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374B1 -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374B1
KR101925374B1 KR1020180054931A KR20180054931A KR101925374B1 KR 101925374 B1 KR101925374 B1 KR 101925374B1 KR 1020180054931 A KR1020180054931 A KR 1020180054931A KR 20180054931 A KR20180054931 A KR 20180054931A KR 101925374 B1 KR101925374 B1 KR 10192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board
horizontal frame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종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102018005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보드 및 상기 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보드를 지지하는 다리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2 수평프레임; 상기 제1,2 수평프레임에 양단이 각기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2 수평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1 연결프레임;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보드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보드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첩;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다리프레임씩 상호 결합하는 제3,4 수평프레임;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되어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된 제1,2 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1,2 보조프레임에 양단이 고정결합되며, 보드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FRAME COMBINE SYSTEM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을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을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을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결합방법은 용접기와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한 전문기술로서, 비숙련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상호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결합방법 역시 가구의 외부로 체결볼트와 너트가 노출되어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가구용 프레임의 외부에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체결볼트와 너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가 체결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은 일종의 매개체인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게 가구용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은 개별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용접이나 나사 체결방식 등을 통해 결합한 것이므로, 결합에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분리시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은 공장에서 미리 결합하여 현장에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운반시 적재공간을 상당수 필요로 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51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14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구용 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해체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운반시 적재량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도록 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보드(Board); 및
상기 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보드를 지지하는 다리프레임(Pillar);
을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2 수평프레임(Horizontal Frame);
상기 제1,2 수평프레임에 양단이 각기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2 수평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1 연결프레임(Connecting Frame);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보드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보드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첩(Hinge)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다리프레임씩 상호 결합하는 제3,4 수평프레임;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되어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횡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2 보조프레임(Sub Frame);
상기 고정돌기에 하부가 체결고정되어 제1,2 보조프레임에 양단이 고정결합되며, 보드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1,2 보조프레임에 양단이 각기 얹혀진 제2 연결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제1,2 보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양단을 각기 고정결합하는 손잡이 볼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이며, 원판형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수평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4 수평프레임 및 제2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양단 및 이와 마주보는 제1,2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각기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설치되며, 힌지축을 통해 상호 체결되는 힌지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회동공간이 형성된 제1 힌지부;
상기 회동공간에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형성되어 제2 힌지부의 회동범위를 40∼45°로 제한하는 스토퍼로 작용하는 락킹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가구용 프레임을 결합 가능함으로써,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역시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편리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경첩을 통해 보드를 회동시켜 적재함으로써, 가구용 프레임 간의 적재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이나 운반시 적재량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활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장치를 통해 가구용 프레임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받침대를 통해 가구용 프레임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힌지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을 해체하여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보드(10)를 받쳐 지지하는 제1,2,3,4 다리프레임(11)(12)(13)(14)의 상단에 제1,2,3,4 수평프레임(21)(22)(23)(24)이 고정결합되고, 이들 사이에 제1,2 연결프레임(31)(32)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프레임(31)의 상부에 경첩(3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과 제3,4 수평프레임(23)(24)의 상부에 받침대(40)가 설치되어 보드(10)와의 사이에 개재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2 수평프레임(21)(22)에 제1 연결프레임(31)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3,4 다리프레임(13)(14)의 상단에 고정결합된 제1,2 보조프레임(41)(42)과 제2 연결프레임(32)이 손잡이 볼트(33)를 통해 상호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3 수평프레임(21)(23)이 서로 교차방향으로 고정결합된 제1 다리프레임(11)의 상부에 마감뚜껑(15)이 체결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3 다리프레임(13)에 고정결합된 제1 보조프레임(41) 및 상기 제1 보조프레임(41)에 고정결합되는 제2 연결프레임(32)의 결합관계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결합관계를 측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보드(10)와 경첩(30)의 결합관계 및 제2 연결프레임(32)과 제1 보조프레임(4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가구용 프레임을 상호 고정결합시켜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으로 활용 가능한 가구(1)를 구성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보드(10) 역시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으로 해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드(10)는 원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이의 하부를 다리프레임이 지지하게 된다. 다만,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도시하고 있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 보드(10)를 기준으로 설명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또한, 보드(10)가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되면, 다리프레임은 상기 보드(10)의 각 꼭짓점 측에 배치되어 보드(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다리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4개를 한 조로 하여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다리프레임은 설명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제1,2,3,4 다리프레임(11)(12)(13)(14)으로 지칭하게 된다.
상기 보드(10) 및 제1,2,3,4 다리프레임(11)(12)(13)(14)을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상기 제1,2 다리프레임(11)(12)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21)(22),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에 양단이 각기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2 수평프레임(21)(22)을 회동시키는 제1 연결프레임(31) 및 상기 제1 연결프레임(31)과 보드(10)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보드(10)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첩(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과 제1 연결프레임(31)은 도면상 보드(10)의 길이방향 한 변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평상시 보드(10)를 지지하고 있다가 가구용 프레임의 해체시 상기 제1 연결프레임(31)의 양단을 기준으로 제1,2 수평프레임(21)(22)이 외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은 제1,2 다리프레임(11)(12)에 밀착되는 각 일단에 결합돌기(21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21a)를 제1,2 다리프레임(11)(12)에 삽입체결하는 방법으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다리프레임(11)(12)은 각 상부에 마감뚜껑(15)을 결합하여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수평프레임(21)(22)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연결프레임(31)은 양단에 돌출부(20e)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e)와 마주보는 제1,2 수평프레임(21)(22)의 일단에 회동공간(20c)이 형성되어 힌지축(20a)을 통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을 용이하게 회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연결프레임(31)의 양단 및 이와 마주보는 제1,2 수평프레임(21)(22)의 일단에 힌지장치(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첩(30)은 두 개의 브래킷(Bracket)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상의 구성으로서, 제1 연결프레임(31)의 상면, 측면 또는 상면과 측면에 걸쳐 어느 하나의 브래킷이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브래킷이 보드(10)의 하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드(10)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첩(3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보드(10)의 용이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며, 상기 보드(10)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이격 거리를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2 수평프레임(21)(22)과 제1 연결프레임(31) 및 경첩(30)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해체시 보드(10)를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시 적재공간의 최소화를 통해 적재량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제1,2 수평프레임(21)(22)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3 다리프레임(11)(13)을 상호 결합하는 제3 수평프레임(23), 제2,4 다리프레임(12)(14)을 상호 결합하는 제4 수평프레임(24),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과 나란히 배치되어 제3,4 다리프레임(13)(14)의 상단에 고정결합된 제1,2 보조프레임(41)(42) 및 상기 제1,2 보조프레임(41)(42)에 양단이 고정결합되며, 보드(10)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32)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3,4 수평프레임(23)(24)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다리프레임씩 상호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3 다리프레임(11)(13)의 상단에 제3 수평프레임(23)이 고정결합되고, 제2,4 다리프레임(12)(14)의 상단에 제4 수평프레임(24)이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이들의 고정결합은 앞선, 제1,2 수평프레임(21)(22)의 고정결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보조프레임(41)(42)은 횡단면이 다각형 또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제3,4 다리프레임(13)(14)의 상단에 고정결합됨으로써, 보드(10)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32)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보드(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예컨대,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1,2 보조프레임(41)(42)은 제2 연결프레임(32)의 양단에 각 일단이 삽입되고, 손잡이 볼트(33)를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의 양단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횡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된 제1,2 보조프레임(41)(42)은 제2 연결프레임(32)의 양단이 얹혀진 상태에서 손잡이 볼트(33)를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의 양단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된 제1,2 보조프레임(41)(42)은 상면에 고정돌기(4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얹혀진 제2 연결프레임(32)의 양단을 상기 고정돌기(43)를 통해 체결고정한 상태에서 손잡이 볼트(33)를 통해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이 더욱 용이하다.
이러한 제1,2 보조프레임(41)(42)과 제3,4 다리프레임(13)(14)의 고정결합 역시 앞선, 제1,2 수평프레임(21)(22)과 제1,2 다리프레임(11)(12)의 고정결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보드(10)의 하면에 설치되며, 양단이 제1,2 보조프레임(41)(42)에 고정결합됨으로써, 가구(1)를 구성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과 보드(10) 사이에는 상기 보드(10)를 더욱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40)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0)는 제3,4 수평프레임(23)(24)에도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대(40)는 제2 연결프레임(32)과 제3,4 수평프레임(23)(24)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하부의 돌기를 통해 상기 제2 연결프레임(32) 및 제3,4 수평프레임(23)(24)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드(10)와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보드(1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보조프레임(41)(42)과 제2 연결프레임(32) 간의 고정결합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을 누구나 쉽게 결합하여 가구(1)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역시 용이하며, 받침대(40)를 통해 보드(10)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함으로써, 견고성 확보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힌지장치(20)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힌지축(20a)을 통해 서로 체결되는 제1,2 힌지부(20b)(20d)로 구성된 힌지장치(20)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리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힌지장치(20)를 통해 제1,2 수평프레임(21)(22)이 외측으로 회동하고, 경첩(30)을 통해 보드(1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가구용 프레임이 해체된 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1)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 내지 10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20)는 제1 연결프레임(31)의 양단 및 이와 마주보는 제1,2 수평프레임(21)(22)의 일단에 별도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러한 힌지장치(20)는 일단에 회동공간(20c)이 형성된 제1 힌지부(20b) 및 상기 회동공간(20c)에 삽입되어 힌지축(20a)을 통해 체결되는 돌출부(20e)가 일단에 형성된 제2 힌지부(20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공간(20c) 및 제1 힌지부(20b)에 걸쳐 형성되어 제2 힌지부(20d)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락킹부(20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장치(20)는 기본적으로 힌지축(20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1,2 수평프레임(21)(22)을 회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수평프레임(21)(22)의 회동범위를 예컨대, 40∼45°로 제한할 수 있도록 일종의 스토퍼로 작용하는 락킹부(20f)가 회동공간(20c)의 일측 및 제1 힌지부(20b)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장치(20)를 통해 제1,2 수평프레임(21)(22)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킹부(41)를 통해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회동동작의 신뢰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을 해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2 보조프레임(41)(42)과 제2 연결프레임(32)을 분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힌지장치(20)를 통해 제1,2 수평프레임(21)(22)을 외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1,2,3,4 다리프레임(11)(12)(13)(14)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드(10)는 경첩(30)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쉽게 가구용 프레임을 해체할 수 있으며, 이를 역순으로 진행함으로써, 가구용 프레임을 쉽게 결합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으로 활용되는 가구(1)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편리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을 해체하여 적재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보드(10)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가구용 프레임의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드(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가구용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적재공간(1a)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운반이나 보관시 적재공간(1a)의 최소화를 통해 적재량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활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가구 10 - 보드
10a - 적재공간 11 - 제1 다리프레임
12 - 제2 다리프레임 13 - 제3 다리프레임
14 - 제4 다리프레임 15 - 마감뚜껑
20 - 힌지장치 20a - 힌지축
20b - 제1 힌지부 20c - 회동공간
20d - 제2 힌지부 20e - 돌출부
20f - 락킹부 21 - 제1 수평프레임
21a - 결합돌기 22 - 제2 수평프레임
23 - 제3 수평프레임 24 - 제4 수평프레임
30 - 경첩 31 - 제1 연결프레임
32 - 제2 연결프레임 33 - 손잡이 볼트
40 - 받침대 41 - 제1 보조프레임
42 - 제2 보조프레임 43 - 고정돌기

Claims (10)

  1. 보드; 및
    상기 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보드를 지지하는 다리프레임;
    을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2 수평프레임;
    상기 제1,2 수평프레임에 양단이 각기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2 수평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1 연결프레임;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보드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보드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첩;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다리프레임씩 상호 결합하는 제3,4 수평프레임;
    상기 제1,2 수평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되어 다리프레임의 상단에 각기 고정결합되며, 횡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2 보조프레임;
    상기 고정돌기에 하부가 체결고정되어 제1,2 보조프레임에 양단이 고정결합되며, 보드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1,2 보조프레임에 양단이 각기 얹혀진 제2 연결프레임에 나사 체결되어 제1,2 보조프레임과 제2 연결프레임의 양단을 각기 고정결합하는 손잡이 볼트;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이며, 원판형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수평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프레임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4 수평프레임 및 제2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
    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의 양단 및 이와 마주보는 제1,2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각기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설치되며, 힌지축을 통해 상호 체결되는 힌지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회동공간이 형성된 제1 힌지부;
    상기 회동공간에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형성되어 제2 힌지부의 회동범위를 40∼45°로 제한하는 스토퍼로 작용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는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0180054931A 2018-05-14 2018-05-14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192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31A KR101925374B1 (ko) 2018-05-14 2018-05-14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31A KR101925374B1 (ko) 2018-05-14 2018-05-14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374B1 true KR101925374B1 (ko) 2018-12-05

Family

ID=6474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931A KR101925374B1 (ko) 2018-05-14 2018-05-14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3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62A (ko) 2019-02-18 2020-08-26 김동환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1052A (ko) 2019-02-19 2020-08-27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프레임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92567Y1 (ko)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2478552B1 (ko) * 2022-05-13 2022-12-21 (주)야무진친구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 데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62A (ko) 2019-02-18 2020-08-26 김동환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1052A (ko) 2019-02-19 2020-08-27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프레임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92567Y1 (ko)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2478552B1 (ko) * 2022-05-13 2022-12-21 (주)야무진친구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 데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374B1 (ko)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US6257229B1 (en) Collapsible cart for a barbecue grill
US20110017692A1 (en) Hinge apparatuses, structures, and systems for structurally rigid and durable, folding support furniture
US20110011816A1 (en) Hinge apparatuses, structures, and systems for structurally rigid and durable, folding support furniture
KR101464114B1 (ko)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EP1635676A1 (en) Multi-plane compound folding frame
US20150374145A1 (en) Portable Folding Display
US2746525A (en) Dismountable picnic table
US20150216330A1 (en) Portable folding display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US6820629B2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JP2002276074A (ja) 制振パネル
KR102031950B1 (ko) 폴더 기능을 갖는 테이블
KR101900053B1 (ko) 프레임시스템 책상
JP2014236789A5 (ko)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JP3239010U (ja) 携行用テーブル
KR101900054B1 (ko) 가구용 프레임시스템
JP2002125783A (ja) 家 具
JP4255697B2 (ja) デスク
CN219556788U (zh) 一种具有三向折合机构的床
JP2772909B2 (ja) ヒンジ装置
JP2014236789A (ja) 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200233993Y1 (ko) 조립식 가구
KR200247355Y1 (ko) 침대류 및 탁자류용 기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