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240B1 - 블로우다운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로우다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240B1
KR101926240B1 KR1020160183022A KR20160183022A KR101926240B1 KR 101926240 B1 KR101926240 B1 KR 101926240B1 KR 1020160183022 A KR1020160183022 A KR 1020160183022A KR 20160183022 A KR20160183022 A KR 20160183022A KR 101926240 B1 KR101926240 B1 KR 10192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ank
temperature
blow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48A (ko
Inventor
문병서
유재윤
김학준
천종석
이진영
김진경
이택주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240B1/ko
Priority to PCT/KR2017/014567 priority patent/WO2018124545A1/ko
Publication of KR2018007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4De-sludging or blow-dow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보일러의 정상 작동을 위해 보일러에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저장되는 블로우다운 탱크, 블로우다운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블로우다운 탱크에 저장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의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관 및 배수관에 연결되고,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배수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우다운 시스템{BLOWDOWN SYSTEM}
본 발명은 블로우다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블로우다운 탱크(10), 드레인관(11), 배수관(15) 및 냉각관(13)을 포함한다. 블로우다운 탱크(10)는, 보일러의 정상 작동을 위해 보일러에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저장되는 탱크를 말한다. 드레인관(11)은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로 연결된 관이고, 배수관(15)은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저장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10)의 외부로 배수되는 관이며, 냉각관(13)은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을 말한다.
보일러에서는 증기터빈에서 요구하는 증기의 수질 조건 충족을 위해 블로우다운 탱크(10)로 물을 배수한다. 블로우다운 탱크(10)로 공급된 물은 블로우다운 탱크(10) 내부에서 스팀 가스와 포화수 형태로 상태가 변하고,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저장된 고온의 물(포화수)을 하수 처리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온도로 물을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냉각수가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연결된 냉각관(13)을 통해 블로우다운 탱크(10)의 내부로 공급되었는데, 고온의 상태인 블로우다운 탱크(10)의 내부에 상온의 냉각수가 분사되면 냉각수가 기화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고온의 스팀 가스의 대류 현상에 의해, 블로우다운 탱크(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측정장치(12)는 일시적으로 블로우다운 탱크(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온도측정장치(12)가 블로우다운 탱크(10)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된 것으로 인식하면, 보다 많은 냉각수가 블로우다운 탱크(10)로 공급되었고, 블로우다운 탱크(10)의 수위가 상승하여 한계 수위에 다다르면 보일러의 작동이 긴급하게 중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드레인관(11)에 구비된 드레인밸브(미도시)가 개방되기만 하면, 냉각관(13)을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제어되었으며, 보일러에서 공급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더라도, 즉 블로우다운 탱크(10)에 저장된 물에 보다 많은 냉각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냉각수가 추가로 공급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냉각수의 증가는 하수 설비의 작동 비용의 증가 및 비효율적인 설비 운영을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냉각수의 공급을 방지하고, 하수 처리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블로우다운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최적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블로우다운 탱크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보일러의 긴급 정지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블로우다운 탱크에서 배수되어 하수 처리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보일러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보일러의 정상 작동을 위해 보일러에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저장되는 블로우다운 탱크, 블로우다운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블로우다운 탱크에 저장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의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관 및 배수관에 연결되고,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배수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관이 배수관에 직접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냉각수가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냉각수가 혼합된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수가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로우다운 탱크의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보일러가 긴급 정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우다운 탱크에서 배수된 물을 냉각시켜 재활용함으로써, 하수 처리되는 물의 양이 대폭 감소하여 보일러가 경제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처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다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블로우다운 탱크(20), 드레인관(21), 배수관(25) 및 냉각관(23)을 포함한다.
블로우다운 탱크(20)는, 보일러의 정상 작동을 위해 보일러에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저장되는 탱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보일러의 증기 터빈에서 요구하는 증기의 수질 조건(pH, 용존 고형물, 용존 가스 등)이 충족되지 않거나, 보일러의 드럼에 저장된 물에 고형물 또는 이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보일러에서 물을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시킬 필요가 있다.
드레인관(21)은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20)로 연결된 관을 말한다. 드레인관(21)에는 드레인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드레인밸브의 개폐에 따라 보일러에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관(25)은 블로우다운 탱크(20)에 저장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20)의 외부로 배수되는 관을 말한다. 배수관(25)은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 연결된다.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된 물은 재활용할 수 없는 경우 배수관(25)을 통해 하수 처리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활용되기 위해 임시처리부(50)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배수관(25)에는 블로우다운 탱크(20)에서 물을 흡입하여 배수관(25)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펌프(24)가 구비될 수 있고, 배수펌프(24)의 작동에 의해 블로우다운 탱크(20) 내부의 물이 배수관(25)으로 배수될 수 있다.
냉각관(23)은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배수관(25)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을 말한다. 보일러에서 물이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되면, 물은 압력 저하에 의해 스팀 가스와 포화수 또는 스팀 가스와 포화수로 분리되지 않은 물의 형태로 변화하며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될 수 있다. 이때 포화수 등의 물은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포화수 등의 물을 하수 처리하거나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블로우다운 탱크(20)에서 외부로 배수되는 물을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냉각관(23)은 배수관(25)으로 직접 연결되어 배수관(25)으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냉각관(23)이 배수관(25)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블로우다운 탱크(20)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발생하는 블로우다운 탱크(20)의 수위 상승 문제 및 보일러의 긴급 정지 상황이 초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냉각관(23)은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서 냉각관(23)의 직경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배수관(25)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서 냉각관(23) 직경의 2배 이내의 위치에 냉각관(23)이 연결된 경우, 냉각관(23)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블로우다운 탱크(20) 하부의 열을 뺏기 용이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양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냉각수의 공급 위치가 블로우다운 탱크(20)에 너무 근접하면,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된 물이 스팀과 포화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블로우다운 탱크(20)의 설계 특성상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는 보온재가 구비되어 있어, 냉각관(23)을 블로우다운 탱크(20)로 근접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서 냉각관(23) 직경의 2배 이상의 위치에 냉각관(23)이 연결된 경우, 냉각관(23)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서 빼앗는 열량이 줄어들어,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각관(23)은 블로우다운 탱크(20)의 하부에서 냉각관(23)의 직경의 2배로부터 최대 30배 이격된 위치에서 배수관(2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제1 온도측정장치(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측정장치(22)는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냉각수가 혼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관(23)은 제1 온도측정장치(22)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해서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온도측정장치(22)는, 배수관(25)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는 위치인 혼합위치(M)보다 블로우다운 탱크(20)에서 이격되게 배수관(25)에 구비된 배수펌프(24)와 혼합위치(M) 사이에서, 배수펌프(24)의 입구 측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측정장치는 혼합위치(M)로부터 1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관(23)이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냉각수가 혼합된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개폐되기 때문에, 종래에 블로우다운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됐던 것보다 불필요한 냉각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관(23)은,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된 물과 증기가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된 경우 개방되고,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물과 증기가 배수되어도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으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는, 보일러에서 물과 증기가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되기만 하면, 기본적으로 블로우다운 탱크(20)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냉각관(23)은,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된 물과 증기가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 즉,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냉각수가 혼합된 물의 온도의 상승 원인이 된 경우에만 냉각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임시처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처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처리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임시처리부(50)는 배수관(25)을 통해 블로우다운 탱크(20)의 외부로 배수되어 바로 하수 처리되지 않은 물을 임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임시처리부(50)는 저장조(30)와 분배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30)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e)보다 하측(지하)에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대기와 통하며, 배수관(25)을 통해 배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조(30)는 적어도 일부가 대기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지하에 마련되어,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이 보다 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되지 않고 대기와 통하고 있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대기와 열교환하여 보다 빨리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임시처리부(50)는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회전 팬(31)과 저장조(3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33)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상에 설치된 팬(31)(Blower)은 저장조(30) 하부에 설치된 공기 분사노즐(33)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공기 분사노즐(33)에서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에 공기가 분사되면, 수면에서 기포가 터지는 폭기현상(aeration, 暴氣)이 발생하여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이 대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는 보다 빨리 냉각될 수 있다. 즉, 팬(31)의 회전에 의한 공기 주입으로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임시처리부(50)는 저장조(3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회수하는 분배펌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40)는 분배펌프(35)에서 회수한 물을 공급받아 다시 저장조(30)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배기(40)는 지상에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40)로 회수되어 저장조(30)의 내부로 분사된 물은 대기와 열교환하며 온도가 저하된 후 저장조(30)에 다시 저장되어, 결과적으로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배기(40)는, 저장조(30)에서 회수된 물이 유동하는 배관(41)과, 배관(41)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다시 저장조(30)의 내부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42)들 및 배관(41)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판(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43)들은 배관(41)과 대기의 열교환을 촉진하여 배관(41)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복수 개의 노즐(42)들은 배관(41)에서 일차적으로 온도가 저하된 물을 공급받으며, 노즐(42)에서 저장조(30)의 내부로 분사된 물은 이차적으로 대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더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는 보다 저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렇게 저장조(30)에 저장되어 냉각된 물은 상수탱크(90)로 회수되어 보일러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저장조(30)에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상수탱크(90)와, 저장조(30)와 상수탱크(90)를 연결하는 회수관(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회수관(55)에 구비된 회수펌프(56)와 여과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펌프(56)는 저장조(30)에서 물을 회수하여 상수탱크(90)로 공급할 수 있고, 여과기(70)는 저장조(30)에서 회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20)로 배수되어 저장조(30)에서 냉각된 물에는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70)는 저장조(30)에서 회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수탱크(90)에 저장되어 재활용되는 물은 30℃에서 40℃의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너무 높은 온도를 가지면 보일러에서 재활용될 수 없다. 따라서 여과기(70)는 상수탱크(9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저장조(30)에서 상수탱크(90)로 물이 회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조(30)에는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측정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온도는,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이 저장조(30)에서 상수탱크(90)로 회수되어 보일러로 유입되었을 때, 보일러가 비정상 작동할 것으로 파악되는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 중 최저 온도로서, 예를 들어 60℃일 수 있다.
상수탱크(90)에 저장되는 물은 보일러에서 요구하는 물과 증기의 수질을 맞추기 위해 양이온과 음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순수처리설비의 원수(raw water)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온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이온수지는 45℃를 초과하면 이온 교환 성능이 저하되고, 수지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수탱크(90)에 저장된 물은 블로우다운 탱크(20)로 공급되는 냉각수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60℃일 때 여과기(70)를 거쳐 상수탱크(90)로 회수되는 물의 온도는 약 57℃이며, 상수탱크(9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용수와 혼합되면 상수탱크(90)에 저장된 물은 약 30℃에서 40℃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과기(70)는 수직 실린더 타입일 수 있다. 여과기(70)는 여과기(70)의 세정을 위해 여과기(70)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여과기(70) 내부에 공기를 교반하는 교반단계, 여과기(70)를 역으로 작동시켜 여과기(70)를 세정하는 역세단계 및 여과기(70)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수단계를 거치는 역세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과기(70)는 자동 역세 공정뿐만 아니라 수동 역세 공정도 수행될 수 있고, 여과기(70)에는 수질 성분 분석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수질 성분 분석기는 여과기(70) 내의 부유물의 양을 측정한 후 역세 공정의 작동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여과기(70)에서 역세되어 배출된 역세수는 하수 처리 시설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냉각관(23)은 블로우다운 탱크(20)에서 외부로 배수된 물을 보다 빨리 재활용하기 위해,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의 온도도 고려하여 냉각수를 배수관(25)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저장조(30)에 저장된 물을 팬(31), 분배기(40) 등을 통해 냉각시켜 재활용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판단된 경우,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냉각관(23)에서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가 배수관(25)으로 공급되어, 저장조(30)로 공급되는 물이 어느 정도 냉각된 상태로 저장조(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로우다운 시스템은 하수관(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29)은 배수관(25)에서 바이패스되어 하수 처리 시설로 연결되는 관을 말한다.
저장조(30)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저장조(30)로 공급되던 물은 하수관(29)으로 바이패스되어 하수 처리될 수 있다. 기준 수위란, 저장조(30)에 더 이상의 물이 저장될 수 없다고 판단되어 기 설정된 저장조(30)의 한계 수위를 말한다.
배수관(25)에는 배수밸브(26)가 구비되고, 하수관(29)에는 하수밸브(28)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조(30)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이면 배수밸브(26)가 폐쇄되고 하수밸브(28)가 개방되어, 배수관(25)으로 배수관(25) 물은 바로 하수 처리될 수 있고, 저장조(30)의 수위가 기준 수위 미만이면 배수밸브(26)가 개방되고 하수밸브(28)가 폐쇄되어, 배수관(25)으로 배수된 물이 저장조(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블로우다운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에는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로 배수되어 하수 처리되던 물의 양이 대폭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수 처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블로우다운 탱크
21: 드레인관
22: 제1 온도측정장치
23: 냉각관
25: 배수관
26: 배수밸브
28: 회수밸브
29: 회수관
30: 저장조
31: 팬
33: 공기 분사노즐
35: 분배펌프
40: 분배기
41: 배관
42: 노즐
43: 방열판
50: 임시처리부
55: 회수관
56: 회수펌프
70: 여과기
90: 상수탱크

Claims (14)

  1. 보일러의 정상 작동을 위해 보일러에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저장되는 블로우다운 탱크;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의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된 물을 임시적으로 처리하는 임시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처리부는,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처리부는,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회수하는 분배펌프와 상기 분배펌프에서 회수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에서 분사된 물은 대기와 열교환하며 온도가 저하된 후 상기 저장조에 다시 저장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저하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냉각관의 직경의 2배에서 30배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수관에 연결된, 블로우다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상기 냉각수가 혼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관은,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해서 개폐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서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는 위치인 혼합위치보다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에서 이격되게 상기 배수관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측정장치는, 상기 혼합위치와 상기 배수펌프 사이에서, 상기 배수펌프의 입구 측 온도를 측정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는, 상기 혼합위치로부터 1m 이상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블로우다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상기 보일러에서 블로우다운 탱크로 배수된 물과 증기가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된 경우 개방되고,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블로우다운 탱크로 물과 증기가 배수되어도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으면 개방되지 않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처리부는,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에 공기가 주입되어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이 대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저하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저장조에서 회수된 물이 유동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다시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들은, 상기 배관과 대기의 열교환을 촉진하여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에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상수탱크, 상기 저장조와 상기 상수탱크를 연결하는 회수관 및 상기 회수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에서 회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상수탱크로 회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서 바이패스되어 하수 처리 시설로 연결되는 하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장조로 공급되던 물은 상기 하수관으로 바이패스되어 하수 처리되는, 블로우다운 시스템.
KR1020160183022A 2016-12-29 2016-12-29 블로우다운 시스템 KR10192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22A KR101926240B1 (ko) 2016-12-29 2016-12-29 블로우다운 시스템
PCT/KR2017/014567 WO2018124545A1 (ko) 2016-12-29 2017-12-12 블로우다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22A KR101926240B1 (ko) 2016-12-29 2016-12-29 블로우다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48A KR20180078048A (ko) 2018-07-09
KR101926240B1 true KR101926240B1 (ko) 2018-12-06

Family

ID=6271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22A KR101926240B1 (ko) 2016-12-29 2016-12-29 블로우다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6240B1 (ko)
WO (1) WO201812454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758B2 (ja) * 1987-10-31 1998-02-04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13704A (ja) * 1999-01-27 2000-08-02 Babcock Hitachi Kk ブロ―ダウンタンクを用いるボイラ排水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0731159B1 (ko) * 2005-11-17 2007-06-22 (주)티원엔지니어링 비산방지를 위한 밀폐형 냉각탑
KR100947048B1 (ko) * 2009-10-05 2010-03-10 (주)우신비엔피 고온 응축수의 회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727A (ja) * 2008-03-31 2009-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ブロータンク排水冷却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2012102980A (ja) * 2010-11-12 2012-05-3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ブロータンク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4238239A (ja) * 2013-06-10 2014-12-18 株式会社Ihi ブローダウンタ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758B2 (ja) * 1987-10-31 1998-02-04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13704A (ja) * 1999-01-27 2000-08-02 Babcock Hitachi Kk ブロ―ダウンタンクを用いるボイラ排水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0731159B1 (ko) * 2005-11-17 2007-06-22 (주)티원엔지니어링 비산방지를 위한 밀폐형 냉각탑
KR100947048B1 (ko) * 2009-10-05 2010-03-10 (주)우신비엔피 고온 응축수의 회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48A (ko) 2018-07-09
WO2018124545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010B1 (ko)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JP5202253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032421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CN103721970B (zh) 用于清洗脱硫系统的冷却器的清洗装置及方法
CN108316445A (zh) 一种道路排水装置及其排水方法
KR101654422B1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CN203642731U (zh) 哈蒙式间接空冷循环水回收系统
KR101926240B1 (ko) 블로우다운 시스템
CN102049400B (zh) 一种新型在线自动水冲洗装置
JP2012012260A (ja) 水砕処理用脱水槽及びそれを備えた水砕製造装置
CN204460174U (zh) 蒸汽锅炉排污除氧系统
KR101538865B1 (ko) 누출가스 중화장치
KR20060109619A (ko) 감압증발 고농도 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207317561U (zh) 一种用于不洁蒸汽发电简易后路抽真空装置
CN110304782B (zh) 一种印染工业废水处理装置
JP2008309413A (ja) 密閉型冷却塔およびその排水方法
CN102269320B (zh) 煤气柜排放污水装置
CN203797867U (zh) 孵化厅空调新风机组加湿水回收再利用装置
JP5202240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6424142B2 (ja) し渣洗浄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7339895A (zh) 一种用于不洁蒸汽发电简易后路抽真空装置
RU2806711C1 (ru) Система отведения перелившейся воды из камеры налива воды в процессе аквавендинга
CN220489133U (zh) 一种锅炉排污系统
CN204816166U (zh) 冷凝水储存截污排放装置
CN204815761U (zh) 一种结晶液除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