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404B1 -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404B1
KR101927404B1 KR1020170129917A KR20170129917A KR101927404B1 KR 101927404 B1 KR101927404 B1 KR 101927404B1 KR 1020170129917 A KR1020170129917 A KR 1020170129917A KR 20170129917 A KR20170129917 A KR 20170129917A KR 101927404 B1 KR101927404 B1 KR 10192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liquid
liquid composition
cks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선
정충기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난용성 유효성분인 컴파운드 K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균일하고, 안정적인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 K at high concentrat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식품의 대명사로 불리우는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은 사포닌으로, 인삼에만 들어있는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한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는 비활성형 상태로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반면에 장내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생리학적 활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활성형 상태의 진세노사이드로부터 당이 떨어져 나가 활성형 상태로 전환되면 물에 잘 녹지 않는 대신 인체 내 흡수도가 높아져 생리학적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컴파운드 K(compound K)(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는 활성형 상태의 진세노사이드로, 진세노사이드의 최종 대사물질이다. 이러한 컴파운드 K가 간 보호(Kim, D.Y., et al., 2009), 심장 보호(Tsutsumi, Y.M., et al., 2011), 뇌 허혈증과 신경염 치료(Park, J.S., et al., 2012), 혈당강하(Li, W., et al., 2012), 항산화(Lee, N.J., et al., 2011), 항암(Wakabayashi, C., et al., 1998)과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컴파운드 K를 이용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진 컴파운드 K를 이용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의 첫 번째는, 컴파운드 K의 제조가 상당히 까다로워 대량으로 제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컴파운드 K의 물에 대한 난용성 때문이다. 난용성은 인체에 투여 시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중 흡수 부분에서 개인별 차이를 발생시켜 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류 사포닌 성분 중 하나인 컴파운드 K를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난용성인 컴파운드 K를 가용화시켜 고농도의 균일화된 액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717672호에는 컴파운드 K와 같은 난용성 성분의 가용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고농도의 컴파운드 K의 가용화 방법은 기재 및 암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00961호에는 난용성 물질인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주사용 현탁제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컴파운드 K 및 수용성 키토산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717672호, 난용성 유효 약리성분을 가용화시켜 균질용액으로 형성되는 주사제 또는 점안용 제제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2017. 03. 1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600961호,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사용 현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2016. 03. 02, 등록.
Kim, D.Y., et al., Compound K, intestinal metabolite of ginsenoside, attenuat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via AMPK activation in human hepatoma cells, J. Agric Food Chem., 57(4), 1532-1537, 2009. Lee, N.J., et al.,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a ginseng intestinal metabolite IH-901, Lab. Anim. Res., 27(3), 227-234, 2011. Li, W., et al., Hyperglycemic effect of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s and compound K on Type 2 diabetes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combining with streptozotocin via suppression of hepatic gluconeogenesis, Fitoterapia, 83(1), 192-198, 2012. Park, J.S., et al.,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compound K in activated microglia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 on experimental stroke in mice, J. Pharamcol. Exp. Ther., 341(1), 59-67, 2012. Tsutsumi, Y.M., et al., Compound K, a metabolite of ginsenosides, induces cardiac protection mediated nitric oxide via Akt/PI3K pathway, Life Sci., 88(15-16), 725-729, 2011. Wakabayashi, C., et al., An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 of ginseng protopanaxadiol saponins has the ability to induce apoptosis in tumo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6(3), 725-730, 1998.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컴파운드 K(compound K), 염기성 아미노산 및 수용성 키토산을 포함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은 컴파운드 K를 에탄올로 녹이고,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넣고, 염 농도를 맞추고, 감미제 및 분산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용성 키토산을 넣어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3차 혼합물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넣고, pH를 맞춘 후, 정제수로 총 부피를 맞추어 4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4차 혼합물을 고온증기멸균하는 제5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는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컴파운드 K가 1~4%[w/v]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arginine), 라이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1~10%[w/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탈아세틸화한 키토산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0.1~10%[w/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 제1단계의 계면활성제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6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20), 트리톤 X-100(triton X-100), 및 노닐페녹시폴리에톡실에탄올(nonyl phenoxypolyethoxylethanol, NP-40)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 제4단계의 pH는 4~10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컴파운드 K(compound K), 염기성 아미노산 및 수용성 키토산을 포함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컴파운드 K는 인삼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중 하나로, 진세노사이드의 최종 대사물질이나 생리활성 물질로, 인삼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산삼, 산양삼, 배양근, 수인삼, 화기삼, 전칠삼 및 인삼의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컴파운드 K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컴파운드 K의 함량 비율이 50% 이상인 인삼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효소 처리는 1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고, 가수분해효소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컴파운드 K의 함량 비율이 높은 인삼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 β-글리코시다제(β-glucosidase), α-글루코시다제, 셀룰라아제(cellulase),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비스코자임(viscozyme)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펙티나아제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컴파운드 K는 인삼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olumn chromatography),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조제용 역상-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컴파운드 K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은 컴파운드 K를 에탄올로 녹이고,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넣고, 염 농도를 맞추고, 감미제 및 분산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2차 혼합물에 수용성 키토산을 넣어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3차 혼합물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넣고, pH를 맞춘 후, 정제수로 총 부피를 맞추어 4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4차 혼합물을 고온증기멸균하는 제5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은 난용성 물질인 컴파운드 K를 가용화시켜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가용화(solubilization)는 물에 잘 녹지 않은 물질의 용해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난용성 물질인 컴파운드 K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염기성 아미노산과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다.
상기 컴파운드 K는 난용성 물질로 원칙적으로 물에 녹지 않는다. 컴파운드 K를 가용화시키기 위해 염기성 아미노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컴파운드 K가 최대 0.15%[w/v]까지 용해되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가용화가 어렵고, 또한 미세현탁액을 만들기도 어렵다. 본 발명의 염기성 아미노산 및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컴파운드 K를 최대 4%[w/v]까지 균일한 미세 입자를 가지는 현탁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 조성물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컴파운드 K가 1~4%[w/v]가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용해 보조제로 활용하는 것으로, 아르기닌, 라이신, 히스티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1~10%[w/v]가 포함될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량이 1% 미만일 경우에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의 용해성을 보조하기 어렵고 현탁화제로도 부족한 양이며,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점성으로 인해 겔화가 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르기닌은 4%[w/v]를 초과할 경우, 점성으로 인해 겔화가 되므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의 총 함량이 4%가 초과되는 경우에는 다른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이신 또는 히스티딘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현탁화제 및 분산제로 활용하는 것으로, 탈아세틸화 한 키토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2,000kDa 이하인 탈아세틸화한 키토산이다.
상기 탈아세틸화는 90% 이상으로 탈아세틸화 된 것이다.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0.1~10%[w/v]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이다. 수용성 키토산의 함량이 0.1% 미만일 경우에는 분산력을 부여하기 어렵고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점성으로 오히려 균일성이 떨어지며, 제조용량이 증가하면 혼합하기도 어렵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현탁화제는 녹말(starch), 녹말 유도체, 다가알코올류,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셀룰로스(cellulose), 셀룰로스 유도체,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ic acid), 알진(algin),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chondroiti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dextran),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폴리라이신(polylysine), 티틴(titin), 피브린(fibrin), 아가로스(agarose), 플루란(fluran) 및 잔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아르기닌(arginine), 라이신(lysine), 만니톨(mannitol), 말티톨(maltitol), 솔비톨(sorbitol), 락티톨(lactitol) 및 자일리톨(xyl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 제1단계의 계면활성제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톤 X-100, 및 노닐페녹시폴리에톡실에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난용성 물질 대비 0.01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 제2단계의 염 농도는 0.6~10%[w/v] 일 수 있다. 상기 염 농도가 0.6% 미만일 경우에는 맛이 없어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 초과일 경우에는 과도한 짠맛으로 순응도가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염 농도를 맞추기 위해서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과정 제4단계의 pH는 4~10일 수 있다. 상기 pH는 조성물의 안정성 및 인체 투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일반적으로 물질들은 pH가 낮은 산성 조건에서는 뭉치고, pH가 높은 염기성 조건에서는 풀리는(unfolding) 경향이 있으며, 강한 염기성의 경우에는 위장관을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제 조성물의 안정성 및 균일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pH는 7~1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10이다.
본 발명의 컴파운드 K, 염기성 아미노산 및 수용성 키토산을 포함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은 난용성인 컴파운드 K가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현탁되어 있는, 균일성이 높고, pH에도 안정적인 액제 조성물 이다.
상기 본 발명의 액제 조성물은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액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및 피부 도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제 조성물은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은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인 컴파운드 K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액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액제 조성물이 균일하고, pH에도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액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컴파운드 K의 단독 피크를 보여주는 것으로, 인삼 추출물로부터 컴파운드 K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 조성물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현미경을 통해 본 발명의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3에 분포하고 있는 입자 크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컴파운드 K의 제조>
실시예 1-1. 1차 CKS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삼은 산양삼으로 함양군에 소재하는 심마니산삼영농조합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산양삼을 공기가 제거되어 증기로 채워진 자동온습도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121℃에서 10분간 다공성 선반에 적재하여 수분이 밑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과량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1.1㎏/㎠ 압력 하에서 증기에 노출시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산양삼을 통기 밸브를 열어 공기를 주입하면서 90℃ 이하로 식히고, 다시 동일한 조작을 2회 더 반복하여, 활성형 인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활성형 인삼 60g을 1㎜ 이하의 입자로 잘게 파쇄하여 건조한 후, 80%[v/v] 에탄올(주정알코올) 300㎖을 첨가하고 열을 가해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물을 500㎛ 입자 여과지를 이용해 고형물을 제거하여 활성형 진세노사이드를 확보하였다.
상기에서 확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를 회전 농축기(rotato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농축물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농축물을 95%[v/v] 에탄올을 이용하여 0.23%[w/v]의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현탁액을 제조한 후, 오염에 의해 유해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0℃ 이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보관하였다.
2.4% 펙티나아제(pectinase)(상품명 Rapidase, DSM food, 네덜란드)가 포함된 수용액(효소액)을 온도 자동장치를 이용하여 50℃로 온도를 유지하고, 튜브 연동식 펌프(Peristaltic pump)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현탁액을 효소액에 50㎖/min의 속도로 한 방울씩 연속하여 주입하였다. 효소액과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현탁액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수거한 후, 수거한 침전물을 95%[v/v] 에탄올로 현탁하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 후, 농축하여 농축물(1차 CKS로 명명) 1~1.4g을 확보하였다.
실시예 1-2. 2차 CKS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1차 CKS를 95%[v/v] 에탄올로 현탁하여 1.0%[w/v]의 1차 CKS 현탁액을 제조하고 50℃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1차 CKS 현탁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펙티나아제 처리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2차 CKS를 제조하였다. 이때, 2차 CKS는 사용한 1차 CKS의 무게 대비 90% 정도로 회수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3차 CKS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2차 CKS를 95%[v/v] 에탄올로 현탁하여 1.0%[w/v]의 2차 CKS 현탁액을 제조하고 50℃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2차 CKS 현탁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펙티나아제 처리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3차 CKS를 제조하였다. 이때, 3차 CKS는 사용한 2차 CKS의 무게 대비 80% 정도로 회수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4차 CKS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3차 CKS를 95%[v/v] 에탄올로 현탁하여 1.0%[w/v]의 3차 CKS 현탁액을 제조하고 50℃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3차 CKS 현탁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펙티나아제 처리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4차 CKS를 제조하였다. 이때, 4차 CKS는 사용한 3차 CKS의 무게 대비 80% 정도로 회수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진세노사이드 종류 및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처리 단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및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각 단계별 CKS를 95%[v/v] 에탄올로 현탁하여 1%[w/v]의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현탁액을 이용하여 아세토나이트릴:물(4:1→1: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Agilent C18 컬럼, 4.6×250㎜, 5㎛ 입자 크기, 유속 1㎖/분, UV 탐지: 203㎚]를 수행하여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및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CKS 진세노사이드 함량 (%)
컴파운드 K F2 Rd Rg3
1차 CKS 52 2.69 34.4 2
2차 CKS 75 2 14 1.8
3차 CKS 85 1.5 4 0.5
4차 CKS 92 0 0.1 0.1
상기 표 1에서 보여주듯이, 펙티나아제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컴파운드 K의 함량이 증가하고, 다른 종류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조 과정을 통해 컴파운드 K의 함량이 90% 이상인 인삼 농축액 제조 방법을 확립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컴파운드 K의 제조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4차 CKS를 95%[v/v] 에탄올로 현탁한 후, 에탄올:물(0:1→9.5:0.5[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분획물 20개를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을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14번째 분획물에서 컴파운드 K의 단일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단일 물질의 컴파운드 K가 분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 제조>
실시예 2-1. 액제-1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컴파운드 K 150㎎을 95%[v/v] 에탄올 387㎕로 녹이고, 트윈-80(tween-80) 0.01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감미제로 수크랄로스(sucralose) 5㎎과 분산제로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을 각각 0.5g씩 첨가하여 혼합한 후, 6M HCl 또는 6M NaOH를 이용하여 pH가 8.0이 되도록 맞추었다. pH를 맞춘 후, 총 부피가 100㎖이 되도록 정제수를 넣어 주고, 이 용액을 고온증기멸균 처리하여 액제-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액제-2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컴파운드 K 150㎎을 95%[v/v] 에탄올 387㎕로 녹이고, 트윈-80 0.01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이신 2g을 넣고, 염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NaCl 0.5g을 정제수에 녹여 첨가하였다. 감미제로 수크랄로스(sucralose) 5㎎과 분산제로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을 각각 0.5g씩 첨가하고, 염기성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르기닌(arginine) 0.2g을 넣은 후, 6M HCl 또는 6M NaOH를 이용하여 pH가 8.0이 되도록 맞추었다. pH를 맞춘 후, 총 부피가 100㎖이 되도록 정제수를 넣어 주고. 이 용액을 고온증기멸균 처리하여 액제-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액제-3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컴파운드 K 1000㎎을 95%[v/v] 에탄올 500㎕로 녹이고, 트윈-80 0.01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이신 2g을 넣고, 염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NaCl 0.5g을 정제수에 녹여 첨가하였다. 감미제로 수크랄로스 5㎎과 분산제로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을 각각 0.5g씩 첨가하고, 수용성 키토산(soluble chitosan) 0.4g을 넣었다. 여기에 염기성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르기닌 0.2g을 넣은 후, 6M HCl 또는 6M NaOH를 이용하여 pH가 8.0이 되도록 맞추었다. 총 부피가 100㎖이 되도록 정제수를 넣어 주었다. 이 용액을 고온증기멸균 처리하여 액제-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의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를 육안 관찰하였고, 현미경을 이용해 액제의 균질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활성형 진세노사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액제를 제조하였다.
도 2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1.5%[w/v]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1은 현탁 상태로, 컴파운드 K가 녹지 않은 반면에,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비활성형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비교 액제의 경우에는 맑은 용액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액제-2의 경우에는 액제-1과 동일한 양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액제-1과 달리 투명한 상태의 액제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 2-2의 제조 방법으로 액제 제조시, 컴파운드 K의 함량이 0.15%[w/v]가 초과되면 컴파운드 K가 모두 용해되지 않고 현탁 상태의 용액이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1%[w/v]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고 있는 액제-3은 약간 불투명한 용액으로 제조되었으나, 컴파운드 K가 모두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액제의 균질성을 관찰한 결과인 도 3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액제-3에 2.5㎛ 크기의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상기 액제-1의 경우에는 입자들이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였고, 실제로 300㎛이상에서 수 ㎜까지의 입자들이 관찰되어 입자들의 균일성이 낮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 2-3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최대 4%[w/v]의 컴파운드 K가 포함된 균일한 상태의 액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pH에 따른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의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의 pH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상기 액제-2 및 액제-3 제조시 pH를 바꾸어 액제를 제조하고, 제조한 액제를 냉장 보관하여 침전물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액제-2의 경우, 산성 조건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침전물이 생성되었으며, 중성과 약염기성 조건에서는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반면에, 액제-3의 경우에는 pH 4~10 조건에서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통해, 상기 실시예 2-3의 방법을 통해 균일성이 있고, pH에도 안정한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액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컴파운드 K(compound K), 라이신, 아르기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염기성 아미노산 및 수용성 키토산을 포함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의 컴파운드 K는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컴파운드 K가 1~4%[w/v]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1~10%[w/v]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탈아세틸화한 키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은 액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0.1~10%[w/v]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170129917A 2017-10-11 2017-10-11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917A KR101927404B1 (ko) 2017-10-11 2017-10-11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917A KR101927404B1 (ko) 2017-10-11 2017-10-11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404B1 true KR101927404B1 (ko) 2018-12-10

Family

ID=6467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917A KR101927404B1 (ko) 2017-10-11 2017-10-11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17A (ko) * 2017-10-11 2019-04-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수명 연장 및 분화 촉진용 조성물
WO2020171407A1 (ko)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유틸렉스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림프구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61B1 (ko) 2015-06-19 2016-03-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사용 현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672B1 (ko) 2015-12-03 2017-03-17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용성 유효 약리성분을 가용화시켜 균질용액으로 형성되는 주사제 또는 점안용 제제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61B1 (ko) 2015-06-19 2016-03-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사용 현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672B1 (ko) 2015-12-03 2017-03-17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용성 유효 약리성분을 가용화시켜 균질용액으로 형성되는 주사제 또는 점안용 제제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17A (ko) * 2017-10-11 2019-04-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수명 연장 및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102295B1 (ko) 2017-10-11 2020-04-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수명 연장 및 분화 촉진용 조성물
WO2020171407A1 (ko)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유틸렉스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림프구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Bioactive compounds, health benefits and functional food products of sea buckthorn: A review
US10842805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Wiczkowski et al. Bioavailability of cyanidin glycosides from natural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juice with dietary-relevant dose of anthocyanins in humans
Lu et 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HepG2 cell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seed coat of Amygdalus pedunculata Pall
EP0925068B1 (en) Us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lyphenols from grapes or from wine, in particular resveratrol, and yeast extracts
KR101436464B1 (ko)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및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KR102662912B1 (ko) 폴리페놀 함유 고체 조성물
CN111437302A (zh) 黄杞叶水提后大孔树脂处理后的提取物在制备糖尿病药物中的应用及其分析方法
Bonesi et al. The role of anthocyanins in drug discovery: recent developments
KR101927404B1 (ko)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046056B2 (ja)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KR101831981B1 (ko) 상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5084A (ko) 댕댕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Ferraz et al. Quercetin as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KR102102295B1 (ko)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수명 연장 및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90038410A (ko)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2949B1 (ko) 활성형 프로토파낙사디올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73583B1 (ko)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4286A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444688B2 (ja) むくみ抑制または改善剤
WO2019198661A1 (ja) がん細胞の増殖抑制用組成物、抗がん用組成物、正常細胞のがん化抑制用組成物、がん発症抑制用組成物、及び、がん細胞死誘導用組成物
KR20220077317A (ko)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Ordaz-Trinidad et al. Patents on phytochemicals: methodologies of extraction, application in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y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