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68B1 -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68B1
KR101923568B1 KR1020170039545A KR20170039545A KR101923568B1 KR 101923568 B1 KR101923568 B1 KR 101923568B1 KR 1020170039545 A KR1020170039545 A KR 1020170039545A KR 20170039545 A KR20170039545 A KR 20170039545A KR 101923568 B1 KR101923568 B1 KR 10192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urrent
image
ground fault
phas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609A (ko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6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01R25/04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involving adjustment of a phase shifter to produce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e.g. zero differ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 H02H3/16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for three-phase systems

Abstract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3상 배전 선로에서 검출된 영상 전압을 변압하는 영상 변압부, 3상 배전 선로에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전류 검출부,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영상 전압 값과 영상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 값으로 위상각을 각각 검출하고, 영상 전압 값과 상기 영상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각각의 위상각을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과 비교하여 고장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바,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을 갖는 보호 계전기에서 대전류로 인해 선택지락 계전 요소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 발생시 정확하게 고장 구간과 건전 구간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DIGITAL SELECTIVE GROUND RELAY AND METHOD FOR MALFUNCTION PROVENT THE SAME}
본 발명은 선택지락 보호 계전 요소를 탑재하는 다기능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류 변환 입력단을 갖는 보호 계전기에서 대전류로 인해 선택지락 계전 요소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고장 발생시 정확하게 고장 구간과 건전 구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용가에서 운용되는 여러 전기기기를 보호하고 차단기 또는 개폐기등의 제어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전반에서 발생하는 각종 고장을 감지하여 보호기능을 수행하는 계전 장치가 필요하다.
계전 장치는 전압, 전류, 영상전류, 영상전압, 주파수 등의 각종 전기량을 감지하여, 감지한 전기량과 정상운전시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크기나 전기량 상호 간의 위상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해당 보호대상을 전력원으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차단기류나 개폐기류로 동작지령을 내리는 장치이다. 이러한 계전 장치는 대규모 전력을 사용하는 공장 빌딩, 공공건물들에 구비되어, 배전반에서 안정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배전 계통의 경우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을때에는 배전선의 교류 3상 전압을 각각 Vr, Vs, Vt라고 할 때 이들 3상 전압의 벡터 합은 '0'이 되어 평형상태가 된다. 그러나 지락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이들 3상 전압이 유지하던 평형상태가 깨어져 벡터 합은 '0'이 되지 않고 고장에 따른 영상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배전 계통을 지락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영상전압이 기준전압 이상 발생되면 고장이라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하거나 배전반 내부의 차단기를 동작시키게 하면, 이들 배전계통의 지락사고로부터 계통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계전 장치를 지락 과전압 계전기라 한다.
하지만, 근래에는 공장, 건물 등의 증설, 철도선로의 증설 등 계통이 점차 커지면서, 고장전류가 증대하여 디지털 보호계전기 내부에 설치된 영상 변류기(Zero Current Transfromer)가 포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고장 전류가 증대함으로써 영상 변류기 등의 선택 지락계전 요소들이 오류를 일으켜 방향 판별을 오판함으로써, 실제 동작하여야 할 계전기는 동작하지 않고 동작하지 말아야 할 계전기가 오동작하는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을 갖는 보호 계전기에서 대전류로 인해 선택지락 계전 요소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 발생시 정확하게 고장 구간과 건전 구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3상 배전 선로에서 검출된 영상 전압을 변압하는 영상 변압부, 3상 배전 선로에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전류 검출부,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영상 전압 값과 영상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 값으로 위상각을 각각 검출하고, 영상 전압 값과 상기 영상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각각의 위상각을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과 비교하여 고장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제어부로는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에 따른 디지털 값으로 위상각을 검출하여,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이거나, 영상 전류와 상기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일 때는 고장이나 사고로 판정하여 선로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은 다수의 전류 변환 입력단을 갖는 보호 계전기에서 대전류로 인해 선택지락 계전 요소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 발생시 정확하게 고장 구간과 건전 구간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지락 계전 요소와 지락과전류 계전 요소를 통시에 탑재하고 있는 모든 다기능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 선택지락 계전 요소의 오동작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전류 변환 입력단의 변환 전류 및 전압으로 지략전류를 검출하는 선택지락 계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서 위상각을 계산하여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3상의 배전 선로(R,S,T)의 전압으로 영상 전압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전압 검출부(100,130), 검출된 영상 전압을 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변압부(110), 3상의 배전 선로(R,S,T)의 전류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전류 검출부(120),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40), 및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에 따른 디지털 값으로 각각의 위상을 검출하여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3상 배전 선로(R,S,T)의 전류 얼라이징(Aliaging)을 방지하고,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 패스 필터,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의 동기화를 위해 샘플링 및 지연 동작을 수행하는 샘플링 홀더, 영상 전류나 N상 지락전류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제어부(15)의 고장 판정에 따라 선로 차단기(미도시)를 트립(Trip)시키는 트립 접점 등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영상 전류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영상 전류의 전류 값과 영상 전압 검출부(100,130)에서 검출된 영상 전압의 전압 값 및 N상 지락전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각각의 디지털 값으로 DFT 알고리즘을 이용해 위상각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전류의 전류 값과 영상 전압의 전압 값, N상 지락전류의 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을 검출한다. 이때는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Φ)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이 될 때, 최대 동작력을 낸다.
하지만,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이거나,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가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는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하여 선로 차단기(미도시)를 트립(Trip)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는 N상 지락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이거나, N상 지락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하여 선로 차단기(미도시)를 트립(Trip)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영상 전압 검출부(100,130)는 3상 배전 선로(R,S,T)의 전압으로 영상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배선 선로의 영상 전압을 영상 변압부(110)로 전송한다.
영상 변압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변압기(Zero Voltage Transfromer)를 구비하여, 영상 전압 검출부(100,130)에서 검출된 배선 선로의 영상 전압을 영상 변압기 내부소자의 특성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한다.
영상 전류 검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변류기(Zero Current Transfromer)를 구비하여, 3상의 배전 선로(R,S,T)에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검출한다. 비접지 계통에서는 N상 지락 전류를 검출하지 않고 N상 단자를 결선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전류에 따른 지락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N상 단자를 결선하여 N상 지락 전류를 검출하고, N상 지락 전류의 위상각을 영상 전압의 위상각 및 최대 동작각과 비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변환부(140)는 영상 전압과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 각각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영상 전압의 전압 값과 영상 전류의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의 지락 전류값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적어도 하나의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영상 전압의 전압 값과 영상 전류의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의 지락 전류 값 각각의 위상각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으로 연산하여,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과 비교함으로써,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Φ)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이거나,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가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는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N상 지락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이거나, N상 지락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는 전류 변환 입력단의 변환 전류 및 전압으로 지략전류를 검출하는 선택지락 계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변압부(110)에서는 영상 변압기를 이용하여 3상 배선 선로의 전압으로부터 영상 전압(Vo)을 검출 및 변압하고, 변압된 영상 전압(Vo)을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 중 영상 전압 입력단으로 전송한다.
이때, 영상 전류 검출부(120)에서는 영상 변류기를 이용하여, 3상의 배전 선로(R,S,T)에서 3상의 전류(IR,IS,IT)와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를 검출한다. 그리고 3상의 전류(IR,IS,IT)와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를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으로 각각 구분하여 입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전류 검출부(120)에서는 대전류에 따른 지락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에 추가로 N상 단자를 결선하여, N상 지락 전류(In)를 검출하고, 검출된 N상 지락 전류(In)를 변환부(140)로 전송한다.
영상 변압부(110)와 변환부(140)의 사이, 및 영상 전류 검출부(120)와 변환부(140)의 사이에는 3상 배전 선로(R,S,T)의 전류 얼라이징(Aliaging)을 방지하면서도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 패스 필터, 및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한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의 동기화를 위해 샘플링 및 지연 동작을 수행하는 샘플링 홀더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변환부(140)는 영상 변압부(110)와 영상 전류 검출부(120)로부터 각각 입력되거나 로우 패스 필터와 샘플링 홀더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전압(Vo)과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의 값을 각각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디지털 변환된 영상 전압(Vo)의 디지털 전압 값과 영상 전류(Io)의 디지털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In)의 디지털 지락 전류값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 전압(Vo)의 디지털 전압 값과 영상 전류(Io)의 디지털 전류 값 및 N상 지락전류(In)의 디지털 지락 전류값으로 위상을 연산한다. 즉, 제어부(150)는 영상 전압(Vo)과 영상 전류(Io)의 위상각(Φ)만 계산하는 것이 아닌 영상 전류(Io)와 함께 N상 지락전류(In)의 위상각을 추가적으로 연산한다. 여기서 제어부(150)의 위상각 연산은 D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전압(Vo)과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 각각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구하고, 최대감도 위상각인 최대 동작각(Φ0)을 정의하면, DFT 알고리즘에 따른 판정식 결과로 동작판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서 위상각을 계산하여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D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전압(Vo)과 영상 전류(Io), 및 N상 지락전류(In) 각각의 위상각을 구한 후, 영상 전류(In)와 영상 전압(Vo) 간의 위상각(Φ)이 미리 설정된 최대감도 위상각(α1) 즉,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이상의 범위 이상이거나, 영상 전류와 영상 전압 간의 위상각 차이(α2)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는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선택지락 계전 요소의 동작 영역과 부동작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영상 전압(Vo)과 영상전류(Io)의 위상각(Φ) 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감도 위상각(α1)일 때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Φ0)을 가지며, 해당 각에서 ±90도 영역이 동작영역이 된다.
따라서, 영상 전압(Vo)과 영상전류(Io)의 위상각(Φ)이 최대 동작각(Φ0)에서 ±90도 영역에 포함되면 동작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 즉, 정상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의 위상각이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으로 검출되어, 최대 동작각(Φ0)에서 ±90도 이상 동작 영역을 벗어나면 부동작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렇게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의 위상각이 부동작 영역으로 벗어나면 고장이나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 간의 위상각 차이(α2)가 미리 설정된 최대감도 위상각(α1)인 최대 동작각(Φ0) 범위 이상일 때도 부동작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 간의 위상각 차이(α2)가 최대 동작각(Φ0)에서 ±90도 이상 동작 영역을 벗어나면, 부동작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고장이나 사고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150)에서는 단순히 영상 전압(Vo)과 영상전류(Io)의 위상각(Φ) 만으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의 위상각을 최대감도 위상각(α1)인 최대 동작각(Φ0)과 비교하여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는 N상 지락전류(In)와 영상 전압(Vo) 간의 위상각 차이(α2) 또한 최대 동작각(Φ0)과 비교하여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은 다수의 전류 변환 입력단을 갖는 보호 계전기에서 대전류로 인해 선택지락 계전 요소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 발생시 정확하게 고장 구간과 건전 구간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지락 계전 요소와 지락과전류 계전 요소를 통시에 탑재하고 있는 모든 다기능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 선택지락 계전 요소의 오동작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그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30: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전압 검출부
120: 영상 전류 검출부
140: 변환부
150: 제어부

Claims (6)

  1. 3상 배전 선로에서 검출된 영상 전압을 변압하는 영상 변압부;
    상기 3상 배전 선로에서 영상 전류 및 N상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전류 검출부;
    상기 영상 변압부에서 변압된 영상 전압과 상기 영상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 전류 및 상기 N상 지락전류의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영상 전압 값과 상기 영상 전류 값 및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으로 위상각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영상 전압 값과 상기 영상 전류 값 및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각각의 위상각을 미리 설정된 최대 동작각과 비교하여 고장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동작각은 상기 영상 전류와 상기 영상 전압에 의해 최대 동작력을 내는 최대 감도 위상각으로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전류 값에 대한 위상각과 상기 영상 전압 값에 대한 위상각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으로 연산하여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영상 전류 값과 상기 영상 전압 값 간의 위상각 차이가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일 때, 고장이나 사고로 판정하여 선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며,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에 대한 위상각과 상기 영상 전압 값에 대한 위상각을 상기 DFT 알고리즘으로 연산하여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N상 지락전류 값과 상기 영상 전압 값 간의 위상각 차이가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일 때, 상기 선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배전 선로의 전류 얼라이징(Aliaging)을 방지하고 상기 3상 배전 선로의 영상 전류 및 상기 3상 배전 선로의 N상 지락전류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 패스 필터;
    상기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 전류 및 상기 N상 지락전류의 동기화를 위해 샘플링 및 지연 동작을 수행하는 샘플링 홀더;
    상기 샘플링 및 지연된 상기 영상 전류나 상기 N상 지락전류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어부의 고장 판정에 따라 선로 차단기를 트립(Trip)시키는 트립 접점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류 검출부는
    대전류에 따른 지락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전류/전압 입력단에 추가로 N상 단자를 결선하여 상기 3상 배전 선로의 N상 지락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3상 배전 선로의 N상 지락 전류를 상기 변환부로 공급하는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상기 영상 전압 값과 상기 영상 전류 값 및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영상 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과 상기 영상 전압 값에 따른 위상각 간의 위상각 차이가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일 때, 고장이나 사고로 판정하여 선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상기 영상 전압 값에 따른 위상각, 상기 영상 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 및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N상 지락전류 값에 따른 위상각과 상기 영상 전압 값에 따른 위상각 간의 위상각 차이가 상기 최대 감도의 최대 동작각 범위 이상일 때, 고장이나 사고로 판정하여 선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KR1020170039545A 2017-03-28 2017-03-28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192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45A KR101923568B1 (ko) 2017-03-28 2017-03-28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45A KR101923568B1 (ko) 2017-03-28 2017-03-28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09A KR20180109609A (ko) 2018-10-08
KR101923568B1 true KR101923568B1 (ko) 2018-11-29

Family

ID=6386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545A KR101923568B1 (ko) 2017-03-28 2017-03-28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609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564B1 (ko) 예상 밖 동작 방지 기능이 있는 누전 검출 장치
US83003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lyphase ground-fault circuit-interrupters
EP1804355B1 (en) AC arc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AU2020247540B2 (en) Open pen detection and shut down system
KR101268620B1 (ko)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고저항 지락고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MX2008000619A (es) Aparato y un metodo para identificar una perdida de una senal de un transformador de corriente en un sistema de energia.
JP6503322B2 (ja) 地絡検出装置
CN109417287B (zh) 用于为电驱动系统避免较高频的危险接地故障电流的方法
KR19990034487A (ko) 송전선로 고저항 지락 고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2434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verse power flow of over current relay
KR100920113B1 (ko) 역 조류에 의한 지락과전류 계전기 오동작 방지 제어방법
KR102057201B1 (ko) 고장 판정 장치, 및 보호 계전 장치
KR101923568B1 (ko) 디지털 선택지락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방법
JP3796428B2 (ja) 配電線地絡電流増幅装置
JP6834334B2 (ja) アーク故障検出システム
KR101648512B1 (ko) 저항성 지락 전류 검출 모터 보호계전기
KR102249379B1 (ko) 모터 전로 전압 변동 검출을 이용한 누설 경보 계전 장치 및 계전 시스템
KR20120000053U (ko) 간소화된 전력감시형 삼상기기 보호계전장치
JP2010183745A (ja) 短絡保護装置
JP5247164B2 (ja) 保護継電装置
JP3259556B2 (ja) 事故点標定装置
KR101626135B1 (ko) 지락전류 검출 장치
KR20040092098A (ko) 전기설비를 갖는 전력계통의 지락 보호장치
JPH0438118A (ja) 変化幅検出装置
JPH07218576A (ja) 故障点標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