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111B1 - 발장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발장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111B1
KR101923111B1 KR1020170125911A KR20170125911A KR101923111B1 KR 101923111 B1 KR101923111 B1 KR 101923111B1 KR 1020170125911 A KR1020170125911 A KR 1020170125911A KR 20170125911 A KR20170125911 A KR 20170125911A KR 101923111 B1 KR101923111 B1 KR 10192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ed
shaft
shaft por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주
Original Assignee
일송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송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송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moving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장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는 집게유닛,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회전되어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에서 분리시키는 발장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장분리장치{DRYING SCREEN OF LAVER SEPARATOR}
본 발명은 발장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엽체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다음 발장에 얇게 펼쳐지게 성형 및 건조한 후 발장으로부터 마른 김을 분리하여 제조한다. 최근에는 김 생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김의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김의 성형과 건조를 자동으로 하는 해태 제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해태 제조장치는 물김을 발장에 넓게 펼치는 해태 성형장치,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장치,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건조장치를 통과한 발장으로부터 김을 분리시키는 김 분리장치로 구성되고, 각각의 장치로 발장이 설치된 발장걸이를 걸어 순환 이송시키는 이송체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태 제조장치는 해태 성형장치의 형틀 내부로 공급된 물김을 발장걸이에 설치된 발장에 넓게 펼쳐 김을 성형시킨다. 이때 이송체인은 정지된 상태를 취하며 김의 성형이 완료되면 전진하고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해태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김은 탈수장치에서 탈수된 후에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해태 건조장치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61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23222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해태 건조장치들은 무한궤도로 이송하는 이송체인에 발장걸이를 견인상태로 이송시키면서 해태를 성형, 탈수, 건조 및 분리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해태 건조장치에 적용되는 발장은 일정기간을 사용한 후에는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를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다. 즉, 해태 건조장치로부터 발장걸이를 분리한 후 수작업에 의해 발장을 발장걸이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발장을 발장걸이에 장착한 후 해태 건조장치에 발장걸이를 다시 장착하였다. 통상의 해태 건조장치 한 대에 적용되는 발장걸이는 수천 개 이상이며, 발장걸이 하나에 장착되는 발장이 8개 내지 16개 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발장 교체 작업은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며 많은 수의 작업자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하강유닛, 집게유닛, 및 발장분리부 등을 이용하여 발장걸이에서 발장을 분리하는 발장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는 집게유닛,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회전되어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에서 분리시키는 발장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된 회전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운동되는 가로대부, 상기 가로대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로대부의 좌우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일단이 상기 전환부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는 지지판부와 결합되는 세로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회전대, 하부가 상기 하회전대와 결합되어 상기 하회전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가로대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상회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와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로대부의 좌우운동을 상기 세로대부의 상하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지지판부를 상하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는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부,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며 상하운동으로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판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상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하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는 단면이 홈을 포함하는 원 형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 하축부는 단면이 육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하운동하는 중심축부, 일측이 상기 중심축부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1 대, 및 일측이 상기 중심축부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2 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부가 상하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대가 상하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상축부 및 상기 제1 하축부에 결합되는 제1 집게유닛, 및 상기 제2 상축부 및 상기 제2 하축부에 결합되는 제2 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상축부에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상판부, 상기 제1 하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판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제2 상축부에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상판부, 상기 제2 하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상판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2 상축부와 상기 제2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판부는 세 개의 분리된 판 형태로 중간에 위치되는 제1 중간판이 양측에 위치되는 제1 측판보다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부의 상부는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원기둥 형태로 상기 제1 집게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집게부와 접촉되는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는 두 개의 제1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할 때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롤러의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상판부의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 부분에서 거리가 먼 상부곡면 부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게 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롤러의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상판부의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 부분에서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는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유닛, 및 상기 제2 상축부와 상기 제2 하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1 하축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1 중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2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3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2 하축부와 결합되는 제4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상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중간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하축부를 상기 제1 상축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장분리부를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발장을 밀어서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상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중간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하축부를 상기 제2 상축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장분리부를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발장을 밀어서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는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기둥 형태인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어 상하운동하여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종래 수작업으로 발장걸이로부터 발장을 분리하던 것을 자동으로 분리함으로써 발장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인건비 절감과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발장 분리시 해태 건조장치의 작업 중단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작업중단이 불요하여 효과적이다.
집게유닛이 발장걸이를 그립한 후 발장분리부가 발장을 아래로 밀게되어 발장이 발장걸이로부터 좀 더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승하강유닛 상승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승하강유닛 하강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요부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집게유닛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집게유닛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실린더유닛과 집게유닛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 일실시예의 발장분리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승하강유닛(200) 상승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승하강유닛(200) 하강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요부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는 승하강유닛(200), 축부(310, 320, 350, 360), 집게유닛(1000), 발장분리부(400), 지지판부(500), 실린더유닛(600), 연결유닛(700), 가이드유닛(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장분리장치(1500)는 발장(10)이 거치된 발장걸이(20)에서 발장(10)을 분리하는 발장분리장치(1500)에 있어서, 프레임부(100),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는 승하강유닛(200), 승하강유닛(200)에 의해 승하강되며, 축부에 결합되어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발장걸이(20)를 그립하는 집게유닛(1000), 및 축부(310, 320, 350, 360)에 결합되며 축부(310, 320, 350, 360)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회전되어 발장(10)을 발장걸이(20)에서 분리시키는 발장분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유닛(200)은, 프레임부(100)와 결합된 회전부(210),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며 회전부(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20), 일단이 회전부(210)와 연결되며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운동되는 가로대부(230), 가로대부(230)와 힌지결합되며 가로대부(230)의 좌우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240) 및 일단이 전환부(24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승하강유닛(200)에 의해 승하강되는 지지판부(500)와 결합되는 세로대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부(210)는,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구동부(2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회전대(211), 하부가 하회전대(211)와 결합되어 하회전대(21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212), 및 회전축부(212)의 상부와 결합되며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가로대부(230)와 연결되어, 회전축부(2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상회전대(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환부(240)는 프레임부(100)와 힌지결합되고 프레임부(100)와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가로대부(230)의 좌우운동을 세로대부(25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시켜 지지판부(500)를 상하운동시킬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발장분리장치(1500)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승하강유닛(20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하강유닛(200)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지지판부(500), 축부(310, 320, 350, 360), 집게유닛(1000) 및 연결유닛 등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회전부(210), 구동부(220), 가로대부(230), 전환부(240), 세로대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회전부(210)는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부(220)에 의해 회전되어 후술하는 가로대부(23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하회전대(211), 회전축부(212), 및 상회전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회전대(211)는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구동부(220)와 연결되어 구동부(220)의 좌우방향 운동에 의해 후술하는 회전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축부(21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축부(212)는 하부가 하회전대(211)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되어 하회전대(21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회전축부(212)는 프레임부(100)와 결합되어 회전부(210)를 지지하는 지지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상회전대(213)는 회전축부(21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축부(2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후술하는 가로대부(230)와 연결되어 회전축부(2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가로대부(2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2 개의 구동부(220)는 회전축부(212)를 중심으로 하회전대(211)에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2 개의 가로대부(230)는 회전축부(212)를 중심으로 상회전대(213)에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부(210)를 회전시켜 승하강유닛(200)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구동부(220)는 회전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2 개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프레임부(100)와 결합되고 타측이 하회전대(211)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가로대부(230)는 일단이 상회전대(213)와 연결되며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후술하는 세로대부(25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환부(240)는 가로대부(230)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가로대부(230)의 좌우운동을 후술하는 세로대부(25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환부(240)는 가로대부(230), 프레임부(100), 및 세로대부(250)와 힌지결합되고 프레임부(100)와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가로대부(230)의 좌우운동을 세로대부(25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후술하는 지지판부(500)를 상하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로대부(250)는 일단이 전환부(24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지지판부(500)와 결합되어 전환부(24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판부(500)를 상하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승하강유닛(200)에 의해 승하강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부(500), 및 축부(310, 320, 350, 360)에 결합되며 상하운동으로 축부(310, 320, 350, 36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유닛(600)을 더 포함하며, 축부(310, 320, 350, 360)는, 복수 개의 지지판부(50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 및 복수 개의 지지판부(500)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의 하측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는 단면이 홈(330)을 포함하는 원 형태이고,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는 단면이 육각 형태일 수 있다. 실린더유닛(600)은, 상하운동하는 중심축부(610), 일측이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제1 상축부(310)와 결합되는 제1 대(620), 및 일측이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제2 상축부(320)와 결합되는 제2 대(630)를 포함하며, 중심축부(610)가 상하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대(620, 630)가 상하운동하여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판부(500)는 승하강유닛(200)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후술하는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와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에 의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축부(310, 320, 350, 360)는 지지판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와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는 지지판부(500)에서 후술하는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실린더유닛(600), 집게유닛(1000), 및 연결유닛(700)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상축부(310, 320)는 서로 평행하며 단면이 원 형태로 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는 지지판부(50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집게유닛(1000), 연결유닛(700), 및 발장분리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는 서로 평행하며 단면이 육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유닛(600)은 상축부(310, 320)에 결합되며 상하운동으로 상축부(310, 3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중심축부(610), 제1 및 제2 대(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중심축부(610)는 상하운동을 하는 것으로 실린더유닛(60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축부(310, 3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대(620)는 일측이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제1 상축부(310)와 결합되어, 중심축부(610)가 상승할 때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된 부분이 상승하고 중심축부(610)가 하강할 때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된 부분이 하강하여 제1 상축부(3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대(630)는 일측이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제2 상축부(320)와 결합되어, 중심축부(610)가 상승할 때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된 부분이 상승하고 중심축부(610)가 하강할 때 중심축부(610)와 힌지결합된 부분이 하강하여 제2 상축부(3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집게유닛(100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집게유닛(1000)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실린더유닛(600)과 집게유닛(1000)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장분리장치(1500) 일실시예의 발장분리부(400)의 작동상태도이다.
집게유닛(1000)은, 제1 상축부(310) 및 제1 하축부(350)에 결합되는 제1 집게유닛(1100), 및 제2 상축부(320) 및 제2 하축부(360)에 결합되는 제2 집게유닛(1200)을 포함하며, 제1 집게유닛(1100)은, 제1 상축부(310)에 결합되며 곡면(1115, 1116)을 포함하는 제1 상판부(1110), 제1 하축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집게부(1120), 및 제1 집게부(1120)에 결합되며 제1 상판부(1110)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1 접촉부(1130)를 포함하고, 제2 집게유닛(1200)은, 제2 상축부(320)에 결합되며 곡면(1215, 1216)을 포함하는 제2 상판부(1210), 제2 하축부(3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1220), 및 제2 집게부(1220)에 결합되며 제2 상판부(1210)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2 접촉부(1230)를 포함하며,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하는 경우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집게부(11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하고,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하는 경우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집게부(12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할 수 있다. 제1 상판부(1110)는 세 개의 분리된 판 형태로 중간에 위치되는 제1 중간판(1111)이 양측에 위치되는 제1 측판(1112)보다 제1 상축부(310)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1115)을 포함하며, 제1 집게부(1120)의 상부는 제1 중간판(1111)과 접촉되고, 제1 접촉부(1130)는 원기둥 형태로 제1 집게부(1120)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외주면(1141)이 제1 측판(1112)과 접촉되고 제1 집게부(1120)와 접촉되는 내부면(1142)이 제1 중간판(1111)과 접촉되는 두 개의 제1 롤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유닛(1000)은 승하강유닛(200)에 의해 승하강되며 축부(310, 320, 350, 360)에 결합되어 축부(310, 320, 350, 36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발장걸이(20)를 그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집게유닛(1100, 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게유닛(1100)은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판부(1110), 제1 집게부(1120), 및 제1 접촉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상판부(1110)는 제1 상축부(3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축부(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으며 제1 중간판(1111)과 제1 측판(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상판부(1110)는 3 개의 분리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되는 제1 중간판(1111)과 제1 중간판(1111)의 양옆에 위치되는 2 개의 제1 측판(1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중간판(1111)은 제1 상축부(310)로부터의 거리가 제1 측판(1112)의 제1 상축부(310)로부터의 거리보다 긴 부분인 상부곡면(1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부곡면(1115)은 제1 중간판(1111)이나 제1 측판(1112)의 후술하는 제1 접촉부(113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곡면(1116)은 제1 중간판(1111)이나 제1 측판(1112)의 후술하는 제1 접촉부(113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게부(1120)는 제1 하축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하는 경우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집게부(1120)의 상측이 제1 중간판(1111)의 상부곡면(1115)과 접촉되면서 상승하고 제1 집게부(1120)의 하측은 발장걸이(20)를 그립할 수 있다. 집게유닛(1000)이 발장걸이(20)를 그립한 후 후술하는 발장분리부(400)가 발장(10)을 아래로 미는 경우 발장(10)이 발장걸이(20)로부터 좀 더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접촉부(1130)는 제1 집게부(1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판부(1110)와 접촉되어 이동되면서 제1 집게부(11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2 개의 제1 롤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롤러(1140)는 원기둥 형태로 제1 집게부(11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1141)이 제1 측판(1112)과 접촉되고 원기둥 형태의 밑면에 해당하는 내부면(1142)이 제1 측판(1112)보다 커서 제1 측판(1112) 밖으로 돌출된 제1 중간판(1111) 부분 및 제1 집게부(1120)와 접촉되어, 제1 집게부(1120)가 제1 상판부(1110)와 접촉되어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롤러(1140)는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할 때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롤러(1140)의 외주면(1141)이 제1 측판(1112)과 접촉되고 제1 롤러(1140)의 내부면(1142)이 제1 측판(1112)보다 커서 제1 측판(1112) 밖으로 돌출된 제1 중간판(1111) 부분과 접촉되어 제1 상판부(1110)의 제1 상축부(310)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1116) 부분에서 거리가 먼 상부곡면(1115) 부분으로 이동되어 제1 집게부(11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롤러(1140)는 실린더유닛(600)이 하강할 때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롤러(1140)의 외주면(1141)이 제1 측판(1112)과 접촉되고 제1 롤러(1140)의 내부면(1142)이 제1 측판(1112)보다 커서 제1 측판(1112) 밖으로 돌출된 제1 중간판(1111)과 접촉되어 제1 상판부(1110)의 제1 상축부(310)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1115) 부분에서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1116) 부분으로 이동되어 발장걸이(20)에 대한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집게유닛(1200)은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상판부(1210), 제2 집게부(1220), 및 제2 접촉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상판부(1210)는 제2 상축부(3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상축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으며 제2 중간판(1211)과 제2 측판(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상판부(1210)는 3 개의 분리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되는 제2 중간판(1211)과 제2 중간판(1211)의 양옆에 위치되는 2 개의 제2 측판(1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중간판(1211)은 제2 상축부(320)로부터의 거리가 제2 측판(1212)의 제2 상축부(320)로부터의 거리보다 긴 부분인 상부곡면(1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부곡면(1215)은 제2 중간판(1211)이나 제2 측판(1212)의 후술하는 제2 접촉부(123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곡면(1216)은 제2 중간판(1211)이나 제2 측판(1212)의 후술하는 제2 접촉부(123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집게부(1220)는 제2 하축부(3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하는 경우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집게부(1220)의 상측이 제2 중간판(1211)의 상부곡면(1215)과 접촉되면서 상승하고 제2 집게부(1220)의 하측은 발장걸이(20)를 그립할 수 있다. 집게유닛(1000)이 발장걸이(20)를 그립한 후 후술하는 발장분리부(400)가 발장(10)을 아래로 미는 경우 발장(10)이 발장걸이(20)로부터 좀 더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접촉부(1230)는 제2 집게부(1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상판부(1210)와 접촉되어 이동되면서 제2 집게부(12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2 개의 제2 롤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롤러(1240)는 원기둥 형태로 제2 집게부(12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1241)이 제2 측판(1212)과 접촉되고 원기둥 형태의 밑면에 해당하는 내부면(1242)이 제2 측판(1212)보다 커서 제2 측판(1212) 밖으로 돌출된 제2 중간판(1211) 부분 및 제2 집게부(1220)와 접촉되어, 제2 집게부(1220)가 제2 상판부(1210)와 접촉되어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롤러(1240)는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할 때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롤러(1240)의 외주면(1241)이 제2 측판(1212)과 접촉되고 제2 롤러(1240)의 내부면(1242)이 제2 측판(1212)보다 커서 제2 측판(1212) 밖으로 돌출된 제2 중간판(1211) 부분과 접촉되어 제2 상판부(1210)의 제2 상축부(320)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1216) 부분에서 거리가 먼 상부곡면(1215) 부분으로 이동되어 제2 집게부(1220)가 발장걸이(20)를 그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2 롤러(1240)는 실린더유닛(600)이 하강할 때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롤러(1240)의 외주면(1241)이 제2 측판(1212)과 접촉되고 제2 롤러(1240)의 내부면(1242)이 제2 측판(1212)보다 커서 제2 측판(1212) 밖으로 돌출된 제2 중간판(1211)과 접촉되어 제2 상판부(1210)의 제2 상축부(320)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1215) 부분에서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1216) 부분으로 이동되어 발장걸이(20)에 대한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유닛(700a), 및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를 연결하는 제2 연결유닛(700b)을 더 포함하며, 제1 연결유닛(700a)은, 일단이 제1 상축부(310)와 결합되는 제1 연결부(710a), 일단이 제1 하축부(350)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720a), 및 일단이 제1 연결부(710a)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 연결부(720a)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1 중간연결부(730a)를 포함하고, 제2 연결유닛(700b)은, 일단이 제2 상축부(320)와 결합되는 제3 연결부(710b), 일단이 제2 하축부(360)와 결합되는 제4 연결부(720b), 및 일단이 제3 연결부(710b)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4 연결부(720b)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2 중간연결부(7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700)은 상축부(310, 320)와 하축부(350, 360)에 결합되어 상축부(310, 320)의 회전에 따라 하축부(350, 360)를 상축부(310, 3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연결유닛(700a)과 제2 연결유닛(7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유닛(700a)은 제1 상축부(310)와 제1 하축부(35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 연결부(710a), 제2 연결부(720a), 및 제1 중간연결부(73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710a)는 일단이 제1 상축부(310)와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1 중간연결부(730a)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축부(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20a)는 일단이 제1 하축부(350)와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1 중간연결부(730a)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제1 중간연결부(730a)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여 제1 하축부(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부(730a)는 일단이 제1 연결부(710a)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 연결부(720a)의 타단과 힌지결합되어 제1 연결부(710a)의 회전을 제2 연결부(720a)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결부(710a)는 제1 상축부(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제1 중간연결부(730a) 및 제2 연결부(720a)를 통해 제1 하축부(350)를 제1 상축부(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발장분리부(400)를 아래로 회전시켜 발장(10)을 밀어서 발장(10)을 발장걸이(20)로부터 분리시킬수 있다.
제2 연결유닛(700b)은 제2 상축부(320)와 제2 하축부(36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3 연결부(710b), 제4 연결부(720b), 및 제2 중간연결부(73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연결부(710b)는 일단이 제2 상축부(320)와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2 중간연결부(730b)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제2 상축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20a)는 일단이 제2 하축부(360)와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2 중간연결부(730b)와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제2 중간연결부(730b)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여 제2 하축부(3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중간연결부(730b)는 일단이 제3 연결부(710b)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4 연결부(720b)의 타단과 힌지결합되어 제3 연결부(710b)의 회전을 제4 연결부(720b)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연결부(710b)는 제2 상축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제2 중간연결부(730b) 및 제4 연결부(720b)를 통해 제2 하축부(360)를 제2 상축부(3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발장분리부(400)를 아래로 회전시켜 발장(10)을 밀어서 발장(10)을 발장걸이(20)로부터 분리시킬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발장분리부(400)는 일단이 하축부(350, 360)에 결합되며 하축부(350, 360)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회전되어 타단이 발장(10)을 밀어내어 발장(10)을 발장걸이(2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발장분리부(400)는 제1 하축부(350)와 제2 하축부(360)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하축부(350, 360)와 결합될 수 있다.
발장분리장치(1500)는 승하강유닛(200)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유닛(800)을 더 포함하며, 가이드유닛(800)은, 일측이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기둥 형태인 기둥부(810), 및 기둥부(810)에 삽입되는 가이드홀(821)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500)와 결합되는 본체부(820)를 포함하고, 본체부(820)는 기둥부(810)에 삽입되어 상하운동하여 승하강유닛(200)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A 부분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가이드유닛(800)은 승하강유닛(200)이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둥부(810)와 본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810)는 일측이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며 기둥 형태로 후술하는 본체부(820)가 가이드홀(821)을 통해 삽입되어 승하강유닛(200)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체부(820)는 기둥부(810)에 삽입되어 일측이 승하강유닛(200)에 의해 승하강되는 지지판부(500)에 결합되고, 승하강유닛(200)이 상하운동하는 경우 상하운동하여 승하강유닛(200)이 상하 직선운동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홀(821)은 본체부(820)에 형성된 중공으로 기둥부(810)가 본체부(82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부(820)가 기둥부(810) 상부와 하부로 왕복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하강유닛(200)이 하강하면서 집게유닛(1000)이 발장걸이(20)를 그립하게 되고 실린더유닛(600)이 상승하여 상축부(310, 320)와 하축부(350, 360)를 회전시키면 하축부(350, 360)에 결합된 발장분리부(400)가 아래로 회전되어 발장(10)을 밀어내어 발장걸이(20)로부터 발장(10)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종래 수작업으로 발장걸이(20)로부터 발장(10)을 분리하던 것을 자동으로 분리함으로써 발장(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인건비 절감과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발장(10) 분리시 해태 건조장치의 작업 중단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작업중단이 불요하여 효과적이다. 집게유닛(1000)이 발장걸이(20)를 그립한 후 발장분리부(400)가 발장(10)을 아래로 밀게되어 발장(10)이 발장걸이(20)로부터 좀 더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발장 20 : 발장걸이
100 : 프레임부 200 : 승하강유닛
210 : 회전부 211 : 하회전대
212 : 회전축부 213 : 상회전대
220 : 구동부 230 : 가로대부
240 : 전환부 250 : 세로대부
300 : 축부 310 : 제1 상축부
320 : 제2 상축부 350 : 제1 하축부
360 : 제2 하축부 400 : 발장분리부
500 : 지지판부 600 : 실린더유닛
610 : 중심축부 620 : 제1 대
630 : 제2 대
700a : 제1 연결유닛 700b : 제2 연결유닛
710a : 제1 연결부 710b : 제3 연결부
720a : 제2 연결부 720b : 제4 연결부
730a : 제1 중간연결부 730b : 제2 중간연결부
800 : 가이드유닛 810 : 기둥부
820 : 본체부 1000 : 집게유닛
1100 : 제1 집게유닛 1110 : 제1 상판부
1111 : 제1 중간판 1112 : 제1 측판
1120 : 제1 집게부 1130 : 제1 접촉부
1140 : 제1 롤러 1200 : 제2 집게유닛
1210 : 제2 상판부 1220 : 제2 집게부
1230 : 제2 접촉부 1500 : 발장분리장치

Claims (11)

  1. 발장이 거치된 발장걸이에서 상기 발장을 분리하는 발장분리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며,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는 집게유닛;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부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회전되어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에서 분리시키는 발장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된 회전부;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운동되는 가로대부;
    상기 가로대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로대부의 좌우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일단이 상기 전환부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는 지지판부와 결합되는 세로대부;를 포함하는 발장분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회전대;
    하부가 상기 하회전대와 결합되어 상기 하회전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가로대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상회전대;를 포함하는 발장분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와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로대부의 좌우운동을 상기 세로대부의 상하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지지판부를 상하운동시키는 발장분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부; 및
    상기 축부에 결합되며 상하운동으로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판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상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하축부;를 포함하는 발장분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는 단면이 홈을 포함하는 원 형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 하축부는 단면이 육각 형태인 발장분리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하운동하는 중심축부;
    일측이 상기 중심축부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1 대; 및
    일측이 상기 중심축부와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2 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부가 상하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대가 상하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축부를 회전시키는 발장분리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상축부 및 상기 제1 하축부에 결합되는 제1 집게유닛; 및
    상기 제2 상축부 및 상기 제2 하축부에 결합되는 제2 집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유닛은,
    상기 제1 상축부에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상판부;
    상기 제1 하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판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유닛은,
    상기 제2 상축부에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상판부;
    상기 제2 하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상판부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2 상축부와 상기 제2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는 발장분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판부는 세 개의 분리된 판 형태로 중간에 위치되는 제1 중간판이 양측에 위치되는 제1 측판보다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부의 상부는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원기둥 형태로 상기 제1 집게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집게부와 접촉되는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는 두 개의 제1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승할 때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롤러의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상판부의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 부분에서 거리가 먼 상부곡면 부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집게부가 상기 발장걸이를 그립하게 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측판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롤러의 내부면이 상기 제1 중간판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상판부의 상기 제1 상축부로부터 거리가 먼 상부곡면 부분에서 거리가 가까운 하부곡면 부분으로 이동되는 발장분리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축부와 상기 제1 하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유닛; 및
    상기 제2 상축부와 상기 제2 하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1 하축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1 중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2 상축부와 결합되는 제3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2 하축부와 결합되는 제4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연결부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상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중간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하축부를 상기 제1 상축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장분리부를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발장을 밀어서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상축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중간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하축부를 상기 제2 상축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장분리부를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발장을 밀어서 상기 발장을 상기 발장걸이로부터 분리시키는 발장분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기둥 형태인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어 상하운동하여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발장분리장치.
KR1020170125911A 2017-09-28 2017-09-28 발장분리장치 KR10192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11A KR101923111B1 (ko) 2017-09-28 2017-09-28 발장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11A KR101923111B1 (ko) 2017-09-28 2017-09-28 발장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111B1 true KR101923111B1 (ko) 2018-11-28

Family

ID=6456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911A KR101923111B1 (ko) 2017-09-28 2017-09-28 발장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1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986A (zh) * 2019-09-04 2019-11-29 浪莎针织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产品的烘干装置
KR102338638B1 (ko) 2021-09-17 2021-12-14 황영진 해태건조기용 발장 분리장치
CN113945078A (zh) * 2021-11-30 2022-01-18 青岛市北洋食品有限公司 一种鱿鱼丝的加工工艺及加工设备
KR20220120754A (ko) 2021-02-22 2022-08-31 주식회사 대경 김발장 자동 분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43Y1 (ko) 2002-11-20 2003-02-14 우석수 김제조기의 발장이송장치
KR101170539B1 (ko) * 2009-07-31 2012-08-01 주식회사 대경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KR101440563B1 (ko) * 2012-05-11 2014-09-17 김지태 김 건조대 및 발장 탈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43Y1 (ko) 2002-11-20 2003-02-14 우석수 김제조기의 발장이송장치
KR101170539B1 (ko) * 2009-07-31 2012-08-01 주식회사 대경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KR101440563B1 (ko) * 2012-05-11 2014-09-17 김지태 김 건조대 및 발장 탈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986A (zh) * 2019-09-04 2019-11-29 浪莎针织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产品的烘干装置
KR20220120754A (ko) 2021-02-22 2022-08-31 주식회사 대경 김발장 자동 분리 장치
KR102571540B1 (ko) 2021-02-22 2023-08-30 주식회사 대경 김발장 자동 분리 장치
KR102338638B1 (ko) 2021-09-17 2021-12-14 황영진 해태건조기용 발장 분리장치
CN113945078A (zh) * 2021-11-30 2022-01-18 青岛市北洋食品有限公司 一种鱿鱼丝的加工工艺及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111B1 (ko) 발장분리장치
CN104044904B (zh) 一种胶囊生产流水线设备
CN216178382U (zh) 一种机械自动化自动夹持工作台
CN105767955A (zh) 一种用于加工海带丝的设备
CN106498676A (zh) 自动伸缩式晾衣架
CN115415609A (zh) 一种锂电池外壳拆解设备
CN108620373A (zh) 物料自动清洗装置
KR101170539B1 (ko)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CN207659680U (zh) 一种新型开幅组合机
CN107904874A (zh) 一种纺织品晾晒架
CN209628122U (zh) 一种蓝莓鲜果切割收集装置
CN207547352U (zh) 一种接线盒上壳体抓取下料机构
CN108660839A (zh) 一种气相防锈纸生产用防堵塞的纸浆脱水装置
CN108722978A (zh) 一种医疗用中草药清洗设备
KR101562734B1 (ko) 코팅장갑 제조장치
CN211972735U (zh) 一种纺织印染用碱液输送泵安装架
CN211084719U (zh) 一种纺织用纱线烘干装置
CN208625230U (zh) 一种操作简单的晾衣架
CN209466352U (zh) 竹砧板生产设备
CN208794867U (zh) 一种新型的中药材烘干设备
CN212378468U (zh) 一种烘干机输送帘板过载保护装置
CN106637857B (zh) 一种带有自动收晾衣服功能的行走机械装置
CN217078117U (zh) 一种服装熨烫后暂存干燥装置
CN106333374B (zh) 一种全自动胡萝卜清洗打皮装置
KR20140104593A (ko) 도계용 간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