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549B1 -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549B1
KR101925549B1 KR1020180020440A KR20180020440A KR101925549B1 KR 101925549 B1 KR101925549 B1 KR 101925549B1 KR 1020180020440 A KR1020180020440 A KR 1020180020440A KR 20180020440 A KR20180020440 A KR 20180020440A KR 101925549 B1 KR101925549 B1 KR 10192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ing
business
data
terminal
cor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트네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트네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트네스트
Priority to KR102018002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업자의 사업 경영상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는 사업자단말기(10); 회계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회계데이터의 집계와, 과목코드 변환과, 출력을 수행하는 메인서버(20);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입력하여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20)에 저장된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하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계데이터 입력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회계법인으로 하여금 회계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신규 사업자 고객의 유치가 가능케 하며, 서버관리자는 사업자의 사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Online account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자의 사업 경영 중 사용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메인서버에 바로 저장하고, 메인서버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를 다양한 회계프로그램별 과목코드로 자동 변환하여 회계법인단말기에 제공하며, 사업자의 사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영리 목적과는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를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라 한다.
또한, 사업자가 제조업, 서비스업 등 각종 사업을 경영함에 따라 재화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재화의 이동 즉, 재화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일정한 계산 방법으로 기록하고 정보화하는 것을 '회계'라 한다.
사업자에게게 있어서 회계의 목적은 사업자의 재정상태 및 경영성적을 적정하게 보고하는 자료를 작성하는 데 있다.
재정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는 재산계산에 의하여, 경영성적을 나타내는 자료는 손익계산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회계는 손익계산뿐만 아니라, 사업자의 이해관계자에게 유효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경영관리를 위해서도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자료를 '재무제표'라 하며, 이것을 작성하기 위하여 결산이라는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회계는 사업자가 제조하는 제품의 제조원가를 결정하기 위한 원가계산, 실적과 예산의 차이를 분석하는 예산통계(통계가 아닌가요?)등 다양한 원가관리에도 필요하기 때문에 사업자에게 있어서는 꼭 필요한 재무 관리의 과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계는 사업자가 사업을 경영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많은 재화의 이동을 모두 기록하고 정보화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계산 방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회계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는 대부분의 사업자는 회계를 회계사무소 또는 회계법인(이하, '회계법인'이라 함)에 위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회계법인이 사업자로부터 위임받은 회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업자는 사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회계데이터(매출, 매입, 지출 등)를 필기일계표 및 포스시스템 등으로 수기 또는 전산 출력하고, 그 출력된 서류 형태의 회계데이터를 소정 기간(통상 일주일) 단위로 취합하여 회계를 위임한 회계법인으로 송부한다.
② 회계법인에서는 소속 사무원이 사업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서류 형태의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에서 보유중인 PC에 탑재된 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일일이 입력한 후, 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해 계산(재산, 손익, 원가 등)을 처리하고, 계산표를 작성한다.
③ 상기 작성된 계산표는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여 회계를 위임한 사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업자는 계산표를 통해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경영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④ 회계법인은 계산표의 오류를 최종 검증한 후, 오류가 없으면 계산표를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여 국세청으로 전달함으로써 국세청은 계산표의 해당 사업자에 대하여 세금을 부과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계 과정은, 사업자가 사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회계테이터를 일정 기간별로 일일이 취합하여 이를 회계법인으로 송부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계법인은 다량의 회계데이터를 사무원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회계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회계데이터의 입력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량의 회계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또는 입력 실수 등으로 인한 입력오류의 발생이 빈번한 단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회계법인의 경우에 통상 다수의 사업자에게서 회계를 위임받아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사업자에 대한 회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수작업에 의한 데이터 입력량이 폭증함에 따라 회계데이터의 입력오류 발생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회계데이터의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회계의 사업자에게는 잘못된 세금이 부과될 수도 있기 때문에 회계법인은 회계데이터의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회계데이터를 입력하고, 또 입력된 회계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인력을 운용함으로써 그에 따른 인건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회계법인의 인건비 증가는 결국, 회계의 위임 비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회계를 위임하는 사업자에게도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회계 과정은, 사업자가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으로 송부한 후, 그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이 회계프로그램에 입력하여 계산을 처리하고, 계산표를 작성한 후, 그 계산표가 사업자에게 전달되는데, 짧게는 수일에서 길게는 수개월까지 소요되기 때문에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경영 상황을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급속도로 변하는 시장 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사업자는 경영상의 사정으로 인해 회계를 위임한 기존의 회계법인을 다른 회계법인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통상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의 회계프로그램 간에는 회계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회계프로그램은 회계데이터 입, 출력의 편의성을 위해 각종 회계데이터(매출, 매입, 지출 등)를 숫자화 된 과목코드로 설정하여 회계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런데 회계프로그램의 종류별로 회계데이터의 계정과목(매출, 매입, 지출 등)은 동일하더라도, 각 계정과목 별 과목코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일예로서, A회계프로그램은 '매출데이터'에 대하여 '001'이란 과목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반면, B회계프로그램은 '매출데이터'에 대하여 '020'이란 과목코드가 설정되어 있고, C회계프로그램은 '매출데이터'에 대하여 '400'이란 과목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방식이다.
따라서 A라는 사업자가 A회계프로그램을 사용하는 A회계법인에 회계를 위임하다가, B회계프로그램을 사용하는 B회계법인으로 변경하여 회계를 위임하려면, 기존 A회계프로그램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를 B회계법인이 받아서, 이를 일일이 확인하여 B회계프로그램으로 재입력해야 함으로써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회계를 위임하는 사업자는 회계를 위임한 회계법인을 변경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 부담으로 인해 회계법인을 변경하고 싶어도 이를 쉽게 실행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계법인은 신규 사업자를 유치하고 싶어도, 신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가 기존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과 다른 경우 회계데이터의 재입력에 따른 시간과 비용 부담이 신규 사업자에게 발생하기 때문에 신규 사업자의 유치도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장은 매출 규모가 작기 때문에 통상 1 내지 2명 내외의 직원을 고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그러나 적은 수의 인력을 고용함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에는 매출 규모가 작고, 또한 최근에는 해마다 최저임금이 인상됨에 따라 고용 직원에 대한 인건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서는 고용된 직원 수를 줄이는 것 이외에 뚜렷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을 위한 효과적인 경영 컨설팅이 절실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회계법인에서는 통상적인 회계 처리 이외에 위와 같이 사업자에게 절실한 인건비 절감 등과 같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컨실팅을컨설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8915호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사업자가 사업 경영을 위해 사업자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회계데이터를 메인서버에 바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과목코드를 가진 회계데이터를 메인서버에 저장한 후,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에 맞게 메인서버에 저장된 회계데이터의 과목코드를 변환하여 회계법인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회계프로그램의 종류 구분 없이 회계데이터의 활용이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의 집계를 통해 사업자의 사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사업자의 사업 경영상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는 사업자단말기(10);
상기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어,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전송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메인서버(20);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처리를 요청하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서버(20)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제공되는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 사항을 수행하는 데이터처리부(201);
회원 가입된 사업자와 회계법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회계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2);
상기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집계하는 데이터집계부(203);
상기 접속된 회계법인단말기(30)에 의해 요청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에 설치된 회계프로그램에 맞는 과목코드로 자동 변환하는 코드변환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부(2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설팅부(205)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하는 매출액산출모듈(205a);
상기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하는 인건비산출모듈(205b);
상기 시간대별매출액과, 시간대별인건비를 계산하여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영업이익산출모듈(205c);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값을 포함하는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업자와 회계법인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회원가입단계(S10);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메인서버(20)가 제공하는 초기화면에 접속하고(S201), 인증정보를 제공하여 접속 허용을 요청하는 로그인단계(S20);
메인서버(20)가, 상기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 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단계(S30);
메인서버(20)가 제공하는 홈화면에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명령 수행을 요청하는 명령입력단계(S40);
상기 메인서버(20)가 상기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처리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는 단계(S403);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의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되는 단계(S5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에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과목별 집계를 요청 하는 단계(S404);
메인서버(20)가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요청된 계정과목별로 집계하는 단계(S5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에 저장된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이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 요청하는 단계(S405);
상기 메인서버(20)가 상기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를 상기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5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컨설팅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S601);
상기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하는 단계인건비를 산출하는 단계(S602);
상기 시간대별매출액과, 시간대별인건비를 계산하여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단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단계(S603);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값을 포함하는 컨설팅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6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업자는 사업 경영을 위한 사업자단말기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회계데이터를 메인서버에 바로 저장할 수 있게 되어, 회계데이터 입력의 정확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경영하는 사업의 경영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는 회계를 위임했던 기존의 회계법인을 새로운 회계법인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기존 회계법인에서 제공된 회계데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계데이터를 메인서버에 저장하면, 메인서버가 기존의 회계데이터를 새로운 회계법인의 회계프로그램에 맞게 자동 변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회계법인의 변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계법인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던 회계데이터의 입력이 사업자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회계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인력 축소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웹상에서 확인, 집계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에 다운로드하여 회계법인이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해 회계를 처리함으로써, 회계 처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사업자가 회계법인을 변경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회계법인은 새로운 고객 사업자 유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 집계를 통해 사업자의 사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업자는 사업 경영에 따른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데이터 집계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종류의 회계프로그램용 과목코드 변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유무선통신망(40)에 연결되는 사업자단말기(10), 메인서버(20), 회계법인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통신망(40)은 이미 실용화 된 공중 전화망(PSTN), 인터넷망, 전용망이나, 가까운 장래에 실용화 될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단말기(10)은 사업자의 사업 경영 상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입력하여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20)에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한다.
즉, 상기 사업자단말기(10)은 사업자의 사업 경영 상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사업자는 사업자단말기(10)를 이용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사업자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회계데이터가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사업자단말기(10)에 의해 입력되는 회계데이터는 크게 매입, 매출, 지출 데이터 등이 있으며, 각 데이터는 거래처, 일자, 금액 등 다양한 계정과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단말기(10)은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는 POS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아니며, 데스크톱 컴퓨터(11), 스마트폰(12), 노트북, 태블릿PC, 등 회계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OS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POS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거래내역 등 각종 회계데이터는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POS단말기에 신용카드단말기를 연결함으로써, 카드결제금액을 바로 POS단말기에 입력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POS단말기는 단일 사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주문용단말기(101)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주문용단말기(101)를 통해 전송되는 주문정보를 POS단말기에서 취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사업자단말기(10)은 신용카드단말기, 바코드판독기, 영수증프린터 등 통상의 사업자가 사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회계자료 생성 및 출력용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사업자는 상기 사업자단말기(10)를 이용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메인서버(20)에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함으로써,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해당 사업자의 각종 회계데이터를 원하는 계정과목별로 조회, 집계하여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사업자단말기(10)는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web-browser)와 같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어, 상기 회계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른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처리부(201), 데이터베이스(202), 데이터집계부(203), 코드변환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201)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제공되는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즉, 데이터처리부(201)는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한 인증정보의 수신을 위한 초기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초기화면을 통해 인증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인증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 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초기화면에 접속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데이터처리부(201)는 접속 허용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한 회계데이터의 입력 및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의 접근과 처리를 위한 홈화면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홈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 사항을 처리한다.
상기 요청 사항은, 회계데이터의 입력 및 저장, 집계, 과목코드 변환 등이 있다.
상기 회계데이터의 입력 및 저장 요청에 따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입력되는 회계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
이때, 사업자단말기(10)를 통한 회계데이터 입력의 경우, 데이터베이스(202) 상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회계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한 회계데이터 입력의 경우,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지정된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회계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회계데이터의 집계 요청에 따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처리부(201)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요청되는 계정과목에 대한 회계데이터의 집계를 상기 데이터집계부(203)에 요청한다.
상기 데이터집계부(203)는 상기 데이터처리부(201)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해당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요청된 계정과목별로 집계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데이터처리부(201)에 제공한다.
따라서 요청된 계정과목별로 집계된 회계데이터는 데이터처리부(201)에 의해 출력 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계데이터의 과목코드 변환 요청에 따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의 과목코드 변환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처리부(201)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에 대한 과목코드 변환을 코드변환부(204)에 요청한다.
상기 코드변환부(204)는 상기 데이터처리부(201)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해당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서 계정과목별 과목코드를 검증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를 사용하는 회계법인 정보를 통해 회계프로그램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하여, 상기 회계데이터의 계정과목별 과목코드를 상기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에 맞는 과목코드로 변환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데이터처리부(201)에 제공한다.
따라서 데이터처리부(201)는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 및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고, 데이터 처리 결과를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2)는, 회원 가입된 사업자와 회계법인 정보를 저장하고,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접속하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으로부터 전송되는 회계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202)는 데이터처리부(201)와 접속되어 데이터처리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처리부(201)의 지시에 따라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처리부(201) 또는 데이터집계부(203) 또는 코드변환부(204)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2)는, 사전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업자DB, 사전에 회원으로 가입된 회계법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계법인DB, 각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B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DB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하거나, 단일 하드웨어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다수의 DB로 구분하는 경우에, 각 DB는 상호 연동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업자DB에는 업주정보, 사업장주소, 업종, 연락처, 파트너 회계법인(사업자에게 회계를 위임 받은 회계법인)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계법인DB에는 회계법인의 주소, 연락처, 고객사업자,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 종류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DB는 각 사업자의 회계데이터가 각 계정과목별로 저장된다. 즉, 회계데이터에는 사업자의 매출, 매입, 지출에 따른 거래처, 일자, 금액 등 다양한 계정과목별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집계부(203)는,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계정과목별로 집계한다.
상기 데이터집계부(203)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에서 필요한 계정과목을 선별하고, 계정과목별 데이터를 집계하기 위한 회계프로그램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요청되는 다양한 계정항목에 대한 집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집계부(203)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를 계정과목별로 집계하여 계산표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집계부(203)가 회계데이터를 계정과목별로 집계하는 과정에서 과목코드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코드변환부(204)에 의한 코드 변환을 병행할 수 있다.
이때, 과목코드의 변환에 대해서는 아래의 코드변환부(204)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하다.
따라서 사업자가 회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메인서버(20)를 통해 원하는 계정과목별 집계를 요청하면, 메인서버(20)의 데이터집계부(203)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서 사업자가 요청한 계정과목별 집계를 수행하여 사업자단말기(1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업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일예로서, 사업자가 음식점을 경영하는 경우에, 시간대별 매출, 요일별 매출, 월별 매출 등 시간에 따른 매출 집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경우에 품목별 매출 집계도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매입하는 경우에, 재료별 매입지출의 집계가 가능하고, 인건비, 임대료, 전기료, 관리비 등 각종 비용지출의 계정과목별 집계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계정과목별 집계를 통해 사업자는 자신이 경영하는 사업의 경영 상태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 전략의 수립 및 수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업자는 유무선통신망(40)의 이용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사업자단말기(10)를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메인서버(20)에 저장된 회계데이터에 접근함으로써,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회계를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확인하고, 문서 출력 또는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드변환부(204)는, 상기 접속된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요청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에 설치된 회계프로그램에 맞게 과목코드를 자동 변환한다.
즉, 상기 코드변환부(204)는 다수의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회계프로그램별 과목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마스터코드를 가진 코드변환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대한 코드 변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와 마스터코드를 비교한다.
또한, 코드 변환을 요청한 회계법인단말기(30)에 설치된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를 확인한다. 이때, 과목코드의 확인 작업은, 회계법인에서 제공하여 데이터집계부(203)에 사전 저장된 회계법인 정보에 근거한다.
그리하여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를 상기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하여 회계법인단말기(30)로 제공한다.
따라서, 회계법인은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출력되는 회계데이터를 보면서 회계법인에서 관리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확인하거나, 계산하거나, 필요한 계정과목별 계산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목코드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단말기(30)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후, 회계법인단말기(30)에 설치된 회계프로그램을 통해 회계를 수행하여 필요한 계산표를 작성 및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설팅부(205)는, 매출액산출모듈(205a), 인건비산출모듈(205b), 영업이익산출모듈(205c), 분석모듈(205d)을 포함한다.
상기 매출액산출모듈(205a)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한다.
상기 시간대별매출액은 각 시간대의 매출액의 자동 합산에 의해 산출된다. 따라서 시간대별매출액 산출을 통해 해당 사업자의 매출이 높은 시간대와 낮은 시간대의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인건비산출모듈(205b)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한다.
상기 시간대별인건비는, 사업자가 고용한 직원 1인당 지급하는 월 인건비를 해당 직원이 실제 근무하는 시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산출된다.
상기 영업이익산출모듈(205c)은, 상기 시간대별매출액과, 시간대별인건비를 계산하여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한다.
즉, 시간대별영업이익은, 상기 시간대별매출액에서 상기 시간대별인건비를 차감함으로써 산출된다.
상기 분석모듈(205d)은,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값을 포함하는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에 따른 전년도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컨설팅정보는 시간대별매출액, 시간대별인건비, 시간대별영업이익에 대한 값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시간대별영업이익이, 기준값보다 많은지, 적은지에 대한 비교값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컨설팅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사업자는 시간대별매출액이 많은 시간대를 쉽게 알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간대별매출액이 많은 시간대에는 더 많은 직원을 배치하고, 시간대별매출액이 적은 시간대에는 더 적은 직원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인력 배치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출의 극대화를 통해 영업이익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설팅정보는, 상기 시간대별매출액, 시간대별인건비, 시간대별영업이익 등에 관한 정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계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요일별 매출, 월별 매출, 품목별 매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는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입력하여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20)에 저장된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한다.
즉,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는 고객 사업자로부터 전달받아 회계법인단말기(30) 내부에 저장한 각종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회계데이터가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는 고객 사업자의 사업 경영 상 생성되는 모든 회계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는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메인서버(20)에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요청함으로써,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고객 사업자의 각종 회계데이터를 원하는 계정과목별로 조회, 집계하여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하거나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로 인해 회계법인은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출력되는 회계데이터를 보면서 회계법인에서 관리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확인하거나, 계산하거나, 필요한 계정과목별 계산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는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회계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는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web-browser)와 같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계 처리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회계데이터 집계처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종류의 회계프로그램용 과목코드 변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회원가입단계(S10), 로그인단계(S20), 인증단계(S30), 명령입력단계(S40), 명령처리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가입단계(S10)는, 회원 가입된 사업자정보와, 회계법인정보를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고, 사업자가 사용하는 사업자단말기(10)와, 회계법인이 사용하는 회계법인 단말기(30)에 대한 인증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사업자정보는 사업자의 업주, 사업장주소, 업종, 연락처, 파트너회계법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회계법인정보는 회계사, 법인주소, 연락처, 고객사업자,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회원 ID, 패스워드 등과 같이 고유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로그인단계(S20)는, 유무선통신망(40)에 접속되는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메인서버(20)가 제공하는 웹상의 초기화면에 접속하고(S201), 상기 인증정보를 메인서버(20)에 제공하여 접속 허용을 요청한다(S202).
상기 인증단계(S30)는, 메인서버(20)가 상기 초기화면을 통해 제공된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 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인증정보를 제공한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S301).
즉, 상기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사업자 정보 또는 회계법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있으면, 해당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 대한 메인서버(20)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메인서버(20)가 제공하는 홈화면에 접속된다(S302).
상기와 같은 인증정보의 비교 판독 과정에서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가 사업자인지, 회계법인인지에 대한 판독도 함께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상기 명령입력단계(S40)는, 상기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필요한 명령 수행을 요청한다.
이때, 사업자단말기(10)로 홈화면에 접속되면 사업자 전용 명령리스트가 홈화면에 노출되고, 회계법인단말기(30)로 홈화면에 접속되면 회계법인 전용 명령리스트가 홈화면에 노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명령처리단계(S50)는,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메인서버(20)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를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는 단계(S403);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의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되는 단계(S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증단계(S30)의 수행을 통해 홈화면에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는, 회계데이터의 입력(S401) 또는 출력(S402)을 요청한다.
그리하여 회계데이터의 입력(S401)이 요청되면, 회계데이터의 저장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회계데이터의 저장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회계데이터의 입력 요청이 있으면, 메인서버(20)는 입력되는 회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
이때, 사업자단말기(10)를 통한 회계데이터 입력의 경우, 데이터베이스(202) 상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저장된다(S501).
사업자단말기(10)로 POS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POS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각종 결제 정보가 바로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됨으로써, 회계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문서의 출력이나, 데이터의 취합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됨과 동시에 회계데이터의 정확하고 편리한 전송이 가능케 된다.
이때, 사업자단말기(10)의 POS프로그램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되는 회계데이터는 서로 다른 사업자라 하더라도 도 6과 같이 계정과목별 과목코드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한 회계데이터 입력의 경우,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지정된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따라서 회계법인단말기(30)의 노후, 파손, 손상 등으로 인해 회계법인단말기(30)에 저장된 회계데이터가 손상되어 복구가 불가능하더라도, 메인서버(20)에 다수의 고객 사업자에 대한 회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회계데이터의 보다 안전한 보관이 가능케 된다.
상기와 같이 회계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되는 단계(S501) 후에는, 회계데이터를 계속 입력하여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에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과목별 집계를 요청 하는 단계(S404); 메인서버(20)가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요청된 계정과목별로 집계하는 단계(S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계정과목별로 집계 요청이 있으면(S404), 상기 데이터집계부(203)는 상기 요청에 따른 계정과목별로 회계데이터를 집계한 후(S503), 그 데이터를 데이터처리부(201)에 제공함으로써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제공되어, 출력 및 저장이 가능케 된다(S504).
따라서 사업자는 사업자단말기(10)에 출력된 회계데이터 집계화면을 통해, 자신이 경영하는 사업의 회계 상황을 원하는 계정과목별로 즉시 확인하거나, 별도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프린터 등을 이용해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회계법인은 회계법인단말기(30)에 출력된 회계데이터 집계화면을 통해, 고객 사업자의 회계 상황을 원하는 계정과목별로 즉시 확인하거나, 별도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프린터 등을 이용해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집계된 회계데이터의 출력 또는 저장이 완료된 후에는 새로운 명령 수행을 위하여 홈화면으로 이동할지, 시스템 이용을 종료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처리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에 저장된 고객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회계법인이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 요청하는 단계(S405); 상기 메인서버(20)가 상기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를 상기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50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코드변환부(204)는 다수의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회계프로그램별 과목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마스터코드를 가진 코드변환알고리즘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특정 고객 사업자에 대한 회계데이터의 과목코드 변환 요청이 있으면(S405),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사용되는 회계프로그램에 맞게 자동 변환하여(S506) 제공함으로써, 회계법인단말기(30)를 통해 출력 및 저장이 가능케 된다(S504).
따라서 도 7과 같이 사업을 경영하고 있던 사업자가 경영상의 사정으로 인해 회계를 위임한 기존 회계법인을 새로운 회계법인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기존 회계법인에서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과,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이 다르더라도, 기존 회계데이터의 사용이 가능케 된다.
즉, 사업자는 기존의 파트너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던 회계데이터 전체를 일반적인 회계프로그램에 저장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제공받아 회계데이터 전체를 그대로 메인서버(20)에 저장한다.
이때, 회계데이터는 기존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를 가진 채로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사업자의 새로운 파트너 회계법인이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대한 과목코드 변환을 요청하면, 메인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회계데이터를 코드변환부(204)를 통해 새로운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업자는 경영상의 이유로 회계법인을 변경하고자 할 때, 회계프로그램이 맞는지 여부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기존 누적된 회계데이터를 새로 위임한 회계법인에서 회계로 반영할 때, 그에 따른 과도한 시간이나 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회계법인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회계법인은 자신들이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과 다른 과목코드의 회계데이터를 가진 사업자라 하더라도, 과목코드의 변환에 따른 시간이나 비용 부담 없이 새로운 사업자를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회계 방법은, 상기 메인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컨설팅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설팅단계(S60)는,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S601);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하는 단계(S602);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단계(S603); 컨설팅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604);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하는 단계(S60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매출액산출모듈(205a)을 통해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한다.
상기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하는 단계(S60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인건비산출모듈(205b)을 통해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한다.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단계(S603)는, 상기 시간대별매출액과, 시간대별인건비를 영업이익산출모듈(205c)에 계산하여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한다.
상기 컨설팅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604)는,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기준값과 비교한 값을 포함하는 컨설팅정보를 분석모듈(205d)을 통해 생성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컨설팅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사업자는 시간대별매출액이 많은 시간대를 쉽게 알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간대별매출액이 많은 시간대에는 더 많은 직원을 배치하고, 시간대별매출액이 적은 시간대에는 더 적은 직원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인력 배치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출의 극대화를 통해 영업이익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디지털 단말기,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이들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디지털 단말기 이용 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디지털 단말기 이용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디지털 단말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몇 가지 대체 실시 예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사업자단말기 20: 메인서버
201: 데이터처리부 202: 데이터베이스
203: 데이터집계부 204: 코드변환부
205: 컨설팅부 205a: 매출액산출모듈
205b: 인건비산출모듈 205c: 영업이익산출모듈
205d: 분석모듈 30: 회계법인단말기
S10: 회원가입단계 S20: 로그인단계
S30: 인증단계 S40: 명령입력단계
S50: 명령처리단계 S60: 컨설팅단계

Claims (10)

  1. 사업자의 사업 경영상 생성되는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메인서버(20)로 전송하는 사업자단말기(10);
    상기 유무선통신망(40)과 연결되어,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전송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회계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메인서버(20);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회계데이터를 유무선통신망(4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처리를 요청하는 회계법인단말기(30);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메인서버(20)는,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에서 제공되는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 또는 회계법인정보를 비교 판독하여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 사항을 수행하는 데이터처리부(201);
    회원 가입된 사업자와 회계법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회계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에게 배정된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2);
    상기 접속된 사업자단말기(10) 또는 회계법인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집계하는 데이터집계부(203);
    상기 접속된 회계법인단말기(30)에 의해 요청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에 설치된 회계프로그램에 맞는 과목코드로 자동 변환하는 코드변환부(204);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부(205);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2)는,
    업주정보, 사업장주소, 업종, 연락처, 파트너 회계법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업자DB;
    회계법인의 주소, 연락처, 고객사업자, 사용 중인 회계프로그램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회계법인DB;
    각 사업자의 매출, 매입, 지출에 따른 거래처, 일자, 금액을 포함하는 사업자의 회계데이터가 각 계정과목별로 저장되는 데이터DB; 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변환부(204)는,
    다수의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회계프로그램별 과목코드를 모두 포함하는 마스터코드를 가진 코드변환알고리즘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상기 회계법인단말기(30)를 사용하는 회계법인 정보를 통해 회계프로그램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와 마스터코드를 비교하여 사업자의 회계데이터에 포함된 과목코드를 상기 회계법인에서 사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의 과목코드로 변환하여 회계법인단말기(30)로 제공하며,
    상기 컨설팅부(20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사업자의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매출액을 산출하는 매출액산출모듈(205a);
    상기 회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자의 시간대별인건비를 산출하는 인건비산출모듈(205b);
    상기 시간대별매출액과, 시간대별인건비를 계산하여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산출하는 영업이익산출모듈(205c);
    상기 시간대별영업이익을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값을 포함하는 사업자에 대한 컨설팅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5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20440A 2018-02-21 2018-02-21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KR10192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40A KR101925549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40A KR101925549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549B1 true KR101925549B1 (ko) 2018-12-05

Family

ID=6474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440A KR101925549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5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89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US8548834B2 (en) Information capture, processing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0751462A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的供应链管理系统
Fang et al. Using vendor management inventory system for goods inventory management in IoT manufacturing
CN107292589B (zh) 一种全产业链信息化云服务平台
EP3836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expenses and billing
KR20200129412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48544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managing point of sale transaction related data
JP2010282279A (ja) 環境家計簿システム及び環境家計簿サーバ
KR101963210B1 (ko)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925549B1 (ko) 온라인 회계 처리 시스템
KR20200082819A (ko)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US20200320452A1 (en) Solution Proposal Support System and Solution Proposal Support Method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CN111784422A (zh) 数据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51952B1 (ko) 모바일 식권 주문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040138968A1 (en) Purchase card performance system
US20230325801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KR102189596B1 (ko) 사입대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CN202276361U (zh) 支持多种访问方式的协同办公系统
US20240037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urchases
JP2007114953A (ja) 情報システム、アクション送信装置およびアクション送信プログラム
KR20160122979A (ko) 가게 건강 기록(Smart Health Record)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20230030978A (ko) 팩토링 사업에 기초한 업무 대행 서비스를 위한 배송 관리 시스템
KR20140065543A (ko) Sns를 활용한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