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64B1 -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 Google Patents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64B1
KR101924464B1 KR1020140117523A KR20140117523A KR101924464B1 KR 101924464 B1 KR101924464 B1 KR 101924464B1 KR 1020140117523 A KR1020140117523 A KR 1020140117523A KR 20140117523 A KR20140117523 A KR 20140117523A KR 101924464 B1 KR101924464 B1 KR 10192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barrier film
acrylate
composition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180A (ko
Inventor
양지연
노승주
김장순
최태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1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색층 및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층은 제1 에폭시 수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BARRIER FILM FOR OLED DISPLAY}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 기기의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PDA,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 기기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유기전자장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유기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기능성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이에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로는 광전자 장치, 정류기, 트랜스미터 및 유기발광소자(OLED)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유기전자장치를 얇게 제조하는데, 이 경우 이를 사용함에 따라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에 의하여 유기전자장치 내에 포함되는 유기 재료의 층이 인접한 전극과의 계면에서 박리되거나, 수분에 의해 전극이 산화되어 저항값이 높아지는 문제가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유기 재료 자체가 변질되어 발광 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얇은 베젤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얇은 베젤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어 우수한 단차 보상 성능 및 내습성을 구현하는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유색층 및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층은 제1 에폭시 수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약 30 내지 약 100 g/eq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은 1차 광경화 및 2차 열경화에 의한 듀얼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약 250 내지 약 290 g/eq일 수 있고,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약 150 내지 약 270 g/eq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를 약 10 내지 약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약 5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약 20 내지 약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무기 필러를 약 25 내지 약 4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 각각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cycloaliphatic epoxy resi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는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부틸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칼륨, 클레이, 탈크, 실리카,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제올라이트,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몬모릴로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약 30 내지 약 100 g/eq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를 약 1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페녹시 수지를 약 1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의 상기 투명층에 대한 합착력은 약 800g/inch 이상이며, 상기 유색층의 수분침투거리는 약 5㎜/1000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투명층의 일면에 기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투명층의 상기 기판에 대한 합착력은 약 1000g/in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얇은 베젤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어 우수한 단차 보상 성능 및 내습성을 구현하는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유색층 및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층은 제1 에폭시 수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는 기판 상에 OLED 소자가 위치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OLED 소자의 상부에 봉지용 필름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봉지용 필름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최근, 유기전자장치는 그 두께를 최대한 얇게 구현하며 이로써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기전자장치는 상기 배리어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유색층(10) 및 투명층(20)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층(20)은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상기 배리어 필름(100)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200)의 단면을 개략적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위로는 상기 기판(30)과 접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20)이 상기 기판(30)과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층(20)은 양면으로 상기 기판(30) 및 상기 유색층(10)과 우수한 합착성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고, 우수한 내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10)은 우수한 내습성을 바탕으로 상기 OLED 디스플레이(200)의 수분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에폭시 당량(EEW)에 따라 2 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습성과 함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저으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약 30 내지 약 100g/eq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보다 약 30 내지 약 100g/eq 클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유색층을 통해 우수한 내습성,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약 250 내지 약 290 g/eq이고,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약 150 내지 약 270 g/eq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범위의 에폭시 당량을 가지는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에폭시 수지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물리적 얽힘 영역(physical entanglement site) 내에 삽입되어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투명층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를 약 1 : 1 내지 약 2 : 1의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가 상기 범위의 함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유색층 형성을 위한 적절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유색층에 의해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보다 클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 차이가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에폭시 수지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물리적 얽힘 영역 내에 삽입되기 용이하며, 상기 투명층에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열경화 가능한 것으로 그 각각이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cycloaliphatic epoxy resi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또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는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색층의 열경화 밀도 및 열경화 형태를 조절하기 용이하며, 내구성 향상 효과가 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를 약 10 내지 약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에폭시계 수지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색층이 열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층에 대한 우수한 합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두께 대비 우수한 내습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와 함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광경화 및 열경화가 모두 가능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통하여 우수한 수분 차단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광경화 가능한 것으로서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디사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광경화에 의한 경화도 확보가 유리하며, 우수한 내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약 5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색층이 광경화될 수 있으며, 조밀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며, 이는 바인더의 역할을 하고,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는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부틸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틸 고무는 이소부틸렌 및 이소프렌의 공중합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이를 구성하는 총 단량체 100몰% 중 이소프렌을 약 1몰% 내지 약 5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프렌이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공중합됨으로써, 상기 유색층이 부틸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약 20 내지 약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내습성 향상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수분 흡착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는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칼륨, 클레이, 탈크, 실리카,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제올라이트,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몬모릴로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무기 필러를 약 2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유색층이 두께 대비 우수한 내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열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이 열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열경화 및 광경화에 의한 듀얼 경화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유색층은 적절한 경화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습성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제는 아민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 페닐]-1-부타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 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제를 약 0.5 내지 약 3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개시제를 약 1 내지 약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색층에 광 차단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의 함량은 상기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적에 맞는 적절한 광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카본 블랙을 약 0.5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카본 블랙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색층이 광차단 성능을 나타내어 필름 목적에 맞는 적절한 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상기 유색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물은 1차 광경화 및 2차 열경화에 의한 듀얼 경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광경화는 약 3J 내지 약 8J의 광에너지에 의한 UV 경화일 수 있고, 이로써 일부가 경화된 반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반경화물을 약 80℃ 내지 약 12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 2차 열경화함으로써 완전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경화물은 경화도가 약 35% 내지 약 50%일 수 있고, 상기 완전 경화물은 동일 방법으로 측정한 경화도가 약 65% 내지 약 80%일 수 있다. 상기 경화도는 겔(gel)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의 반경화물 및 완전 경화물을 각각 에틸아세테이트(EAc) 또는 톨루엔(toluene) 등의 용매에 약 15 시간 내지 약 25 시간 동안 담근 후 남은 겔(gel)의 양을 측정하여 경화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경화도를 갖는 반경화물 및 완전 경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완전 경화물은 듀얼(Dual) 경화물일 수 있으며, 상기 유색층이 이를 포함함으로써, 광경화 또는 열경화 중 하나의 경화 방법만을 사용한 경화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수분 차단 성능 및 우수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투명층(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층(20)은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20)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열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상기 투명층에 점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색층과 같이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이 에폭시 당량(EEW)에 따라 2 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습성과 함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약 30 내지 약 100g/eq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이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보다 약 30 내지 약 100g/eq 클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투명층을 통해 우수한 내습성,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를 약 1 : 1 내지 약 2 : 1의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가 상기 범위의 함량비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투명층 형성을 위한 적절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투명층에 의해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층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보다 클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 차이가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에폭시 수지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물리적 얽힘 영역 내에 삽입되기 용이하며, 상기 투명층에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와 함께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페녹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투명층이 무른(soft)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우수한 단차 흡수성 및 합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수분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페녹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페녹시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5,000 내지 약 60,000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페녹시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단차 보상성 및 흡수성뿐만 아니라 수분 배리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 각각의 종류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투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를 약 1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0 내지 약 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투명층이 조밀한 열경화 구조를 얻을 수 있고,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상기 투명층에 우수한 단차 보상성 및 합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F형 페녹시 수지, 카프로락톤-개질 페녹시 수지(caprolactone-modified phenoxy resins), 폴리하이드록시에테르-그래프트 페녹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페녹시 수지는 카프로락톤-개질 페녹시 수지,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에테르-그래프트 페녹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우수한 단차 보상성 및 합착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카프로락톤-개질 페녹시 수지'는 페녹시 수지가 카프로락톤 또는 그 유도체 화합물과 반응하여, 페녹시 주쇄에 1차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측쇄가 그래프트된 수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에테르-그래프트 페녹시 수지'는 페녹시 수지 주쇄에 폴리하이드록시에테르기가 측쇄로서 그래프트된 수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상기 페녹시 수지를 약 1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0 내지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페녹시 수지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단차 보상성 및 합착성뿐만 아니라, 내습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물은 상기 조성물의 열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유색층 및 상기 투명층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을 임의의 기재 상에 코팅하고, 약 75℃ 내지 90℃에서 약 1분 내지 약 3분 동안 열풍 건조 시켜 투명층을 생성한 후, 상기 유색층과 합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을 약 100℃의 오븐에서 약 3시간 열경화하여, 상기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의의 기재는 예를 들어, 이형 필름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배리어 필름은 이형 필름층, 투명층 및 유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열경화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경화됨으로써 우수한 내습성 및 합착성, 단차 보상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의 열경화물은 겔(gel)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경화도가 약 70%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7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물의 경화도가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내습성 및 합착성, 단차 보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열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적절한 점도 및 강도를 가지며, 우수한 내습성을 부여하는 열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제는 아민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열경화제를 약 5 내지 약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열경화제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비용 대비 경화도 향상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200)의 기판(30)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상기 투명층(20)이 상기 기판(30)의 하부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층은 그 두께가 약 20㎛ 내지 약 5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그 두께가 기존의 대응 구성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고, 이로써 얇은 베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은 상기 범위의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색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수분 차단 성능 및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에폭시계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수분 차단 성능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기 위한 합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유색층의 일면에 상기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매개로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단하게 합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투명층(20)은 상기 유색층(10)에 우수한 합착성을 부여하는 매개층으로서, 상기 유색층(10)은 상기 투명층(20)을 통하여 상기 기판(30)에 단단하게 합착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배리어 필름(100)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200)에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모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그 두께가 약 5㎛ 내지 약 4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유색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합착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자체의 조성 및 상기 두께 범위에 기인하여 우수한 수분 차단 성능 및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유색층(10) 및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은 전체 두께가 약 3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장치가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두께 대비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배리어 필름(100)은 유색층(10) 및 투명층(20)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20)의 일면에 기판(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30)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 OLED 소자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강(SUS)을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우수한 단차 보상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약 2㎛ 이상의 단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5㎛의 단차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단차를 흡수한다는 것은, 고온 고습 환경에서 상기 범위의 단차를 갖는 기재에 기포 발생 없이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범위의 단차에 대하여 우수한 단차 보상성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유색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10)은 상기 투명층(20)에 대하여 높은 합착력을 나타내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내습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층(10)의 상기 투명층(20) 에 대한 합착력은 계면 부착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계면 부착력은 약 800g/inch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900g/inch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층의 수분침투거리는 약 5㎜/1000h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5㎜/1000h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1000h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층이 상기 범위의 계면 부착력 및 수분침투거리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배리어 필름은 우수한 내습성 및 내구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색층은 이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투명층에 대하여 상기 범위의 높은 합착력 및 수분 배리어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장치에 우수한 내구성 및 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투명층의 일면에 기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투명층의 상기 기판에 대한 합착력은 기재 부착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재 부착력은 약 1000g/in2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3000g/in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범위의 기재 부착력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유색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매개체로서 단단한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층의 수분침투거리는 약 4㎜/1000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의 수분침투거리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배리어 필름은 더 우수한 내습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제조예 >
제조예 1
산화 칼슘(CaO) 35 중량%를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270 g/eq인 제1 에폭시 수지를 14 중량%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180 g/eq인 제2 에폭시 수지를 13 중량% 포함하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를 10 중량%를 포함하고, 부틸고무를 25 중량% 포함하며, 이미다졸계 열경화제 1.7 중량%, 광개시제(BASF社 제조, Irg651) 0.3 중량% 및 카본 블랙 1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산화 칼슘(CaO) 35 중량%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270 g/eq인 제1 에폭시 수지를 20 중량%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180 g/eq인 제2 에폭시 수지를 10 중량% 포함하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를 5 중량%를 포함하고, 부틸 고무를 25 중량% 포함하며, 이미다졸계 열경화제 3.7 중량%, 광개시제(BASF社 제조, Irg651) 0.3 중량% 및 카본 블랙 1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산화 칼슘(CaO) 35 중량%를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270 g/eq인 제1 에폭시 수지를 35 중량%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180 g/eq인 제2 에폭시 수지를 25 중량% 포함하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소부틸렌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이미다졸계 열경화제 4 중량% 및 카본 블랙 1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산화 칼슘(CaO) 35 중량%를 포함하고,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는 포함하지 않으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아크릴레이트를 12 중량%를 포함하고, 부틸 고무를 48 중량% 포함하며, 광개시제(BASF社 제조, Irg651) 4 중량% 및 카본 블랙 1 중량%를 포함하는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
에폭시 당량(EEW)이 270 g/eq인 제1 에폭시 수지를 20 중량% 포함하고, 에폭시 당량(EEW)이 180 g/eq인 제2 에폭시 수지를 20 중량% 포함하며, 유리전이온도가 36℃인 페녹시 수지를 50 중량% 포함하고, 이미다졸계 열경화제를 10 중량% 포함하는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120℃에서 3분 동안 열풍 건조하여 두께 25㎛인 유색층을 제조 한 후, 6J의 광에너지로 UV 경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예 5의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75℃에서 1분 30초 동안 열풍 건조하여 필름 형태의 투명층을 두께 15㎛로 제조한 후 상기 유색층과 합지하였다. 이로써, 상기 투명층 및 유색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총 두께 40㎛의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의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3의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4의 유색층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유색층에 대하여, 각 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고, 함량은 중량%로 기재하였다.
부틸고무 아크릴레이트 제1에폭시 수지 제2에폭시 수지 열경화제 광개시제 무기필러 카본블랙
실시예1 25 10 14 13 1.7 0.3 35 1
실시예2 25 5 20 10 3.7 0.3 35 1
비교예1 - - 35 25 4 - 35 1
비교예2 48 12 - - - 4 35 1
<평가>
실험예 1: 유색층의 수분침투거리
크기가 80㎜ x 140㎜ (가로 x 세로)인 유리 기판을 준비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리어 필름에 대하여, 70㎜ x 70㎜ (가로 x 세로)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상기 샘플의 투명층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하도록 열합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리 기판과 동일한 기판을 상기 샘플의 유색층 상에 적층하였고, 상기 샘플을 100℃에서 약 3시간 동안 열경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고온 고습 (85℃, 85% RH) 조건에 1000 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상기 샘플의 유색층 대하여, 4면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된 거리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2개 제작하여 각 4면씩, 총 8면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험예 2: 계면 부착력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리어 필름에 대하여, 70㎜ x 130㎜ (가로 x 세로)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였고, 크기가 80㎜ x 140㎜ (가로 x 세로)인 유리 기판을 준비한 후, 상기 샘플의 투명층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하도록 열합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샘플의 유색층 상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무처리 PET를 부착하되, 상기 무처리 PET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무처리 PET를 잡아당겨 상기 투명층 및 유색층 사이의 계면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 무처리 PET를 300㎜/min의 속도로 잡아당겨 상기 투명층 및 유색층 사이의 계면 부착력을 측정하였고, 샘플을 3개 제작하여 동일 방법으로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수분침투거리
(mm/1000h)
계면 부착력
(g/inch)
실시예1 3.7 942
실시예2 4.2 927
비교예1 10.8 1195
비교예2 4.6 46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유색층은 제1 에폭시 수지, 제2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무기 필러를 모두 포함하는 것인 반면, 상기 비교예 1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비교예 2는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유색층은 1차 광경화 및 2차 열경화의 듀얼 경화로 형성되는 것이나, 상기 비교예 1은 열경화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교예 2는 광경화만으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할 때,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유색층이 상기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더 낮은 수분침투거리 및 더 높은 계면 부착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유색층이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우수한 내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나, 상기 실시예 2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5 중량%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 1이 실시예 2에 비하여 더 낮은 수분침투거리 및 더 높은 계면 부착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이 약 10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인 경우 더욱 향상된 내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
100: 배리어 필름
200: OLED 디스플레이
10: 유색층
20: 투명층
30: 기판
40: OLED 소자

Claims (21)

  1. 유색층 및 점착력을 갖는 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층은 제1 에폭시 수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이소부틸렌계 수지;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은 1차 광경화 및 2차 열경화에 의한 듀얼 경화물이고,
    상기 투명층은 에폭시계 수지 및 유리전이온도가 50 ℃ 이하인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30 내지 100 g/eq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250 내지 290 g/eq이고,
    상기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150 내지 270 g/eq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를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를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무기 필러를 25 내지 45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2 에폭시 수지 각각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cycloaliphatic epoxy resi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부틸렌계 수지는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부틸 고무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칼륨, 클레이, 탈크, 실리카,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제올라이트,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몬모릴로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 형성용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제1 에폭시 수지; 및 상기 제1 에폭시 수지보다 에폭시 당량(EEW)이 작은 제2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에 포함되는 제1 에폭시 수지 및 제2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 차이는 30 내지 100 g/eq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를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페녹시 수지를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의 상기 투명층에 대한 합착력은 800g/inch 이상이며,
    상기 유색층의 수분침투거리는 5㎜/1000h 이하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은 상기 투명층의 일면에 기판이 부착되고,
    상기 투명층의 상기 기판에 대한 합착력은 1000g/in2 이상인,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KR1020140117523A 2014-09-04 2014-09-04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KR10192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23A KR101924464B1 (ko) 2014-09-04 2014-09-04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23A KR101924464B1 (ko) 2014-09-04 2014-09-04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80A KR20160029180A (ko) 2016-03-15
KR101924464B1 true KR101924464B1 (ko) 2018-12-04

Family

ID=5554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23A KR101924464B1 (ko) 2014-09-04 2014-09-04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50B1 (ko) * 2011-03-08 2012-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의 봉지 구조
JP2012067292A (ja) * 2010-08-26 2012-04-05 Toagosei Co Ltd 接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
WO2013147156A1 (ja) * 2012-03-30 2013-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封止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ガスバリア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9586A4 (en) * 2003-01-20 2010-10-13 Sharp Kk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SENSOR FILTER, OPTICAL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872068B2 (ja) * 2012-01-06 2016-03-0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封止用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7292A (ja) * 2010-08-26 2012-04-05 Toagosei Co Ltd 接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
KR101114350B1 (ko) * 2011-03-08 2012-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의 봉지 구조
WO2013147156A1 (ja) * 2012-03-30 2013-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封止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ガスバリア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80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8476B (zh) 压敏粘合剂膜以及使用该压敏粘合剂膜制备有机电子器件的方法
JP6129154B2 (ja) 光デバイス面封止用組成物、光デバイス面封止用シー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454101B1 (ko)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KR101702707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340253B1 (ko) 봉지용 조성물 및 봉지용 시트
CN105324420B (zh) 用于包封膜的组合物、包封膜以及包括该包封膜的电子器件
RU2008109007A (ru) Порошкообраз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окрытия для покры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ей термопластичных композитов
KR101904574B1 (ko)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TW201311755A (zh) 片狀環氧樹脂組成物及含有其的密封用片
KR102021449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광학 점착 필름
KR101907238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38731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필름
KR101924464B1 (ko) Oled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KR102056598B1 (ko) 점착제 조성물
WO2008085713A1 (en) Chem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ying same to enhance the adhesive bonding of glass laminates
KR20120080050A (ko) 투명 기판
KR102433775B1 (ko) 유기전자장치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 봉지재 및 봉지 방법
KR20140049278A (ko) 백화현상에 저항성이 있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70082190A (ko) 3층 구조의 반경화형 광학 점착 필름
KR101907237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758419B1 (ko) 광학소재용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KR102433776B1 (ko) 유기전자장치 봉지재 및 봉지 방법
KR102034441B1 (ko) 점착제 조성물
CN113166371B (zh) 有机el显示元件用密封剂
JP2017027866A (ja) 熱硬化性複合シー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