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405B1 -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405B1
KR101926405B1 KR1020170063695A KR20170063695A KR101926405B1 KR 101926405 B1 KR101926405 B1 KR 101926405B1 KR 1020170063695 A KR1020170063695 A KR 1020170063695A KR 20170063695 A KR20170063695 A KR 20170063695A KR 101926405 B1 KR101926405 B1 KR 10192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amera
parallel light
reflector
distan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299A (ko
Inventor
김혜광
Original Assignee
(주) 루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루리텍 filed Critical (주) 루리텍
Priority to KR102017006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4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16Adapting the beam shape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such as a laser diode or an LED, e.g. for efficiently coupling into optical fi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77Reflec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 G01B2210/14One or more cameras or other optical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a two-dimensional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에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Distance measuring error calibration apparatus for distance measuring camera}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카메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1244호(2011.02.08)에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변조 주파수(modulation frequency)를 조절함으로써 감지거리의 가변이 가능한 TOF(Time Of Flight) 카메라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과 센서 어레이에서 감지된 빛의 위상을 대비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연산한다.
TOF 카메라 등과 같은 거리 측정 카메라를 제조한 후 정확한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거리 측정 오차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상적으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은 거리 측정 카메라로부터 1∼2m 내외의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는 평면 챠트에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를 통해 광을 출사하고, 평면 챠트로부터 반사되어 거리 측정 카메라의 센서 어레이를 통해 수광되는 광량을 검출함에 의해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특정 거리에서 수광되는 광의 시간 지연(Time Delay)이 정규화된 기준 시간 지연(Time Delay)과 비교하여 늦거나 빠르면,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측정 오차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광량 차이에 따른 거리 측정 오차에 대한 보정을 해주어야 만 이후 거리 측정 카메라를 통해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해 진다.
그런데, 거리 측정 카메라로부터 1∼2m 내외의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는 평면 챠트를 이용해 거리 측정 카메라에 대한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할 경우, 거리 측정 카메라 렌즈 시야각 범위가 매우 크기 때문에 평면 챠트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된다.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커질수록 평면 챠트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크기 역시 매우 커지게 되며, 평면 챠트가 크면 클수록 구부러지게 되어 평면 챠트의 평탄도가 저하되므로, 거리 측정 보상 정밀도 역시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에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1244호(2011.02.08)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에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가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평행광 형성부와;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한 챠트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평행광 형성부에 의해 변환된 평행광이 전파되는 굽은 광경로를 형성하는 굽은 광경로 형성부와;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평행광을 집광하는 집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가 상기 평행광 형성부에 의해 변환되어 제1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과; 상기 제1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2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2방향과 수직하고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3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3방향과 수직하고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3반사경과; 상기 제3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4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4방향과 수직하고 제3방향과 반대인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4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집광부가 집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광의 초점과 챠트간의 거리와,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의 길이는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굽은 광경로의 길이 결정시, 평행광이 전파되는 매질 차이에 의한 광 전송 속도 지연에 대한 보상을 반영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에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챠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정밀한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굽은 광경로 길이 결정을 위한 변수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굽은 광경로 길이 결정을 위한 변수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챠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100)는 평행광 형성부(110)와,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와, 집광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평행광 형성부(110)는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LED(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평행광 형성부(110)로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일반 카메라의 광축 정렬 오차 보정시 챠트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일반 카메라의 렌즈에 사용되는 콜리메이터를 거리 측정을 위한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렌즈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하고, 콜리메이터를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LED(210) 전면에만 배치하여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LED(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는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한 챠트(300)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평행광 형성부(110)에 의해 변환된 평행광이 전파되는 굽은 광경로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가 다수의 반사경들로 구현되거나, 광섬유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가 제1반사경(121)과, 제2반사경(122)과, 제3반사경(123) 및 제4반사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경(121)은 상기 평행광 형성부(110)에 의해 변환되어 제1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2반사경(122)은 상기 제1반사경(121)에 의해 반사되어 제2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2방향과 수직하고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3반사경(123)은 상기 제2반사경(122)에 의해 반사되어 제3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3방향과 수직하고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4반사경(124)은 상기 제3반사경(123)에 의해 반사되어 제4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4방향과 수직하고 제3방향과 반대인 제1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에 따라, 거리 측정 카메라(200)의 LED(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를 통해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처럼 구현 가능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130)는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평행광을 집광한다. 예컨대, 상기 집광부(130)로 초점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 초점 렌즈(Fixed Focus Lens)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광부(130)가 집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광의 초점과 챠트간의 거리와,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의 길이는 거리 측정 카메라(200)와 챠트(300)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때, 굽은 광경로의 길이 결정시, 평행광이 전파되는 매질 차이에 의한 광 전송 속도 지연에 대한 보상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굽은 광경로의 길이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굽은 광경로 길이 결정을 위한 변수들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굽은 광경로 길이 결정을 위한 변수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거리 측정 카메라(200)와 챠트(300)간의 거리가 먼 기존 환경과, 거리 측정 카메라(200)와 챠트(300)간의 거리가 짧은 본 발명에서의 광경로는 이론적으로 같아야 하므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1
이어야 한다.
여기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2
가 결정되어야 할 굽은 광경로 길이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3
이다.
이 때,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4
이고,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5
이고,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6
이고,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7
이다.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8
이므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09
이다.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0
이고,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1
이므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2
이다.
여기서,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3
이므로, 굽은 광경로 길이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4
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5
의 굽은 광경로를 사용할 경우 한 변의 크기가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6
인 챠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굽은 광경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한변의 크기가
Figure 112017049272860-pat00017
인 챠트에 비해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챠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한 챠트상의 9점 위치에서 반사되는 광들의 경로 길이들을 측정해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전의 거리 측정 카메라에 의해 9점 각각에서 반사된 광들의 광경로 길이가 각각 L1', L2', L3', L4', L5', L6', L7', L8', L9'이고, 거리 측정 오차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되어 미리 저장된 기준 길이가 각각 L1, L2, L3, L4, L5, L6, L7, L8, L9라면,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전의 거리 측정 카메라의 9점 각각에 대한 거리 측정 오차는 L1-L1', L2-L2', L3-L3', L4-L4', L5-L5', L6-L6', L7-L7', L8-L8', L9-L9'이므로,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를 통해 이 차이 만큼 거리 측정 오차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상하면,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작함으로써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거리가 매우 큰 실거리 환경에서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 측정 카메라와 평면 챠트간 실제 거리를 매우 작게 구현함으로써 챠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챠트 크기가 작아 챠트가 구부러질 가능성이 적어 평탄도가 우수함으로써 챠트 구부러짐에 의한 거리 측정 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거리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원을 사용하지 않고, 거리 측정 카메라 자체의 LED 광원을 사용하여 거리 측정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외부 광원을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카메라 자체 LED 광원과의 색편차 등에 의한 거리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카메라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110 : 평행광 형성부
120 : 굽은 광경로 형성부
121 : 제1반사경
122 : 제2반사경
123 : 제3반사경
124 : 제4반사경
130 : 집광부
200 : 거리 측정 카메라
300 : 챠트

Claims (5)

  1. 거리 측정 카메라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평행광 형성부와;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한 챠트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평행광 형성부에 의해 변환된 평행광이 전파되는 굽은 광경로를 형성하는 굽은 광경로 형성부와;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평행광을 집광하는 집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가:
    상기 평행광 형성부에 의해 변환되어 제1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과;
    상기 제1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2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2방향과 수직하고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3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3방향과 수직하고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3반사경과;
    상기 제3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제4방향으로 전파되는 평행광을 제4방향과 수직하고 제3방향과 반대인 제1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4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가:
    집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광의 초점과 챠트간의 거리와,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광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굽은 광경로의 길이는 거리 측정 카메라와 챠트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광경로의 길이 결정시, 평행광이 전파되는 매질 차이에 의한 광 전송 속도 지연에 대한 보상을 반영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1020170063695A 2017-05-23 2017-05-23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10192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95A KR101926405B1 (ko) 2017-05-23 2017-05-23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95A KR101926405B1 (ko) 2017-05-23 2017-05-23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99A KR20180128299A (ko) 2018-12-03
KR101926405B1 true KR101926405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95A KR101926405B1 (ko) 2017-05-23 2017-05-23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35B1 (ko) * 2018-12-26 2020-12-29 (주)미래컴퍼니 펄스 위상 이동을 이용한 3차원 거리측정 카메라의 비선형 거리 오차 보정 방법
KR102200195B1 (ko) * 2019-06-04 2021-01-08 (주) 루리텍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CN114529555A (zh) * 2021-12-31 2022-05-24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烟箱高效进出库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6112A (ja) * 2003-01-20 2004-08-12 Fuji Photo Optical Co Ltd 低可干渉測定/高可干渉測定共用干渉計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JP2012208059A (ja) * 2011-03-30 2012-10-25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6112A (ja) * 2003-01-20 2004-08-12 Fuji Photo Optical Co Ltd 低可干渉測定/高可干渉測定共用干渉計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JP2012208059A (ja) * 2011-03-30 2012-10-25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99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75B1 (ko) 가변형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101926405B1 (ko) 거리 측정 카메라 거리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US11125876B2 (en) Lidar system and method for ascertaining a system state of a lidar system
US20080007711A1 (en) Range finder
JP2717408B2 (ja) 直線性誤差補正機能を有する光波測距装置
US9304050B2 (en) 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EP3190428B1 (en) Electronic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US8553232B2 (en) Interference objective lens unit and light-interference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reof
CN103576133A (zh) 距离测量系统
JP6396696B2 (ja) 光波距離計
JP2017072466A (ja) 光波距離測定装置
TW202140996A (zh) 標定裝置、標定系統、電子設備及標定方法
CN104748720A (zh) 空间测角装置及测角方法
KR20160019112A (ko) 스캐닝 엔진에 대한 모듈식 광학계
US7764358B2 (en) Distance measuring system
CN102834692B (zh) 光学位移传感器的调整方法及光学位移传感器的制造方法
EP2910983B1 (en) Photoelectric sensor
WO2020100808A1 (ja) 光測距装置及び光測距方法
JP5009017B2 (ja) 位相分布制御装置
JPH04283683A (ja) 光波測距装置
WO2019224346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bestimmung von ausrichtungsfehlern von strahlquellen und für deren korrektur
KR102200281B1 (ko) 계측 및 검사 장비용 광학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195B1 (ko) 거리 측정 카메라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WO2016098502A1 (ja) 座標検出装置
KR102100573B1 (ko) 측정용 광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