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585B1 - 힌지식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힌지식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585B1
KR101922585B1 KR1020187013748A KR20187013748A KR101922585B1 KR 101922585 B1 KR101922585 B1 KR 101922585B1 KR 1020187013748 A KR1020187013748 A KR 1020187013748A KR 20187013748 A KR20187013748 A KR 20187013748A KR 101922585 B1 KR101922585 B1 KR 10192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tabs
collar
brid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925A (ko
Inventor
니꼴라 리골레
파브리스 쁘레보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629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225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18005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34Dissociable gripping members
    • Y10T24/44043Channel and inserted bar
    • Y10T24/44051Channel and inserted bar having operator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클램핑 칼라는, 2개의 벨트부(12, 13)로 만들어지는 벨트(10)를 포함하며, 벨트부들 각각은 조임 탭(14, 15)을 구비하는 제1 단부(12A, 13A) 및 조립부재(16, 17)를 구비하는 제2 단부(12B, 13B)를 갖는다. 조립부재들은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부들을 함께 조립하도록 서로 협력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클램핑 칼라는 일단 제2 단부(12B, 13B)가 함께 조립되면 클램핑 칼라를 조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임 탭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이도록 조임 탭(14, 15)들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조임수단(18, 19)을 더 포함한다. 2개의 벨트부(12, 13)들의 제1 단부(12A, 13A)들은, 클램핑 칼라가 자유로운 비-조임 상태에 있을 때, 조임 탭(14, 15)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하는 그리고 조임 탭들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클램핑 칼라가 조여지는 동안 그 형태가 변형되는 브리지(24)를 통하여 상호연결된다.

Description

힌지식 클램핑 칼라 {HINGED CLAMPING COLLAR}
본 발명은, 2개의 벨트부로 만들어지는 벨트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벨트부들 각각은 조임 탭을 구비하는 제1 단부 및 조립부재를 구비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조립부재들은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부들을 함께 조립하도록 서로 협력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일단 제2 단부가 함께 조립되면 클램핑 칼라를 조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임 탭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이도록 조임 탭들과 협력하기에 적합한 조임수단을 더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칼라는 문헌 WO 98/43010 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칼라에 있어서, 조임수단은 조임 탭들 내의 구멍들을 통과하는 몸통부를 가지는 볼트를 포함한다. 벨트는 2개의 절반-벨트(half-belts)들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절반-벨트는 조임 탭과 조립부재 사이에서 연장된다. 볼트는, 조임 탭들 상에 사전-장착되며, 2개의 절반 벨트가 움직이기에 충분한 간극을 허용하도록, 조임 탭들에 대해 헐겁게 끼워맞춰진다.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칼라를 장착하기 위해서, 볼트가 정위치되어 있는 동안 절반-벨트들은 이격되고, 물품 주위에 배치되고, 절반-벨트들의 각각의 제2 단부들에 장비되는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폐쇄된다.
이 칼라는,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장착되기 위해서, 조임수단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만족스럽다. 그렇지만, 조립부재들을 서로 협력시키기 위해서, 절반-벨트의 제2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2개의 절반-벨트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어되지 않아, 절반-벨트들을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때때로 어렵다. 게다가, 일단 칼라가 장착되면 조임수단은 접근가능한 상태로 남아있어야 하며,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조임수단은 작업자에게 보이는 쪽에 있으며, 반면에 벨트의 제2 단부에 장비된 조립부재들은,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보기 힘든 쪽에 있어 접근이 어렵다.
미국특허 US 875,019 호에는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이 걸림으로써 함께 조립될 수 있는 클램핑 칼라가 개시되어 있다. 벨트부들의 제1 단부들은, 첫째로 볼트-작동식 조임수단을 통하여, 그리고 둘째로 톱니의 랙을 통하여 함께 협력한다. 이 칼라를 장착하기 위하여, 우선 제2 단부들은 함께 걸리고, 그 다음 제1 단부들은 함께 가까워지며, 그들이 지니는 랙은, 칼라가 둘러싸는 물품에 의해 작용되는 반작용 힘의 영향 아래에서 칼라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맞물린다. 마지막으로, 조임 볼트는 정위치되고 조여진다.
WO 98/43010 호의 칼라와는 달리, 상기한 미국특허의 칼라는 조임 볼트가 정위치되어 있는 동안에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장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수단이 조임 탭들 상에 정위치되어 있는 동안, 클램핑될 물품 상에 칼라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벨트부들에 장비된 조립부재들에 의해서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을 함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칼라를 제안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전술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2개의 벨트부들의 제1 단부들은, 클램핑 칼라가 자유로운 비-조임 상태에 있을 때, 조임 탭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하는 그리고 조립부재들이 서로 협력할 때까지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이 함께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는 브리지를 통하여 상호연결되며, 일단 조임수단이 조임 탭들에 대해 위치되면, 조임 탭들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클램핑 칼라가 조여지는 동안 상기 브리지의 형태는 변형되는 것에 의해 성취된다.
이 브리지에 의해서, 조임 탭들은, 자유로운 비-조임 상태에 있는 칼라에 상응하는, 결정된 위치에 초기에 유지된다. 또한 브리지는 2개의 벨트부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다. 조임시, 브리지의 형태는 수정되어(특히, 브리지는 변형되며 및/또는 파손된다), 브리지는 조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칼라가 비-조임 상태에 있을 때, 조립부재들이 서로 협력되도록 야기될 때까지 2개의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은 함께 가까워질 수 있다. 벨트부들의 이러한 움직임 동안, 상기 벨트부들은 브리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따라서, 브리지에 의해서, 이러한 움직임은 제어될 수 있다; 즉 벨트부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브리지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를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브리지는 2개의 벨트부들 사이의 힌지부를 형성하여 소망하지 않은 방향으로 2개의 벨트부들이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2개의 벨트부들은, 움직임 행정의 끝에서 물론 협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칼라의 축선방향으로 오프셋 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동안, 칼라의 전체 평면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즉, 제2 단부들에 장비된 조립부재들이 서로 일치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개의 벨트부들은 턱(jaws)과 같이 동작하여, 벨트부들의 경로는 브리지의 존재로 인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조임수단이 조임 탭들에 대해 정위치되어 남아있더라도,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은 자연스럽게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 없이 함께 조립될 수 있으며, 벨트부들은 브리지의 영역 내에서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작동한다.
장점적으로, 브리지는, 2개의 벨트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또 브리지는, 2개의 벨트부들 중 각각의 제1 단부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2개의 벨트부들, 조임 탭들 및 브리지로 만들어는 이 조립체는 단일 유닛으로서 조작될 수 있다.
장점적으로, 2개의 벨트부 및 브리지는 하나의 조각(one piece)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벨트는, 벨트부들과 브리지와 함께,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칼라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모두를 함께 조립하기 위해서, 또한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칼라를 장착하기 위해서, 조작될 필요가 있는 부품들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장점적으로, 브리지는 조임수단을 통하여 벨트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따라서, 조임수단을 정위치시키는 것은, 어떠한 추가적인 조립 단계 없이, 벨트에 브리지를 연결한다.
장점적으로, 브리지는 조임 탭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브리지는 조임수단이 위치되는 칼라의 영역 내에서 연장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힌지부가 2개의 벨트부들을 형성하는 2개의 턱부(jaws)들 사이에 위치되는 이들 수단의 영역 내에 있다. 그에 따라 조립수단이 장비된 제2 단부들은, 브리지 자체가 큰 치수를 가질 필요 없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넓은 각도 간극을 갖는다. 따라서 재료의 낭비가 방지된다.
장점적으로, 브리지는 벨트부들보다 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한 스트립부는 2개의 벨트부들과 함께 하나의 조각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스트립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이 부분은, 칼라가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장착되는 동안 그리고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이 함께 가까워지게 움직이는 동안,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브리지의 존재는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을 함께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장점적으로, 조립부재들은 걸림(hooking)으로써 서로 협력한다.
걸림은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에 장비되는 조립부재들을 함께 조립하기 위한 간단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조립부재들은 용이하고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립부재는 이 조립부재가 장비되는 벨트부와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에 의해 함께 벨트부들을 조립하는 것은 용이하다.
장점적으로, 벨트부들 중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 안쪽으로 뒤집혀 만곡되는 자유단부를 가지는 제1 러그를 포함하는 한편, 벨트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후크와 협력하는 제2 러그를 포함한다.
그때 조립부재들의 형태는 단순하고, 조립부재들은 제조하기 쉽다.
장점적으로, 벨트부들 중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는 상기 제2 단부의 연장부 상에 형성된다.
그때 장점적으로 연장부는 걸림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벨트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서, 걸림 내측 가장자리 상에 걸리는 걸림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것은 조립부재들에 대하여 장점적이고 제조하기에 간단한 변형예를 구성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도시된 실시형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은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장점들은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물품을 클램핑하고 있는 본 발명의 클램핑 칼라의 정면도,
도 2는 물품의 주위에 장착된 도 1의 칼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은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이전의 도면들의 칼라의 조임수단의 일부분인 너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화살표 V를 따라 본, 위에서 본 도면,
도 6은 이전의 도면들의 브리지와는 상이한 브리지의 변형예의 도식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중에서도, 조임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조임수단을 나타내는, 도 6의 화살표 VII을 따라 본, 도 6의 측면도,
도 8은, 조여지지 않은 상태로 칼라가 물품의 주위에서 폐쇄되어 있는, 클램핑될 물품 상에 장착된 클램핑 칼라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화살표 IX를 따라 본 사시도,
도 10은 도 8 및 9의 칼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및 12는, 도 8 내지 10의 칼라의 조립부재들에 대한 2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0의 평면 XI-XI 상에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칼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정면도,
도 14는, 자유로운, 즉 비-조임 상태에 있는, 도 1 내지 5의 칼라에 대한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위에서 또한 옆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조임 상태에 있는 도 14의 칼라를 나타내는, 도 14와 유사한 사시도,
도 16 및 17은, 조립되기 전의, 칼라의 구성요소들의 2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8은 도 17의 칼라의 브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5의 칼라에 대해 설명한다. 칼라는, 각각 12 및 13으로 번호가 부여된 2개의 벨트부(belt portions)들을 갖는 벨트(10)를 포함한다. 이 벨트부들의 각각의 제1 단부(12A, 13A)는 조임 탭(14, 15)을 갖는다. 이 벨트부들의 각각의 제2 단부(12B, 13B)는 조립부재(16, 17)를 갖는다. 칼라는, 이 칼라를 조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조임 탭(14 및 15)들과 협력하는 조임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조임수단은 볼트(18)를 포함하며, 이 볼트의 몸통부(18A)는 조임 캡(14 및 15)들의 구멍들(14A 및 15A)을 관통한다. 볼트의 머리부(18B)는 조임 탭(14)에 대해 유지되는 한편, 너트(19)는 조임 탭(15)에 대해 유지된다.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는 것이 조임 탭(14 및 15)들을 함께 가깝게 이동시키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어지는 설명에 있어서, "외부", "바깥쪽" 등과 같은 용어는 칼라의 축선(A)에 대해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 또는 면하는 칼라의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반경방향은 칼라의 축선(A)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정의한다.
도 2, 3 및 5에 있어서, 칼라는 클램핑될 물품 상에 장착되어 있다. 물품은, 부재번호 20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개의 함께 조립된 튜브(21 및 22)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들의 마주하는 단부들은 플레어(flares)(각각 21A 및 22A)들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벨트는 오목 단면부(recessed section), 특히 V-형 단면부를 가지며, 그 단면부의 선단은 벨트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을 향한다. 칼라를 조이는 것이 튜브(21 및 22)들의 대향 단부들을 함께 가압하도록, 플레어(21A 및 22A)들은 상기 오목 단면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튜브들이 함께 조립될 때 대향 단부들은 서로 협력한다.
물론, 단지 이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는, 특히 튜브에 끼워지는 파이프 또는 호스와 같은, 어떠한 종류의 물품이라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칼라는, 전술한 바와 같은 V-형, 또는 U-형, 또는 평평한 단면부, 또는 클램핑을 위해 설계된 물품을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어떠한 부분을 갖는 오목 단면부를 가질 수 있다.
도 2, 3 및 4에 있어서, 벨트부(12)는 칼라가 클램핑될 수 있는 물품(20)의 부분 주위에 배치되는 한편, 벨트부(13)는 물품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2개의 벨트부들은, 칼라가 물품(20) 주위에 장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도 2, 3 및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칼라의 장착을 끝내기 위해서, 2개의 단부들을 차지하는 조립부재(16, 17)들이 함께 조립될 때까지, 벨트부(13)는 그 제2 단부(13B)가 벨트부(12)의 제2 단부(12B)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칼라는 사전-장착, 즉 물품이 상기 칼라로 감싸지지만 아직은 상기 물품에 어떤 상당한 클램핑 힘이 가해지지 않은 방식으로,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위치된다. 클램핑 힘이 얻어지기 위해서, 칼라는 조임수단을 통하여 조여진다. 따라서, 사전-장착 상태에서 시작하여,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이 함께 조립될 때까지, 도 1 내지 5에서의 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칼라의 볼트(18)는 조임 탭(14 및 15)들을 함께 가깝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조여지며, 그에 따라 벨트의 직경은 칼라를 조이기 위하여 필요한 방식으로 감소된다.
벨트부(12 및 13)들의 제1 단부(12A 및 13A)들은 브리지(bridge)(24)에 의해 상호연결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칼라가, 예를 들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조임 상태에 있을 때, 브리지는 조임 탭(14 및 15)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브리지는 조임 탭들이 서로에 대해 유지되는 방식으로 조임 탭들을 또한 상호연결한다. 따라서 브리지(24)는, 조립부재들을 서로 협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를 향하여 각각의 제2 단부들을 움직일 수 있도록 2개의 벨트부들 사이에 힌지 구역을 형성한다. 브리지는, 특히 칼라의 축선(A)에 수직으로, 실질적으로 벨트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칼라가 조여질 때, 브리지는 형상이 변형되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리지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U-형 로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형되며, U-형 루프의 기부(base)는 외측에 위치된다. 물론, 브리지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칼라가 조여지기 위해 필요한 조임 탭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악영향을 미지지 않은 방식으로, 브리지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힘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기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브리지(24)는 가요성을 가지며(즉, 벨트부들의 가요성보다 상당히 높은 가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조임력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브리지는 칼라가 조여지는 동안 발생하는 러그들의 움직임의 영향 하에서 파손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브리지는, 예컨대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변경되고, 파손됨에 의해 2개의 벨트부들 중 각각에 붙어있는 2개의 아암들을 형성할 수 있다.
브리지(24)는 2개의 벨트부들에 고정되거나 혹은 일체일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벨트부들과 함께 하나의 조각(one piece)을 형성한다. 특히, 조임 탭들 및 브리지와 함께, 그리고 조립부재들과 함께, 벨트부들을 이루는 조립체는, 블랭크(blank)로부터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스탬핑 및/또는 폴딩 작업 및 롤링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브리지는 조임 탭(14 및 15)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 내지 5에 있어서, 브리지는 조임 탭(14 및 15)들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의 단부들에 연결된다. 브리지는 벨트부들보다 좁은 스트립부(strip portion)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부들 및 조임 탭들은 브리지(24)를 형성하는 스트립의 폭(l)보다 상당히 넓은 폭(L)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이 폭들은 칼라의 축선(A)을 따라 측정된다. 예를 들어, 이 폭(l)은 대략 폭(L)의 사분의 일 내지 폭(L)의 십분의 일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및 브리지는 칼라의 축선(A)에 대해 수직인 평면(P) 주위에서 대칭이다. 따라서, 브리지(24)가 그 평면 상에서 중심이 맞춰진다는 사실은, 상기 평면에서 벨트부들의 2개의 단부들을 정렬시키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것이며, 칼라의 축선(A)을 따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일의 스트립을 가지는 대신에, 브리지는 복수의 스트립들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특히 스트립(24)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그러나 선택적으로 더욱 좁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평면(P) 주위에서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2개의 스트립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은 브리지에 대한 변형 실시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볼트의 몸통부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4A 및 15A)들을 가지는 조입 탭(14 및 15)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브리지는 2개의 스트립부(24' 및 24")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스트립부는 2개의 조임 탭(14 및 15)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한편, 상기 조임 탭들의 측부(sides)들에 연결된다. 2개의 스트립들은 조임 탭들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벨트부들과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임수단은 볼트(18) 및 너트(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는 조임 탭(15)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5에 있어서, 조임 탭(15)은 조임 탭(14)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2개의 측부 플랜지부(15B 및 15C)들을 가지며, 너트(19)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은 이 플랜지부들에 대항하여 유지된다. 또한 이 플랜지부들은 조임 탭(15)을 보강하기 위해 기능하며, 나아가서 조임 탭(14)도 보강을 위해 기능하는 2개의 측부 플랜지부들을 구비한다.
도 4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너트(19)는 조임 탭(15)의 구멍(15A)을 통과하는 돌출 부싱(19A)을 구비한다. 이 부싱이 구멍 내로 삽입된 후, 부싱의 자유 가장자리(free edge)는 방사상 림(19B)을 형성하도록 뒤로 밀릴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구멍 내의 위치에 너트가 유지될 수 있다.
조임시, 벨트부들과 조임 탭들이 서로에 대해 움직인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너트(19)는 구멍(15A) 내에 헐겁게 끼워맞춰진다. 구멍의 직경은 부싱(19)의 외측 직경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벨트부들이 움직일 수 있기 위해 필요한 볼트와 조임 탭들 사이의 간극은 평면(P) 내에서 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구멍은 조임 탭의 높이와 동일한 방향(D)으로 길게 늘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조임 탭(14 및 15)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구멍(14A 또는 15A)이 그러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도 6 및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15A)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조임 탭(15)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 단부는, 탭(14)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캡(15)의 측부 상에서 연장하는 단부 플랜지(15B')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 플랜지는 너트(19)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너트를 유지하기 위해 기능하며, 너트의 측면들 중 하나는 단부 플랜지에 대항하여 유지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부재(16 및 17)는 걸림으로써 서로 협력한다. 조립부재 즉 걸림부재(17)는 벨트부(13)의 단부(13B)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러그(lug)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러그는 후크를 형성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뒤집혀 만곡되는 자유단부(17A)를 갖는다. 벨트부(12)의 단부(12B)의 조립부재(16)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2 러그를 구비한다. 이 제2 러그는 걸림부재로서의 조립부재 즉 제1 러그(17)의 만곡된 자유단부(17A)에 걸림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립부재 즉 제2 러그(16)와 제1 러그의 만곡된 자유단부는, 제1 러그(17)로부터 제2 러그(16)로 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8 내지 12가 이하에 설명된다. 우선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도시된 칼라는 전술한 칼라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특히 도시된 칼라는 2개의 벨트부(12 및 13)들을 갖는 벨트(10)를 포함하며, 벨트부들의 제1 단부들에는 조임 탭(14 및 15)들이 세워져 있고 벨트부들의 제2 단부들에는 조립부재(116 및 117)들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브리지(24)는 조임 탭(14 및 15)들을 상호연결한다. 조임수단은 조임 탭(14 및 15)들 내의 구멍(14A 및 15A)을 통과하는 몸통부(18A)를 갖는 볼트(18)를 포함한다.
본 칼라와 전술한 칼라 사이의 첫 번째 차이점은, 조임 탭들 중 하나 내의 구멍이 볼트의 몸통부(18A)와 나사-결합됨으로써 협력하기 위하여 탭가공된 부싱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임 탭(14)은, 구멍(14A)의 가장자리의 재료를 밀어냄으로써 형성되고 볼트의 몸통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협력하도록 나사가공되는 그러한 돌출 부싱(14B)을 구비한다. 별개의 너트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부싱(14B)은 조임 탭(15)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조임 탭(14)의 측부 상에서 원통형 요소의 형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볼트의 몸통부는 구멍(14A) 내로 안락하게 끼워맞춰진다. 반대로, 볼트의 몸통부는 조임 탭(15) 내의 구멍(15A) 내에 헐겁게 끼워맞춰진다. 볼트의 몸통부가 상기 구멍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는 간극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멍(15A)은 길게 형성되어 조임 탭(15)의 높이와 동일한 방향(D)으로 더 큰 직경 치수를 가지며, 그 방향은 칼라의 축선(A)에 대한 반경방향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한편, 축선(A)에 수직인 칼라의 중심평면(P) 내에서 상기 몸통부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전 도면들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조임 탭(14 및 15)들과 같이, 도 8 내지 10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조임 탭들도 보강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조임 탭 상의 측부 플랜지들은 이 측부 플랜지들이 또 다른 조임 탭 상에서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칼라와 이전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칼라 사이의 또 다른 차이점은 조립부재들의 형태에 있다. 벨트부(12)의 제2 단부(12B)의 조립부재(116)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는 상기 제2 단부의 연장부(116A)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조립부재(116)는, 안정적인 걸림편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부(116A)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재 즉 걸림부재(116)는 연장부(116A) 내의 절취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조립부재 즉 걸림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돌출부(116)의 표면(116')인 걸림 내측 가장자리,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취부 즉 걸림부재(116)의 가장자리(116")를 갖는다.
벨트부(13)의 제2 단부(13B)의 조립부재는 상기 걸림 내측 가장자리 상에 걸리는 걸림 가장자리(117)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부(13)의 단부(13B)의 걸림부재는 상기 제2 단부 내의 걸림 가장자리 즉 개구(117)에 의해 형성되며, 그 걸림 가장자리(117A)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들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부재(117)는 벨트부(13)의 제2 단부(13B) 상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의 방사상 돌기에 의해 형성되며, 안정적으로 걸림부재의 가장자리(117B)는 창(window)(116)의 가장자리(116")에 대항하여 걸린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1의 돌출부(116) 또는 도 12의 걸림부재(117)의 위치에서, 각각 안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펀칭가공된 부분 또는 직립된 탭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칼라는 조임 탭들을 함께 가깝게 함으로써 조여지며, 벨트는 360°보다 약간 작은 각도에 걸쳐 둘러싸는 조립체를 형성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벨트를 360°보다 크게 연장되도록, 예컨대 조임 탭들을 멀리 이격되도록 움직임으로써 조임이 발생하는 도 13에 도시된 타입의 칼라를 형성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브리지는 조임시 평평해지거나 파손되는 루프를 초기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있어서, 벨트(21)는, 함께 고려시, 칼라가 폐쇄될 때 360° 이상에 걸쳐서 둘러싸는 2개의 벨트부(212 및 213)를 포함한다. 제1 단부(212A 및213A)들에서, 이 벨트부들은 바깥쪽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세워지는 조임 탭(214 및 215)들을 갖는다. 브리지(224)는 벨트부(212 및 213)의 제1 단부들을 상호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브리지(224)는 조임 탭(214 및 215)들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제2 단부(213B 및 212B)에서, 벨트부들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함께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뒤집혀 만곡되는 후크(216 및 217)들에 의해 구성되는 조립부재들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임수단은 볼트(218)를 포함하며, 볼트의 몸통부(218A)는 조임 탭(214 및 215)들 내의 구멍(214A 및 215A)들을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에 의해, 조립부재들이 일단 함께 조립되면, 칼라는 볼트(218)를 선회시킴으로써 조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칼라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조임이 조임 탭(214 및 215)들을 더 멀어지게 움직이도록 하기 때문에, 선회는 풀림 방향으로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의 머리부(218B)는 조임 탭(214)에 대해 유지되는 한편 조임 탭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머리부로부터 더 먼 탭의 측부 상에서, 볼트는, 예컨대 구멍(214A) 내에 결합된 후 볼트의 몸통부에 장착되는 서클립(circlip)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방사상 비드(218C)를 지닌다. 조임 탭(215)과 같은 쪽에서, 볼트의 몸통부는 나사부와 협력한다. 나사부는 별도의 너트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나사부는 구멍(215A) 가장자리의 원통형 연장부를 형성하는 돌출 부싱(215B) 내에 형성된다. 볼트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볼트의 머리부는 조임 탭(214)에 대하여 유지되는 상태로 남아있는 한편, 볼트의 몸통부는 부싱(215B)의 나사산에 대해 풀리며, 그에 따라 조임 탭(215)과 조임 탭(214)을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13은 단지 가능한 실시형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주어진 것이다. 특히, 조립수단(216 및 217)을 이전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조립수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5의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4 및 15의 설명이 이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조임 탭들에 대한 최소 간격을 형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 이외에, 칼라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칼라와 완전히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어버트먼트는, 조임 탭(15)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의 단부에 제공되며 조입 탭(14)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첩부(folded-over portion)(30)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는 개방 상태에 있는 칼라를 나타내는 한편, 절첩부(30)는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도 15는 폐쇄 상태에 있는 동일한 칼라를 나타내며, 절첩부(30)의 자유단부(30A)는 조임 탭(14)의 내측면(즉, 조임 탭(15)을 향하는 상기 조임 탭의 표면)에 대항하여 인접된다. 칼라의 조임시 외주방향으로 납작해지기 때문에, 어버트먼트(30)는 변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버트먼트는, 일단 변형되면, 조임 탭(14 및 15)들 사이에 최소 간격을 유지하는 스프링의 형태를 구성한다. 게다가, 일단 자유단부(30A)가 조임 탭(14)의 내측 표면에 대항하여 접촉되면, 상기 조임 탭 상에 작용하는 응력이 더욱 큰 조임 토크를 가할 필요가 있게 하기 때문에, 이 어버트먼트는 조임-종료 지시자(end-of-tightening indica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15의 칼라는, 도 3 내지 5에 있어서의 브리지와 같이, 조임 탭들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의 단부들에 형성되는 브리지(24)를 갖는다. 따라서, 어버트먼트(30)를 형성하는 절첩부는, 조임 탭(15)의 방사상으로 가장 외측의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브리지(24)의 양쪽에서 연장되는 2개의 혀부(tongues)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30)는 주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자유단부는 칼라의 실질적인 원주방향으로 돌아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주름 형상은 조임의 종료시 어버트먼트의 변형 방향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브리지(24)는 소정의 방향으로 초기에 굴곡지며(undulated), 이것은 상기 브리지의 변형 방향을 사전에 결정한다.
이전에 브리지가 파손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용이하게 할 것이 요구된다면, 조임 종료시 파손되는 구역을 결정하는 취약 라인(24A)(도 3 참조)을 브리지에 장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취약 구역은 브리지가 형성하는 힌지 구역의 힌지 축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6이 이하에 설명된다. 본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리지(324)는 벨트부(12)의 제1 단부(12A)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브리지는 제1 조임 탭(14)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브리지는 제1 벨트부(12)와 하나의 조각일 수 있거나 별개로 되어 제1 조임 탭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임 탭(14)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에서, 브리지(324)는 구멍(325A)이 제공되는 고정 탭(325)을 갖는다. 따라서, 2개의 벨트부(12 및 13)들은 제2 벨트부(13)의 조임 탭(15) 내의 구멍(15A)과 일치(register with)하도록 상기 탭(325) 내의 구멍(325A)을 위치시킴으로써 함께 조립된다. 그때 이것은 조임 탭(14) 내의 구멍(14A)을 통하여 그리고 서로 일치하는 구멍(325A 및 15A)들을 통하여 볼트(18)의 몸통부(18A)를 삽입하기에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임 탭(15)은 나사가공된 돌출 부싱(315B)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 부싱은, 측부 플랜지들 사이에서, 조임 탭(15)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한다. 구멍(325A 및 15A)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놓여질 때 상기 부싱이 구멍(325A) 내로 삽입되도록, 구멍(325A)의 직경은 상기 부싱의 외측 직경에 정합하도록 맞춰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브리지(324)는 V-형상을 가지며, V-형상의 선단(324A)은 칼라의 내측을 향한다. 따라서 이 선단(324A)은, 칼라의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브리지(24)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의 축선을 구현하는 절첩부(fold)를 형성한다. 일단 구멍(325A 및 15A)이 서로 일치하도록 놓여지면, 그리고 볼트(18)가 구멍(14A, 325A 및 15A) 내에 위치되면, 볼트는 부싱(15B) 내로 단지 사전-체결(pre-screwed)될 수 있다. 그때 칼라는 클램핑될 물품 주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벨트부의 제2 단부(12B 및 13B)들은 걸림수단(16 및 17)을 통하여 함께 걸릴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324')는 벨트부(12 및 13)들로부터 구별되는 요소이다. 브리지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탭(325)과 유사한 탭(325')을 우선 구비하며, 이 탭과 같이, 구멍(325'A)을 구비한다. 조임 탭(14)에의 고정을 위하여, 브리지(324')는 우선 구멍(325"A)을 구비하는 고정 탭(325")을 갖는다. 칼라를 조립하기 위해서, 브리지는, 구멍(325'A 및 325"A)들이 조임 탭(14 및 15)들 내의 구멍(14A 및 15A)들과 각각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때 볼트는 상기 구멍들 내로 삽입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임 탭(15) 내의 구멍(15A)은 돌출 부싱을 장비할 수 있다. 조임 탭(14) 내의 구멍(14A)은, 탭(325") 내의 구멍(325"A)과 같이, 타원형인 것이 유리하다. 벨트부(12 및 13)의 제2 단부(12B 및 13B)들은 걸림에 의해 동작하는 전술한 조립수단(16 및 17)을 구비한다.
도 16 및 17에 있어서, 고정 탭(325, 325' 및 325")들은 브리지가 벨트부들과 조립될 때 조임 탭(14 및 15)들에 평행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게다가,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브리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탭들은 조임 탭(14 및 15)들의 내측에 배치된다. 물론 고정 탭들을 외측에 배치할 수도 있지만, 내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324 및 324')들은 길이방향, 즉 하나의 조임 탭으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324A 및 324'A)들을 구비한다. 도 18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가 조여지는 칼라의 영향 하에서 절첩될 때, 볼트(18)가 브리지의 상기한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각의 슬롯은 적어도 브리지에 의해 형성되는 V-형상의 베이스 내에서 연장된다.
10: 벨트
12, 13: 벨트부
12A, 13A: 제1 단부
12B, 13B: 제2 단부
14, 15: 조임 탭
16, 17: 조립부재
18, 19: 조임수단
24; 24', 24"; 224: 브리지

Claims (12)

  1. 2개의 벨트부(12, 13)로 만들어지는 벨트(10)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벨트부들 각각은 조임 탭(14, 15)을 구비하는 제1 단부(12A, 13A) 및 조립부재(16, 17)를 구비하는 제2 단부(12B, 13B)를 가지며, 조립부재들은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부들을 함께 조립하도록 서로 협력하며, 각각의 조임 탭(14, 15)은 구멍(14A, 15A)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볼트(18)를 포함하며, 볼트의 몸통부(18A)는 상기 구멍들을 관통하며, 상기 볼트는 나사-결합에 의해 조임 탭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이게 하도록 조임 탭(14, 15)들에 대해 유지되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조임 탭(14, 15)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브리지(324')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는 조임 탭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고정 탭(325', 325")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고정 탭은 상기 볼트(18)의 몸통부(18A)가 관통하는 구멍(325'A, 325"A)을 구비하며, 상기 브리지는 조임력의 영향 아래에서 변형되는 클램핑 칼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탭(325', 325")들은 상기 조임 탭(14, 15)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클램핑 칼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24')는 상기 벨트부(12, 13)들과는 별개의 요소인 클램핑 칼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탭(325', 325")들은 상기 조임 탭(14, 15)들의 내측에 배치되는 클램핑 칼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24')는 상기 벨트부(12, 13)들보다 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칼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6, 17)들은 걸림으로써 서로 협력하는 클램핑 칼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12, 13)들 중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 안쪽으로 뒤집혀 만곡되는 자유단부(17A)를 가지는 제1 러그(17)를 포함하는 한편, 벨트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후크와 협력하는 제2 러그(16)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12)들 중 하나의 제2 단부(12B)의 조립부재(116)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는 상기 제2 단부의 연장부(116A) 상에 형성되는 클램핑 칼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6A)는 걸림 내측 가장자리(116', 116")를 가지며, 벨트부들 중 다른 하나의 제2 단부의 조립부재(117)는,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서, 걸림 내측 가장자리 상에 걸리는 걸림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클램핑 칼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 탭(14, 15)들 중 적어도 하나 내의 구멍(14A, 15A)은 타원형인 클램핑 칼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 탭(14, 15)들 중 하나 내의 구멍은 볼트(18)의 몸통부와 나사-결합됨으로써 협력되기 위하여 탭가공된 돌출 부싱(14B)을 가지는 클램핑 칼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24')는 V 형상을 가지는 클램핑 칼라.
KR1020187013748A 2010-11-05 2011-10-28 힌지식 클램핑 칼라 KR101922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9150 2010-11-05
FR1059150A FR2967230B1 (fr) 2010-11-05 2010-11-05 Collier de serrage articule
PCT/FR2011/052538 WO2012059675A2 (fr) 2010-11-05 2011-10-28 Collier de serrage artic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50A Division KR101922584B1 (ko) 2010-11-05 2011-10-28 힌지식 클램핑 칼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925A KR20180054925A (ko) 2018-05-24
KR101922585B1 true KR101922585B1 (ko) 2018-11-27

Family

ID=44262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50A KR101922584B1 (ko) 2010-11-05 2011-10-28 힌지식 클램핑 칼라
KR1020187013748A KR101922585B1 (ko) 2010-11-05 2011-10-28 힌지식 클램핑 칼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50A KR101922584B1 (ko) 2010-11-05 2011-10-28 힌지식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273706B2 (ko)
EP (2) EP3026316B1 (ko)
JP (1) JP5924744B2 (ko)
KR (2) KR101922584B1 (ko)
CN (1) CN103443520B (ko)
BR (1) BR112013011133B1 (ko)
DE (1) DE202011110727U1 (ko)
ES (1) ES2644850T3 (ko)
FR (1) FR2967230B1 (ko)
MX (1) MX337977B (ko)
PT (1) PT3026316T (ko)
RU (1) RU2572734C2 (ko)
WO (1) WO201205967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621B1 (ko) 2019-10-28 2020-06-30 홍현기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4878A1 (fr) * 2011-05-05 2012-11-09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charniere
DE102011117753B4 (de) * 2011-11-05 2013-09-12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DE102012009256B4 (de) * 2012-05-02 2015-08-06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US20150323563A1 (en) * 2013-01-27 2015-11-12 Dewalch Technolog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 Enclosure
US9512941B2 (en) * 2013-07-23 2016-12-06 Hawken Holdings, Llc Conduit guid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DE102015109207B4 (de) * 2015-06-10 2021-11-18 Norma Germany Gmbh Schelle
WO2017059358A1 (en) 2015-10-02 2017-04-0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ingle bolt clamp shaft
JP6439748B2 (ja) 2016-05-16 2018-1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クランプ結合具及びクランプ結合方法
CN106402103B (zh) * 2016-12-07 2018-10-23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快速拆装装置
US11378208B2 (en) * 2016-12-14 2022-07-05 ASC Engineered Solutions, LLC Pipe couplings
US20180340557A1 (en) * 2017-05-26 2018-11-29 Ideal Clamp Products, Inc. Hose clamp with indicator
GB201800151D0 (en) * 2018-01-05 2018-02-21 Teconnex Ltd Clamp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448346B2 (en) 2018-09-28 2022-09-20 ASC Engineered Solutions, LLC Pipe coupling
US10720731B2 (en) 2018-11-05 2020-07-21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Welding lead cable connector holding apparatus for locking and protecting welding leads
US10749296B2 (en) 2018-11-05 2020-08-18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nd protecting electrical connectors
US10746329B2 (en) * 2018-11-05 2020-08-18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Air hose coupling securing apparatus for securing air hoses and associated couplings together
US11901670B2 (en) 2018-11-05 2024-02-13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Air hose coupling securing apparatus with flexible inserts
US11183795B2 (en) 2018-11-05 2021-11-23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Three-phase electrical connector securing apparatus with flexible inserts
US10738423B1 (en) * 2018-11-26 2020-08-11 Paul Kristen, Inc. Platform and the hanging thereof from a bridge main cable
CN109630511A (zh) * 2018-12-08 2019-04-16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一种半固态成型的锁扣装置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US10870163B1 (en) 2020-05-12 2020-12-22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Welding lead connector and welding lead connector including locking mechanism
DE102020116407A1 (de) 2020-06-22 2021-12-23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DE102020116406B4 (de) 2020-06-22 2023-09-2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CN112908578B (zh) * 2021-02-03 2022-03-25 武汉华电众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10kV固定外串联间隙避雷装置
US11951573B2 (en) 2021-03-03 2024-04-09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Screw lock for securing welding lead connectors together
US11177584B1 (en) 2021-03-03 2021-11-16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Female welding lead connector including safety flip cover
USD1021801S1 (en) 2022-03-31 2024-04-09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Safety plug
USD1023958S1 (en) 2022-03-31 2024-04-23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Safety plug
US11964347B2 (en) 2022-03-31 2024-04-23 Alpha/Omega Energy Solutions, LLC Safety plug for a female welding lead connector
DE102022112393A1 (de) * 2022-05-17 2023-11-23 Oetiker Schweiz Ag V-profil-schelle mit bandschlo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3010A1 (fr) 1997-03-26 1998-10-01 Etablissements Caillau Collier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US20020109355A1 (en) 1999-11-17 2002-08-15 Anthony Elliott Nut and seat assembly for clamp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019A (en) * 1907-07-11 1907-12-31 Henry A Wahlert Hose-clamp.
US3233907A (en) * 1963-04-01 1966-02-08 Corning Glass Works Coupling for joining pipe sections of differing diameter
US3486772A (en) * 1966-12-05 1969-12-30 Aeroquip Corp Fluid coupling with deformable holding means
US3828403A (en) * 1972-04-10 1974-08-13 D Perrin Pipe coupling
US3964773A (en) * 1974-09-13 1976-06-22 Mercury Metal Products, Inc. Anti-emission exhaust pipe joint and clamp therefor
US3999825A (en) * 1975-12-17 1976-12-28 De Laval Turbine Inc. Tubing coupling with electrical bonding
US4109350A (en) * 1976-10-07 1978-08-29 Midland-Ross Corporation Clamp band
DE2849880C3 (de) * 1978-11-17 1981-09-10 Karl Ing.(Grad.) 4040 Neuss Weinhol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Schlauch- oder Rohrenden
US4408788A (en) * 1981-09-23 1983-10-11 Grinnell Fire Protection Systems Company, Inc. Hingeable split pipe collar
US4643460A (en) * 1985-02-06 1987-02-17 Construction Forms, Inc. High pressure concrete line coupling clamp with limit adjust apparatus
US5018768A (en) * 1990-07-19 1991-05-28 Quikcoup, Incorporated Pipe coupling hinge
JPH0538408A (ja) 1991-08-06 1993-02-19 Mitsubishi Heavy Ind Ltd 気液分離装置
JPH0538408U (ja) * 1991-10-08 1993-05-25 邦彦 清澤 構造用パイプ材の接続金具
EP0646747A1 (en) * 1993-09-17 1995-04-05 Ck Metals, Ltd. Pipe connecting structure
FR2756356B1 (fr) * 1996-11-25 1999-02-1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boitier elastique
FR2775753B1 (fr) * 1998-03-04 2000-05-19 Ind Ab Collier de serrage pour tubes a connecter, en particulier tubes d'echappement
US6533333B1 (en) * 1998-08-24 2003-03-18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Hinged mechanical couplings with interfitting ends
US6443403B1 (en) * 2000-09-11 2002-09-03 Panduit Corp. Cable routing clamp and method of application
EP2273059B1 (en) * 2000-10-16 2012-02-15 Weatherford Lamb, Inc. Coupling apparatus
US20030062718A1 (en) * 2001-09-28 2003-04-03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Ferrous pipe couplings and prelubricated coupling gaskets
DE10155735A1 (de) * 2001-11-08 2003-05-22 Newfrey Llc Halter für einen Körper und Befestigungsanordnung
US20030122377A1 (en) * 2001-12-27 2003-07-03 Northrop William F. Tube coupling assembly
SE524585C2 (sv) * 2002-03-04 2004-08-31 Aba Sweden Ab Kopplingsanordning för rör innefattande två ledbara halvor
FR2863335B1 (fr) * 2003-12-04 2007-11-0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7144047B2 (en) * 2003-12-10 2006-12-05 Victaulic Company Flexible pipe coupling
US7086131B2 (en)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FR2902175B1 (fr) * 2006-06-09 2016-02-19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GB2446813A (en) * 2007-02-21 2008-08-27 Norma Products Ltd Annular clamp with temporary clip to facilitate assembly
GB2446814A (en) * 2007-02-21 2008-08-27 Norma Products Ltd Annular clamp with moveable captive nut
FR2919039B1 (fr) * 2007-07-16 2012-12-28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avec collier de serrage et piece de positionnement
WO2009155640A1 (en) * 2008-06-23 2009-12-30 Flangeware Pty Ltd Improved pipe flange inspection device
US8075024B2 (en) * 2008-06-30 2011-12-13 Eaton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US8448993B2 (en) * 2009-06-12 2013-05-28 Romac Industries, Inc. Pipe coupling
US8864181B2 (en) * 2011-02-16 2014-10-21 Sensus Spectrum, Llc Split-ring gland pipe coupling with corrugated arm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3010A1 (fr) 1997-03-26 1998-10-01 Etablissements Caillau Collier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US20020109355A1 (en) 1999-11-17 2002-08-15 Anthony Elliott Nut and seat assembly for c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621B1 (ko) 2019-10-28 2020-06-30 홍현기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67230B1 (fr) 2013-08-30
EP2635835A2 (fr) 2013-09-11
ES2644850T3 (es) 2017-11-30
WO2012059675A2 (fr) 2012-05-10
CN103443520A (zh) 2013-12-11
RU2013125771A (ru) 2014-12-10
EP3026316B1 (fr) 2017-08-09
KR20180054925A (ko) 2018-05-24
FR2967230A1 (fr) 2012-05-11
RU2572734C2 (ru) 2016-01-20
EP3026316A1 (fr) 2016-06-01
WO2012059675A3 (fr) 2012-07-19
US9273706B2 (en) 2016-03-01
KR101922584B1 (ko) 2018-11-27
BR112013011133A2 (pt) 2016-08-02
CN103443520B (zh) 2016-03-23
DE202011110727U1 (de) 2015-12-01
KR20130122751A (ko) 2013-11-08
MX337977B (es) 2016-03-29
US20130212842A1 (en) 2013-08-22
BR112013011133B1 (pt) 2021-01-26
EP2635835B1 (fr) 2017-02-22
JP5924744B2 (ja) 2016-05-25
JP2014500934A (ja) 2014-01-16
MX2013005048A (es) 2013-12-06
PT3026316T (pt)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585B1 (ko) 힌지식 클램핑 칼라
KR102445272B1 (ko) 클램핑 칼라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US11280435B2 (en) Profile clamp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sealing element for a profile clamp and conduit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a profile clamp of this type
CN107893883B (zh) 用于将两个管子连接在一起的角定位受控型夹紧系统
JP5984021B2 (ja) 第1チューブと第2チューブとを連結およびプレフィットするための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US9631657B2 (en) Fastening element and assembly with such a fastening element and a receiving element
US10794518B2 (en) Profile clamp having sealing element
KR101512506B1 (ko) 프로파일링된 클램프
ITTO20130058U1 (it) Collare con profilo con pre-posizionatore
US10962156B2 (en) Hose clamp
CN109952441B (zh) 铆钉紧固件组装件
CN105940199A (zh) 用于机动车排气系统的尾管盖和具有这种尾管盖的排气系统
WO2017117187A1 (en) Hose clamp bracket with positioning features
EP2682656B1 (en) Pipe clip with spring washer
US11499656B2 (en) Clamping system comprising a collar and a pre-mounting clip
JP2015511301A (ja) 管継手
US8511928B2 (en) Error-proof tube connection
CN218625884U (zh) 安装组件
EP1867884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 steering
CN113175570A (zh) 管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