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943B1 -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943B1
KR101925943B1 KR1020180045866A KR20180045866A KR101925943B1 KR 101925943 B1 KR101925943 B1 KR 101925943B1 KR 1020180045866 A KR1020180045866 A KR 1020180045866A KR 20180045866 A KR20180045866 A KR 20180045866A KR 101925943 B1 KR101925943 B1 KR 10192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lighting module
sensor
toile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두나
양은주
Original Assignee
서두나
양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나, 양은주 filed Critical 서두나
Priority to KR102018004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에 관한 것으로, 포스트부 패널; 포스트부 패널의 일면에 연결된 센서; 포스트부 패널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에 연결되어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제어부; 및 포스트부 패널 측이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홈부, 홈부 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조명 모듈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및 제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명 모듈의 발광 여부가 결정되고, 조명 모듈은 홈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경제적이며 설치 및 조명 교체가 용이하고, 멀리서도 쉽게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직접 화장실 칸 앞까지 다가설 필요 없이 질서있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Bathroom post having replaceable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hroom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활용하여 화장실 문의 개폐시 사용자의 사용 유무를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장실 포스트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칸막이는 판재와 부자재로 이루어져 있다. 판재는 쪽판, 중판,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자재는 상부 데코몰딩, 잠금세, 경첩, 받침대, 브라켓, 옷걸이, 스토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의 화장실은,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건물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서, 다수의 패널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화장실에 여러 개의 칸막이에 의해 큐비클들이 구성된 경우에는 어떤 칸이 사용 중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직접 두들기거나 열어보거나 잠금장치에 명시되어 있는 사용중 표시를 보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미 사용자가 화장실 칸에 있을 경우,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지 못하여 민망하고 불쾌한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헛걸음을 하는 동안 다른 칸에서 사람이 나온 경우, 화장실 사용 순서를 놓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사용 유무를 알기 위해 겪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조명을 사용하여 사용 유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장실 칸막이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특허등록번호 제10-1487733호에서는 잠금쇠의 직접 접촉에 의해 LED가 점등되는 도어용 점등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주요 구성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조명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잠금스위치를 돌려 타원형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회전판은 타원형 형상인 관계로 캠 운동을 하게 되어 잠금쇠는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삽입 또는 인출시켜 잠금쇠에 내설된 도전체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접지유무에 따라 LED는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번호 10-1487733호는 점등기구의 스위치가 도어의 잠금장치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점등기구가 점등되는 구성으로, 화장실의 구성부품 중에서 가장 고장이 많이 나는 부품이 화장실의 잠금장치인 점을 감안하면, 잠금장치에 내설된 스위치도 자주 고장이 나 점등기구 또한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점등기구가 점등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은 도어 및 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 공급되는데, 이때 전선은 도어와 프레임의 내부로 배선된 것으로, 도어 및 프레임 모두의 제작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도어에 연결된 전선에 실질적으로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선은 결국 도어가 아닌 프레임을 통해 천장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힌지 내부에 도전체가 매설돼야 하고 전선의 길이 또한 충분히 길어야 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 및 제작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명은 소모품으로서, 수명을 다할 경우에 교체를 해야하나, 화장실 칸막이나 도어에 조명이 매립된 경우,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쉽게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설치 및 조명 교체가 용이하고, 프라이버시가 보호 가능하도록 구성된 화장실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4487733 B1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경제적이며 설치 및 조명 교체가 용이하고, 쉽게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양호하며,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는, 포스트부 패널;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면에 연결된 센서;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 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 및 상기 제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 모듈의 발광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홈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듈은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된 기 설정된 높이까지만 타공되어 상기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모듈, 연결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은 모두 상기 홈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부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은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와 상기 조명 모듈은 (+)극을 이루는 연결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 모듈에는 조명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는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조명 전선 및 상기 센서 전선은 모두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부 패널 상측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회로는 개폐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심재보드가 제작되고 표면재가 부착되는 단계; (b) 상기 심재보드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 및 깊이만큼 타공되어 홈부가 형성되는 단계; (c)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상기 심재보드의 일면이 타공되어 통공부가 형성되는 단계; (d) 상기 홈부에 지지 프레임이 고정되는 단계; (e) 연결 프레임에 조명 모듈이 고정되는 단계; (f)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단계; (g)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이 상기 조명 모듈과 연결되는 단계; (h) 상기 홈부의 단면이 마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면은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부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센서와 상기 조명 모듈이 (+)극을 이루는 연결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g2) 상기 조명 모듈에 조명 전선이 연결되는 단계; 및 (g3) 상기 센서에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은,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 패널을 포함하는 제1 포스트부; 상기 제1 포스트부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힌지 연결된 제2 포스트부; 및 상기 제1 포스트부 및 상기 제2 포스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경제적이며 설치 및 조명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멀리서도 쉽게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직접 화장실 칸 앞까지 다가설 필요 없이 질서 있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내구성이 양호하여 화장실 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미세하게 칸막이와 문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문이 닫힘에 따라 조명이 들어오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과 설치가 모두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어 쾌적한 화장실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발광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연결 프레임 및 조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연결 프레임이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일면의 통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선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제조 방법의 조명 모듈 삽입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제조 방법의 센서 모듈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는 제1 포스트부(100)로서, 포스트부 패널(110), 센서부(120), 조명부(130) 및 잠금쇠 삽입부(1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부(200)는 본 발명의 제1 포스트부(100)와 상호작용하여 조명부(130)의 일부가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어부(200)는 도어부 패널(210), 제어부(220), 보호부(230), 잠금쇠부(240) 및 힌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제1 포스트부(100)는, 포스트부 패널(110);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면에 연결된 센서(122),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200)에 연결되어 센서(122)와 상호작용하는 제어부(220); 및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홈부(135), 홈부(135) 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33) 및 지지 프레임(133)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131)을 포함하는 조명부(130);를 포함하고, 조명 모듈(131)은 센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22) 및 제어부(220)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명 모듈(131)의 발광 여부가 결정되고, 조명 모듈(131)은 홈부(135)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포스트부(100)의 포스트부 패널(110)은 표면재(112)가 부착된 심재보드(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112)는 열경화성 수지 고압화 장판(HP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습기강화형 핫멜트 열경화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파티클보드(PB)인 심재보드(111)에 접착될 수 있다.
잠금쇠 삽입부(140)는 통상적으로 화장실 문을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잠금쇠 삽입부(140)는 도어부(200)에 부착된 잠금쇠부(240)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잠금쇠부(240)에는 사용자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도 열 수 있는 비상키 기능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30)는 센서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 모듈(131), 조명 모듈(131)이 고정되는 연결 프레임(132), 홈부(135) 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33), 조명 전선(134),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135)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마감부(13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모듈(131)이 홈부(135)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마감부(136)는 불투명 아크릴과 같은 재료로서 습기강화형 핫멜트 열경화 본드를 사용하여 심재보드(111) 단면에 홈부(135)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133)은 양면테이프 및/또는 실리콘 실란트(silicone sealant)를 통해 홈부(13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2)은 지지 프레임(133)과 결합 가능한 부재로서, 조명 모듈(131)이 연결 프레임(132)에 고정될 수 있다.
조명 모듈(131)의 조명은 LED인 것이 바람직하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수단만으로도 용이하게 연결 프레임(13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면 테이프가 사용되어 조명 모듈(131)이 연결 프레임(132)에 고정되면, 용접 작업이 필요 없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이 매립된 화장실 칸막이에 A/S가 발생하게 되면, 화장실 문 전체를 수정할 필요 없이, 탈부착 가능한 연결 프레임(132)만 분리하여 A/S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포스트부의 발광 범위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발광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31)은 도어부(200)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길이(d)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스트부 패널(110)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된 기 설정된 높이까지만 타공되어 홈부(135)가 형성되고, 조명 모듈(131), 연결 프레임(132) 및 지지 프레임(133)은 모두 홈부(135)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부(135)는 포스트부 패널(110)을 구성하는 심재보드(111)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루터기에 의해 루터 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가로 20mm, 세로 10mm의 두께로 절단 가공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135)의 가로(깊이) 단면이 더 짧을 경우에는 조명 모듈(131)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세로 단면이 더 길 경우에는 홈부(135)가 형성된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부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133)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33)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 패널(110)의 기 설정된 길이까지만 타공되어 홈부(135)가 형성되면 패널 하부(113)가 남게 된다. 패널 하부(113)에 의해 지지 프레임(133)이 용이하게 홈부(13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132) 및 조명 모듈(131)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연결 프레임(132) 및 조명 모듈(131)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31)은 연결 프레임(13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프레임(132)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132) 및 지지 프레임(133)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연결 프레임(132)이 지지 프레임(133)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31)은 연결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 프레임(133)과 연결되되, 연결 프레임(132)은 지지 프레임(133)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33)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연결 프레임(132)의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하부(113)에 의해 연결 프레임(132)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삽입된 조명 모듈(131)에는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조명 전선(134) 및 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극을 이루는 연결전선(123)이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120)에는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124)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더 참조하여 통공부(121)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일면의 통공부(121)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공부(121)를 통해 연결전선(123) 및 센서 전선(1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센서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여 전선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전선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는 통공부(121), 센서(122), 연결 전선(123) 및 센서 전선(1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부(121)는 루터기와 같은 장비에 의해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면이 타공됨으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센서(122)가 연결 전선(123)에 의해 조명 모듈(131)과 연결된 상태에서 포스트부 패널(110)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통공부(121)에 의해 연결 전선(123)뿐만 아니라 센서 전선(124)도 포스트부 패널(110)의 홈부(135)에 수용될 수 있어, 외부로 연결 전선(123) 및 센서 전선(124)이 노출되지 않는다.
조명 전선(134) 및 센서 전선(124)은 모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35)를 통해 포스트부 패널(110) 상측으로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부(120)는 포스트부 패널(110)의 일면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부(200)에 연결된 제어부(220)와 상호작용하여 조명부(130)의 발광 동작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및 2 참조).
센서부(120)와 제어부(220)는 도어부(200)가 폐쇄된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각각의 제1 포스트부(100) 및 도어부(200)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부(200)가 개방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와 제어부(220) 간의 거리는 멀어진다. 센서부(120) 및 제어부(220) 간의 거리에 따라 조명부(130)에서 실질적으로 발광하는 구성인 조명 모듈(131)에 흐르는 전류량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20)는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개폐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220)는 센서부(120)와의 거리에 따라 스위치를 개폐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0) 및 제어부(220)는 하나의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20) 및 제어부(220)는 서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조명부(130)의 발광되는 정도가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여 도어부(200)와 제1 포스트부(100)와의 상호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00)가 폐쇄됨에 따라 도어부(200)의 길이 (및/또는 홈부(135)의 길이)에 따라 조명부(130)가 발광되어 도어부(200)와 제1 포스트부(100) 사이로 빛이 통과하되, 외부에서 화장실 칸 안쪽으로의 시야가 차단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조명 모듈(131)이 필요 이상으로 구비되지 않아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동시에, 화장실 칸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은,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제1 포스트부(100), 제1 포스트부(100)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200), 도어부(200)와 힌지 연결된 제2 포스트부(300) 및 제1 포스트부(100)와 제2 포스트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칸막이(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도어부(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도어부 패널(210), 제어부(220), 보호부(230), 잠금쇠부(240) 및 힌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230)는 도어부(200)가 폐쇄될 시에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의 보호대를 사용할 수 있다. 힌지부(250)는 노출형 힌지로서 내구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을 도 11 내지 13을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제조 방법의 조명 모듈 삽입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131)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제조 방법의 센서 모듈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은 심재보드(111)를 제작하고 표면재(112)를 부착하는 단계(S100), 심재보드(111)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을 타공하는 단계(S200), 표면재(112)가 부착된 심재보드(111)의 일면을 타공하여 통공부(121)를 형성하는 단계(S300), 타공된 상기 일측인 홈부(135)에 조명 모듈(131)을 삽입하는 단계(S400), 센서부(12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조명 모듈(131)과 연결하는 단계(S500) 및 타공된 상기 일측의 단면을 마감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모듈(131)을 삽입하는 단계(S400)는, 홈부(135)에 지지 프레임(133)이 고정되는 단계(S410), 연결 프레임(132)에 조명 모듈(131)이 고정되는 단계(S420) 및 지지 프레임(133)에 연결 프레임(132)이 결합되는 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 모듈을 조명 모듈(131)과 연결하는 단계(S500)는 센서부(120)와 조명 모듈(131)이 (+)극을 이루는 연결 전선(1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조명 모듈(131)에 조명 전선(134)이 연결되는 단계(S510) 및 센서부(120)에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124)이 연결되는 단계(S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재보드(111)를 제작하고 표면재(112)를 부착하는 단계(S100)에서 심재보드(111)의 측면들 중 홈부(135)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측에 대해 PVC 엣지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제1 포스트부
110: 포스트부 패널
111: 심재보드
112: 표면재
113: 패널 하부
120: 센서부
121: 통공부
122: 센서
123: 연결 전선
124: 센서 전선
130: 조명부
131: 조명 모듈
132: 연결 프레임
133: 지지 프레임
134: 조명 전선
135: 홈부
136: 마감부
140: 잠금쇠 삽입부
200: 도어부
210: 도어부 패널
220: 제어부
230: 보호부
240: 잠금쇠부
250: 힌지부
300: 제2 포스트부
400: 칸막이

Claims (12)

  1. 포스트부 패널;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면에 연결되고 통공부, 센서, 연결 전선 및 센서 전선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스트부 패널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 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 및 상기 제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조명 모듈의 발광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홈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는 서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상기 조명부의 발광되는 정도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연결 프레임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된 기 설정된 높이까지만 타공되어 상기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모듈,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은 모두 상기 홈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5. 제 1 항에 있어서,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부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조명 모듈은 (+)극을 이루는 연결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 모듈에는 조명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는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조명 전선 및 상기 센서 전선은 모두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부 패널 상측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회로는 개폐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심재보드가 제작되고 표면재가 부착되는 단계;
    (b) 상기 심재보드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 및 깊이만큼 타공되어 홈부가 형성되는 단계;
    (c)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상기 심재보드의 일면이 타공되어 통공부가 형성되는 단계;
    (d) 상기 홈부에 지지 프레임이 고정되는 단계;
    (e) 연결 프레임에 조명 모듈이 고정되는 단계;
    (f)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단계;
    (g)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이 상기 조명 모듈과 연결되는 단계;
    (h) 상기 홈부의 단면이 마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부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센서와 상기 조명 모듈이 (+)극을 이루는 연결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g2) 상기 조명 모듈에 조명 전선이 연결되는 단계; 및
    (g3) 상기 센서에 (-)극을 이루는 센서 전선이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에 있어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 패널을 포함하는 제1 포스트부;
    상기 제1 포스트부의 일측에서 이동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힌지 연결된 제2 포스트부; 및
    상기 제1 포스트부 및 상기 제2 포스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KR1020180045866A 2018-04-20 2018-04-20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KR1019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66A KR101925943B1 (ko) 2018-04-20 2018-04-20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66A KR101925943B1 (ko) 2018-04-20 2018-04-20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43B1 true KR101925943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866A KR101925943B1 (ko) 2018-04-20 2018-04-20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849A (zh) * 2019-02-19 2019-04-26 华南理工大学 一种景观互动装置
KR102098796B1 (ko) * 2019-08-30 2020-04-08 신현호 도어와 포스트를 가지는 화장실의 구조
KR102097548B1 (ko) * 2019-11-19 2020-05-26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4513A (ko) * 2018-12-17 2020-06-25 박신애 측면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KR102363617B1 (ko) 2021-07-22 2022-02-16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32Y1 (ko) * 2003-02-11 2003-06-09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테크 조명 효과를 갖는 도어
KR200437735Y1 (ko) * 2007-02-08 2007-12-26 이승한 도어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32Y1 (ko) * 2003-02-11 2003-06-09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테크 조명 효과를 갖는 도어
KR200437735Y1 (ko) * 2007-02-08 2007-12-26 이승한 도어용 조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13A (ko) * 2018-12-17 2020-06-25 박신애 측면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KR102372498B1 (ko) * 2018-12-17 2022-03-10 박신애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CN109681849A (zh) * 2019-02-19 2019-04-26 华南理工大学 一种景观互动装置
CN109681849B (zh) * 2019-02-19 2024-04-30 华南理工大学 一种景观互动装置
KR102098796B1 (ko) * 2019-08-30 2020-04-08 신현호 도어와 포스트를 가지는 화장실의 구조
KR102097548B1 (ko) * 2019-11-19 2020-05-26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3617B1 (ko) 2021-07-22 2022-02-16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943B1 (ko)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NO20053085D0 (no) Elektromagnetisk leting etter hydrokarbonreservoarer
KR101182565B1 (ko) 어셈블리 키트
JP2011029067A (ja) ダクト式照明システム
US7125136B1 (en) Hollow doorframe including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system
KR101858191B1 (ko)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JP4431871B2 (ja) 照明付き手摺
US20020125247A1 (en) Electrical wiring box
KR101657007B1 (ko) 화장실용 조명장치
KR102097548B1 (ko)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59989A (ja) ドア装置
KR20090009813U (ko) 전선용 덕트를 가지는 건물 벽면형 조명기구
US20220322895A1 (en) Grab rail
KR101050193B1 (ko) 엘이디 조명이 구비된 위치확인 자동도어 시스템
JP2007120066A (ja) カードキーシステム
EP4105395A1 (en) Shower shelf, assembly and shower unit
JP2010040205A (ja) 照明装置
JP4591440B2 (ja) 配線システム
JPH10299211A (ja) 照明付手摺りブラケット
KR200241347Y1 (ko) 벽체 마감용 안내 덮개판
EP3659405B1 (en) Sensor system and apparatus
JPH054500Y2 (ko)
KR101841207B1 (ko) 엘이디 조명기구 조립체
KR20020038983A (ko) 계단용 논슬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