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844B1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전선 수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844B1
KR101923844B1 KR1020177018468A KR20177018468A KR101923844B1 KR 101923844 B1 KR101923844 B1 KR 101923844B1 KR 1020177018468 A KR1020177018468 A KR 1020177018468A KR 20177018468 A KR20177018468 A KR 20177018468A KR 101923844 B1 KR101923844 B1 KR 10192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elastic
protector
height position
piec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998A (ko
Inventor
료 스에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Abstract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록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도,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의 향상과 전선의 혼잡 방지를, 모두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이, 외벽부(26)와, 외벽부(26)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내벽부(28)와, 외벽부(26)와 내벽부(28)의 양측 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좌벽부(30) 및 우벽부(32)에 의해 구획되고, 외벽부(26)의 상면(34)에, 외측 가장자리(36)로부터 내측 가장자리(38)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1 테이퍼면(40)이 설정되는 한편, 내벽부(28)의 상면(42)이 외벽부(26)의 상면(34)의 외측 가장자리(36)보다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고, 좌벽부(30) 및 우벽부(32)의 상면(44, 46)에는, 외벽부(26)의 상면(34)의 외측 가장자리(36)의 높이 위치로부터 내벽부(28)의 상면(42)의 높이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48)이 설정된다.

Description

전선 수용 프로텍터{WIRE HOUSING PROTECTOR}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 관통 유지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등의 전장계에 있어서는,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삽입 관통 유지하여 적소에 고정함으로써, 전선을 외부의 간섭 부재로부터 보호하거나 전선의 경로를 규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는, 일본 실용 공개 평6-70415호 공보(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통형의 프로텍터 본체와,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전선을 프로텍터 본체에 삽입 관통시킨 후,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록 기구를 통해 덮개를 프로텍터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전선을 수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서는,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록 기구의 형성 스페이스만큼, 프로텍터 본체의 전선 수용부의 용적을 작게 해야 한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의 컴팩트화의 요구에 더하여 차재 전장품도 증가 경향이 있어,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를 크게 하지 않고, 프로텍터 본체의 수용 스페이스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고, 프로텍터의 수용량에 비해 전선이 지나치게 많아 프로텍터 본체에 덮개를 록 감합하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2880호 공보(특허문헌 2)에 있어서, 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프로텍터 본체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돌출편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면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구멍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는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결합 돌기가, 탄성 돌출편 삽입 구멍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덮개의 프로텍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안했다.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의하면,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의 최대 범위까지 넓혀서 형성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텍터 본체 주변의 데드 스페이스를 삭감하여, 프로텍터 본체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해야 하므로, 탄성 돌출편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삽입 관통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탄성 돌출편이 프로텍터 본체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 부근에 배치되는 전선이, 덮개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혼잡해지기 쉽다는 문제도 내재되어 있어, 아직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개 평6-7041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2880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록 기구를 설치한 경우에도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의 향상과 전선의 혼잡 방지를, 모두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와, 그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와 상기 덮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록 기구가, 상기 덮개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의 외면에 결합 돌기가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과,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편의 상기 선단부가 내면측으로 압박되면서 상기 탄성 돌출편이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상기 탄성 돌출편이 탄성 복귀함으로써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이,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벽부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내면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외벽부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좌벽부 및 우벽부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외벽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1 테이퍼면이 설정되는 한편, 상기 내벽부의 상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상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보다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고, 상기 좌벽부 및 상기 우벽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의 상기 상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로부터 상기 내벽부의 상기 상면의 높이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이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프로텍터 본체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의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외벽부의 상면에 제1 테이퍼면이 설정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에 접촉되는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를, 신속하게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어,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테이퍼면에 접촉하는 탄성 돌출편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휨 변형되기 때문에, 가령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의 근방에 전선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탄성 돌출편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전선을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프로텍터 본체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과 덮개의 사이에서 전선이 혼잡해지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내벽부의 상면의 높이 위치가, 외벽부의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가령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의 근방에 전선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전선을, 외벽부의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덮개의 저면과, 내벽부의 상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선 혼잡의 발생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좌벽부 및 우벽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외벽부의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로부터 내벽부의 상면의 높이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이 각각 설정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전선을 내벽부측으로 확실하게 유도하여, 전선 혼잡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양태에서는,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선 수용량의 증대를 도모한 경우라 하더라도,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과 전선 혼잡의 발생 방지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비형성 영역에서의 상기 내면보다,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내벽부와 상기 좌벽부 및 상기 우벽부의 일부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비형성 영역에서의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면보다,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벽부와 좌벽부 및 우벽부의 일부가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고 탄성 돌출편의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벽부 및 우벽부의 일부가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제2 테이퍼면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설치할 수 있어, 록 기구의 결합성의 향상과 전선 혼잡 방지 효과를 더불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내벽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3 테이퍼면이 설정되고, 상기 내벽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가, 상기 외벽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높게 되는 한편, 상기 제2 테이퍼면이, 상기 내벽부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내벽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벽부의 상면에,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3 테이퍼면이 설정되기 때문에, 제1 테이퍼면에 접촉하여 내측으로 휨 변형되는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가, 제3 테이퍼면에 접촉하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내벽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가, 외벽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의 내면으로의 휨 변형이 최대가 되기 전에 반드시 제3 테이퍼면에 접촉하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 내로 유도되도록 이루어져,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도모된다.
또한, 제2 테이퍼면이, 내벽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에서 내벽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 상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전선은 제2 테이퍼면에 의해 확실하게 프로텍터 본체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고, 제3 테이퍼면에 의해 전선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 내로 유도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과 전선 혼잡 방지의 양립을 유리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의하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외벽부의 상면에 제1 테이퍼면이 설정되기 때문에, 상면에 접촉되는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를 신속하게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어,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테이퍼면에 접촉하는 탄성 돌출편은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휨 변형되기 때문에, 측벽의 상면의 근방에 전선이 배치되어도, 전선을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프로텍터 본체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측벽과 덮개의 사이에서 전선이 혼잡해지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벽부의 상면이, 외벽부의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낮기 때문에, 상면의 근방에 배치되던 전선을, 덮개의 저면과 내벽부의 상면 사이에 수용할 수 있어, 전선 혼잡의 발생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좌벽부 및 우벽부의 상면에는, 외벽부의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벽부의 상면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이 설정되기 때문에, 상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전선을 내벽부측으로 확실하게 유도하여 전선 혼잡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양태에서는,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선 수용량의 증대를 도모한 경우에도,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과 전선 혼잡의 발생 방지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10)가 도시된다. 이 전선 수용 프로텍터(10)는,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12)와, 프로텍터 본체(12)의 상측 개구부(14)를 덮는 덮개(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10)는, 프로텍터 본체(12) 내에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 관통 상태로 수용하여 이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측이란 도 1 중의 상측, 하측이란 도 1 중의 하측, 또한 전방이란 도 1 중의 좌측, 후방이란 도 1 중의 우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12)는, 저벽(18)과 저벽(18)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벽(20, 20)을 포함하여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또한,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에는, 측벽(20)의 내부를 높이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측벽(20)의 상면(22)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은,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외면을 구성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외벽부(26)와,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내면을 구성함과 함께 외벽부(26)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측면에서 볼 때 외벽부(26)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내벽부(28)와, 외벽부(26)와 내벽부(28)의 양측 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세로로 긴 평판형의 좌벽부(30) 및 우벽부(32)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벽부(26)의 상면(34)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36)로부터 내측 가장자리(38)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경사면인 제1 테이퍼면(40)이 설정되는 한편, 내벽부(28)의 상면(42)이, 외벽부(26)의 상면(34)의 외측 가장자리(36)보다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벽부(30)의 상면(44) 및 우벽부(32)의 상면(46)에는, 외벽부(26)의 상면(34)의 외측 가장자리(36)의 높이 위치로부터 내벽부(28)의 상면(42)의 높이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경사면인 제2 테이퍼면(48)이 각각 설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벽부(28)의 상면(42)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50)로부터 내측 가장자리(52)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경사면인 제3 테이퍼면(54)이 설정된다. 또한,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외측 가장자리(50)의 높이 위치(h2)가, 외벽부(26)의 상면(34)(제1 테이퍼면(40))의 내측 가장자리(38)의 높이 위치(h3)보다 높게 됨과 함께,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외측 가장자리(50)의 높이 위치(h2)에 있어서, 제2 테이퍼면(48)이 내벽부(28)의 상면(4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내측 가장자리(52)의 높이 위치(h3)가 가장 낮게 된다. 또, 도 4에는, 도 2에서의 앞쪽에 위치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단면이 도시되기 때문에, 우벽부(32)가 보인다. 덧붙여,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에 있어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비형성 영역에서의 내면(56)보다,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벽부(28)와 좌벽부(30) 및 우벽부(32)의 일부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은, 안쪽과 앞쪽의 측벽(20) 각각에 2개소 형성되지만, 길이 방향(도 2 중 좌우 방향)으로 격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수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을 구획하는 외벽부(26)의 내면(58)의 하방측이 절결되는 것에 의해 대략 요부형의 결합부(60)가 설치되고, 이러한 결합부(60)의 상단면(62)이,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16)는,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프로텍터 본체(12)측을 향해 돌출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복수의 탄성 돌출편(64)이 판두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된다. 또한,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의 외면(66)에는, 판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68)가 설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 돌기(68)의 하단면(70)은, 프로텍터 본체(12)와 덮개(16)의 조립 방향에 있어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결합 돌기(68)의 상단면(72)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60)의 상단면(62)과 동일하게,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돌출편(64)은, 전술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응하여 4개소에 형성된다. 또한, 덮개(16)는 프로텍터 본체(12)와 동일하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한편, 프로텍터 본체(12)와는 별체 성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로텍터 본체(12)의 복수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하여 각각 대응하는 덮개(16)의 복수의 탄성 돌출편(64)을 삽입하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60)와 탄성 돌출편(64)의 결합 돌기(68)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덮개(16)가 고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60)와 탄성 돌출편(64)의 결합 돌기(68)에 의해, 록 기구가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록 기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덮개(16)의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를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삽입한다.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결합 돌기(68)의 하단면(70)이 테이퍼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를 프로텍터 본체(12)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테이퍼형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면측, 즉 결합 돌기(68)의 돌출측과 반대측으로 압박되면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는, 외벽부(26)의 내면(58)의 하방측이 절결되어 대략 요부형의 결합부(60)가 설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64)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안쪽으로 더 밀어 넣어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68)가 결합부(60)의 상단면(62)을 넘으면, 탄성 돌출편(64)이 탄성 복귀하여 결합 돌기(68)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6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편(64)의 결합 돌기(68)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60)와 결합되어, 덮개(16)가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실시형태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10)에 의하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해야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을 구획하는 외벽부(26)의 상면(34)에 제1 테이퍼면(40)을 설정함으로써,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덮개(16)를 부착할 때에 덮개(16)의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를 제1 테이퍼면(40)의 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 내에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관통 작업이 어렵다고 하는 상황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덮개(16)의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는, 제1 테이퍼면(40)의 작용에 의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외벽부(26)의 외측 가장자리(36)로부터 내측 가장자리(38)를 향하여 휨 변형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의 근방에 도시하지 않은 전선이 배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전선을 측벽(20)의 상면(22)으로부터 프로텍터 본체(12)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20)의 상면(22)과 덮개(16)의 사이에서 전선이 혼잡해지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을 구획하는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높이 위치, 즉 상면(42)의 최대 높이 위치(h2)가, 외벽부(26)의 상면(34)(제1 테이퍼면(40))의 외측 가장자리(36)의 높이 위치(h1)보다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의 근방에 배치되는 전선을, 외벽부(26)의 상면(34)의 외측 가장자리(36) 상에 배치되는 덮개(16)와, 내벽부(28)의 상면(4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선 혼잡의 발생을 한층 더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을 구획하는 좌벽부(30)의 상면(44) 및 우벽부(32)의 상면(46)에는, 외벽부(26)의 상면(34)(제1 테이퍼면(40))의 외측 가장자리(36)의 높이 위치(h1)로부터 내벽부(28)의 상면(42)의 높이 위치(h2)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48)이 각각 설정된다. 이에 따라, 측벽(20)의 상면(22)의 근방에 전선이 배치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제2 테이퍼면(48)의 작용에 의해 전선을 내벽부(28)측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선 혼잡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선 수용량의 증대를 도모한 경우라 하더라도,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과 전선 혼잡의 발생 방지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벽부(28)의 상면(42)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50)로부터 내측 가장자리(52)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3 테이퍼면(54)이 설정되기 때문에, 제1 테이퍼면(40)의 작용에 의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측으로 휨 변형된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가, 제3 테이퍼면(54)의 작용에 의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이루어진다. 더구나,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외측 가장자리(50)의 높이 위치(h2)가, 외벽부(26)의 상면(34)(제1 테이퍼면(40))의 내측 가장자리(38)의 높이 위치(h3)보다 높게 되는 것에 의해, 탄성 돌출편(64)의 선단부가, 그 휨 변형이 최대가 되기 전에 반드시 제3 테이퍼면(54)에 접촉하여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 내로 유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내벽부(28)의 상면(42)(제3 테이퍼면(54))의 외측 가장자리(50)의 높이 위치(h2)에 있어서, 제2 테이퍼면(48)이 내벽부(28)의 상면(42)에 연결되기 때문에, 측벽(20)의 상면(22)의 근방에 전선이 배치된다 하더라도, 제2 테이퍼면(48)의 작용에 의해 확실하게 전선을 프로텍터 본체(12)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테이퍼면(54)의 작용에 의해 전선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 내로 유도되는 것이 유리하게 저지된다. 그렇기 때문에,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과 전선 혼잡 방지의 양립을 유리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에 있어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비형성 영역에서의 내면(56)보다,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내벽부(28)와 좌벽부(30) 및 우벽부(32)의 일부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용적을 확보하면서 탄성 돌출편(64)의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록 기구의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벽부(30) 및 우벽부(32)의 일부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제2 테이퍼면(48)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록 기구의 결합성의 향상과 전선 혼잡 방지 효과를 더불어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3 테이퍼면(40, 48, 54)이 설치되었지만, 제3 테이퍼면(5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10 : 전선 수용 프로텍터, 12 : 프로텍터 본체, 14 : 상측 개구부, 16 : 덮개, 20 : 측벽, 22 : 상면, 24 :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록 기구), 26 : 외벽부, 28 : 내벽부, 30 : 좌벽부, 32 : 우벽부, 34 : 상면, 36 : 외측 가장자리, 38 : 내측 가장자리, 40 : 제1 테이퍼면, 42 : 상면, 44 : 상면, 46 : 상면, 48 : 제2 테이퍼면, 50 : 외측 가장자리, 52 : 내측 가장자리, 54 : 제3 테이퍼면, 56 : 내면, 60 : 결합부, 64 : 탄성 돌출편(록 기구), 66 : 외면, 68 : 결합 돌기

Claims (3)

  1.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와, 그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와 상기 덮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록 기구가, 상기 덮개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의 외면에 결합 돌기가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과,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편의 상기 선단부가 내면측으로 압박되면서 상기 탄성 돌출편이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상기 탄성 돌출편이 탄성 복귀함으로써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이,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외면을 구성하는 외벽부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내면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외벽부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좌벽부 및 우벽부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외벽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1 테이퍼면이 설정되는 한편,
    상기 내벽부의 상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상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보다 높이 위치가 낮게 설정되고,
    상기 좌벽부 및 상기 우벽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의 상기 상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로부터 상기 내벽부의 상기 상면의 높이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이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비형성 영역에서의 상기 내면보다,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내벽부와 상기 좌벽부 및 상기 우벽부의 일부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상기 내벽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높이 위치가 낮아지는 제3 테이퍼면이 설정되고, 상기 내벽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가, 상기 외벽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높게 되는 한편, 상기 제2 테이퍼면이, 상기 내벽부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내벽부에 연결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KR1020177018468A 2015-07-06 2015-08-20 전선 수용 프로텍터 KR101923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5668A JP5835601B1 (ja) 2015-07-06 2015-07-06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JP-P-2015-135668 2015-07-06
PCT/JP2015/073368 WO2017006494A1 (ja) 2015-07-06 2015-08-20 電線収容プロテ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998A KR20170088998A (ko) 2017-08-02
KR101923844B1 true KR101923844B1 (ko) 2018-11-29

Family

ID=549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468A KR101923844B1 (ko) 2015-07-06 2015-08-20 전선 수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96015B2 (ko)
JP (1) JP5835601B1 (ko)
KR (1) KR101923844B1 (ko)
CN (1) CN107534279A (ko)
AU (1) AU2015401871B2 (ko)
DE (1) DE112015006053T5 (ko)
WO (1) WO2017006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161B2 (en) * 2015-07-06 2019-02-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ousing protector
JP5831827B1 (ja) * 2015-07-06 2015-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5850284B1 (ja) * 2015-07-06 2016-02-0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6587657B2 (ja) 2017-07-26 2019-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
CN108347020B (zh) * 2018-04-25 2024-03-15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
JP7083861B2 (ja) * 2020-03-30 202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652462B1 (ko) * 2021-12-24 2024-03-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로텍터의 숨김 락킹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59A (ja) 1998-10-20 2000-05-12 Yazaki Corp 組立部品のロック構造
JP2011036005A (ja) 2009-07-30 2011-0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JP2014082880A (ja) 2012-10-17 2014-05-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収容プロテ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35Y2 (ko) * 1987-07-02 1992-05-07
JPH0419938Y2 (ko) * 1987-12-17 1992-05-07
US5022685A (en) * 1989-08-21 1991-06-11 Hal Stiski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JPH0670415U (ja) 1993-03-04 1994-09-30 矢崎総業株式会社 噛み込み防止構造を有する電線収容プロテクタ
DE19636007A1 (de) * 1996-09-05 1998-03-12 Giovanni Miranda Deckelklammer für einen Kabelkanal
US6126123A (en) * 1998-01-21 2000-10-03 Yazaki Corporation Living hinge snap lock for wire harness protector
US6335485B1 (en) * 1999-11-24 2002-01-01 Aparellaje Electrico, S.A. Box for the installation of electrical apparatus in a raceway for electrical cables
JP3741999B2 (ja) * 2001-11-14 2006-02-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回転保持具
JP2004159442A (ja) * 2002-11-07 2004-06-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DE102004013010B3 (de) * 2004-03-16 2005-11-03 A. Raymond & Ci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länglichen Gegenständen
JP4258529B2 (ja) * 2006-05-15 2009-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12009747A (ja) * 2010-06-28 2012-01-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子機器収納ケース
JP2012239343A (ja) * 2011-05-13 201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
JP5850284B1 (ja) * 2015-07-06 2016-02-0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5831827B1 (ja) * 2015-07-06 2015-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収容プロテクタ
US10214161B2 (en) * 2015-07-06 2019-02-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ousing pro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59A (ja) 1998-10-20 2000-05-12 Yazaki Corp 組立部品のロック構造
JP2011036005A (ja) 2009-07-30 2011-0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JP2014082880A (ja) 2012-10-17 2014-05-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収容プロテ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4279A (zh) 2018-01-02
AU2015401871A1 (en) 2017-12-14
US10196015B2 (en) 2019-02-05
KR20170088998A (ko) 2017-08-02
JP2017017965A (ja) 2017-01-19
WO2017006494A1 (ja) 2017-01-12
JP5835601B1 (ja) 2015-12-24
DE112015006053T5 (de) 2017-10-05
AU2015401871B2 (en) 2018-10-25
US20180186314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844B1 (ko) 전선 수용 프로텍터
KR20170091732A (ko) 전선 수용 프로텍터
US10833444B2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US10916876B2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KR20170091151A (ko) 전선 수용 프로텍터
US9124080B2 (en) Wire accommodation protector
US8071877B2 (en) Box for accommodating electric connection box
US20180205210A1 (en) Wire housing protector
US10214161B2 (en) Wire housing protector
US20160250978A1 (en) Container
US10897095B2 (en) Terminal cover
JP5885134B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WO2024004610A1 (ja) コネクタ
WO2024005061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