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731B1 -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731B1 KR101923731B1 KR1020120011221A KR20120011221A KR101923731B1 KR 101923731 B1 KR101923731 B1 KR 101923731B1 KR 1020120011221 A KR1020120011221 A KR 1020120011221A KR 20120011221 A KR20120011221 A KR 20120011221A KR 101923731 B1 KR101923731 B1 KR 1019237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coil
- speed
- motor
- rotor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003—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orque ripple, e.g. providing reduced torque ripp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7—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and for generating spe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이 존재하는 BLDC 모터;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속도를 계산하는 위치/속도 연산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속도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 후, 비례 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PWM 신호를 생성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터구동부에서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상기 BLDC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소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LDC 모터 내부에 하나의 센싱 코일을 장착하여 회전하는 로터의 위치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고가의 홀센서 및 복잡한 센서회로를 요구하지 않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는 종래의 DC 모터와 달리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DC 모터는 마모성이 짙은 한시적 소자인 브러쉬 및 정류자(기계적 스위칭)를 가지고 동작하는 반면, BLDC 모터는 고성능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MOSFET 등의 반영구적 파워소자(전기적 스위칭)를 이용하여 고효율로 에너지를 전달하고 변환하는 장치로서 세간에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BLDC 모터는 자동차 및 산업용 로봇 등의 산업 전반에 걸쳐 이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BLDC 모터에는 구동 장치인 에너지 변환부를 통해 전기에너지가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는 파워소자(IGBT, MOSFET 등), 파워소자 구동회로(Gate-Driver) 및 모터 구동회로(Motor Controller) 등으로 구성된다. 파워소자는 BLDC 모터에 공급될 DC 전압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고, 온저항, 항복 전압 및 스위칭 주파수를 중요시한다. 파워소자 구동회로는 앞서 설명한 파워소자가 적절한 타이밍에 BLDC 모터에 DC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파워소자 게이트를 턴온/오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파워소자 구동회로는 파워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인 경우 파워소자 게이트를 턴오프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와, 파워소자 게이트의 턴온/오프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파워소자 게이트의 동작을 차단하는 온도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모터 구동회로는 제어 블록, PWM 생성 블록 및 위치 추정 블록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 블록은 지령속도와 현재속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PI 제어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기의 응답성 향상 및 오버슈트 절감 등의 효과를 위해 최적화되어야 한다. PWM 생성 블록은 제어 블록의 출력값을 파워소자 구동회로에 반영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어 블록의 출력값은 제어기의 성능이 반영된 전압 혹은 전류값을 가진다. PWM 생성 블록은 이러한 값들이 파워소자 구동회로에 인가될 수 있도록 PWM 형태의 신호를 생성한다. 위치 추정 블록은 BLDC 모터 내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여, 현재 회전자의 속도 및 위치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 BLDC 모터의 회전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각 블록들의 최적화된 회로 설계 및 알고리즘이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성능을 좌우할 수도 있겠으나, 이보다 기계계-전기계의 동작이 상호 연관되어 동작함을 이해하고, 기계계의 동작인 회전자의 움직임이 전기계의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에 적절히 전달되어 이를 바탕으로 기계계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 논문1(전학론지 D분책, Vol.107D, No.5, pp. 628-634, 1987-5, 일본)은 회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다수의 센싱 코일을 이용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 논문1의 저자의 경우, 모터의 회전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회전자의 자기장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에 있음에 주목하여, 자장의 변화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다수의 센싱 코일(8개의 코일 이용)을 이용하였다. 이로 인해 부하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했을시, 과도상태에서의 회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함에 유리할 것으로 저자는 기술하고 있다. 이에 선행 논문1에는 8개의 센싱 코일 상호 간의 해석학적 기술과 방법론적인 접근으로 인한 모터 내부의 자장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모터 동작 기술을 좀 더 정확히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 논문1에서는 다수의 센싱 코일을 이용한 복잡성으로 인해 모터의 대량 생산이 어려울 수 있으며, 다수의 센싱 코일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부가 별도로 모터 구동 장치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선행 논문1에서는 각각의 센싱 코일이 회전자의 자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센싱 코일 상호 간에 발생되는 커플링 효과 역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복잡성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선행 특허1(US 2008/0084139 A1)은 모터 외부에 홀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센싱회로를 통해 회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많은 산업영역에서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곳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홀센서는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자장의 공간적 변화를 감지하여 자장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홀센서 내부 전자들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홀센서는 물리학에서 말하는 '홀효과'를 이용한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홀센서는 성능이 우수하나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비용절감을 요구하지 않고 정확한 움직을 요구하는 서보모터 계열에서 많이 이용된다. 또한, 홀센서는 모터 외부에 장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선행 특허2(US 2011/0175560 A1)는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 전류 신호를 외부 전류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터 구동회로 내의 각종 연산 블록들에 전달하여 간접적으로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선행 특허1에서 볼 수 있었던 모터 외부에 홀센서를 장착해야 하는 공간적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모터 구동회로 내부에 연산 블록을 넣은 것으로, 모터에 별도의 장비들을 필요치 않고 모터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선행 특허2에서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됨에 주목하여 이를 회전자의 위치 추정에 이용한다. 이는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한 자장의 공간적 변화를 모터 구동을 위한 코일에서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전류의 양과 방향이 달라짐을 회로적으로 보완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추정함을 뜻한다. 하지만, 선행 특허2에서는 모터 구동회로의 전압, 전류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차이로 인한 보정회로, 전류, 전압에 의한 복잡한 수식적 연산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등과 같이 모터 구동회로에서 회전자의 위치 추정 블록을 대신할 각종 연산 블록들을 필요로 한다. 일예로 전류 파형에는 모터 구동을 위한 신호와 회전자 움직임에 의한 신호가 함께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필터가 필요하다.
선행 특허3(US 2011/0175561 A1)은 종래의 센서드/센서리스 타입의 홀센서/위치추정회로와 달리, 구조적으로 간단한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은 탈부착이 가능하기에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단일 센싱 코일이 아닌 복수의 센싱 코일도 장착 가능하다. 하지만, 선행 특허3에서는 단일 센싱 코일이 모터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 모터 진동에 의해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의 움직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는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는 데 방해되는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모터를 둘러싸고 있는 외피 형태의 보호막에 의해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의 측정 감도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BLDC 모터에는 구동 장치인 에너지 변환부를 통해 전기에너지가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는 파워소자(IGBT, MOSFET 등), 파워소자 구동회로(Gate-Driver) 및 모터 구동회로(Motor Controller) 등으로 구성된다. 파워소자는 BLDC 모터에 공급될 DC 전압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고, 온저항, 항복 전압 및 스위칭 주파수를 중요시한다. 파워소자 구동회로는 앞서 설명한 파워소자가 적절한 타이밍에 BLDC 모터에 DC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파워소자 게이트를 턴온/오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파워소자 구동회로는 파워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인 경우 파워소자 게이트를 턴오프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와, 파워소자 게이트의 턴온/오프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파워소자 게이트의 동작을 차단하는 온도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모터 구동회로는 제어 블록, PWM 생성 블록 및 위치 추정 블록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 블록은 지령속도와 현재속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PI 제어 형태로 구성되고, 제어기의 응답성 향상 및 오버슈트 절감 등의 효과를 위해 최적화되어야 한다. PWM 생성 블록은 제어 블록의 출력값을 파워소자 구동회로에 반영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어 블록의 출력값은 제어기의 성능이 반영된 전압 혹은 전류값을 가진다. PWM 생성 블록은 이러한 값들이 파워소자 구동회로에 인가될 수 있도록 PWM 형태의 신호를 생성한다. 위치 추정 블록은 BLDC 모터 내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여, 현재 회전자의 속도 및 위치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 BLDC 모터의 회전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각 블록들의 최적화된 회로 설계 및 알고리즘이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성능을 좌우할 수도 있겠으나, 이보다 기계계-전기계의 동작이 상호 연관되어 동작함을 이해하고, 기계계의 동작인 회전자의 움직임이 전기계의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에 적절히 전달되어 이를 바탕으로 기계계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 논문1(전학론지 D분책, Vol.107D, No.5, pp. 628-634, 1987-5, 일본)은 회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다수의 센싱 코일을 이용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 논문1의 저자의 경우, 모터의 회전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회전자의 자기장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에 있음에 주목하여, 자장의 변화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다수의 센싱 코일(8개의 코일 이용)을 이용하였다. 이로 인해 부하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했을시, 과도상태에서의 회전자의 움직임을 파악함에 유리할 것으로 저자는 기술하고 있다. 이에 선행 논문1에는 8개의 센싱 코일 상호 간의 해석학적 기술과 방법론적인 접근으로 인한 모터 내부의 자장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모터 동작 기술을 좀 더 정확히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 논문1에서는 다수의 센싱 코일을 이용한 복잡성으로 인해 모터의 대량 생산이 어려울 수 있으며, 다수의 센싱 코일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부가 별도로 모터 구동 장치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선행 논문1에서는 각각의 센싱 코일이 회전자의 자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센싱 코일 상호 간에 발생되는 커플링 효과 역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복잡성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선행 특허1(US 2008/0084139 A1)은 모터 외부에 홀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센싱회로를 통해 회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많은 산업영역에서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곳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홀센서는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자장의 공간적 변화를 감지하여 자장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홀센서 내부 전자들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홀센서는 물리학에서 말하는 '홀효과'를 이용한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홀센서는 성능이 우수하나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비용절감을 요구하지 않고 정확한 움직을 요구하는 서보모터 계열에서 많이 이용된다. 또한, 홀센서는 모터 외부에 장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선행 특허2(US 2011/0175560 A1)는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 전류 신호를 외부 전류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터 구동회로 내의 각종 연산 블록들에 전달하여 간접적으로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선행 특허1에서 볼 수 있었던 모터 외부에 홀센서를 장착해야 하는 공간적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모터 구동회로 내부에 연산 블록을 넣은 것으로, 모터에 별도의 장비들을 필요치 않고 모터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선행 특허2에서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됨에 주목하여 이를 회전자의 위치 추정에 이용한다. 이는 회전자의 움직임에 의한 자장의 공간적 변화를 모터 구동을 위한 코일에서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전류의 양과 방향이 달라짐을 회로적으로 보완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추정함을 뜻한다. 하지만, 선행 특허2에서는 모터 구동회로의 전압, 전류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차이로 인한 보정회로, 전류, 전압에 의한 복잡한 수식적 연산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등과 같이 모터 구동회로에서 회전자의 위치 추정 블록을 대신할 각종 연산 블록들을 필요로 한다. 일예로 전류 파형에는 모터 구동을 위한 신호와 회전자 움직임에 의한 신호가 함께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필터가 필요하다.
선행 특허3(US 2011/0175561 A1)은 종래의 센서드/센서리스 타입의 홀센서/위치추정회로와 달리, 구조적으로 간단한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은 탈부착이 가능하기에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단일 센싱 코일이 아닌 복수의 센싱 코일도 장착 가능하다. 하지만, 선행 특허3에서는 단일 센싱 코일이 모터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 모터 진동에 의해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의 움직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는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는 데 방해되는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모터를 둘러싸고 있는 외피 형태의 보호막에 의해 외부 단일 센싱 코일의 측정 감도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홀센서 또는 복잡한 센싱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는,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이 존재하는 BLDC 모터;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속도를 계산하는 위치/속도 연산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속도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 후, 비례 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PWM 신호를 생성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터구동부에서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상기 BLDC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소자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BLDC 모터 내 센싱 코일을 이용하여 로터의 위치 및 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홀센서 또는 복잡한 센싱회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경제성과 편이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코일이 60도에 배치되었을 때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속도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코일이 60도에 배치되었을 때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속도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는 BLDC 모터(110), 위치/속도 연산부(120), 제어부(130), 모터구동부(140) 및 파워소자부(150) 등을 포함한다.
BLDC 모터(110)는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1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속도를 계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11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BLDC 모터(110) 내부에 존재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을 받아 회전자의 현재 위치(Θ) 및 현재 속도(ω)를 연산하는 블록이다.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모터구동부(140)의 동작을 좌우하는 중요한 블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1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위치/속도 연산부(120)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속도(ω)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 후, 회전자의 현재 속도(ω)와 지령 속도의 속도 차이만큼 비례 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를 통해 제어신호(CS)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30)는 속도 차이에 비례상수(KI)를 곱한 비례 제어(Proportional Control)와 속도 차이를 시간에 대해 누적하여 비례상수(KP)를 곱한 적분 제어(Integral Control)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현재 속도가 지령 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구동부(140)는 BLDC 모터(110)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정확한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통해 BLDC 모터(110)가 현재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할지 늦은 속도로 구동할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터구동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CS)와 회전자의 현재 위치 즉, 각 정보(Θ)를 바탕으로 3상 PWM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PWM 신호는 SPWM(Sinusoidal PWM) 형태를 취한다. 이는 SPWM이 다른 PWM 방식들보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토크 리플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SPWM은 일정한 주파수의 정현파와 정현파의 주파수보다 대략 10배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삼각파를 비교한다.
파워소자부(150)는 파워소자 구동부(Gate Driver)와 파워소자(Power Semiconductor)를 포함한다.
파워소자 구동부는 모터구동부(140)로부터 PWM 신호를 받아 파워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3상 게이트 신호(GA, GB, GC)를 생성한다. 여기서, PWM 신호의 전압 레벨과 게이트 신호의 전압 레벨은 파워소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PWM 신호는 대개 5V 또는 3.3V이고, 게이트 신호는 10V ~ 30V이다.
파워소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이 될 수 있으며, 각 소자들이 2개가 1쌍인 형태로 3상인 경우, 총 6개의 소자들이 이용될 수 있다. 파워소자 구동부의 3상 게이트 신호(GA, GB, GC)는 이 3상 파워소자들을 구동하는 데 이용된다. 즉, 1개의 게이트 신호에 대해 위아래 2개의 게이트 신호가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위쪽 게이트에 연결된 전압과 아래쪽 게이트에 연결된 전압이 BLDC 모터(110)에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BLDC 모터는 모터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라인 A, B, C를 통해 입력받는다. 라인 A, B, C에서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높은 전압과 많은 전류가 흐르며, 모터 내부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구동 신호의 변형이 일어난다. 모터구동부에서 소음과 토크 리플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동 신호를 만들어 주더라도 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 신호의 변형이 일어난다. 이를 고려하여 구동 신호를 만들어주어야 하지만 전기계-기계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한계가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모터의 구조 변화없이 바뀌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래에는 구동 신호의 변형을 막기 위해 모터구동부의 구동 신호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 내부에 존재하는 역기전력을 추출한다. 이 방법에서 구동 신호가 커지면 센싱 신호가 작아져서 센싱 신호를 추출하기 어렵고, 구동 신호를 줄이고 센싱 신호를 크게 하면 모터의 구동 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구동 신호와 센싱 신호가 하나의 신호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구동 신호와 센싱 신호를 분리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112)과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을 포함한다.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은 분산형 권선 형태로 배치되고,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의 조화를 위해 분산형 권선의 최대 권수가 각각 0도, 120도, 240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BLDC 모터(110)의 구동을 자연스럽게 하고, 각 구동 코일의 구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센싱 코일(112)이 구동 코일(114a, 114b, 114c)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의 권수를 센싱 코일(112)의 권수보다 10배 이상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 코일(112)은 60도, 180도 및 300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클럭 생성기(122),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 위치 추정기(126) 및 속도 추정기(128) 등을 포함한다.
클럭 생성기(122)는 100kHz의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추정되는 위치 및 속도의 정밀도를 위해 더 높아질 수 있다.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내부에 A/D 컨버터를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클럭 생성기(122)에서 생성된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발생하는 시기의 클럭 수를 기억한다. 이때, 클릭 신호는 회전자(116)의 N극이 0도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이를 보정하는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 코일(112)이 60도에 배치되는 경우,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을 가질 때 회전자(116)의 N극은 60도에 위치하고,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을 가질 때 회전자(116)의 N극은 240도에 위치하며, 그 밖에 회전자(116)의 위치는 1차 선형 근사법을 이용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기(126)는 센싱 코일(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에 따라 회전자(116)의 현재 위치(Θ)를 추정한다.
속도 추정기(128)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일 때의 클럭 수와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일 때의 클럭 수를 비교한 후, 그 차이값을 속도 연산에 적용하여 회전자(116)의 현재 속도(ω)를 추정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코일이 60도에 배치되었을 때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회전자(116)의 N극이 센싱 코일(112)에 최소거리로 다가왔을 때 최대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회전자(116)의 N극의 위치가 60도일 때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회전자(116)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센싱 코일(112)에서 정현파 형태의 신호가 감지된다. 즉,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일 때 센싱 코일(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속도 연산부(120)의 비교, 조정 연산을 거치게 되면 회전자(116)의 N극의 위치 즉, 회전자(116)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기준 속도일 때 발생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a)이고, 기준 속도보다 빠른 속도일 때 발생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b)이다. (a)와 (b)에서 모터의 속도가 바뀌더라도 센싱 코일(112)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0이 되는 시점은 ①과 같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센싱 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이 0이 됨을 뜻하며, 이때 센싱 코일(112)의 방향과 N극 자계의 방향이 90도가 됨에 따라 내적값이 0이 된다. 즉, 모터의 고속, 저속 운동과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0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②와 같이 모터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달라진다.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저속(대략 500rpm 이하)과, 고속(대략 4000rpm 이상)에서 무뎌지게 변화하고, 저속과 고속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속도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으로 변할 때 회전자(116)의 N극은 180도 회전한다.
클럭 주파수를 f Hz/clk이라 하고,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일 때 클럭 수를 C1이라 하며,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을 때 클럭 수를 C2라고 하면, 양단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클럭 수 차이는 CC=|C2-C1|이므로 현재 속도(ω)는 수학식 180도/(CC*f)에 의해 쉽게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는 BLDC 모터(110), 위치/속도 연산부(120), 제어부(130), 모터구동부(140) 및 파워소자부(150) 등을 포함한다.
BLDC 모터(110)는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1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속도를 계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11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BLDC 모터(110) 내부에 존재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을 받아 회전자의 현재 위치(Θ) 및 현재 속도(ω)를 연산하는 블록이다.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의 구동 장치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모터구동부(140)의 동작을 좌우하는 중요한 블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1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위치/속도 연산부(120)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속도(ω)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 후, 회전자의 현재 속도(ω)와 지령 속도의 속도 차이만큼 비례 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를 통해 제어신호(CS)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30)는 속도 차이에 비례상수(KI)를 곱한 비례 제어(Proportional Control)와 속도 차이를 시간에 대해 누적하여 비례상수(KP)를 곱한 적분 제어(Integral Control)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현재 속도가 지령 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모터구동부(140)는 BLDC 모터(110)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야 정확한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통해 BLDC 모터(110)가 현재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할지 늦은 속도로 구동할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터구동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CS)와 회전자의 현재 위치 즉, 각 정보(Θ)를 바탕으로 3상 PWM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PWM 신호는 SPWM(Sinusoidal PWM) 형태를 취한다. 이는 SPWM이 다른 PWM 방식들보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토크 리플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SPWM은 일정한 주파수의 정현파와 정현파의 주파수보다 대략 10배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삼각파를 비교한다.
파워소자부(150)는 파워소자 구동부(Gate Driver)와 파워소자(Power Semiconductor)를 포함한다.
파워소자 구동부는 모터구동부(140)로부터 PWM 신호를 받아 파워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3상 게이트 신호(GA, GB, GC)를 생성한다. 여기서, PWM 신호의 전압 레벨과 게이트 신호의 전압 레벨은 파워소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PWM 신호는 대개 5V 또는 3.3V이고, 게이트 신호는 10V ~ 30V이다.
파워소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이 될 수 있으며, 각 소자들이 2개가 1쌍인 형태로 3상인 경우, 총 6개의 소자들이 이용될 수 있다. 파워소자 구동부의 3상 게이트 신호(GA, GB, GC)는 이 3상 파워소자들을 구동하는 데 이용된다. 즉, 1개의 게이트 신호에 대해 위아래 2개의 게이트 신호가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위쪽 게이트에 연결된 전압과 아래쪽 게이트에 연결된 전압이 BLDC 모터(110)에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BLDC 모터는 모터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라인 A, B, C를 통해 입력받는다. 라인 A, B, C에서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높은 전압과 많은 전류가 흐르며, 모터 내부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구동 신호의 변형이 일어난다. 모터구동부에서 소음과 토크 리플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동 신호를 만들어 주더라도 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 신호의 변형이 일어난다. 이를 고려하여 구동 신호를 만들어주어야 하지만 전기계-기계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한계가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모터의 구조 변화없이 바뀌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래에는 구동 신호의 변형을 막기 위해 모터구동부의 구동 신호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 내부에 존재하는 역기전력을 추출한다. 이 방법에서 구동 신호가 커지면 센싱 신호가 작아져서 센싱 신호를 추출하기 어렵고, 구동 신호를 줄이고 센싱 신호를 크게 하면 모터의 구동 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구동 신호와 센싱 신호가 하나의 신호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구동 신호와 센싱 신호를 분리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일 센싱 코일(112)과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을 포함한다.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은 분산형 권선 형태로 배치되고, 3상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의 조화를 위해 분산형 권선의 최대 권수가 각각 0도, 120도, 240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BLDC 모터(110)의 구동을 자연스럽게 하고, 각 구동 코일의 구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센싱 코일(112)이 구동 코일(114a, 114b, 114c)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동 코일(114a, 114b, 114c)의 권수를 센싱 코일(112)의 권수보다 10배 이상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 코일(112)은 60도, 180도 및 300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120)는 클럭 생성기(122),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 위치 추정기(126) 및 속도 추정기(128) 등을 포함한다.
클럭 생성기(122)는 100kHz의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추정되는 위치 및 속도의 정밀도를 위해 더 높아질 수 있다.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내부에 A/D 컨버터를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클럭 생성기(122)에서 생성된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발생하는 시기의 클럭 수를 기억한다. 이때, 클릭 신호는 회전자(116)의 N극이 0도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124)는 이를 보정하는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 코일(112)이 60도에 배치되는 경우,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을 가질 때 회전자(116)의 N극은 60도에 위치하고,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을 가질 때 회전자(116)의 N극은 240도에 위치하며, 그 밖에 회전자(116)의 위치는 1차 선형 근사법을 이용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기(126)는 센싱 코일(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에 따라 회전자(116)의 현재 위치(Θ)를 추정한다.
속도 추정기(128)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일 때의 클럭 수와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일 때의 클럭 수를 비교한 후, 그 차이값을 속도 연산에 적용하여 회전자(116)의 현재 속도(ω)를 추정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코일이 60도에 배치되었을 때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회전자(116)의 N극이 센싱 코일(112)에 최소거리로 다가왔을 때 최대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회전자(116)의 N극의 위치가 60도일 때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회전자(116)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센싱 코일(112)에서 정현파 형태의 신호가 감지된다. 즉,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일 때 센싱 코일(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속도 연산부(120)의 비교, 조정 연산을 거치게 되면 회전자(116)의 N극의 위치 즉, 회전자(116)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기준 속도일 때 발생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a)이고, 기준 속도보다 빠른 속도일 때 발생되는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은 (b)이다. (a)와 (b)에서 모터의 속도가 바뀌더라도 센싱 코일(112)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0이 되는 시점은 ①과 같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센싱 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이 0이 됨을 뜻하며, 이때 센싱 코일(112)의 방향과 N극 자계의 방향이 90도가 됨에 따라 내적값이 0이 된다. 즉, 모터의 고속, 저속 운동과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0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②와 같이 모터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달라진다.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저속(대략 500rpm 이하)과, 고속(대략 4000rpm 이상)에서 무뎌지게 변화하고, 저속과 고속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은 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속도 연산부의 속도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으로 변할 때 회전자(116)의 N극은 180도 회전한다.
클럭 주파수를 f Hz/clk이라 하고,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일 때 클럭 수를 C1이라 하며, 센싱 코일(112)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을 때 클럭 수를 C2라고 하면, 양단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클럭 수 차이는 CC=|C2-C1|이므로 현재 속도(ω)는 수학식 180도/(CC*f)에 의해 쉽게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BLDC 모터 120: 위치/속도 연산부
130: 제어부 140: 모터구동부
150: 파워소자부
130: 제어부 140: 모터구동부
150: 파워소자부
Claims (8)
- 내부에 구동 코일 및 단일 센싱 코일이 존재하는 BLDC 모터;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회전자의 현재 속도를 계산하는 위치/속도 연산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속도와 지령 속도를 비교한 후, 비례 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회전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PWM 신호를 생성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터구동부에서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코일을 제어하는 파워소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속도 연산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생성기;
상기 클럭 생성기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발생하는 시기의 클럭 수를 기억하는 최대/최소 전압 검출기;
상기 센싱 코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기; 및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이 최대값일 때 클럭 수와 상기 센싱 코일의 양단 전압이 최소값일 때 클럭 수를 비교한 후, 그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의 현재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LDC 모터는 분산형 권선 형태로 배치되는 3개의 구동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동 코일의 권수는 상기 센싱 코일의 권수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구동 코일은 0도, 120도 및 240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코일은 60도, 180도 및 300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는 SPWM(Sinusoidal PWM)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소자부는,
상기 모터구동부에서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파워소자 구동부; 및
상기 파워소자 구동부에서 생성된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BLDC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221A KR101923731B1 (ko) | 2012-02-03 | 2012-02-03 |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US13/672,764 US8796979B2 (en) | 2012-02-03 | 2012-11-09 | Apparatus for driving brushless DC mo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221A KR101923731B1 (ko) | 2012-02-03 | 2012-02-03 |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126A KR20130090126A (ko) | 2013-08-13 |
KR101923731B1 true KR101923731B1 (ko) | 2018-11-29 |
Family
ID=4890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221A KR101923731B1 (ko) | 2012-02-03 | 2012-02-03 |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796979B2 (ko) |
KR (1) | KR1019237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86001B2 (ja) * | 2013-03-13 | 2017-03-01 | 株式会社島津製作所 | 真空ポンプ |
US9780572B2 (en) * | 2014-10-27 | 2017-10-03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power multi-coil mutual induction cancellation methods and apparatus |
US9960716B2 (en) * | 2016-02-29 | 2018-05-01 | Allegro Microsystems, Llc | Control timing and sequencing for a multi-phase electric motor |
KR20190083812A (ko) | 2018-01-05 | 2019-07-15 | 엠토 주식회사 | 저코깅 및 저토크 리플용 편심 방식의 링 마그네트 적용 구조의 로봇용 모터 로터 |
KR102137791B1 (ko) * | 2019-01-11 | 2020-07-24 | (주)에이엠케이 | 비엘디씨 모터 |
KR102077600B1 (ko) | 2019-10-21 | 2020-02-17 | 엠토 주식회사 | 저코깅 및 저토크 리플용 편심 방식의 링 마그네트 적용 구조의 로봇용 모터 로터 |
US11812858B1 (en) * | 2020-08-19 | 2023-11-14 | Clay Plemmons | Programmable rocking be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2596A (ja) * | 2000-04-07 | 2001-10-19 | Yazaki Corp |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駆動装置 |
JP2002176793A (ja) * | 2000-09-18 | 2002-06-21 | Seiko Instruments Inc |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及び真空ポン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6636B2 (ja) | 1993-10-22 | 2002-07-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の駆動方法 |
US5541488A (en) * | 1994-04-11 | 1996-07-30 | Sundstran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duction motors |
ITPR20040009A1 (it) * | 2004-02-16 | 2004-05-16 | Zapi S P A | Metodo per il controllo diretto di un motore ad induzione e motore per effettuare detto controllo. |
US20080084139A1 (en) | 2006-10-04 | 2008-04-10 | Emerson Electric Co. | Motor having rotor position sensor |
JP5101309B2 (ja) | 2008-01-15 | 2012-12-19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モータの位置検出方法およびモータの駆動装置並びにポンプ |
JP5155344B2 (ja) | 2010-01-15 | 2013-03-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動機の磁極位置推定装置 |
-
2012
- 2012-02-03 KR KR1020120011221A patent/KR10192373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1-09 US US13/672,764 patent/US879697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2596A (ja) * | 2000-04-07 | 2001-10-19 | Yazaki Corp |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駆動装置 |
JP2002176793A (ja) * | 2000-09-18 | 2002-06-21 | Seiko Instruments Inc |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及び真空ポンプ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00832A1 (en) | 2013-08-08 |
KR20130090126A (ko) | 2013-08-13 |
US8796979B2 (en) | 2014-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731B1 (ko) | Bldc 모터의 구동 장치 | |
JP6978602B2 (ja) |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駆動装置、駆動システムおよび駆動方法 | |
US9257930B2 (en) | Controller for multiple-phase rotating machine | |
JP4748171B2 (ja) | Eps用モータ駆動装置 | |
KR101301385B1 (ko) |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속도 제어 장치 | |
CN106208855B (zh) | 同步电动机的温度估计装置 | |
US9059650B2 (en) | Angle detecting module and method for motor rotor | |
KR101947934B1 (ko) | 전력 변환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
US20060145639A1 (en) | Brushless DC mo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EP2876807B1 (en) | Phase current regulation in BLDC motors | |
EP22761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motor | |
JP5635032B2 (ja) | 同期モ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風装置 | |
CN101814888A (zh) | 一种混合式步进电机低速振荡抑制方法 | |
EP2755319B1 (en) |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motor | |
JP2019022403A (ja) | 電動機用インバータ回路の評価装置および評価方法 | |
KR101709195B1 (ko) | 모터 구동 시스템의 pwm 신호 위상 제어 장치 | |
US20150028781A1 (en) | Method for actuating a bldc motor | |
CN109600087B (zh) | 旋转速度算出装置 | |
CN114270695B (zh) | 推测装置以及交流电动机的驱动装置 | |
KR100474955B1 (ko) | 중성점 전압 보상을 기반으로 한 비엘디씨 모터의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20077175A (ko) | Nev용 10kw급 bldc모터와 그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JP2008160915A (ja) |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制御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機器 | |
KR102137791B1 (ko) | 비엘디씨 모터 | |
JP2021002949A (ja) |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駆動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気車 | |
US1211976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rotary electric machine and a syste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