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37B1 -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37B1
KR101924637B1 KR1020160177593A KR20160177593A KR101924637B1 KR 101924637 B1 KR101924637 B1 KR 101924637B1 KR 1020160177593 A KR1020160177593 A KR 1020160177593A KR 20160177593 A KR20160177593 A KR 20160177593A KR 101924637 B1 KR101924637 B1 KR 10192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il
valve
test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986A (ko
Inventor
전영근
Original Assignee
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근 filed Critical 전영근
Priority to KR102016017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3Measuring variation of fuel pressure in high pressure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사용되는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자동 조작 방식으로 측정하여 적합성 여부를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검증할 수 있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에 테스트오일을 주입 및 가압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공기압이 인가되는 제1공기압라인; 상기 제1공기압라인에 연결되어 공기압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에 제2공기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에 의해 조절된 상기 공기압을 이용하여 오일탱크에서 공급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오일펌프; 상기 오일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펌프의 피스톤을 최초의 가압행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상기 오일펌프에 의해 가압된 테스트오일이 압송되는 오일압송라인; 상기 오일압송라인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을 연료분사밸브로 주입하는 오일주입라인; 상기 오일압송라인과 상기 연료분사밸브의 사이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밸브가 개방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순간 작동하여 테스트오일을 차단하여 상기 오일압송라인 내부의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급속차단밸브; 상기 오일압송라인에 설치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테스트별로 한 개의 테스트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센서부터 감지한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되는 압력표시창이 구비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Test apparatus for fuel injection valve of marine diesel engine}
본 발명은 선박에 사용되는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자동 조작 방식으로 측정하여 적합성 여부를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검증할 수 있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는 개방압력(분사압력)에 따라 엔진의 효율과 수명이 결정된다. 즉, 개방압력이 기준압력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불안전 연소로 대기오염을 일으키고 연료소모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측정하여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 장치는 연료분사밸브에 테스트오일을 공급하여 테스트하는 구조이다.
즉, 연료분사밸브에 테스트오일을 주입하고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며 그 과정에서 테스트오일의 상승 압력에 의해 연료분사밸브가 개방되어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순간에 테스트오일의 입력인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종래의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상태에서의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이를 위해 테스트오일에 가해지는 공기압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측정 대상인 테스트오일을 직접 차단하지 않고 테스트오일에 압력을 가하는 공기압을 차단함에 따라 테스트오일에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시점과 공기압을 차단하는 시점 간에 시간차가 발생하면서 시간지연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하여 연료분사밸브의 적합성 여부를 신뢰도 있게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테스트 과정에서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공기압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밸브를 작업자가 순서에 맞게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오조작과 시간지연으로 인해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연료분사밸브로 주입되는 테스트오일을 직접 차단한 상태에서 시간지연 없이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테스트오일의 압력 측정을 하나의 테스트버튼의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8942호, 2009.05.25.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하나의 테스트버튼을 통한 한 번의 조작으로 연료분사밸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테스트하여 적합성 여부를 신뢰도 있게 평가할 수 있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에 테스트오일을 주입 및 가압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공기압이 인가되는 제1공기압라인; 상기 제1공기압라인에 연결되어 공기압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에 제2공기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에 의해 조절된 상기 공기압을 이용하여 오일탱크에서 공급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오일펌프; 상기 오일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펌프의 피스톤을 최초의 가압행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상기 오일펌프에 의해 가압된 테스트오일이 압송되는 오일압송라인; 상기 오일압송라인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을 연료분사밸브로 주입하는 오일주입라인; 상기 오일압송라인과 상기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오일배출라인; 상기 오일배출라인에 설치된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 상기 제1공기압라인과 상기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에 인가되는 상기 공기압을 단속하는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오일압송라인에 설치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테스트별로 한 개의 테스트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한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되는 압력표시창이 구비된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테스트버튼은 복수 개의 테스트모드별로 한 개씩 할당되고 해당 테스트모드에 대응되게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및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의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압력표시창은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1압력표시창과, 상기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압력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제2압력표시창으로 구성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압송라인과 상기 연료분사밸브의 사이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 상기 오일압송라인과 상기 오일주입라인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 작동하여 테스트오일을 차단시키는 급속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급속차단밸브가 상기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 순간 상기 테스트오일 추가 주입을 차단시켜 상기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 순간압력(개방압력)이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한 개의 테스트버튼을 1회 조작하면 테스트모드에 따른 연료분사밸브의 테스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분사밸브가 개방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강하가 발생한 즉시 급속차단밸브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테스트오일을 직접 차단함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적합성 여부를 신뢰도 있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선박의 디젤엔진에서 디젤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밸브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자동 조작 방식으로 테스트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하나의 테스트버튼을 통한 한 번의 조작으로 연료분사밸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테스트하여 적합성 여부를 신뢰도 있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제어기에 마련된 복수 개의 테스트별로 한 개의 테스트버튼을 1회 조작하면 연료분사밸트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오일의 주입, 가압, 차단, 개방 압력 고정표시, 및 압력배출 등의 동작이 기설정된 순서대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밸브홀더(10), 오일탱크(20), 오일공급라인(30), 오일펌프(40), 오일압력제어라인(50),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오일압송라인(60), 오일주입라인(70), 급속차단밸브(80), 압력센서(90) 및 제어기(11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밸브홀더(10)는 연료분사밸브(F)를 고정하여 오일주입라인(70)과 연결하면서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시 분사되는 테스트오일을 받쳐서 오일탱크(20)로 회귀시키는 구성이다.
즉, 밸브홀더(10)는 연료분사밸브(F)를 고정시키는 클램프(11)와, 연료분사밸브(F)에서 분사되는 테스트오일을 받치는 오일받이(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오일받이(12)는 오일회귀라인(150)에 의해 오일탱크(20)와 연결되어 받쳐진 테스트오일이 오일탱크(20)로 회귀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탱크(20)는 연료분사밸브(F)로 공급하고자 하는 테스트오일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때 오일탱크(20)는 오일회귀라인(150)을 통해 밸브홀더(10)와 연결되고 오일펌프(40)와는 오일공급라인(30)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공급라인(30)은 오일탱크(20)와 오일펌프(40)의 사이에 연결되어 오일탱크(20)의 테스트오일을 오일펌프(40)로 공급하는 유로이다. 단, 오일공급라인(30)에는 테스트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오일필터(31)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펌프(40)는 오일공급라인(30)을 통해 오일탱크(20)의 테스트오일을 공급받아 공기압으로 가압하여 오일압송라인(60)과 급속차단밸브(80)을 거쳐서 오일주입라인(70)으로 압송하는 구성이다.
이때 오일펌프(40)는 테스트오일이 입력되는 입력단과, 입력단으로 입력된 테스트오일을 가압하기 위해 공기압이 인가되는 압력제어단과, 공기압에 의해 가압된 테스트오일이 토출되는 출력단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압력제어라인(50)은 공기압을 조절하여 오일펌프(40)에 인가하여 오일펌프(40)의 압송 압력을 제어하는 공기압관로이다.
이때 오일압력제어라인(50)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압라인(51)과, 제1공기압라인(51)에 연결되어 공기압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조절밸브(56)와,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조절밸브(56)와 오일펌프(40)의 사이에 연결되어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조절밸브(56)에 의해 제어된 공기압을 오일펌프(40)로 유입시키는 제2공기압라인(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오일압력제어라인(50)에는 오일펌프(40)에 별도로 연결되어 오일펌프(40)의 피스톤(41)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스트로크조절라인(53)이 더 포함된다.
단, 제1공기압라인(51)의 전단에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기필터(54)가 설치되고, 스트로크조절라인(53)에는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가 설치된다.
즉,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의 작동에 따라 제1공기압라인(51)의 공기압이 조절되고 조절된 공기압은 제2공기압라인(52)을 통해 오일펌프(40)로 유입되면서 연료분사밸브(F)로 주입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단,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일정압력까지 도달하게 되면 오일펌프(40)의 압력변동 없이 한 번의 행정으로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압력까지 도달되도록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가 작동하여 오일펌프(40)의 피스톤(41)이 최초의 가압행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압송라인(60)은 오일펌프(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오일펌프(40)에 의해 가압된 테스트오일을 압송하는 유로이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주입라인(70)은 오일압송라인(60)과 연료분사밸브(F)를 연결하여 오일압송라인(60)을 통해 압송되는 테스트오일을 연료분사밸브(F)로 주입하는 유로이다.
이때 오일주입라인(70)을 통해 주입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압력을 초과하여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면 테스트오일이 분사되고 순간적으로 테스트오일의 압력강하가 발생하면서 오일주입라인(70)과 오일압송라인(60) 간에는 순간적으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급속차단밸브(80)는 오일주입라인(70)에 설치되어 오일주입라인(70)을 통해 연료분사밸브(F)로 주입되는 테스트오일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즉, 급속차단밸브(80)는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된 순간에 테스트오일의 압력강하로 인해 오일주입라인(70)과 오일압송라인(60) 간에 압력차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자동으로 작동하여 오일주입라인(70)을 통해 연료분사밸브(F)로 주입되는 테스트오일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된 순간의 개방압력을 압력센서(90)를 통해 측정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테스트오일을 차단하기 위해 오일압력제어라인(50)을 통해 오일펌프(40)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차단하는 종래와 달리 급속차단밸브(80)가 오일주입라인(70)과 오일압송라인(60) 간에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오일주입라인(70)을 폐쇄하여 테스트오일을 신속히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된 즉시 테스트오일의 차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간지연에 따른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면서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에 따른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센서(90)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 압력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때 압력센서(90)는 오일주입라인(70)과 연료분사밸브(F)의 사이에 연결된 압력분배변(100)을 통해 인가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 및 연료분사밸브의 개방압력을 측정하여 제어기(11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기(100)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의 작동을 제어하고 압력센서(90)를 통해 측정된 테스트오일의 압력 및 개방압력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기(110)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시키는 한 개의 테스트버튼(112)이 구비되며, 압력센서(90)부터 감지한 테스트오일의 압력 및 개방압력이 표시되는 압력표시창(111)이 구비된다.
따라서 테스트버튼(112)을 1회 조작하기만 하면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가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하여 압력표시창(111)에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의 테스트오일의 압력 및 개방압력이 출력된다.
그리고 압력표시창(110)에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의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되면 1회의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가 작동하여 제2공기압라인(52)의 공기압을 낮추고 테스트오일을 압송하는 오일펌프(40)로 유입되는 공기압을 차단시킨다.
한편, 압력표시창(111)은 제1압력표시창(111)과 제2압력표시창(1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력표시창(111)은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할 때 변화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2압력표시창(111)은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의 테스트오일의 개방압력을 고정시켜 표시한다.
또한, 압력표시창(111)에는 제2압력표시창(111)에 표시된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연료분사밸브(F)의 정상개방압력과 비교하여 양호 또는 불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판정창이나 램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된 후 오일압송라인(60) 내에 존재하는 테스트오일을 오일탱크(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오일배출라인(120),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 및 전자식 개폐밸브(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오일배출라인(120)은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된 후 오일압송라인(60) 내에 존재하는 테스트오일을 오일탱크(20)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오일배출라인(120)은 오일압송라인(60)과 오일탱크(20)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는 오일배출라인(120)에 설치되어 공기압으로 작동하여 오일배출라인(120)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140)는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공기압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즉, 전자식 개폐밸브(140)는 제1공기압라인(51)과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공기압라인(57)에 설치되어 제3공기압라인(57)의 공기압을 단속하여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전자식 개폐밸브(140)는 제어기(110)에 마련된 테스트버튼(112)의 1회 조작에 따라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와 함께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된다.
따라서 한 개의 테스트버튼(112)을 1회 조작만 하면 더 이상의 수동 조작 없이도 테스트오일을 주입 및 가압하고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며 테스트오일을 배출하는 1회의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시간 지연 없이 진행하여 완료할 수 있다.
단, 제어기(110)에 구비된 테스트버튼(112)은 복수 개의 테스트모드별로 한 개씩 할당된다. 즉, 테스트모드별로 한 개의 테스트버튼(112)이 구비되어 해당 테스트버튼(112)을 1회 조작하면 해당 테스트모드가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때 테스트모드는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압력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개방 테스트, 연료분사밸브(F)의 밴팅압력을 측정하는 밴팅 테스트, 연료분사밸브(F)의 누설 여부를 판정하는 누설 테스트 및 연료분사밸브(F)의 기밀 여부를 판정하는 기밀 테스트 등이 포함된다.
상기 개방 테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전자식 개폐밸브(140)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된 즉시 급속차단밸브(80)가 작동하고 테스트오일의 개방압력을 고정시켜 표시한 후 공기압을 낮추고 테스트오일을 배출하는 테스트이다.
상기 밴팅 테스트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전자식 개폐밸브(140)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개방압력보다 낮은 200bar까지 상승시킨 후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밴팅압력에 도달할 때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고정시켜 표시한 후 테스트오일을 배출하는 테스트이다.
상기 누설 테스트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전자식 개폐밸브(140)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개방압력보다 20~30bar 낮은 압력까지 상승시키고 그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누설 여부를 판단한 후 공기압을 낮추고 테스트오일을 배출하는 테스트이다.
상기 실링 테스트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전자식 개폐밸브(140)의 작동에 따라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100bar까지 상승시키고 공기압을 낮춘 상태에서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표시한 후 실링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오일을 배출하는 테스트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밸브홀더
11: 클램프
12: 오일받이
20: 오일탱크
30: 오일공급라인
31: 오일필터
40: 오일펌프
41: 피스톤
41: 오일필터
50: 오일압력제어라인
51: 제1공기압라인
52: 제2공기압라인
53: 스트로크조절라인
54: 공기필터
55: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
56: 전자식 스트로크밸브
57: 제3공기압라인
60: 오일압송라인
70: 오일주입라인
80: 급속차단밸브
90: 압력센서
100: 압력분배변
110: 제어기
111: 압력표시창
111a: 제1압력표시창
111b: 제2압력표시창
112: 테스트버튼
120: 오일배출라인
130: 에어 구동식 압력방출밸브
140: 전자식 개폐밸브
150: 오일회귀라인
F: 연료분사밸브

Claims (5)

  1.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에 테스트오일을 주입 및 가압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공기압이 인가되는 제1공기압라인(51);
    상기 제1공기압라인(51)에 연결되어 공기압을 제어하는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에 제2공기압라인(5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에 의해 조절된 상기 공기압을 이용하여 오일탱크(20)에서 공급되는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오일펌프(40);
    상기 오일펌프(40)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펌프(40)의 피스톤을 최초의 가압행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상기 오일펌프(40)에 의해 가압된 테스트오일이 압송되는 오일압송라인(60);
    상기 오일압송라인(60)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을 연료분사밸브로 주입하는 오일주입라인(70);
    상기 오일압송라인(60)과 상기 오일탱크(20)를 연결하는 오일배출라인(120);
    상기 오일배출라인(120)에 설치된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
    상기 제1공기압라인(51)과 상기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구동식 압력방출밸브(130)에 인가되는 상기 공기압을 단속하는 전자식 개폐밸브(140);
    상기 오일압송라인(60)에 설치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90);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상기 압력센서(90)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테스트별로 한 개의 테스트버튼(112)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센서(90)부터 감지한 테스트오일의 압력이 표시되는 압력표시창(111)이 구비된 제어기(110);로 구성되며,
    상기 테스트버튼(112)은 복수 개의 테스트모드별로 한 개씩 할당되고 해당 테스트모드에 대응되게 상기 서보모터 구동식 압력제어밸브(55)와 상기 전자식 스트로크밸브(56) 및 상기 전자식 개폐밸브(140)의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압력표시창(111)은 테스트오일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1압력표시창(111)과, 상기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압력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제2압력표시창(111)으로 구성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압송라인(60)과 상기 연료분사밸브(F)의 사이에 연결되어 테스트오일의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밸브(F)가 개방되는 순간 상기 오일압송라인(60)과 상기 오일주입라인(70)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 작동하여 테스트오일을 차단시키는 급속차단밸브(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급속차단밸브(80)가 상기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 순간 상기 테스트오일 추가 주입을 차단시켜 상기 연료분사밸브(F)의 개방 순간압력(개방압력)이 상기 압력센서(90)에서 측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77593A 2016-12-23 2016-12-23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KR10192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93A KR101924637B1 (ko) 2016-12-23 2016-12-23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93A KR101924637B1 (ko) 2016-12-23 2016-12-23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86A KR20180073986A (ko) 2018-07-03
KR101924637B1 true KR101924637B1 (ko) 2018-12-03

Family

ID=6291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93A KR101924637B1 (ko) 2016-12-23 2016-12-23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3847B (zh) * 2018-10-30 2024-02-23 中国南方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动力装置燃油喷嘴测试台
KR102124340B1 (ko) 2018-12-21 2020-06-18 주식회사 티에스피 선박엔진용 연료 부스터 분사밸브의 배럴과 플런저 랩핑장치
KR102539726B1 (ko) * 2023-01-05 2023-06-02 (주)한미유압기계 선박 엔진용 연료분사밸브 테스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56Y1 (ko) 2005-02-18 2005-05-16 전영근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테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456Y1 (ko) 2005-02-18 2005-05-16 전영근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밸브의 테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86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637B1 (ko)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CN105606355B (zh) 一种检测水气电磁阀综合性能的方法
US7322228B2 (en) Evaluating the leaktightness of a device for storing fuel gas under high pressure
EP22274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ling an aircraft tank system
KR101151610B1 (ko) 압력밥솥의 압력밸브 시험장치
EP2982958B1 (en) Air pressure circuit for tire testing device
KR101785407B1 (ko) 선박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장치
CN203249742U (zh) 洗涤壶漏水检测装置
CN1906378A (zh) 利用压力测量容器中的流体体积
CN100582711C (zh) 一种测试产品漏气量的装置
KR101449809B1 (ko) 휴대용 가스압력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008743B1 (ko) 선박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를 용이하게 반복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방법
US8997552B2 (en) Method for leak-testing hand-held piston stroke pipettes and associated leak-testing apparatus
KR20150049873A (ko) 선박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밸브 테스트 장치
KR20220081032A (ko) 유체 제어밸브용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KR100529251B1 (ko) 튜브의 누설시험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튜브의 누설시험 방법
CN205388531U (zh) 一种大型综合水气电磁阀检测系统
CN103207053B (zh) 洗涤壶漏水检测装置
CN113550845B (zh) 用于车辆的燃油供给系统及其泄漏检测方法
KR200368993Y1 (ko) 연료밸브 테스트장치
KR101891960B1 (ko) 사출 성형용 에어 공급장치
KR102163384B1 (ko) 이동식 압력안전밸브 자동화 테스트 장치
KR100470265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튜브 압력테스트 장치
JPH06347357A (ja) 油圧緊張装置
RU2819598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