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22B1 -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 Google Patents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22B1
KR101925622B1 KR1020170155103A KR20170155103A KR101925622B1 KR 101925622 B1 KR101925622 B1 KR 101925622B1 KR 1020170155103 A KR1020170155103 A KR 1020170155103A KR 20170155103 A KR20170155103 A KR 20170155103A KR 101925622 B1 KR101925622 B1 KR 10192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contact
tip
holder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호 filed Critical 조경호
Priority to KR102017015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는, 집게 타입으로 연결된 제1 죠우(JAW)와 제2 죠우(JAW) 측에 접촉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접촉부는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각각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OPERATING TOOL FOR PI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 배관 작업은 유체가 흐르기 위한 소정의 배관 라인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관체들을 관 길이방향으로 시일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특히, 배관 작업시 금속 재질의 관체들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대부분 압착체결기를 이용하여 관체들의 이음부 둘레를 조이는 방향으로 강제 압착하여 시일 상태로 연결하는 압착 체결방식으로 진행된다.
압착 체결에 사용되는 압착체결기는 압착용 블록들이 체인 타입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구동원(예: 유압장치)의 동력을 조임용 조작기(가압기)를 통해 전달받아서 관체 이음부의 둘레부 직경을 조이는 상태로 압착 조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조임용 조작기는 관체 이음부의 압착 체결과 부합하는 상태로 압착체결기의 압착 조임 동작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압착체결기와 구동원의 작동 안정성 및 동력 전달 효율성을 확보하려면, 조임용 조작기가 이와 부합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특히 매번 반복적으로 큰 압력을 전달하는 상태로 작동되는 점을 감안할 때 기구 호환성은 물론이거니와, 조작기의 자체 내구성과 유지보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684호, 공개일 2011년06월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들의 이음부 압착 체결과 부합하는 상태로 압착체결기의 조임 동작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한층 향상된 기구 호환성 및 유지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집게 타입으로 연결된 제1 죠우(JAW)와 제2 죠우(JAW)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관체 이음부의 압착 체결이 가능한 상태로 압착체결기의 조임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로서,
상기 제1 죠우와 제2 죠우 측에는 조임 동작의 유도가 가능하게 상기 압착체결기 측을 접촉 상태로 누르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며, 이 접촉부는 접촉팁과, 이 접촉팁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팁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집게 타입으로 조작되는 제1 죠우 및 제2 죠우에 의해 관체 이음부의 압착 체결이 가능하게 압착체결기의 조임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는 조임 동작의 유도가 가능하게 압착체결기 측에 접촉되는 접촉부(접촉팁)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접촉부의 설치 호환성 및 유지보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는, 제1 죠우(J1), 제2 죠우(J2), 및 접촉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성형 작업, 또는 절삭 가공 작업 등을 거쳐서 도 1에서와 같은 죠우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는 회동 조작되면서 집게 타입으로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된 상태로 연결플레이트(J3) 측에 연결핀(J4)으로 각각 연결되어, 이 연결핀(J4)들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연결핀(J4)의 연결 결합 지점을 사이에 두고 죠우 길이방향 일측에는 후술하는 접촉부(2)가 설치되기 위한 지지면(J5)이 각각 형성되고, 죠우 길이방향 타측은 별도의 구동원(M)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접촉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구동원(M)의 푸셔(M1) 접촉력에 의해 연결핀(J4)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어 두 개의 지지면(J5) 측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는 상태로 조작되면서 관체(T) 압착 체결이 가능하게 압착체결기(Q) 측의 조임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이 연결플레이트(J3) 측에 각각 연결핀(J4)으로 연결된 집게 타입의 구조를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두 개의 죠우 일측이 한 개의 핀으로 서로 연결된 집게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접촉부(2)는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회동과 연계하여 압착체결기(Q)의 조임 동작 유도가 가능하게 압착체결기(Q) 측을 접촉 상태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촉부(2)는 접촉팁(A)을 구비하고, 이 접촉팁(A)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체인 타입의 압착체결기(Q)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 형성된 접촉홈(Q1) 측에 안착된 접촉 상태로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접촉팁(A)은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지지면(J5)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접촉팁(A)은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에 팁고정부(A1)가 형성되고, 이 팁고정부(A1)는 예를 들어,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지지면(J5) 측에 끼움결합에 의한 착탈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팁고정부(A1)는 접촉팁(A)의 일측에 핀 모양으로 연장 형성된 돌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죠우(J1, J2)들의 지지면(J5) 측에는 팁고정부(A1) 측과 대응하는 크기의 고정홈부(A2)가 표면 안쪽을 향하여 파여진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팁고정부(A1)와 고정홈부(A2)는 억지끼움 결합 상태로 착탈 조작이 가능한 돌기 및 홈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부(2)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면(J5)의 고정홈부(A2) 측에 팁고정부(A1) 측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에 접촉팁(A)의 착탈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부(2)는 특히 접촉팁(A)의 파손이나 변형시 제1 죠우(J1), 또는 제2 죠우(J2) 측에서 접촉부(2) 부분만 분리 교환하는 방식으로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는 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촉부(2)의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다양한 팁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접촉팁(A)들을 각각 제작하여 작업 여건과 부합하는 팁을 선정하여 죠우(J1, J2)들 측에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호환성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접촉부(2)의 접촉팁(A)이 단순 끼움 결합으로 죠우(J1, J2)들 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접촉팁(A)의 팁고정부(A1) 측에 수나사부(S1)가 형성되고, 지지면(J5)의 고정홈부(A2) 측에 암나사부(S2)가 형성되어, 이들 나사부(S1, S2)의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력으로 접촉팁(A)이 죠우(J1, J2)들 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접촉팁(A)의 팁고정부(A1), 및 고정홈부(A2) 측에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자력(磁力)을 발생하는 자석(S3, S4)들이 설치되어 접촉팁(A)이 자력에 의해 지지면(J5) 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접촉부(2) 측과 대응하는 홀더부(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홀더부(4)는 접촉부(2)의 접촉팁(A)이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지지면(J5) 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및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부(4)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인서트 홀더(B)를 구비하고, 이 인서트 홀더(B)는 접촉팁(A)의 수나사부(S1) 측이 나사 결합으로 끼워지기 위한 암나사부 형태의 가이드홀(B1)이 형성되고, 둘레부 측에는 가이드홀(B1)의 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 슬롯(B2)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죠우(J1, J2)들의 지지면(J5) 측의 고정홈부(A2) 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인서트 홀더(B)의 둘레부 측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착탈홀(B3)이 고정홈부(A2) 측과 서로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B2)은 인서트 홀더(B)의 둘레부 측에서 홀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도 6에서와 같이 홀더 길이방향 양측 단부 중에서 삽입 단부 측만 개방된 슬롯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인서트 홀더(B)의 둘레부 측에는 홀더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 형태로 걸림돌기(B4)가 연장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B4) 측과 대응하는 형태의 걸림홈(B5)이 착탈홀(B3) 내부면 측에 형성된다.
걸림돌기(B4)와 걸림홈(B5)은 인서트 홀더(B)가 착탈홀(B3)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둘레부 축선을 중심으로 유동(회전)되는 것을 걸림 접촉력으로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서트 홀더(B)는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고정홀부(A2)의 착탈홀(B3) 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삽입 배치되어 접촉팁(A)이 지지면(J5) 측에 안정적인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잡아줄 수 있다.
특히, 홀더부(4)는 접촉팁(A)이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에 나사 체결력으로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접촉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접촉팁(A)의 팁고정부(A1) 측이 절단된 삽입 상태로 위치되더라도, 착탈홀(B3) 측으로 부터 인서트 홀더(B)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팁고정부(A1)가 간편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착탈홀(B3) 측에서 분리된 인서트 홀더(B)의 둘레부 측에는 가이드 슬롯(B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절단 상태로 파손된 팁고정부(A1)가 인서트 홀더(B)의 가이드홀(B1) 측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도 가이드 슬롯(B2)의 개방부 측을 벌려서 팁고정부(A1)가 인서트 홀더(B)로부터 더욱 간편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홀더부(4)는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인서트 홀더(B) 측과 대응하는 완충지지구(C)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지지구(C)는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에서 인서트 홀더(B) 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완충지지구(C)는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조임 동작과 연계하여 작동되면서 인서트 홀더(B)의 설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완충지지구(C)는 도 9에서와 같이 내부에 공기(W)가 채워진 공기 포켓 타입으로 형성되며,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의 내측에 연장 형성되는 포켓홈(H) 측에 각각 배치된다.
포켓홈(H)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도 9에서와 같이 홈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제1 접지구(H1) 및 제2 접지구(H2)가 배치되며, 홈 길이방향 일단 측은 착탈홀(B3)의 둘레부 일측을 향하는 상태로 연장되고, 타단 측은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가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상태로 조임 동작될 때 제2 접지구(H2)들이 서로 마주하는 접촉 상태로 눌려질 수 있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완충지지구(C)의 포켓은 기밀(氣密)을 유지하면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완충지지구(C)는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가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상태로 조임 동작될 때, 제2 접지구(H2) 측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포켓 단부 측을 눌러서 포켓 압력에 의해 제1 접지구(H1)들이 인서트 홀더(B)들의 둘레부 일측을 각각 누르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인서트 홀더(B)들이 죠우(J1, J2)들의 조임 동작 중에 비(非)정상적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억제하여 인서트 홀더(B)의 설치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착체결기(Q)를 이용하여 관체(T) 이음부 측을 압착 체결 방식으로 연결할 때, 구동원(M)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압착체결기(Q)의 조임 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죠우(J1) 및 제2 죠우(J2) 측에 형성되는 접촉부(2)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유지보수(교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접촉팁(A)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유지보수성 및 기구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접촉부 4: 홀더부 J1: 제1 죠우
J2: 제2 죠우 A: 접촉팁 B: 인서트 홀더

Claims (7)

  1. 집게 타입으로 연결된 제1 죠우(JAW)와 제2 죠우(JAW)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관체 이음부의 압착 체결이 가능한 상태로 압착체결기의 조임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압착체결기용 조작기로서,
    상기 압착체결기 측을 접촉 상태로 눌러서 조임 동작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형성되는 접촉부;
    인서트 홀더와 완충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형성되는 홀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접촉팁과, 이 접촉팁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팁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인서트 홀더는,
    상기 접촉팁의 팁고정부 측이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홀과, 이 가이드홀의 홀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부 측에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팁고정부 측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완충지지구는,
    공기 포켓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의 회동 동작과 연계하여 포켓의 누름 압력으로 상기 인서트 홀더 측을 눌러서 홀더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팁의 팁고정부 측이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측에 끼움 결합으로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팁의 팁고정부 측이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측에 암,수 나사부 체결 결합으로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팁의 팁고정부 측이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측에 자석(磁石)의 자력(磁力)에 의해 착탈 설치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홀더는,
    상기 제1 죠우 및 제2 죠우 측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 둘레부 측이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억제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7. 삭제
KR1020170155103A 2017-11-20 2017-11-20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KR10192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03A KR101925622B1 (ko) 2017-11-20 2017-11-20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03A KR101925622B1 (ko) 2017-11-20 2017-11-20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622B1 true KR101925622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03A KR101925622B1 (ko) 2017-11-20 2017-11-20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3A (ko) * 2021-06-15 2022-12-22 민우정공(주)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93B1 (ko) * 2006-05-03 2007-10-29 박종옥 초경 인서트 죠
JP2008521612A (ja) * 2004-11-24 2008-06-26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管締め接続部を形成する多段階プレス装置
KR101116044B1 (ko) * 2010-04-07 2012-02-22 박병춘 파이프 압착 체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612A (ja) * 2004-11-24 2008-06-26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管締め接続部を形成する多段階プレス装置
KR100771093B1 (ko) * 2006-05-03 2007-10-29 박종옥 초경 인서트 죠
KR101116044B1 (ko) * 2010-04-07 2012-02-22 박병춘 파이프 압착 체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3A (ko) * 2021-06-15 2022-12-22 민우정공(주)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102551451B1 (ko) * 2021-06-15 2023-07-05 민우정공(주)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3504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1012664A (ja) 管継手
US20120125074A1 (en) Tool head device for crimping rings and clamps
KR101925622B1 (ko) 관체 압착체결기용 조작기
EP1743741A2 (en) Locking vise for pipes
CN108204466A (zh) 膜片阀
KR101774787B1 (ko) 오링자동조립장치
JP3157349U (ja) 残存物除去装置
US9216498B2 (en) Tube clamp detaching tool
CN210754752U (zh) 一种胀管加工中的夹持机构
JP7308515B2 (ja) フランジ補強具の設置治具およびフランジ補強具の設置方法
CN209887528U (zh) 阀芯拆解工具
KR10131107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체결장치
JP2011031379A (ja) 結合部材及び工具並びにチャック爪
CN215548360U (zh) 一种陶瓷轴承拆卸工具
US9844863B1 (en) Gasket installer wrench and method
KR102181763B1 (ko) 가변형 렌치
WO2019069962A1 (ja) 連結器及びその取外し具
KR100447643B1 (ko) 관이음 압착공구
CN101450470A (zh) 管子钳
JP2003106964A (ja) 引張型材料試験機用試験片固定アダプター
CN210424051U (zh) 一种水管连接件
CN211364012U (zh) 一种用于盖章机的印章夹持装置
JP5455075B2 (ja) 押輪用心出し具
KR100373290B1 (ko)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