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54B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54B1
KR101925754B1 KR1020180073662A KR20180073662A KR101925754B1 KR 101925754 B1 KR101925754 B1 KR 101925754B1 KR 1020180073662 A KR1020180073662 A KR 1020180073662A KR 20180073662 A KR20180073662 A KR 20180073662A KR 101925754 B1 KR101925754 B1 KR 10192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transfer
transfer hole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8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twi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유체 흐름을 원활히 하는 밸브가 개시된다. 상기 밸브는 제 1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1 코어, 제 2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2 코어 및 상기 제 1 코어의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상기 제 2 코어의 제 2 유체 이송공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 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일 종단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타 종단이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은 유체 차단부들과 각기 만나서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을 통하여 흐르지 않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기 개폐부의 종단면에 함께 형성되며,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호 90도 각도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이어프램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 이송공 내에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각진 부분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유체 이송공 내에서 와류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유체 이송량이 적어질 수밖에 없었다.
KR 20-2010-0005032 A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원활하게 만드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는 제 1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1 코어; 제 2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2 코어; 및 상기 제 1 코어의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상기 제 2 코어의 제 2 유체 이송공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 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일 종단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타 종단이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은 유체 차단부들과 각기 만나서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을 통하여 흐르지 않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기 개폐부의 종단면에 함께 형성되며,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호 90도 각도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밸브는 개폐부에 유선형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며, 그 결과 제 1 코어의 유체 이송공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개폐부의 유체 이송공을 통하여 제 2 코어의 유체 이송공으로 흐른다. 이러한 유체 흐름 과정에서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체 흐름이 원활하고 와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밸브이며,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의 유체 이송공들, 특히 개폐부의 유체 이송공이 유선형(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어서 유체 이송공 내에서 와류(소용돌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밸브는 본체(200), 코어들(100 및 102), 개폐부(300,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및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코어들(100 및 102)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철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코어(100)는 본체(2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 1 코어(100)의 내측면에는 유체 이동을 위한 홀(유체 이송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 1 코어(100)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이송공의 입력단은 유체의 원활한 유입 및 연결되는 부재와의 연결 용이성을 위하여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되, 개폐부(300)의 인근에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코어(102)는 본체(2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 2 코어(102)의 내측면에는 유체 이동을 위한 홀(유체 이송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 2 코어(102)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이송공의 출력단은 유체의 원활한 배출 및 연결되는 부재와의 연결 용이성을 위하여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되, 개폐부(300)의 인근에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체 이송공(1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이송공(104)은 유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들(100 및 102)내의 유체 이송공들과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은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며, 각진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체가 유체 이송공들을 통하여 흐를 때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코어(100)의 입력단(100a)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제 1 코어(100)의 내측 공간(유체 이송공)을 통하여 이동한 후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을 통하여 흐르며,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을 통과한 유체는 제 2 코어(102)의 출력단(102a)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흐름에서, 코어들(102)의 유체 이송공들과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이, 특히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 및 그 인근의 코어들(102)의 유체 이송공 부분들이 각진 부분 없이 유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유체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다. 즉,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와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유체 이송량이 많아지게 된다.
종래 밸브에서는, 개폐부의 종단면은 막혀 있었으며, 그 결과 유체 흐름이 개폐부의 종단면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밸브에서는 개폐부(300)에 유선형 유체 이송공(104)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개폐부(300)에 의해 유체 흐름이 방해받지 않고 유체가 원활히 흐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개폐부(300)의 구조를 살펴보면, 개폐부(300)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유체 이송공(104)이 유선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300)의 종단면을 살펴보면, 유체 이송공(104)의 종단들(104a 및 104b) 및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유체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송공(104)의 종단들(104a 및 104b)이 제 1 코어(100)의 일단(100b) 및 제 2 코어(102)의 일단(102b)과 각기 만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코어(100)의 입력단(100a)을 통하여 입력된 유체는 제 1 코어(100)의 유체 이송공, 개폐부(300)의 유체 이송공(104) 및 제 2 코어(102)의 유체 이송공을 통과한 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가 개폐부(300)를 예를 들어 90도 회전시키며, 그 결과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이 제 1 코어(100)의 일단(100b) 및 제 2 코어(102)의 일단(102b)과 각기 만나게 된다. 여기서,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이 막힌 면이기 때문에 제 1 코어(100)로 입력된 유체가 제 2 코어(102)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과 유체 이송공(104)의 종단들(104a 및 104b)은 상호 90도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과 유체 이송공(104)의 종단들(104a 및 104b)의 사이즈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차단부들(310 및 312)은 개폐부(300)의 종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일 수도 있고, 개폐부(300)의 종단면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300)는 유체 이송공(104)을 포함하는 제 1 개폐부와 유체 차단부들을 포함하는 제 2 개폐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개폐부와 상기 제 2 개폐부가 하나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분리된 부재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개페부(300)는 유선형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고 회전시 코어들(100 및 102)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유체 차단부를 포함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제 1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1 코어;
    제 2 유체 이송공을 포함하는 제 2 코어; 및
    상기 제 1 코어의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상기 제 2 코어의 제 2 유체 이송공으로의 유체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 및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 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일 종단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의 타 종단이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의 종단과 상기 제 2 유체 이송공의 종단은 유체 차단부들과 각기 만나서 상기 제 1 유체 이송공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을 통하여 흐르지 않고,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기 개폐부의 종단면에 함께 형성되며, 상기 제 3 유체 이송공들의 종단들과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호 90도 각도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차단부들은 상기 개폐부의 종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180073662A 2018-03-30 2018-06-26 밸브 KR101925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7664 2018-03-30
KR1020180037664 2018-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754B1 true KR101925754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62A KR101925754B1 (ko) 2018-03-30 2018-06-26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53B1 (ko) 2008-10-13 2009-05-26 (주)피엔아이 밸브 조립체
US20100187461A1 (en) 2004-08-06 2010-07-29 Stinger Wellhead Protection, Inc. High-pressure plug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7461A1 (en) 2004-08-06 2010-07-29 Stinger Wellhead Protection, Inc. High-pressure plug valve
KR100899453B1 (ko) 2008-10-13 2009-05-26 (주)피엔아이 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481B2 (en) Control valve
KR101094552B1 (ko) 3 방향 볼 밸브
CN104040235B (zh) 阀装置
ITMI960671U1 (it) Miglioramenti in rubinetti di arresto
JP6953173B2 (ja) ボール弁装置
JP2012521525A (ja) 高粘性媒体用の切換え弁
US11143312B2 (en) Eccentric rotary valve
KR101925754B1 (ko) 밸브
US10295100B1 (en) Variable flow module for controlled flow of fluid
JP2016510391A (ja) 大容量制御弁
CN105276236B (zh) 截止阀
KR101634084B1 (ko) 차압저감구조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WO2016001475A1 (en) Valve
CN114072608A (zh) 管接头装置
KR102609877B1 (ko) 밸브용 볼 및 이를 구비한 볼 밸브
KR101692293B1 (ko) 바이패스 일체형 밸브
CN104428568B (zh)
JP4086495B2 (ja) 定流量充水機能を備えたバタフライ弁
JP2018520311A (ja) 非円形の閉塞部材を有するバルブ
CN207059109U (zh) 堵头
CN205504085U (zh) 一种三通截止阀
ID29097A (id) Katub isolasi ganda dengan pipa-pipa saluran aliran persegi empat
JP2004190851A (ja) バタフライ弁
JP2002327851A (ja) バルブ
CN117917518A (zh) 一种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