KR101927838B1 (ko) 2018-07-24 2018-07-24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41A KR101927838B1 (ko) 2018-07-24 2018-07-24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838B1 true KR101927838B1 (ko) 2018-12-11

Family

ID=6467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41A KR101927838B1 (ko) 2018-07-24 2018-07-24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656A (zh) * 2019-07-26 2019-09-27 鹤山市德柏纸袋包装品有限公司 一种污泥烘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983B1 (ko) * 2015-06-08 2017-10-24 최현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983B1 (ko) * 2015-06-08 2017-10-24 최현수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656A (zh) * 2019-07-26 2019-09-27 鹤山市德柏纸袋包装品有限公司 一种污泥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07305A (zh) 双加热滚筒式物料烘干机
KR101927838B1 (ko) 폐수슬러지 건조시스템
CN109626787A (zh) 一种污泥干化处理装置
CZ2007475A3 (cs) Zarízení k sušení sypkých a kašovitých materiálu a kalu
KR100312137B1 (ko) 열분해식 폐기물 자동 소각장치
KR20180055947A (ko) 건조효율 향상기능을 갖는 가축 분 건조장치
CN103075873B (zh) 固体废料处理设备及固体废料处理方法
KR101167012B1 (ko)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JP4019187B2 (ja) 発酵或いは乾燥処理機に於ける撹拌移送装置
KR101860353B1 (ko) 컴팩트형 분체물 건조장치
CN202164220U (zh) 污泥干化设备
KR101351279B1 (ko) 슬러지 이송건조장치
KR2016006807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67018B1 (ko)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KR100809459B1 (ko) 건조된 유기성 페기물의 탄화처리장치
KR101325221B1 (ko)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건조장치
JP2018030106A (ja) 汚泥の処理設備
KR101884416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9990080552A (ko) 발효장치
KR200172532Y1 (ko) 가축분뇨의 건조처리장치
CN201021868Y (zh) 莲子自动烘烤装置
JP4155789B2 (ja) 汚泥乾燥装置
KR102346958B1 (ko) 고함수율 슬러지 건조용 열풍분사장치
JP2002177928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0239820B1 (ko) 고속건조나 고속발효 건조기에 있어서 내용물의 혼합 분쇄 방법 및 그 건조 또는 발효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