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17B1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617B1 KR102363617B1 KR1020210096218A KR20210096218A KR102363617B1 KR 102363617 B1 KR102363617 B1 KR 102363617B1 KR 1020210096218 A KR1020210096218 A KR 1020210096218A KR 20210096218 A KR20210096218 A KR 20210096218A KR 102363617 B1 KR102363617 B1 KR 102363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uminum molding
- post
- unit
- cover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심재, 제 1 마감재, 및 제 1 에지(edge)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심재, 제 2 마감재, 및 제 2 에지를 갖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의 제 1 에지 또는 상기 도어부의 제 2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조명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알루미늄 몰딩;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센서부와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부를 이루는 제 1 심재 및 도어부를 이루는 제 2 심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를 이루는 상기 제 1 심재 또는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상기 제 2 심재 중 어느 하나에 알루미늄 몰딩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일 측면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부를 이루는 제 1 심재 및 도어부를 이루는 제 2 심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를 이루는 상기 제 1 심재 또는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상기 제 2 심재 중 어느 하나에 알루미늄 몰딩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일 측면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칸을 이루는 포스트부나 도어부의 일측에 조명 모듈이 부착되어 해당 화장실 칸의 이용 여부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 화장실 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와 포스트부 사이에 유지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공중 화장실의 경우 하나 이상의 화장실 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화장실 칸의 사용 여부는 종래 노크를 통해서 또는 화장실 칸의 문 손잡이 등에 여러 가지로 표시될 수 있는 '사용 중' 표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종래 사용하고 있는 '사용 중' 표시는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가 해당 화장실 칸에 들어간 이후의 잠금 장치를 동작시켜서 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 중' 표시는 통상 크기가 작고, 따라서 직접 화장실 문 앞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사용 여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와 같은 해결책이 등장하였다.
특허 문헌 1은 포스트부 판넬에 형성한 홈부에 조명 모듈을 매립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고, 특허 문헌 2는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해당 화장실 칸 사용 여부를 발광 조명에 의해서 화장실 사용자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시인성이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고, 특허 문헌 2의 구성에 의하면, 특허 문헌 1에 의한 시인성이 양호하다는 장점에 추가하여 조명 모듈 자체의 교체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는 공통적으로 매립 또는 내장된 조명 모듈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마감부를 강제로 분리하여 해당 조명 모듈을 교체해야 하고 조명 모듈을 교체한 이후에는 다시 마감부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다소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는 공통적으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형성하기 위해서 통공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있어 공정수가 다소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동시에 해당 센서의 기능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부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어 미관상 불리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정수를 간단하게 하면서 조명 모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으로 화장실 칸의 미려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조명 모듈의 교체가 용이하고 각 화장실 칸의 미려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 역시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은, 제 1 심재, 제 1 마감재, 및 제 1 에지(edge)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심재, 제 2 마감재, 및 제 2 에지를 갖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의 제 1 에지 또는 상기 도어부의 제 2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조명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알루미늄 몰딩;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센서부와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조립시에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끼워 맞춰져서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는 분리시에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들어 올려가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감재 또는 상기 제 2 마감재는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기 센서부는 자성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또는 상기 도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자석(magnet)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은 "ㄷ"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 몰딩은 상기 "ㄷ"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내측으로 향해서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제 1 마감재 또는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제 2 마감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커버부 베이스; 상기 커버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제 1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 또는 상기 제 2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가 끼워지는 돌출부; 상기 커버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제 1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의 거리 또는 상기 제 2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의 거리만큼 안쪽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 및 상기 커버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만곡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만곡부의 높이("h")만큼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스트부를 이루는 제 1 심재 및 도어부를 이루는 제 2 심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를 이루는 상기 제 1 심재 또는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상기 제 2 심재 중 어느 하나에 알루미늄 몰딩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일 측면에 커버부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에서 조립은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에서 분리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들어 올려가면서 제거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을 부착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LED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포스트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자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의 각 실시예나 첨부 도면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 및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서 청구하고 있는 범위에 의해 정의됨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을 제작함에 있어서, 공정수가 간단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을 제작함에 있어서, 조명 모듈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을 제작함에 있어서, 각 화장실 칸의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미려한 화장실 칸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다른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칸 중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에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Al) 몰딩과 커버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과 자석 센서가 부착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 센서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칸 중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에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Al) 몰딩과 커버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과 자석 센서가 부착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 센서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단수의 의미만을 가지는 것으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임의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거나,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이 제 3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사이에"나 "바로 ~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이나 "~에 직접 이웃하는" 등의 표현도 동일한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관련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각 구성 요소의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서 지시하고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기재는, 기재되는 경우, 각 단계의 표시를 위한 식별 부호(도면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이며, 이들 식별 부호는 각 단계의 순서를 확정적으로 지정하여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문맥상 각 단계의 특정 순서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는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의 순서와 상이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순서대로 발생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필요하다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정반대로 역방향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 단계를 생략한 채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기타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구성, 및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구성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 중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적인 구성 및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칸 중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확대도에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칸은, 대별하여, 제 1 포스트부(200), 도어부(300), 및 제 2 포스트부(400)를 포함하며, 이들의 양쪽에 위치하는 각각의 벽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쪽의 벽부(100)를 도시하였지만, 예컨대, 다중이 이용하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각 화장실 칸은 인접하여 다른 화장실 칸이 위치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제 1 포스트부(200), 도어부(300), 및 제 2 포스트부(400)를 도 1의 도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무한하게 연장되어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상부 장식부(500)는 필요에 따라서 형성할 수도 있고,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선택적인 구성이다.
상부 장식부(500)는 도어부(300)의 위쪽에 상부 공간(350)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와 같이 도어부(300)의 위쪽에 상부 공간(350)을 형성하여 두면 공간적인 개방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1 포스트부(200)와 제 2 포스트부(400)의 상부에도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은 순전히 디자인의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1 포스트부(200)와 제 2 포스트부(400)의 하방에는 받침대(202, 402)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받침대(202, 402)의 설치는 법규에 의한 필요 등에 따라서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선택적인 구성임을 알아야 한다.
한편, 제 1 포스트부(200)에는 그 일측면에 해당 제 1 포스트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조명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210)가 제 1 포스트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경우, 실제로 제 1 포스트부(20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설치될 수 도 있고, 예컨대, 제 1 포스트부(210)의 상부 절반 또는 하부 절반 또는 상하부 각각 1/3 정도에만 조명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조명부(2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길게 또는 짧게 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프라이버시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조명부(210)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일측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하다면, 제 1 포스트부(200)와 대향하는 도어부(300)의 일측면 또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도어부(300)와 대향하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어부(300)의 일측면 또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면에 조명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일측면에 형성한 조명부(21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조명부를 형성하면 시인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화장실 칸을 포함하는 전체 화장실을 간접 조명하는 역할 및 화장실 내부 전체에 대한 인테리어적인 조명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어부(300)의 일측 또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에 조명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조명부가 도어부(300)의 일측 또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지 않아도 되며, 일부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해당 화장실 칸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제 1 포스트부(200)에 형성하는 조명부(210)에 의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도어부(300)의 일측 또는 제 2 포스트부(400)의 일측에 형성한 조명부는 제 1 포스트부(200)에 형성한 조명부(210)과는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고, 밝기 또한 제 1 포스트부(200)의 일측면에 형성한 조명부(210)와 다른 밝기, 예컨대 조금 더 밝거나 어두울 수도 있다.
도어부(300)에는, 통상의 화장실 도어가 가지는 구성, 예컨대, 도어 손잡이(310), 적어도 한 쌍의 도어 힌지(320), 및 도어 스토퍼(330) 등이 더 설치될 수 있고, 도어 손잡이(310)의 반대쪽, 즉 화장실 내부측에는 화장실 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잠금 바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기타 도어부(300)와 제 1 포스트부(200) 및 제 2 포스트부(400) 등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브래킷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300)에는 매립된 자석(340)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도어부(300)에 조명부(21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포스트부(200)에 자석(34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자석(340)은 도 2에 나타낸 자석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222, 더욱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참조)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자석(340)은 도어부(300)가 개폐됨에 따른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석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2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22)의 설치 위치는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으나, 미관을 위해서는 도어부(300)의 도어 스토퍼(330)에 인접하는 도어부(300)의 가능한한 높은 곳에 설치되거나, 반대로 도어부(300)의 가능한한 낮은 곳에 설치되면 인테리어적으로 더욱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도어부(300)의 일측면에 설치된, 바람직하게는 매립된 자석(340)은 도어부(300)가 개폐됨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자성의 강도가 변동하게 되며, 이 자성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부(222)가 도어부(300)의 개폐를 감지하여 스위칭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이 스위칭 작용의 결과, 조명부(210) 내에 매립된 조명 모듈(224 및 226), 특히 LED 조명(226)을 점등 및/또는 소등할 수 있다.
LED 조명(226)이 점등되면 해당 화장실 칸은 사용 중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222)와 LED 조명(226)에 필요한 전력은, 예컨대, 상부 장식부(500) 내에 내장되는 전원부를 통해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원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상부 장식부(500) 내로 한정되지는 않고, 화장실 내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전력의 공급을 위해서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조명부(210)를 이루는 알루미늄 몰딩(220) 내의 공간을 활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부 장식부(500)가 제 1 포스트부(100)(또는 제 2 포스트부(400))와 일정 정도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제 1 포스트부(100)의 최상단면을 따라서 전력 공급선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어부(300)에 알루미늄 몰딩(220)을 설치한 다음, 해당 도어부(300)의 알루미늄 몰딩(220)에, 후술하는, 자석 센서로서의 센서부(222)나 조명 모듈(224, 226)을 매립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경제적인 관점에서 도어부(300)의 최상단면을 따라서 전력 공급선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만, 도어부(300)에 전력 공급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적어도 한 쌍의 도어 힌지(320),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위치한 힌지(320) 내부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포스트부(200) 및/또는 도어부(300)의 최상단면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필요하다면, 이들 최상단면의 일부를 루터기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빈 공간을 천공한 다음, 해당 빈 공간을 통해서 전력 공급선을 배치하면 작업 공수의 감소와 함께 전력 공급선을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감출 수 있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명부(210) 내의 센서부(222)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부(300)의 측면에 자석(340)이 설치되므로, 해당 도어부(300)에는 전력 공급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제 1 포스트부(200)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선을 배선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도어부(300)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선이 배선되지 않아도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대폭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역으로, 도어부(300)에 조명부(210)를 설치하고 제 2 포스트부(400)에 자석(34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 2 포스트부(400)에만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선을 배선하기만 하면 되고, 도어부(300)에는 자석만 설치하면 충분하므로 마찬가지로 설계의 자유도가 대폭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면 부호 240은 제 1 포스트부(200)의 일 측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제 1 에지에 접합되는 알루미늄 몰딩(220)(도 3 참조)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부착될 수 있는 커버부를 나타낸다.
제 1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포스트부(200)와 도어부(300)가 서로 만나는 제 1 포스트부(200) 측의 길이 방향의 측면을 지칭한다.
커버부(240)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내부에 매립되어 장착된 조명 모듈(224 및 226)로부터의 빛(light)이 대향하는 도어부(300)를 향해서 방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반투명한 재료, 예컨대,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40)가 완전하게 투명하면 과도한 빛이 방출되어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커버부(240)의 불투명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방출되는 빛이 너무 적어, 예컨대, 프라이버시 보호에 미흡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술한 폴리 카보네이트 이외에도 적절한 수준의 반투명한 성질을 가진 재료인 경우 강도의 문제만 없다면 어떠한 소재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커버부(240)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입구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몰딩(22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2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커버부(240)를 알루미늄 몰딩(220)에 부착, 즉 조립할 때, 이 커버부(240)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알루미늄 몰딩(220)에 끼워 맞춰서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240)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알루미늄 몰딩(220)에 끼워 맞춰서 부착하게 되면, 알루미늄 몰딩(220)으로부터 커버부(24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통상적인 충격에 의해서는 알루미늄 몰딩(220)으로부터 커버부(24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이라는 것은, 제 1 포스트부(2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하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이나 하단을 동시에,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중간 위치, 또는 한번에 알루미늄 몰딩(220)의 전체 길이를 누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커버부(240)의 어느 일측을 누를 때는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손으로 누를 수도 있고, 고무 망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두드려 가면서 작업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으로 눌러서 작업하든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든, 커버부(240)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개소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커버부(240)를 눌러 가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반대로, 커버부(240)를 알루미늄 몰딩(220)에서 제거, 즉 분리할 때는, 이 커버부(240)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들어 올려가면서 알루미늄 몰딩(220)에 끼워 맞춰진 커버부(240)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이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포스트부(2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하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이나 하단을 동시에,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중간 위치, 또는 한번에 알루미늄 몰딩(220)의 전체 길이를 들어 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커버부(240)의 어느 일측을 들어 올릴 때는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손톱 끝으로 잡아서 들어 올릴 수도 있고, 탈착 전용 레버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면 부호 204 및 304는 각각 제 1 포스트부(200) 및 도어부(300)의 외측, 즉 화장실 칸 내부에서 바라봤을 때의 외측에 마감 처리된 마감재를 나타낸다.
제 1 포스트부(200)와 제 2 포스트부(400)는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포스트부(200)의 폭이 제 2 포스트부(400)의 폭보다 더 넓은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포스트부(200)는 파티클 보드(PB)로 이루어지는 제 1 심재(202)와, 고압 멜라민 함침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으로 알려진 HPM(High Pressure Melamine)으로 형성되는 제 1 마감재(204, 206)로 그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유사한 구조를 갖는 도어부(300)도 파티클 보드(PB)로 이루어지는 제 2 심재로서의 심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고압 멜라민 함침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으로 알려진 HPM(High Pressure Melamine)으로 형성되는 제 2 마감재(304, 306)로 그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있다.
한편, 도어부(300)의 일측면에는 제 1 포스트부(200)와는 달리 알루미늄 몰딩(2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2 에지로서의 에지(308)가 상기 심재와 마감재(304, 306)(제 2 마감재)를 덮고 있을 수 있다.
상기한 파티클 보드(PB)나 HPM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공지된 구성이라고 판단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화장실 칸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한 파티클 보드(PB) 또는 HPM 이외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제 1 포스트부(200)는 마감재(204, 206)(제 1 마감재)가 심재(202)와 알루미늄 몰딩(220) 전체를 덮도록 마감 처리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감재(204, 206)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양쪽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마감재(204, 206)가 심재(202)와 알루미늄 몰딩(220) 전체를 덮도록 마감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포스트부(200)는 종래의 포스트부나 도어부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외관과 동일한 외관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심재(202)에 부착된 알루미늄 몰딩(220)의 존재는 마감재(204, 206)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숨겨져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조명부가 도어부(300)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마감재(304, 306)가 도어부(300) 전체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206 및 306은 각각 제 1 포스트부(200) 및 도어부(300)의 내측, 즉 화장실 칸 내부에서 바라봤을 때의 내측에 마감 처리된 마감재를 나타낸다.
이때, 제 1 포스트부(200)의 심재(202)가 연장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 조명부(210)는, 각각, 제 1 포스트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알루미늄(Al) 몰딩(220)과, 이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자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센서부(222)와 조명 모듈(224 및 2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22)와 조명 모듈(224 및 226)을 별도로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연속되어 형성된 조명 모듈(224 및 226)의 일부에 센서부(222)를 결합하여 단일 부품으로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센서부(222)에 미소 전류만 필요하다는 점과 단시간만 동작하면 된다는 점을 감안할 것으로, 이와 같이 센서부(222)와 조명 모듈(224 및 226)을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설계 자유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220)은 제 1 포스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상부 장식부(500)로부터 최하단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220)은 심재(202)의 두께와 동일한 폭 방향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마감재(204)와 마감재(206) 사이의 폭 방향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220) 자체의 두께는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mm 미만의 두께라면 내구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고, 1 mm를 상회하는 두께라면 가공 과정에서 불필요한 가공 난이도가 우려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 몰딩(220)은,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몰딩(220)에는 커버부(24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부착될 수 있도록 그 선단의 양쪽이 각각 "┏" 형상과 "┓" 형상으로 만곡되어 꺽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알루미늄 몰딩(220)은 "ㄷ" 형상의 양 단부가 알루미늄 몰딩(220)의 내측으로 향해서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도면 부호 미지정)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만곡부는,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 형상과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알루미늄 몰딩(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240)의 구성과 다르게 도어부(300)에 형성된 제 2 에지로서의 에지(308)에 커버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형례가 가능하다.
상기한 커버부(240)와 제 2 에지(308)는 제 1 포스트부(200)와 도어부(300)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제 2 포스트부(400) 및/또는 도어부(300)에도 이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몰딩(220)을 제 1 포스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심재(202)에 양호하게 고정하여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핫 멜트(Hot Melt)를 도포한 다음에 안정적인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예컨대 24 시간 정도의 양생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이와 같이 접착제의 양생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두 군데, 바람직하게는 두 군데 이상의 개소에 나사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몰딩(220)에 고정 부착되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포스트부(200)의 마감재(204, 206)가 심재(202)와 알루미늄 몰딩(220) 전체를 덮도록 마감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몰딩(220)을 알루미늄으로 압출하여 성형하였으나, 사출 성형 등의 작업에서의 가공 수율의 문제와 최종 부착 후의 내구성의 문제만 해결될 수 있다면, 그 소재를 알루미늄(Al)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센서부(222)는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22)의 매립은 센서부(222) 본체 바닥에 형성된 양면 접착 테이프의 구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센서부(222)는 접착제가 아니라 나사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명 모듈(224, 226) 역시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조명 모듈(224, 226)은 각각 조명 모듈 베이스(224)와 이 조명 모듈 베이스(224) 위에 고정되어 있는, 예컨대, LED 조명(226)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 베이스(224)의 하부에는 알루미늄 몰딩(220)에 조명 모듈(224, 226)을 용이하게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양면 접착 테이프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부(2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어부(300)에 매립된 자석(340)의 자성을 감지하여 조명 모듈(224, 226)의 점등 및/또는 소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222)는, 사용자가 도어부(300)를 닫으면 점등되고, 반대로 도어부(300)를 열면 소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매립된 센서부(22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조명 모듈(224, 226)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센서부(222)에 대향하는 위치에 조명 모듈(224, 226)을 부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르게는, 상호간 간섭을 고려하여, 센서부(222)를 알루미늄 몰딩(220)의 바닥부, 즉 심재(202) 방향으로 향하는 바닥부에 매립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조명 모듈(224, 226)을 알루미늄 몰딩(220)의 바닥부에 매립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설치는 센서부(222)와 조명 모듈(224, 226)의 배치에 상호 간섭만 일어나지 없다면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조명 모듈(224, 226)을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할 수도 있고, 알루미늄 몰딩(220)의 사이즈가 소형화되어 센서부(222)와의 간섭이 우려되면 센서부(222) 위치에서는 해당 센서부(222)를 건너뛰고 조명 모듈(224, 226)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 1 포스트부(200)의 마감재(204)와 마감재(206)는 각각 해당 화장실 칸의 내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 마감재(204)와 내측 마감재(206)를 이루고 있으며, 심재(202)에 부착된 알루미늄 몰딩(220)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최말단까지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측 마감재(204)와 내측 마감재(206)는 알루미늄 몰딩(220)이 심재(202)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는 양생을 거친 후에 유성 접착제, 예컨대 PUR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모듈(224, 226)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알루미늄 몰딩(220)의 내측 일면에 센서부(222)가 수직 방향으로 매립되어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3과 달리 커버부(240)가 부착되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Al) 몰딩과 커버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제 1 포스트부(200)의 심재(202)와 이 심재(202)에 고정 부착된 알루미늄 몰딩(220)의 외측면을 따라서 마감재(204, 206)가 화장실 칸의 내외측을 따라서 동일한 양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몰딩(220)의 최하단에 커버부(240)가 큰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커버부(240)는 각각 "┏" 형상과 "┓" 형상으로 꺽여져 있는 알루미늄 몰딩(220) 선단의 양쪽에 끼워 맞춰져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w'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와 마감재(204, 206)의 두께를 모두 포함하는 폭을 나타낸다.
도 5에서는 마감재(204, 206)만을 도시하였으나, 마감재(304, 30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알루미늄 몰딩에 부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의 커버부(240)는 제 1 심재(202)와 제 1 마감재(204, 206)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즉 제 1 포스트부(200)의 전체 두께와 대응하는 폭을 갖는 커버부 베이스(242)와,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 일측을 이루는 만곡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폭과 마감재(204, 206)의 폭을 포함하는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하여 각각 형성되고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측에 형성된 만곡부의 높이('h') 만큼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수직 부재(246, 246)와,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 일측의 만곡부에 결합될 수 있는, 도면에서 보아,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248, 2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커버부 베이스(242)의 좌우측 양단부에는, 도면에서 보아,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244, 2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커버부(240)는 제 1 심재(202)와 제 1 마감재(204, 206)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커버부 베이스(2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심재와 제 2 마감재(304, 306)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하게 이들 제 2 심재와 제 2 마감재(304, 306)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커버부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베이스(242)는 그 양단부에는 제 1 마감재(204, 206)에 끼워지는 돌출부(244, 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마감재(304, 306)에 대해서도 이들 제 2 마감재(304, 306)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커버부 베이스(242)의 양측단에서 제 1 마감재(204, 206)와 만곡부까지의 거리("w")(또는 제 2 마감재(304, 306)와 만곡부까지의 거리)만큼 안쪽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246, 246)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직 부재(246, 246)는 만곡부의 높이("h")만큼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포스트부(200)와 커버부(240)의 결합 상태는 도 3에 이미 나타낸 바 있다.
도 5는 제 1 포스트부(200)와 커버부(2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예컨대, 도면의 상측을 따라서 큰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부(240)를 이동시켜,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의 만곡부에 커버부(240)의 돌출부(248, 248)가 끼워 맞춤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당연하지만, 돌출부(248, 248)의 내구성을 위해서라면 해당 돌출부(248, 248)의 형상이나 두께를 변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도면에서는, 돌출부(248, 248)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수평 방향에 대해서 아래쪽인 하향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돌출부(248, 248)의 두께도 도시한 두께보다 더 얇게 또는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40)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240)를 형성하여 두면, 향후, 각각의 화장실 칸을 운용할 때, 제 1 포스트부(200)(다르게는 도어부(300), 또 다르게는 제 2 포스트부(400) 등)에 형성한 알루미늄 몰딩(210) 내에 매립되어 부착된 센서부(222) 및/또는 조명 LED(226)가 오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경우에, 커버부(240)를 분리한 다음 해당 부품을 교체한 다음 다시 커버부(240)를 덮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이는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 등에 의해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본 발명만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40)의 양 돌출부(244, 244)는 대응하는,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300)의 에지(308)의 깔끔한 마감 처리와는 달리, 이들 돌출부(244, 244)가 마감재(204, 206)의 외부로 튀어나와 있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미관을 위해서 필요하다면, 이들 양 돌출부(244, 244)를 삭제한 커버부(2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부(240)의 수직 부재(246, 246)와, 특히 이 수직 부재(246, 246)의 돌출부(248, 248)가 조명부(210)를 이루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개방측 단부 일측을 이루는 만곡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견고도 또는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없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과 자석 센서가 부착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 센서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단계는 파티클 보드 제작 단계(S100),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S200), 마감재 부착 단계(S300), 및 알루미늄 몰딩에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파티클 보드 제작 단계(S100)는 본 발명의 제 1 심재(202) 또는 제 2 심재를 파티클 보드로 제작하는 단계이다.
제 1 심재(202)는 제 1 포스트부(200)를 이루고, 제 2 심재는 도어부(300)를 이룰 수 있다.
파티클 보드는 원목으로 목재를 생산하고 남은 잔재를 파쇄하여 재사용하는 부재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통상적인 목재가 나타내는 팽창과 수축 결함이 거의 없다는 장점과 함께, 원목이나 합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므로 널리 사용되는 부재이다.
파티클 보드 제작 단계(S100)에서, 각각의 파티클 보드는, 후술하는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S200)에서 부착되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사이즈, 예컨대, 제 1 심재(202)로부터 커버부(240)까지의 알루미늄 몰딩(22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파티클 보드를 제작(S100)한 이후에,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몰딩(220)은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그 일측면에 핫 멜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 다음 충분한 양생을 거쳐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양생하여 고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나사나 택커(tacker)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알루미늄 몰딩(220)을 고정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몰딩(220)은 도어부(300) 및/또는 제 2 포스트부(400)에도 부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어서, 마감재 부착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마감재(예컨대, 204, 206)는 제 1 심재(202)의 폭에 더하여 알루미늄 몰딩(220)의 높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즉 제 1 포스트부(200)의 양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마감재(204, 206)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몰딩(220)의 최말단부까지 완전하게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감재는 제 1 포스트부(200)의 제 1 심재(202)와 알루미늄 몰딩(220), 또는 도어부(300)의 제 2 심재와 알루미늄 몰딩 중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고 있을 수 있다.
이후에, 알루미늄 몰딩에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커버 또는 커버부(240)는 알루미늄 몰딩(22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알루미늄 몰딩(220)의 일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덮도록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240)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어느 한쪽, 예컨대, 각 화장실 칸을 이루는 제 1 포스트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작업용 고무 망치 등으로 두드려 가면서, 도 5에 나타낸 "┏" 형상과 "┓" 형상으로 꺽여져 있는 알루미늄 몰딩(220) 선단의 양쪽에 커버부(240)의 수직 부재(246, 246)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220)에 결합된 커버부(240)는, 조명부(210) 내부의 센서부(222)나 LED 조명(226) 등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동일한 요령에 따라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어느 한쪽, 예컨대, 각 화장실 칸을 이루는 제 1 포스트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간단한 도구, 예컨대 탈착 전용 레버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힘을 주면서 들어 올려서, 도 5에 나타낸 "┏" 형상과 "┓" 형상으로 꺽여져 있는 알루미늄 몰딩(220) 선단의 양 만곡부에 결합된 커버부(240)의 돌출부(248, 248)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분리의 방향은,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으나, 제 1 포스트부(200)가 이미 설치된 상태이므로, 제 1 포스트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반대로 제 1 포스트부(2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해서 분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부(210)의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매립된 센서부(222)가 도어부(300)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센서부(222)가 고장나는 경우, 제 1 포스트부(200)의 상측으로부터 커버부(240)를 분리하면, 더욱 간단하게 해당 센서부(222)만 교체하는 것으로 신속하게 수리를 종료할 수 있다.
이후에 필요한 수리를 행하고, 역순으로, 제 1 포스트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또는 반대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해서 커버부(240)를 재조립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재조립 작업은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커버부(240)를 일일이 커버부(240)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끼워 맞추면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고무 망치나 나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제 1 포스트부(2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커버부(240)를 두드려가면서 수행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이라는 것은, 제 1 포스트부(2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하단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상단이나 하단을 동시에, 또는 알루미늄 몰딩(220)의 중간 위치, 또는 한번에 알루미늄 몰딩(220)의 전체 길이를 누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복수의 개소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커버부(240)를 눌러 가면서 끼워 맞추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S200)의 수행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해당 단계의 직전 또는 직후에, 알루미늄 몰딩 내에 LED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S220)와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석 센서(즉, 센서부(222))를 부착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S220)와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석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S24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알루미늄 몰딩(220)과 이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조명 모듈(224, 226)과 센서부(222)를 각각 부착하는 단계로, 그 실행 순서는 순차적으로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즉, 조명 모듈(224, 226)을 먼저 부착하고 센서부(222)를 부착하여도 되고, 반대로 센서부(222)를 먼저 부착하고 조명 모듈(224, 226)을 나중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조명 모듈(224, 226)과 센서부(222)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구성에 의해서 알루미늄 몰딩(220) 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 테이프 이외의 다른 방법, 예컨대, 나사나 택커(tacker)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센서부(222)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센서로서의 센서부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자석(34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222)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매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자석(340)은 제 1 포스트부(200)와 마주하는 도어부(300)에 매립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 2 포스트부(400)와 마주하는 도어부(300)에도 선택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자석(340)은 도어부(300)의 최상부, 바람직하게는 도어 스토퍼(330)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에 매립될 수도 있고, 도어부(300)의 최하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자석(340)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어부(300)의 에지(308)를 부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매립하기 위해서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자석(340) 직경 정도의 구멍을 형성한 다음 억지 끼워 맞춤으로 매립하여 두면 도어부(300)를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이 도어부(300)에 상당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자석(340)이 탈락될 우려는 없게 된다.
자석(340) 매립시 드릴 등으로 형성한 구멍에 소정의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해당 자석(340)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더욱 양호한 접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여러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벽부
200 : 제 1 포스트부
202 : 제 1 심재
202, 402 : 받침대
204, 206 : 마감재
210 : 조명부
220 : 알루미늄 몰딩
222 : 센서부
224 및 226 : 조명 모듈
226 : LED 조명
240 : 커버부
242 : 커버부 베이스
244, 244 : 돌출부
246, 246 : 수직 부재
248, 248 : 돌출부
300 : 도어부
308 : 제 2 에지
310 : 도어 손잡이
320 : 도어 힌지
330 : 도어 스토퍼
340 : 자석
350 : 상부 공간
400 : 제 2 포스트부
500 : 상부 장식부
S100 : 파티클 보드 제작 단계
S200 :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
S220 :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
S240 :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석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S260 : 자석 센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
S300 : 마감재 부착 단계
S400 : 알루미늄 몰딩에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
200 : 제 1 포스트부
202 : 제 1 심재
202, 402 : 받침대
204, 206 : 마감재
210 : 조명부
220 : 알루미늄 몰딩
222 : 센서부
224 및 226 : 조명 모듈
226 : LED 조명
240 : 커버부
242 : 커버부 베이스
244, 244 : 돌출부
246, 246 : 수직 부재
248, 248 : 돌출부
300 : 도어부
308 : 제 2 에지
310 : 도어 손잡이
320 : 도어 힌지
330 : 도어 스토퍼
340 : 자석
350 : 상부 공간
400 : 제 2 포스트부
500 : 상부 장식부
S100 : 파티클 보드 제작 단계
S200 : 알루미늄 몰딩 부착 단계
S220 : 알루미늄 몰딩 내에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
S240 :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석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S260 : 자석 센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을 매립하는 단계
S300 : 마감재 부착 단계
S400 : 알루미늄 몰딩에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
Claims (14)
- 제 1 심재, 제 1 마감재, 및 제 1 에지(edge)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심재, 제 2 마감재, 및 제 2 에지를 갖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의 제 1 에지 또는 상기 도어부의 제 2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조명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알루미늄 몰딩;
상기 알루미늄 몰딩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센서부와 조명 모듈;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서 부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조립시에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끼워 맞춰져서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는 분리시에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들어 올려가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감재 또는 상기 제 2 마감재는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기 센서부는 자성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스트부 또는 상기 도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자석(magnet)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은 "ㄷ"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 몰딩은 상기 "ㄷ"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내측으로 향해서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제 1 마감재 또는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제 2 마감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커버부 베이스;
상기 커버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제 1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의 거리 또는 상기 제 2 마감재와 상기 만곡부의 거리만큼 안쪽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 및
상기 커버부 베이스의 양측단에서 상기 만곡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만곡부의 높이만큼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 포스트부를 이루는 제 1 심재 및 도어부를 이루는 제 2 심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를 이루는 상기 제 1 심재 또는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상기 제 2 심재 중 어느 하나에 알루미늄 몰딩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부의 상기 제 1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또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제 2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몰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덮도록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 몰딩의 일 측면에 커버부를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에서 조립은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눌러 가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알루미늄 몰딩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에서 분리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들어 올려가면서 알루미늄 몰딩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몰딩을 끼워 맞춰서 부착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 몰딩 내에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LED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포스트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자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218A KR102363617B1 (ko) | 2021-07-22 | 2021-07-22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218A KR102363617B1 (ko) | 2021-07-22 | 2021-07-22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3617B1 true KR102363617B1 (ko) | 2022-02-16 |
Family
ID=8047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218A KR102363617B1 (ko) | 2021-07-22 | 2021-07-22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6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6998B1 (ko) * | 2023-03-15 | 2024-11-06 | 박진수 | 연결부재가 구비된 시선차단용 화장실 칸막이 에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91B1 (ko) | 2017-10-11 | 2018-05-15 | 서두나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KR101925943B1 (ko) | 2018-04-20 | 2018-12-06 | 서두나 |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218A patent/KR102363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91B1 (ko) | 2017-10-11 | 2018-05-15 | 서두나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KR101925943B1 (ko) | 2018-04-20 | 2018-12-06 | 서두나 |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6998B1 (ko) * | 2023-03-15 | 2024-11-06 | 박진수 | 연결부재가 구비된 시선차단용 화장실 칸막이 에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3953B1 (ko) | 사용이 편리한 광고판넬 조립구조 | |
WO2005019561A3 (en) | Skylight having a molded plastic frame | |
KR101925943B1 (ko) |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포스트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실 유닛 | |
RU2402726C1 (ru) | Узел наружной панели холодильника | |
KR102363617B1 (ko)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화장실 칸,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10514162B2 (en) | Bathtub having at least one window and method of making a window in a bathtub | |
HK1073235A1 (en) | A carcass member with flap | |
US20070157375A1 (en) | Decco bath & shower works | |
JP2006241877A (ja) | 機能門柱 | |
CN210868243U (zh) | 晾衣机照明控制系统及晾衣机 | |
KR102097548B1 (ko) |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 |
CN209855455U (zh) | 一种具有装饰套的指纹挂锁 | |
CN205458391U (zh) | 马桶盖及马桶 | |
CN211923678U (zh) | 一种内装式的整体卫浴 | |
CN207960385U (zh) | 一种内嵌式木门 | |
US20070051537A1 (en) | Garage door drive | |
KR102075231B1 (ko) | 조립식 화장실 | |
KR20100093352A (ko) |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 | |
KR200482917Y1 (ko) |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 |
CA2930048A1 (en) | Enclosure for a drive unit of a garage door drive | |
KR100932432B1 (ko) |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 |
KR20050091431A (ko) | 디스플레이 프레임 | |
CN218708439U (zh) | 一种高透光观光电梯轿顶装置 | |
CN211422108U (zh) | 用于门锁的面板组件和门锁 | |
KR200316875Y1 (ko) | 합성수지 문짝의 조립식 장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