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57B1 - 불용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불용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57B1
KR101927757B1 KR1020180138718A KR20180138718A KR101927757B1 KR 101927757 B1 KR101927757 B1 KR 101927757B1 KR 1020180138718 A KR1020180138718 A KR 1020180138718A KR 20180138718 A KR20180138718 A KR 20180138718A KR 101927757 B1 KR101927757 B1 KR 10192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nit
insoluble material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녹
Priority to KR102018013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5Scrapers
    • B08B1/16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Abstract

본 발명은 불용재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양측벽 상부에 랙기어(112)가 형성된 탱크(110); 상부에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될 수 있는 피니언(126)이 구비된 것으로 하부에 상기 탱크(110)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메쉬망 형태의 수거부재를 통해 도금시 발생하는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120); 상기 탱크(110) 내의 불용재를 취합한 수거부(120)를 상기 탱크(110)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인출부(130);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불용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120)는 상기 탱크(110) 내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재(121); 및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측에 상기 탱크(110)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된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피니언(126)이 구비된 운반유닛(1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부재(121)는 "ㄷ"자 형상으로 후면과 측면 양측을 가릴 수 있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받침편(122)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받침편(122)에는 상기 수거부(120)의 이동시에 상기 탱크(110)의 바닥면에 불규칙적인 물리적 임팩트를 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타격유닛(123)이 마련되고, 상기 운반유닛(124)은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인출부(13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는 구속홈(125a)이 마련된 고정판(125)과, 상기 고정판(125)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니언(126) 및 상기 복수개의 피니언(126)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 상부로 들어올려진 수거부(120)의 받침편(1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송유닛(150); 및 일측이 상기 기둥부(11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배출유닛(160)으로 이루어진 불용재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불용재 제거장치{industrial waste disposal equipment}
본 발명은 탱크 내에 발생하는 불용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도금시 탱크 내에 발생하는 알갱이 형태의 불용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불용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 철강의 소비는 그 등락을 거듭하면서도 그 수요의 다양성과 품질의 다변화를 통해 대세 증가의 추세에 있다.
그 중에서도 아연 도금 강판이나, 아연 도금 파이프 등의 아연 도금 강제는 고가 및 고품질의 제품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국제철강협회(IISI) 자료에 따르면 세계 아연도금강판 및 코일 생산량은 연간 1억톤을 약간 상회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아시아의 생산량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 생산량의 나머지 대부분은 유럽과 미국이 거의 양분되어 있다. 미국은 최근에 최대 생산량을 기록했으며, 몇 년 전만해도 전무했던 중국은 생산량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일본을 제치고 2위 자리로 올라서고 있다.
이러한 아연 도금 제품의 공정 중 가장 중요한 메인 공정에 해당하는 것은 단연 아연 도금 공정이다.
아연 도금의 공정은 이온화된 아연이 속한 액체 속에 도금 대상 제품을 장입한 후, 일정 전류의 흐름을 통해 대상 제품에 아연이 산화 환원의 반응을 통해 도금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아연 도금 공정에 사용되는 아연 도금조는 아연 도금 공정 후 발생되는 불용재, 즉 다양한 불순물을 포함한 고체 덩어리가 잔존하게 되며, 이러한 불용재는 도금조에 부착되어 결함을 발생시키는 등 도금층 또는 도금표면에 부착되어 제품의 결함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줄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예컨대,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바텀 드로스 제거장치(등록번호 제10-153292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에 탈착하는 바텀 드로스(불용재) 제거부재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에 탈착하는 바텀 드로스 측정부재를 포함하되, 바텀 드로스 제거부재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하되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한 쌍의 버켓과, 버켓의 상부를 동시에 연결한 중심축과 결합하여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나선축과, 본체의 내측에 형성하여 나선축과 나선결합하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바텀 드로스 측정부재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공을 구비하는 몸체와, 이동공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대와, 측정대의 하부에 형성하는 중량체와,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측정대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센서로 이루어지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바텀 드로스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또 다른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드로스 덤핑장치(등록번호 제10-1842968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전후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일측에 설치하여 드로스(불용재)를 집은 상태에서 드로스를 가압하여 용융아연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버켓부재, 이동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버켓부재가 도금욕조의 탕면으로 진입할 때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댐을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드로스 덤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들 장치들에서는 도금조에 생성된 불용제의 제거를 위한 기술적 사상만을 개시하고 있는 기술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기존의 장치들에 의하면, 한 쌍의 버켓을 이용하여 도금조 내의 불용재를 제거하는 기술들로서, 한 쌍의 버켓을 오므리는 형태로 불용재를 포집한 후 이를 도금조 외부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의 불용재를 제거하기 위해선 버켓을 작동시키는 횟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불용재 제거 작업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과 제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불용재 제거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등록번호 제10-1532924호 등록번호 제10-1842968호
본 발명에 따른 뷸용재 제거장치는 아연 도금시 탱크 내에 발생하는 불용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용재 제거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존 버켓 형태의 불용재 제거장치가 닿지 않는 도금조 내의 모서리부분에 잔류하는 불용재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불용재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불용재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양측벽 상부에 랙기어가 형성된 탱크; 상부에 상기 랙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피니언이 구비된 것으로 하부에 상기 탱크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메쉬망 형태의 수거부재를 통해 도금시 발생하는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 상기 탱크 내의 불용재를 취합한 수거부를 상기 탱크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의해 탱크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불용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탱크 내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재; 및 상기 수거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측에 상기 탱크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된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구비된 운반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후면과 측면 양측을 가릴 수 있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받침편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받침편에는 상기 수거부의 이동시에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불규칙적인 물리적 임팩트를 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타격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수거부재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인출부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는 구속홈이 마련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니언 및 상기 복수개의 피니언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인출부에 의해 탱크 상부로 들어올려진 수거부의 받침편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송유닛; 및 일측이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부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배출유닛으로 이루어진 불용재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는 탱크(도금조)의 일측 끝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불용재를 취합한 후, 취합된 불용재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한번의 작동으로 탱크 내의 불용재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기존 불용재 제거장치가 닿지 않는 모서리 부분에 잔류하는 불용재까지 한번에 제거할 수 있는 등 불용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거부가 이동된 상태에서 인출부에 의해 수거부를 탱크 상부로 들어올린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의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배출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는 아연 도금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용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불용재 제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불용재 제거장치는 내부에 용융된 아연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가지며, 양측벽 상부에 랙기어(112)가 형성된 탱크(110)와, 상부에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될 수 있게 피니언(126)이 구비된 것으로 하부에 상기 탱크(110)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메쉬망 형태의 수거부재를 통해 도금시 발생하는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120)와, 상기 탱크(110) 내의 불용재를 취합한 수거부(120)를 상기 탱크(110)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인출부(130)와,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불용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직사각 형태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탱크(110)의 수평방향 양 측벽 상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랙기어(112)가 끝나는 탱크(110)의 일측벽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130) 및 배출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배출할 수 있게 배출공(114a)이 형성될 수 있다.
탱크(110)의 수용공간 내에는 용융 아연이 채워질 수 있다. 즉, 아연도금을 위해 탱크(110) 내에 용융 아연이 채워지며 도금의 종류에 따라 채워지는 내용물이 달라질 수 있다.
탱크(110) 내에는 아연 도금시 발생하는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는 수거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수거부(120)는 상기 탱크(110) 내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게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거부재(121)와,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측에 상기 탱크(110)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된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피니언(126)이 구비된 운반유닛(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거부재(1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매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탱크(110) 내의 용융된 아연은 통과하고 불용재는 수거부재(121)에 걸려 통과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거부재(12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과 측면 양측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받침편(122)이 구비될 수 있다. 받침편(122)은 수거부재(121)에 의해 걸러지는 불용재를 하부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편(122)에는 복수개의 타격유닛(123)이 마련된다. 타격유닛(123)은 받침편(122)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인데, 상기 수거부재(121)가 후술하는 운반유닛(124)에 의해 탱크(110)를 따라 이동 중에 탱크(110)의 바닥면에 불규칙적인 물리적 임팩트를 가한다.
복수개의 타격유닛(123)은 이러한 강한 임팩트의 순차적인 힘으로 탱크(110)의 바닥에 부착된 상대적으로 큰 덩어리의 불용재를 일시에 탈거시키도록 한다.
수거부재(121)의 상부에는 운반유닛(124)이 마련된다.
운반유닛(124)은 상기 수거부재(121)를 탱크(110)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125)과, 상기 고정판(125)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니언(126) 및 상기 복수개의 피니언(126)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고정판(125)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25)을 관통하도록 회전축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에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피니언(126)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모터(127)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126)이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11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인출부(130)는 랙기어(112)를 따라 탱크(110)의 일측벽으로 이동된 수거부(120)를 승강시켜 수거부(120)에 의해 걸러진 불용재를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인출부(130)는 상기 탱크(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기둥부(114)에 설치될 수 있다.
인출부(1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부(114)의 일측면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부(13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14)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132)와, 상기 실린더(13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126)을 연결하는 회전축(129)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편(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반유닛(124)의 피니언(126)이 회전하면서 상기 탱크(110)에 형성된 랙기어(112)를 따라 수거부(120)가 이동되면 수거부(120)가 탱크(110) 내의 불용재를 한 곳으로 취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거부(120)가 일방향으로 이동시 인출부(130)의 로드가 신장되면서 승강편(134)이 피니언(126)이 설치된 고정판(125)의 하부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부(130)가 구동되어 승강편(134)이 운반유닛(124)의 고정판(125)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피니언(126)이 회전되면서 승강편 상부에 고정판(125)이 위치되면 인출부(130)가 구동되면서 로드의 길이가 축소되어 수거부(120)를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25)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편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경우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승강편(13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구속홈(125a)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수거부(120)에서 불용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 상부로 들어올려진 수거부(120)의 받침편(1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송유닛(150)과, 일측이 상기 기둥부(11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배출유닛(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150)은 상기 기둥부(114)의 배출공(114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판(152)과, 상기 기둥부(114)의 배출공(114a)에 설치되어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이송판(152)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이송기어(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판(152)은 상기 기둥부(114)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의 가이드돌기(1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153)와 가이드돌기(153) 사이에는 랙기어(1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판(152)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기어(154)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14)의 배출공(114a) 상면에 상기 이송판(152)의 랙기어(151)와 치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판(152)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53)는 배출공(114a)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5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수거부(120)가 탱크(110)의 상부에 위치되면 이송유닛(150)의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이송기어(154)가 회전되고, 이와 치합된 이송판(152)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받침편(122)의 하부에 위치되어 불용재를 받쳐줄 수 있다.
복수개의 배출유닛(160)은 각각 상기 기둥부(11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배출공(114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부(114)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바(161)와, 상기 지지바(161)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배출실린더(163)와, 상기 지지바(161)에 대해 상기 배출실린더(16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엑츄에이터(164)와, 상기 배출실린더(163)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불용재를 긁어 낼 수 있도록 한 스크래퍼(1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바(161)는 상기 기둥부(114)의 후면에 복수개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161)의 말단에는 배출실린더(163)가 연결바(16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출실린더(163)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으로 로드의 말단에는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긁어 낼 수 있는 스크래퍼(165)가 설치되어 있다.
엑츄에이터(164)는 상기 지지바(161)에 대해 상기 배출실린더(163)를 회동시킬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단은 상기 지지바(1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16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면서 상기 연결바(162)를 지지바(161)에 대해 회동시켜 배출실린더(163)가 도면에서와 같이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출실린더(163)의 로드 말단에 설치되는 스크래퍼(165)는 상기 수거부(120)에서 이송판(152)으로 불용재를 긁어낼 수 있게 복수개의 발(165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는 초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10) 내에 수거부(120)가 위치되어 있으며, 배출부(140)는 기둥부(114)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탱크(110) 내에 불용재가 발생되면 수거부(120)의 모터(127)가 구동되어 피니언(126)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랙기어(112)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즉, 수거부(120)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탱크(110) 내의 불용재를 취합하게 된다.
이때, 인출부(130)는 실린더(132)의 구동에 의해 승강편(134)이 운반유닛(124)의 고정판(125) 하측에 위치된 상태이며 피니언(126)의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승강편(134)의 상측으로 고정판(125)이 위치되게 된다.
이후, 승강편(134)의 상측으로 수거부(120)가 이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130)의 실린더(132)가 구동되면서 수거부(120)를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승강편(134)은 고정판(125)에 형성된 구속홈(125a)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거부(120)를 들어올리게 됨으로 안정적인 상승이 가능해진다.
이후, 배출부(140)의 이송유닛(150)이 구동되면서 이송판(152)이 배출공(114a)을 통해 받침편(122)의 하부로 슬라이딩되며, 이송판(152)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배출유닛(160)의 배출실린더(163)가 구동되도록 하여 스크래퍼(165)가 이송판(152)으로 불용재를 낙하되도록 하는 등 탱크(110) 외부의 보관통(미부호)으로 불용재를 긁어 낼 수 있게 된다.
이때, 배출유닛(160)은 엑츄에이터(164)가 구동되면서 배출실린더(163)의 각도를 변경시켜 결과적으로 스크래퍼(165)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수거부(120) 내의 불용재를 효과적으로 긁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용재 제거장치는 아연 도금시 탱크(110) 내에 발생하는 불용재를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탱크 112 : 랙기어
114 : 기둥부 114a : 배출공
120 : 수거부 121 : 수거부재
122 : 받침편 123 : 타격유닛
124 : 운반유닛 125 : 고정판
125a : 구속홈 126 : 피니언
127 : 모터 130 : 인출부
132 : 실린더 134 : 승강편
140 : 배출부 150 : 이송유닛
151 : 랙기어 152 : 이송판
153 : 가이드돌기 154 : 이송기어
160 : 배출유닛 161 : 지지바
162 : 연결바 163 : 배출실린더
164 : 엑츄에이터 165 : 스크래퍼

Claims (2)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양측벽 상부에 랙기어(112)가 형성된 탱크(110); 상부에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될 수 있는 피니언(126)이 구비된 것으로 하부에 상기 탱크(110)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메쉬망 형태의 수거부재를 통해 도금시 발생하는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120); 상기 탱크(110) 내의 불용재를 취합한 수거부(120)를 상기 탱크(110)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인출부(130);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불용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120)는 상기 탱크(110) 내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불용재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한 수거부재(121); 및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측에 상기 탱크(110)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된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피니언(126)이 구비된 운반유닛(1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부재(121)는 "ㄷ"자 형상으로 후면과 측면 양측을 가릴 수 있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받침편(122)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받침편(122)에는 상기 수거부(120)의 이동시에 상기 탱크(110)의 바닥면에 불규칙적인 물리적 임팩트를 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타격유닛(123)이 마련되고,
    상기 운반유닛(124)은 상기 수거부재(12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인출부(13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는 구속홈(125a)이 마련된 고정판(125)과, 상기 고정판(125)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112)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니언(126) 및 상기 복수개의 피니언(126)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인출부(130)에 의해 탱크(110) 상부로 들어올려진 수거부(120)의 받침편(1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송유닛(150); 및 일측이 기둥부(11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부(120)에 의해 취합된 불용재를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배출유닛(160)으로 이루어진 불용재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출유닛(160)은 각각 상기 탱크의 일측벽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기둥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바(161);
    상기 지지바(161)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배출실린더(163);
    상기 지지바(161)에 대해 상기 배출실린더(16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엑츄에이터(164); 및 상기 배출실린더(163)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불용재를 긁어 낼 수 있도록 한 스크래퍼(165)를 포함하는 불용재 제거장치.
KR1020180138718A 2018-11-13 2018-11-13 불용재 제거장치 KR10192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18A KR101927757B1 (ko) 2018-11-13 2018-11-13 불용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18A KR101927757B1 (ko) 2018-11-13 2018-11-13 불용재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022A Division KR101924798B1 (ko) 2018-10-16 2018-10-16 불용재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757B1 true KR101927757B1 (ko) 2019-02-26

Family

ID=6556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718A KR101927757B1 (ko) 2018-11-13 2018-11-13 불용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7446A (zh) * 2020-10-26 2021-03-19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面向大型不规则内腔型面的全自动积碳清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39B1 (ko) * 2002-07-25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용액탱크내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
KR101482260B1 (ko) * 2007-12-27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욕조
KR101532924B1 (ko) 2015-01-21 2015-07-06 주식회사 리배산업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바텀 드로스 제거장치
KR101842968B1 (ko) 2016-04-14 2018-03-30 (주)엠솔루션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드로스 덤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39B1 (ko) * 2002-07-25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용액탱크내 도금용액 슬러지 제거장치
KR101482260B1 (ko) * 2007-12-27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욕조
KR101532924B1 (ko) 2015-01-21 2015-07-06 주식회사 리배산업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바텀 드로스 제거장치
KR101842968B1 (ko) 2016-04-14 2018-03-30 (주)엠솔루션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드로스 덤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7446A (zh) * 2020-10-26 2021-03-19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面向大型不规则内腔型面的全自动积碳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969B1 (ko)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장치
CN212175070U (zh) 一种新型电镀滚镀装置
KR101927757B1 (ko) 불용재 제거장치
KR101924798B1 (ko) 불용재 제거장치
CN210207858U (zh) 二次硅料的酸洗装置
KR101924800B1 (ko) 불용재 제거방법
CN110884837A (zh) 一种新型振动上料机构
KR101554765B1 (ko) 배추 절임장치
CN212983062U (zh) 一种铜球清洗装置
CN210934033U (zh) 一种双层筛分固液分离装置
CN210427350U (zh) 一种荧光探伤流水线输送装置
KR100845818B1 (ko) 프레스 장치
CN217396580U (zh) 一种银粉转运装置
CN207520973U (zh) 一种上料系统
CN116174424B (zh) 一种清洁机构及使用其的镀锌设备、方法
CN112813290A (zh) 一种废水处理用稀土元素萃取装置
CN216826309U (zh) 一种制药化工实验用器械摆放台
CN112718458A (zh) 一种铸造除渣剂生产用分选装置
CN217293031U (zh) 塑料桶碎料清洗装置
JPH02305948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スナウト内部のドロス除去装置
CN207242101U (zh) 灌装机
CN216500071U (zh) 离心机倒料装置
KR20140098885A (ko) 침전물 제거장치
CN210794862U (zh) 集成多类传感器的废料收集机构
RU17176U1 (ru) Бункерная эстакада доменной печ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