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819A -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819A
KR20200082819A KR1020180173779A KR20180173779A KR20200082819A KR 20200082819 A KR20200082819 A KR 20200082819A KR 1020180173779 A KR1020180173779 A KR 1020180173779A KR 20180173779 A KR20180173779 A KR 20180173779A KR 20200082819 A KR20200082819 A KR 20200082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market
cloud platform
shipware
management serv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78B1 (ko
Inventor
김창관
설동철
Original Assignee
(주)에스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유지 filed Critical (주)에스유지
Priority to KR102018017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50Finance; 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요자 단말(100),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가 클라우드 플랫폼(400)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400)을 통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대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그리고 선용품별(계절별, 월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수요자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100)과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마켓 플레이스용 서버와 블록체인용 개인별 거래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여 수요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이 육지로 입고 후 신고를 거쳐 내륙운송이 수행되고 선용품 관련 최종 화물이 구매자에 해당하는 수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인도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오픈마켓을 통해 해당 선용품을 주문하고 인도해가는 방식으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수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정산관리, 상품검색, 할인적용 UI 화면을 제공을 통해 오픈마켓에서 제반의 업무가 처리되도록 하는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블록체인 데이터를 포함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분석 기반으로,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를 분석하고,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Pre-commodity open marke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latform connected with cloud platform}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포함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분석 기반으로,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를 분석하고,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웹 페이지 브라우징 상호 작용 및 컨텐츠 소비 경험을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하는 것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덜 만족스러운 경험을 초래하여 왔다.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특히 모바일 장치에서는, 스크린 영역이 최소 상태이다. 제시된 모든 정보의 탐색은 특정 모바일 장치의 구획에 의존하거나 종속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WWW(World Wide Web)의 우연한 탐사에 도움이 되는 환경에 있지 않다. 사실상, 사용자는, 그 자체가 사용자 주의(user's attention)의 큰 몫을 요구하는 변화하는 환경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검색 엔진 결과 및 컨텐츠 소비를 사용자 경험에 맞추는 것이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하다.
한편,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플랫폼과 클라우드 플랫폼을 연계하여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한다면, 주문하고자 하는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분석 기반으로,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를 분석하고,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91600(2015.12.31)호 "다수의 단말기 간 정보교류시스템(Information exchange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포함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분석 기반으로,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를 분석하고,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몰인몰 형태 오픈마켓을 기반으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서비스 메뉴 지원 강화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은, 수요자 단말(100),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가 클라우드 플랫폼(400)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400)을 통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대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그리고 선용품별(계절별, 월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수요자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100)과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마켓 플레이스용 서버와 블록체인용 개인별 거래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여 수요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이 육지로 입고 후 신고를 거쳐 내륙운송이 수행되고 선용품 관련 최종 화물이 구매자에 해당하는 수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인도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오픈마켓을 통해 해당 선용품을 주문하고 인도해가는 방식으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수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정산관리, 상품검색, 할인적용 UI 화면을 제공을 통해 오픈마켓에서 제반의 업무가 처리되도록 하는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오픈마켓 서비스를 위해 입점형/몰인몰 기능을 위해 셀러 SCM 및 다양한 운영정책 가능한 셀러 프로세스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물류재고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반품, 교환, 맞교환, 환불을 포함하는 고객클레임에 대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은, 블록체인 데이터를 포함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분석 기반으로,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를 분석하고,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은, 몰인몰 형태 오픈마켓을 기반으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서비스 메뉴 지원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의 기능과,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상에 구축된 오픈마켓 플랫폼의 계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전체 클라우드 플랫폼과의 연동 시스템(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 의한 몰인몰 형태 오픈마켓 제공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서비스 메뉴 지원 강화를 위한 수요자 단말(100)에게 제공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수요자 단말(100) 및/또는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게 제공되는 정산관리, 상품검색, 할인적용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다양한 지불수단을 통한 에스크로(escrow)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공개입찰 서비스 제공(판매 업체 알리미) 및 견적의뢰서 자동작성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업체별 비교견적 서비스(납품 가능일) 및 상호의사소통기능(문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자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역직구몰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표준 및 웹접근성 준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지능형 거래추천 서비스 상에서 추천거래 시스템 기본원리 및 구동시스템 결과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페이지 구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다차원 통계분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은 수요자 단말(100),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가 클라우드 플랫폼(400)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요자 단말(100)은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400)을 통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대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선용품별 (계절별, 월별 등) 수요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시스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서버 통신 게이트웨이, 모바일, 관리자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 등이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마켓 플레이스용 서버와 블록체인용 개인별 거래를 위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선용품이 사용되는 종합 물류적 관점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해상에서 선박이 육지로 입고 후 신고를 거쳐 내륙운송이 수행되고 선용품 관련 최종 화물이 구매자에 해당하는 수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인도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오픈마켓을 통해 해당 선용품을 손쉽게 주문하고 이를 인도해가는 방식으로 업무를 추진하려면 오픈마켓에서 제반의 업무가 처리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의 기능과,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상에 구축된 오픈마켓 플랫폼의 계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오픈마켓 서비스를 위해 입점형/몰인몰 기능을 위해 셀러 SCM 및 다양한 운영정책 가능한 셀러 프로세스 구현하며, 물류재고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반품, 교환, 맞교환, 환불 등 고객클레임에 유연한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매출 채널 연동 서비스를 위해 다른 국내 및 해외 오픈마켓, 종합몰 등과의 통합주문 관리상품.주문 Data 연동 Open API 활용을 하며, 역직구몰 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국내몰과 글로벌몰(역직구몰)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관리하며, 글로벌 비니지스 지원 서비스를 위해 멀티언어, 멀티환율 등 글로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구현을 위해 도 4와 같이 Legacy 관리 영역, 본사(Office) 관리 영역, PC & Mobile 관리 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비스를 통해 주문결제 및 정산, 셀러관리, 전자계약, 재고관리, 메일링/SMS관리 등 오픈마켓이 지향하는 기능과 함께 블록체인과의 연동, 지능형 추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전체 클라우드 플랫폼과의 연동 시스템(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동 시스템(1a)은 구현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개별 서비스가 최대한 포함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오픈마켓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구현 난이도가 높은 블록체인 부분은 가능 서비스에 한해 플랫폼에 데이터 연계하고자 한다.
즉, 연동 시스템(1a)은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으로 웹 기반 서비스를 위해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 대한 제 1 플랫폼으로 입점형/몰인몰 서비스를 제공하되, 오픈마켓 수준의 셀러관리 프로세스 장착, 셀러 SCM 및 다양한 운영정책을 포괄 수용 가능한 셀러정산 프로세스 구현한다. 도 6은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 의한 몰인몰 형태 오픈마켓 제공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연동 시스템(1a)은 외부연계 서비스를 위해 기업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컴포넌트(Component)들을 응용프로그램-대-응용프로그램(Application-to- Application)간에 자동으로 연결시켜 가상의 응용프로그램을 구축한다. 여기서, 월드와이드웹은 사람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인데 반해 웹 서비스는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동시스템(1a)은 클라우드 기반 통합환경 운영관리 서비스를 위해 솔루션을 사용하는 기업사용자의 솔루션을 구성하는 서비스별 사용권한 및 사용현황에 대한 통계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사용자 권한 관리, 접속통계 관리, 기업사용자 인증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 기업이 보유한 레거시 시스템과 각종 문서 교환 및 주요 정보 연계 서비스를 제공을 위하여 “게이트웨이 레거시 어댑터 서비스”와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비스”로 구성할 수 있으며, 통합서비스 플랫폼의 모든 기능과 정보를 표준화하여 개별 기업이 보유한 레거시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동시스템(1a)은 환경설정, 수송신 문서 스키마 관리, 문서 전송 확인 관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연계 솔루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별 권한 및 사용현황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수송신 문서 로그 관리, 전송 오류 확인, 수송신 문서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서비스 메뉴 지원 강화를 위한 수요자 단말(100)에게 제공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환경설정 사례, 다국어, 개인화 서비스 등을 통해 수요자 단말(100)에게 다국어 지원 및 상품정보 번역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픈마켓 환경설정 UI 화면도 제공할 수 있다.
오픈마켓 환경설정 UI 화면에는 오픈마켓의 기본정보 설정 및 회원가입 정책 설정, 일반회원, 사업자회원승인을 별개로 진행하여 도매/소매 구매회원 분류 설정, 오픈마켓 형식의 프론트 셀러회원 자동가입 및 승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 환경설정 UI 화면에서 결제관련 UI 화면에서 간단한 온라인 결제 설정 및 화폐 환율정보 입력을 통한 멀티 환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 설정 메뉴를 통해 관리자 관리 및 인적사항 관리 추가기능, 메뉴관리, 권한 템플릿 관리 메뉴를 통한 메뉴별로 관리자 권한 설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판매자 및 구매자 개인화 서비스(구매내역, 견적내역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수요자 단말(100) 및/또는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게 제공되는 정산관리, 상품검색, 할인적용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주문/판매 및 정산 관리 시스템, 상품정보 검색 구축을 위해 O2O(Online to Offline) 플레이스 관리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상호간에 클라우드 플랫폼(400)을 통한 LBS 검토 기반의 지역 연계 서비스 제공하며,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 대해서는 판매자 정산 관리를 통해 확장성 있는 판매자 정산을 제공함으로써, '셀러 정산 설정'에 따라 기간별 정산 및 정산일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요자 단말(100)에 의한 주문처리 상태를 셀러별, 상품별로도 설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자세금계산서와 연동된 정산 관리 기능, 전산 시 전월 반품/교환 등의 정산 추가/차감은 자동으로 적용하고, 히스토리 관리 및 세금계산서 발급 시에 실 결제금액으로 적용하며, 증빙서류 관리, 세금계산서, 간이계산서(비과세)를 나누어 증빙서류 자동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역발행 세금계산서, 서비스수수료 세금계산서 발급 기능, 오픈마켓급 판매자 정산, 구매자 정산 관리(할인 적용 반영), 환불 자동연동(PG) 기능을 통해 주문취소 및 반품요청별 전체 취소 또는 부분취소 PG와 연동 처리되어 실시간 환불 가능, 마일리지(적립금) 사용 주문 취소시에는 마일리지(적립금)를 선택환불, 추가 배송비 입금 관리, 환불 시 추가 및 반품 배송비가 발생할 경우 자동 관리를 통한 정확한 배송비 추가 관리 가능, PG에서 발급되는 모든 증빙서류 관리 가능, 세금계산서 개별 발급 기능, B2B 구매고객 대상 기간별 세금계산서 발급, 상품 정보 검색 및 비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다양한 지불수단을 통한 에스크로(escrow)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안정적 운영체계를 통한 시스템 관리를 통해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무통장 입금, 전자 온누리상품권 등의 최신결제시스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문, 결제, 배송 등 매일 고객과의 거래가 발생되는 인터넷 오픈마켓 홈페이지 특성을 고려하여 연중 무결점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방안 수립과, 회원제 시스템 구축(실명인증, 회원가입, 로그인, 마이페이지, 단, 비회원도 사용 가능), 소비자의 결제대금 예치제도인 에스크로(ESCROW)제 운영, 안전결제(ISP)서비스, 비자안심클릭 등 카드사의 결제 서비스 변화따라 즉각 서비스 변경 및 보완 관리 실시, 온라인 전자결제시스템에 대한 정기 점검 실시, 고객 관리 게시판 구축 및 고객 불만 대응(상품평, Q&A, FAQ, 배송문의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인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의 운영자 입장에서 접근성과 이용성을 향상시켜 홈페이지의 활성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수요자 단말(1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공개입찰 서비스 제공(판매 업체 알리미) 및 견적의뢰서 자동작성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공개입찰부분의 판매업체인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에 정보와 수요자 단말(100)에 대한 알리미 기능 통해 신속한 거래가 가능게 하며, 모바일 연동을 통한 실시간 거래기능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수요자 단말(100)은 장바구니 선택을 통한 복사기능을 활용하여 자동작성 편의성을 강화하며, 선택복사 및 선택삭제 등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업체별 비교견적 서비스(납품 가능일) 및 상호의사소통기능(문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견적리스트 제공 사례를 제공하며, 도 11b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고객의 정보 CTI 연동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수요자 단말(100)에 의한 Call 인입시 고객 대응 가능하며, CTI 연동 작동 고객 상담관리 회원정보 검색, 회원정보 활용 셀러 관리, 메모 및 상담기록 Data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자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관리, 상품관리, 주문/배송관리, 정산관리를 수행하며, 메뉴관리, 상품등록 및 관리, 주문관리, 정산관리, 회원관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페이지 인터페이스는 초급 기술자도 쉽게 운영가능한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제작됨으로써, 자료수정이 빈번한 항목은 항목별로 관리자 화면에서 수정 가능토록 구현하고, 게시판 자동생성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게시판을 생성, 수정, 변경,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팝업창 자동생성기능 및 배너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역직구몰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국가별 선박별 활용도를 분석하여 구매 추천을 제시토록 하고, 역직구몰 통합관리하고, 국내몰과 글로벌몰(역직구몰)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관리 가능 Multi-Front(구조), Multi-Language(언어), Multi-Currency(환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표준 및 웹접근성 준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웹 표준을 준수하여 구축되어야 하며, 웹 접근에 차별성이 없고 다양한 브라우저(익스플로러, 사파리, 크롬 등)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되어야 하는데, 웹접근성을 확보위한 웹표준을 준수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국내 특수성에 맞게 제정된 한국형 웹 콘덴츠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여 웹표준 준수를 통한 크로스 브라우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지능형 거래추천 서비스 상에서 추천거래 시스템 기본원리 및 구동시스템 결과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개발언어와 시스템 아키텍처상의 특징 및 표준 관련 준수사항 검토하여, 지능형 거래추천을 통한 스마트 오픈마켓 기반을 정립한다.
즉, 도 15a를 참조하면, 지능형 거래추천 서비스의 경우 로그 분석(S1), 모델 선정(S2), 모델 학습(S3), 품질 평가(S4), AB 테스트(S5), 서비스 적용(S6)의 절차를 거치며, 도 15c와 같은 UI 화면으로 거래추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페이지 구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모바일 환경에 맞는 모바일 페이지 구축하되, 모바일 웹 브라우저(사파리, 안드로이드, ios 등)에서도 지원 가능하도록 HTML5, JAVA 1.6 기반 오픈마켓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유관기능 통합 서비스, 모바일 관리 기능 별도 메뉴 제공, 모바일 푸시관리(APP 구현시), 모바일 전시, 할인 관리, 모바일 팝업, 모바일 기획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1)의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다차원 통계분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자체 통계 레포팅 제공을 통한 로그분석, 이커머스 분석 통해 10 여종 이상 레포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매출액, 방문객수 등 각종 통계분석 기능, 기간별, 판매상품별 등 각 카테고리로 구분해서 필요한 통계정보 조회기능, 각 카테고리별 세부 검색조건을 설정통해 정확한 통계정보 조회가능한 기능, 조회된 통계정보를 활용가능 하도록 엑셀로 자료를 변환하여 다운로드 및 인쇄기능, 홈페이지 회원 DB 현황 조회(관심사별, 연령별 등 분류 가능토록 구축) 기능, 오픈마켓 시스템 내 축적되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관리하고 선용품 관련 업체 및 지원기관에 유용한 시장 통계정보를 리포트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내 구축되는 빅데이터 처리 기능을 활용하여 정보를 재가공 이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계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오픈마켓별로 매출액 및 통계 분석, 로그분석(페이지 분석), 페이지뷰, 페이지당 체류시간, 자주 찾는 페이지 등의 페이지 방문에 대한 분석 확인 기능, 방문자 분석(방문횟수, 방문횟수당 페이지뷰, 체류시간 등의 방문자의 방문횟수와 관련된 분석 결과 확인 기능), 순수 방문자 분석(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의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 기능), 백오피스의 실시간 사용자의 분석 결과 확인 가능, 유입 사이트 분석(사이트를 방문하는 고객의 유입 경로를 확인 기능), 이커머스 분석(마케터가 원하는 분석 기능), 상품군별, 카테고리별, 가격대별, 고객군별, 개인고객별 일월기간년별 검색 기능, 거래추천 시스템 활용도 및 블록체인 거래관련 각종 조회도 블록체인시스템에서 제공 기능, 수익율, 점유율 및 구매전환율(조회수, 구매건) 등을 바로 분석 기능, 부서 및 MD별 목표 매출액 설정을 통해 성과 분석 지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7은 통계분석 사례로 페이지뷰 로그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UI 화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100 : 수요자 단말
200 : 오픈마켓 관리 서버
300 : 물품 공급업체 서버
400 : 클라우드 플랫폼

Claims (3)

  1. 수요자 단말(100),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및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가 클라우드 플랫폼(400)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400)을 통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에 대한 선용품 견적의뢰에 대한 트렌드(trend) 분석, 견적 송장기반 선용품 가격 최적 분석, 그리고 선용품별(계절별, 월별) 수요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청하는 수요자 단말(100); 및
    수요자 단말(100)과 물품 공급업체 서버(300) 간의 시스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마켓 플레이스용 서버와 블록체인용 개인별 거래를 위한 서버를 포함하여 수요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박이 육지로 입고 후 신고를 거쳐 내륙운송이 수행되고 선용품 관련 최종 화물이 구매자에 해당하는 수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인도되는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며, 오픈마켓을 통해 해당 선용품을 주문하고 인도해가는 방식으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수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정산관리, 상품검색, 할인적용 UI 화면을 제공을 통해 오픈마켓에서 제반의 업무가 처리되도록 하는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오픈마켓 서비스를 위해 입점형/몰인몰 기능을 위해 셀러 SCM 및 다양한 운영정책 가능한 셀러 프로세스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오픈마켓 관리 서버(200)는,
    물류재고통합관리 기능을 위해 반품, 교환, 맞교환, 환불을 포함하는 고객클레임에 대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20180173779A 2018-12-31 2018-12-31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227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79A KR102272278B1 (ko) 2018-12-31 2018-12-31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79A KR102272278B1 (ko) 2018-12-31 2018-12-31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19A true KR20200082819A (ko) 2020-07-08
KR102272278B1 KR102272278B1 (ko) 2021-07-02

Family

ID=7160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79A KR102272278B1 (ko) 2018-12-31 2018-12-31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935B1 (ko) * 2020-11-30 2021-07-08 (주)에스유지 웹로그 분석을 통한 거래추천을 제공하는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20220051606A (ko) * 2020-10-19 2022-04-26 (주)에스유지 중화권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337A (ko) * 2014-08-14 2016-02-25 강이현 인터넷을 이용한 선박용품(선용품) 거래 중계 방법 및 대금 결제 시스템
KR20180136398A (ko) * 2017-06-14 2018-12-24 황희찬 전자상거래 업무 통합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337A (ko) * 2014-08-14 2016-02-25 강이현 인터넷을 이용한 선박용품(선용품) 거래 중계 방법 및 대금 결제 시스템
KR20180136398A (ko) * 2017-06-14 2018-12-24 황희찬 전자상거래 업무 통합 자동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91600(2015.12.31)호 "다수의 단말기 간 정보교류시스템(Information exchange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블록체인과 IOT 비즈니스의 활용, MARKET Trend 자동인식 비전(2018.04.30.)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06A (ko) * 2020-10-19 2022-04-26 (주)에스유지 중화권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2274935B1 (ko) * 2020-11-30 2021-07-08 (주)에스유지 웹로그 분석을 통한 거래추천을 제공하는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278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20070150370A1 (en) System for Increasing On-Line Shopping Presence
CN112118116B (zh) 基于电子商务平台中的设置来推荐商家讨论组的系统和方法
US20200202379A1 (en) Determining subscription offers through user purchase behavior
CN111161017A (zh) 一种基于移动终端和区块链的云端营销系统及方法
US20200402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store
US117832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marketplace
US20210012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through return labels
US11544642B2 (en) Supplier recommendation engine
US11113712B2 (en) Automatic redemption of digital offers with deferred payment
US20210012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turned items based on related inventory information
CN111914572A (zh) 用于可执行指令的翻译平台
US202100566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t searches
KR102272278B1 (ko)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한 IoT 플랫폼 기반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EP3926494A1 (en) Dynamic generation of location-specific user interfaces
Nagu Managing customer relations through online banking
US11494828B2 (en) Componentized order entry and editing system and method
CN115049448A (zh) 用于优化在线服务的性能的系统和方法
EP3719726A1 (en) Multi-location delivery
Jiang Integration of CRM and ERP in E-Commerce Environment
KR102056738B1 (ko) 가맹점 마케팅 및 회원관리 대행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311511B1 (ko)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한 오픈마켓 시스템
Deshmukh et al. Accounting software and e-business
US20200349620A1 (en) Email address verification
US11829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navigation in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