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123B1 -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123B1
KR101925123B1 KR1020170108821A KR20170108821A KR101925123B1 KR 101925123 B1 KR101925123 B1 KR 101925123B1 KR 1020170108821 A KR1020170108821 A KR 1020170108821A KR 20170108821 A KR20170108821 A KR 20170108821A KR 101925123 B1 KR101925123 B1 KR 101925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korean
ginseng
root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이화영
권준택
김형기
조익현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및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Fibromyalgia Comprising Valeriana Fauriei Root Extract And Panax Ginseng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발전됨에 따라 환경적 정신적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섬유근통증후군은 전체 인구의 1~4%의 유병율을 보이며 류마티스내과 외래 환자의 10~20%의 비율을 차지한다. 기존 중년 이상의 여성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섬유근통증후군은 최근에 들어 젊은 계층에서도 보여지며 그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근통증후군의 경우 아직까지도 그 발병에 대해 명확한 근거가 나오고 있지 않으며 보여지는 증상 또한 광범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신에 걸친 광범위한 통증 증상에 의해 수면장애와 우울증의 위험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신과적 치료도 병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섬유근통증후군은 다양한 환경에 의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완치되지 못하며 다른 질환이 존재한다고 해서 배재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섬유근통증후군에 있어 약물치료는 단순진통제와 항우울제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통증과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통증완화에 대한 약물의 치료는 단계에 따라 진행되며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 트라마돌이라는 강력한 약물이 처방된다.
현재 통증완화에 사용되는 약물 중 천연물을 이용한 약물은 거의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존재하는 통증완화 약물의 경우도 실제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여겨진다. 그로 인해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새로운 신약발굴을 위한 기초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한국산 쥐오줌풀(길초근, Valeriana Fauriei)은 마타리과 식물로 이미 스트레스 완화와 우울증에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와있다. 그러나 한국 쥐오줌풀이 특정 질환을 대상으로 한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내용은 존재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고려인삼과의 조합 배율을 통해 연구된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
쥐오줌풀의 국내연구는 주로 재배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국외의 경우 쥐오줌풀 연구는 주로 중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성분연구나 분리한 물질의 생리활성을 확인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1999년 길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향료의 특허 출원을 시작으로 2001년 기능적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물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길초근이 포함되었으며, 스트레스 상태의 예방 및 치료용 제재(2004년) 및 개선된 담체 제형(2005년)의 특허 등이 있다.
그러나, 쥐오줌풀에 관련되어 진행되어 왔던 대부분은 항불안이나 항신경보호제 등의 연구에 치우쳐져 있어, 이외의 다양한 항스트레스 및 항 우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물질의 발견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의 쥐오줌풀 연구의 재배적인 측면에서 탈피하여 성분연구 및 생리활성연구 등 여러 방면에서의 연구가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의 혼합물이 우울증을 동반한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특허공개공보 2015-0074687 (2015.07.02)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 약학적 조성물로서 우울감을 동반한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우울감을 동반한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및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의 일정 함량의 배합을 통해 섬유근통증후군의 통증과 우울감의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의 혼합물이 특정 신경회로를 통해 발생되는 섬유근통증후군의 통증 및 우울감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약물만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섬유근통증후군의 특징에 접목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물치료 이전의 비약물 치료시기의 보조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에틸에테르(a), 부탄올(b), 헥산(c)을 이용한 세포에서의 항스트레스 효능에 대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고려인삼 추출물과 쥐오줌풀 분획 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항스트레스 효능에 대한 실험 (a)과 독성평가에 대한 실험 (b)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Tail flick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Tail suspension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은 쥐오줌풀 자체의 몸통과 잎 부위를 제외한 뿌리 자체만을 사용한 것으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1차 추출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해 2차 추출한 추출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고려인삼(Panax Ginseng) 추출물" 은 환류를 통해 얻어진 추출물로 동결건조를 거쳐 분쇄된 형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배합 조성물" 은 쥐오줌품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의 일정 비율에 따라 혼합 배합한 조성물을 말한다.
용어 "예방"이란, 다양한 이유로 발생될 수 있는 섬유근통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 작용 및 우울증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 또는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통증작용 및 우울증 증상이 호전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롭게 변화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에 단일형태 또는 희석제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섬유근통증후군은 전신 다발성 자극과 열 민감도에 따른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일 수 있으며, 우울증 및 수면장애로 나타나는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치료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현재까지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동반한 섬유근통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에 대해서 공지된 바 없으며, 특히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자료는 없다.
본 발명은 국내에서 재배되는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을 혼합하되 그 비율을 조절하면서 우울증을 동반한 섬유근통증후군의 개선 효과를 증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을 1:2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 1:2, 1:5 및 1:2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0.1 ~ 1.5 wt%; 및 고려인삼 추출물 13 ~ 23 wt% 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0.3 wt%; 및 고려인삼 추출물 18.3 wt%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통증 개선의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울감과 관련되는 부동성(Immobility)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증 감소 및 통증으로 인해 유발된 우울감의 감소 효과는 고려인삼 추출물만을 투여한 경우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은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어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식품 조성물로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을 1:2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 1:2, 1:5 및 1:2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0.1 ~ 1.5 wt%; 및 고려인삼 추출물 13 ~ 23 wt% 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0.3 wt%; 및 고려인삼 추출물 18.3 wt%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의 제조
고려인삼 추출물은 200g의 분쇄된 고려인삼을 3번의 환류를 통해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다시 동결 건조하고 분쇄한 뒤 사용 전까지 밀봉된 상태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은 건조된 쥐오줌풀 뿌리 2kg을 실온에서 3L의 에탄올에 1일 동안 처리하고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3회 추출 후 회전식 감압 추출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 후 에탄올로 다시 조추출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2차 추출한 것으로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 보관되었다.
2.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의 경우 3주령 B6/J 계의 남자 쥐 만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쥐는 중앙실험동물 업체에서 공급받아 진행되었다. 실험동물의 사육은 지정된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때, 물과 먹이는 자유롭게 공급되었고 낮과 밤을 12시간으로 조절하여 주었다.
3. 세포실험의 준비
24well plate에 SH-SY5Y cell을 1x10-5 으로 준비하고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1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방치한다. 그 후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약물처리군에 동일하게 cortisol 100uM으로 처리한 뒤 16시간 이상 방치한다. Cortisol 처리 이후 MTT를 5m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햇빛의 노출을 피해 4시간 방치 뒤 DMSO를 넣어 발색시키고, 5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실험에 필요한 섬유근통증후군 동물 모델의 제작
섬유근통 통증모델을 제작하여 통증 및 우울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우울감과 통증을 동시에 나타내는 통증동물모델을 제작하여 약물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었다 (Nishiyori et al. 2008). 그에 따른 통증모델 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구속 스트레스를 21일간 진행한 뒤 21일 째 오후 4시30분 구속 스트레스가 종료된 실험 동물을 4℃에서 다음날 오전 10시30분까지 방치한 뒤 오후 4시3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4℃와 상온을 번갈아 가며 반복하고 24일 째 날까지 열 변화 자극을 주어 통증모델 확립을 완성하였다.
5. 섬유근통증후군 통증모델의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의 경구 투여
한국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은 매주 실험동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고 해당 군의 무게의 평균을 구하여 약물을 새로이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 때, 고려인삼 추출물은 300mg/kg로 하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은 10mg/kg와 100mg/kg의 농도로 진행되었으며 고려인삼 추출물만을 300mg/kg로 투여한 군(PG), 고려인삼 추출물 200mg/kg 와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10mg/kg 혼합 투여군(PG+10VF), 고려인삼 추출물 200mg/kg 와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100mg/kg 혼합 투여군(PG+100VF)으로 이루어 졌다. 또한, 정상군과 통증모델군의 경우 경구투여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감안하여 급여시 투여한 200ul와 동일한 양의 수돗물을 투여하였다. 조합물의 경구 투여는 구속스트레스가 시작되는 첫날부터 열자극이 종료되는 24일까지 경구투여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세포실험을 통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1.1 SH-SY5Y cell에 준비된 에틸에테르, 부탄올, 헥산을 이용한 쥐오줌풀 추출 분획물을 일정 농도로 처리한 뒤 100uM의 cortisol을 처리하여 cortisol만을 처리했을 때 보여지는 dead cell의 정도가 처리된 약물군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분석한다.
1.2 SH-SY5Y cell에 준비된 에틸에테르를 이용한 쥐오줌풀 추출 분획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일정 농도 비율로 처리한 뒤 100uM의 cortisol을 처리하여 cortisol만을 처리했을 때 보여지는 dead cell의 정도가 처리된 약물군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cortisol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세포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세포독성을 확인한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세포실험을 통해 실험에 사용된 분획물 중 BuOH (부탄올)과 EA (에틸아세테이트)의 추출 분획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의 1:1 내지 1:20의 비율에서 모두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0.05) 이 때, 저농도 중 효과가 우수한 1:2 비율과 고농도 중 효과가 우수한 1:20 비율의 경우 비교적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스트레스 완화 효과 또한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2. 섬유근통증후군 통증모델을 이용한 통증개선 효과 분석
2.1 Tail flick test는 0~100%까지 설정이 가능한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광 센서로 동물모델 꼬리에 일정 복사열을 가하면 침해 수용 반사에 의해 움직이는 꼬리를 감지하여 열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을 조사한다. 이 때, 여러 번의 조건 실험을 통해 구해진 열 자극 계수를 20%로 지정하고 열 자극에 의한 신경손상을 방지 하기 위해 최대 자극 시간을 20초로 설정하여 진행하여 기기에 자동으로 측정되는 초를 기입하여 둔다.
도 3에서와 같이, Tail flick test: tail-flick latency 측정 실험 결과 대조군, 섬유근통 모델 및 배합 조성물 투여군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섬유근통 모델군은 대조군에 비해 열 자극에 민감도가 상승하여 감소된 tail-flick 반응시간을 보였다. (p<0.05) 감소된 tail-flick 반응시간은 본 발명의 배합 조성물의 투여군에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3. 섬유근통증후군 통증모델에서의 우울 관련 지표 개선 효과 탐색
통증 개선 효과 이외 섬유근통증후군에서 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우울증에 대한 개선효과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우울관련 지표 개선효과를 탐색할 수 있는 Tail suspension test를 진행하였으며 공간이 분리된 50cmx50cm의 특정 상자를 이용하였다. 이때 특정 상자의 한쪽 면에 30cm 이상의 철봉을 고정하고 실험 동물 모델의 꼬리 끝 1cm 정도를 철봉 끝에 고정한 뒤 총 6분 동안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의 산출은 최초 2분은 적응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마지막 4분 동안의 동물 모델 상태 중 정지상태(Immobility)를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도 4와 같이, Tail suspension test 측정 실험 결과 우울감의 지표로 사용되는 정지 시간이 섬유근통 모델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증가된 우울감 지표인 정지 시간은 본 발명의 배합 조성물의 투여군에서 정지 시간이 정상군과 유사하게 감소되었다(p<0.01). 또한, 배합 조성물 조합 중 고려인삼 추출물 200mg/kg와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 100mg/kg의 결과에서는 대조군인 정상군에서보다 유익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배합 조성물이 섬유근통 모델에서 자포자기 상태를 반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정상군에 비해서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증거이다.
실험예 2 및 3에 기술한 모든 통증개선 및 우울지표 개선 효과 분석 실험은 3회 측정을 기본으로 하며 자극에 대한 적응을 막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1회의 실험 종료 후 10분의 휴식기를 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각각의 실험동물 그룹의 마릿수는 신뢰성을 위해 최소 10마리 이상으로 규정한다.

Claims (8)

  1.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및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과 고려인삼 추출물을 1:2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한국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뿌리 분획 추출물 0.1 ~ 1.5 wt%; 및 고려인삼 추출물 13 ~ 23 wt%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섬유근통증후군은 우울감 또는 수면장애를 동반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은
    (a) 건조된 쥐오줌풀 뿌리를 에탄올에 처리 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1차 추출된 쥐오줌풀 뿌리를 동결 건조시킨 후 에탄올로 조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추출된 쥐오줌풀 뿌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2차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약학적 조성물.
  7.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의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70108821A 2017-08-28 2017-08-28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2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1A KR101925123B1 (ko) 2017-08-28 2017-08-28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1A KR101925123B1 (ko) 2017-08-28 2017-08-28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23B1 true KR101925123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821A KR101925123B1 (ko) 2017-08-28 2017-08-28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123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wayoung Lee 외. 섬유근통 동물모델에서의 뇌성장인자 시그널 조절에 따른 고려인삼의 항통증 효과. 한국약용작물학술대회 발표집. 2017년 5월, pp. 63.*
Parvaneh Mirabi 외. Effects of valerian on the severity and systemic manifestations of dysmenorrhea.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115 (2011), pp. 285-28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5651A (zh) 用于降低氧化胁迫的表面用组合物和方法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CN110151823A (zh) 一种肉桂精油的应用
EP292682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ceptridium ternatum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or degenerative brain diseases
KR20140120667A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10024222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コラーゲン産生促進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US20070122504A1 (en) Grape seed extract having neuronal cell-protection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KR101925123B1 (ko) 한국산 쥐오줌풀 뿌리 분획 추출물 및 고려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근통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EP363245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343508B1 (ko)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생강으로부터 여드름성 피부 항균성분의 선택추출법
EP3632418A1 (en) Brain-dysfunction preventing and/or improving composition containing lutein or salt thereof and processed product of plant belonging to genust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29699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쯔하이머 치매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RU2689321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нгибирования синтеза триглицеридов с помощью синергетической комбинации ботанических составов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US1148456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natural mixture extracts
KR20180055137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07115383B (zh) 具有防治皮肤干燥综合征功效的皮肤养护/治疗组合物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0070531A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用または抗炎症用の食品、医薬、動物飼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原料用組成物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I814490B (zh) 山竹果殼萃取物用於製備燒燙傷傷口治療之藥物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