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112B1 -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 Google Patents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112B1
KR101923112B1 KR1020170165334A KR20170165334A KR101923112B1 KR 101923112 B1 KR101923112 B1 KR 101923112B1 KR 1020170165334 A KR1020170165334 A KR 1020170165334A KR 20170165334 A KR20170165334 A KR 20170165334A KR 101923112 B1 KR101923112 B1 KR 10192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unit
support
coupling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윤
Original Assignee
이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윤 filed Critical 이희윤
Priority to KR102017016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는 자전거와 연결되어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자전거 캐리어로서,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부에 제1결합파트가 형성된 스탠딩스틱이 다수가 집단으로 배치된 스틱유닛, 내부에 상기 스틱유닛이 배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고, 자전거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연결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Expandable carrier with detachable and attachab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연결되어 짐을 이동시키는 목적의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짐칸 확장이 가능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이들 전, 후륜을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단부의 핸들및 안장 등으로 구성된 수동식 이송 수단으로서, 사람이 두발로 페달을 밟아 발생하는 동력으로 인해 바퀴가 회전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는 별도의 화물 적재용 캐리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물 등의 이송이 불가능한 것으로서, 단지 이동수단의 기능만 제공되었다. 간혹, 자전거 핸들 전방에 보조바구니가 설치되거나 후륜 상부에 설치된 보조안장에 화물을 실어서 이송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것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 이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레와 같은 별도의 적재 이동수단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수레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손쉽게 가지고 다닐 수가 없다. 즉 휴대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자동차의 트렁크나 실내에 분리하여 적재를 할 수 있으며, 화물이 안착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틱유닛이 구비된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는 자전거와 연결되어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자전거 캐리어로서,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부에 제1결합파트가 형성된 스탠딩스틱이 다수가 집단으로 배치된 스틱유닛, 내부에 상기 스틱유닛이 배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고, 자전거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연결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틱유닛은, 병렬로 나열된 형태로 상기 연결이동유닛에 배치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탠딩스틱이 상기 연결이동유닛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이동유닛은, 상기 제1결합파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양측에서는 상기 제1결합파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자전거와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틱유닛의 단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양측에 상기 스틱유닛이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딩스틱은, 상기 제1결합파트와 대향된 단부에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제1결합파트 및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2플레이트와 회전축을 가지고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일부에 보조이동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틱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틱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분리가 가능하여 적재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가 자전거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에서 제1결합파트가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에서 제2결합파트에 삽입돌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에서 힌지패널이 제2지지대와 힌지결합되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에서 복수의 스틱유닛이 결합되고 연결이동유닛에 보조이동수단이 복수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가 자전거(20)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에서 제1결합파트(122)가 삽입홀(224)에 삽입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에서 제2결합파트(124)에 삽입돌기(244)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에서 힌지패널(248)이 제2지지대(242)와 힌지결합되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20)에 결합되는 캐리어(10)에 관한 것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캐리어(10)가 자전거(20)의 뒷바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스틱유닛(100) 및 연결이동유닛(200)을 포함한다.
스틱유닛(100)은 원통형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단부에 제1결합파트(122)가 형성되는 스탠딩스틱(120)이 다수가 집합된 집단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스탠딩스틱(120)은 일단에 제1결합파트(1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결합파트(124)가 형성되어 복수의 스탠딩스틱(120)에서 제1결합파트(122)가 상기 제2결합파트(124)에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결합파트(122)는 스탠딩스틱(12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둘레의 일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2결합파트(124)는 둘레를 따라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제2결합파트(124)에 삽입된 제1결합파트(122)는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걸림되어 결합된 후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스탠딩스틱(120)은 다수가 병렬로 배치되어 집합된 형태로 스틱유닛(100)이 된다.
스틱유닛(100)은 연결이동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이동유닛(200)은 내부에 스틱유닛(100)이 배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고 자전거(20)와 연결되어 자전거(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대상물은 화물과 같은 이동하기 위한 적재물을 말한다.
연결이동유닛(200)은 제1플레이트(220) 및 제2플레이트(240)를 포함하고 스틱유닛(100)을 양측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결이동유닛(200)은 스틱유닛(100)의 제1결합파트(122) 및 제2결합파트(124)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대(222) 및 제2지지대(242)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222) 및 제2지지대(242)는 스틱유닛(100)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양측에서는 스틱유닛(100)의 일부가 고정되도록 삽입홀(224)과 삽입돌기(244)가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파트(122)는 제1지지대(222)에 안착되며, 제1지지대(222)는 상기 제2플레이트(240)를 바라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224)이 형성되어 스탠딩스틱(120)의 제1결합파트(12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홀(224)은 제1지지대(222)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스틱유닛(100)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스탠딩스틱(120)이 결합된다.
스틱유닛(100)의 타단에 형성된 제2결합파트(124)는 제2지지대(242)에 안착되는데, 제2지지대(242)는 상기 제1플레이트(220)는 바라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244)가 형성되어 스탠딩스틱(120)의 제2결합파트(12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돌기(244)는 제2지지대(242)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스틱유닛(100)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스탠딩스틱(120)의 제2결합파트(124)에 삽입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돌기(244) 및 삽입홀(224)이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제1지지대(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홀(224)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지지대(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돌기(244)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스탠딩스틱(120)이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틱유닛(100)은 연결이동유닛(200)에서 삽입홀(224) 및 삽입돌기(244)가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됨으로 내측에 배치된 스틱유닛(100)이 연결이동유닛(2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스틱유닛(100)이 다수의 스탠딩스틱(120)이 병렬로 나열되고 각각의 사이에는 빈틈이 발생되지 않게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유닛의 양측에 스탠딩스틱(120)의 제1결합파트(122) 및 제2결합파트(124)가 각 삽입홀(224) 및 삽입돌기(244)와 결합된 후 내측으로 나머지 스탠딩스틱(120)을 채움으로 빈틈을 메우게 된다.
추가적으로 스틱유닛(100)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탄성밴드(미도시)가 감겨져서 스탠딩스틱(120)이 스탠딩유닛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플레이트(240)는 힌지패널(248)이 형성되어 제2지지대(242)와 회전축을 가지고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대(242)는 제2결합파트(124)를 지지하도록 제2결합파트(124)와 면접촉을 한다. 그리고 힌지패널(248)은 제2지지대(242)와 수직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패널(248)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제2지지대(242)와 180도로 전개되어 연결이동유닛(200)의 일측을 개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양측에 스탠딩스틱(120)이 결합된 후, 캐리어(10)를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해 내측에 배치된 스탠딩스틱(120)의 출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2플레이트(240)에서 힌지패널(248)의 외측면에는 보조이동수단(246)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캐리어(1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이동수단(246)은 호차 또는 바퀴로 형성되며, 힌지패널(248)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된다.
계속해서 스틱유닛(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스틱유닛(100)의 일단에는 제1결합파트(122), 타단에는 제2결합파트(124)가 형성되고 제1결합파트(122)는 제2결합파트(124)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일부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2결합파트(124) 내부로 삽입되며, 제2결합파트(124)의 상기 홈에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스틱유닛(100)이 길이 방향으로 계속해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10)에서 복수의 스틱유닛(100)이 결합되고 연결이동유닛(200)에 보조이동수단(246)이 복수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이동유닛(200) 내부에 스틱유닛(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세개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220)에 제1스틱유닛(100A)이 배치되며, 제2플레이트(240)에 제3스틱유닛(100C)이 배치되며, 제1스틱유닛(100A) 및 제3스틱유닛(100C) 사이에 제2스틱유닛(100B)이 제1스틱유닛(100A) 및 제3스틱유닛(100C)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틱유닛(100)에는 제1결합파트(122) 및 제2결합파트(124)가 구비되어 있고, 복수의 스틱유닛(100)의 양측에는 제1플레이트(220) 및 제2플레이트(240)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복수의 스틱유닛(100)을 연장한 후 제1플레이트(220) 및 제2플레이트(240)를 양측에서 결합하여 캐리어(10)를 완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에 따라 사용자는 스틱유닛(100)과 연결이동유닛(200)을 분리하여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캐리어
20: 자전거
100: 스틱유닛
120: 스탠딩스틱
122: 제1결합파트
124: 제2결합파트
200: 연결이동유닛
220: 제1플레이트
222: 제1지지대
224: 삽입홀
226: 제1연결부
240: 제2플레이트
242: 제2지지대
244: 삽입돌기
246: 보조이동수단
248: 힌지패널

Claims (7)

  1. 자전거와 연결되어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자전거 캐리어로서,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부에 제1결합파트가 형성된 스탠딩스틱이 다수가 집단으로 배치되는 스틱유닛;
    내부에 상기 스틱유닛이 배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고, 자전거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연결이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이동유닛은 상기 제1결합파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양측에서는 상기 제1결합파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자전거와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틱유닛의 단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양측에 상기 스틱유닛이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유닛은,
    병렬로 나열된 형태로 상기 연결이동유닛에 배치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탠딩스틱이 상기 연결이동유닛 내부에 결합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스틱은,
    상기 제1결합파트와 대향된 단부에 제2결합파트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파트는 상기 제1결합파트 및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2플레이트와 회전축을 가지고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일부에 보조이동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KR1020170165334A 2017-12-04 2017-12-04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KR10192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34A KR101923112B1 (ko) 2017-12-04 2017-12-04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34A KR101923112B1 (ko) 2017-12-04 2017-12-04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112B1 true KR101923112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334A KR101923112B1 (ko) 2017-12-04 2017-12-04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5188A1 (fr) * 2015-11-18 2017-05-26 Fleximodal Véhicule de transport d'une char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5188A1 (fr) * 2015-11-18 2017-05-26 Fleximodal Véhicule de transport d'une char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985A (en) Portable motorcycle carrier
US4822065A (en) Collapsible cargo carrier
US6428035B1 (en) Portable motorcycle trailer
US20120043286A1 (en) Bicycle rack
KR102012369B1 (ko) 유아용 웨건
WO2017086579A1 (ko) 차량용 다목적 캐리어
US20060181064A1 (en) Dual motorcycle trailer
US20100156062A1 (en) Carrying Trailer for Use with Bicycles
KR101923112B1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확장형 캐리어
US20120187658A1 (en) vehicle trailer hitch platform system
CA3117326A1 (en) Mobile carrier with interchangeable payloads
US2753189A (en) Foldable golf club carrier
CN101309611A (zh) 手推车式包
US20080296330A1 (en) Mountable storage arrangement
CN219406317U (zh) 用于车辆的负载支架
JP3052237B2 (ja) ヘリコプター地上けん引装置
WO2020050583A1 (ko) 차량용 적재 장치
US201602641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rlocking wagon
KR102349461B1 (ko) 차량용 테이블 텐트
CN208915192U (zh) 一种汽车零部件转运装置
CN211893332U (zh) 一种集成捆绑组件的搬运小车
CN107618774B (zh) 运输支架及具有其的集装箱
CN212022489U (zh) 一种轿运车上车踏板
CN210363875U (zh) 一种货仓车
CN212865448U (zh) 一种新型玻璃移动轨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