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70B1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970B1 KR101921970B1 KR1020170027170A KR20170027170A KR101921970B1 KR 101921970 B1 KR101921970 B1 KR 101921970B1 KR 1020170027170 A KR1020170027170 A KR 1020170027170A KR 20170027170 A KR20170027170 A KR 20170027170A KR 101921970 B1 KR101921970 B1 KR 101921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concrete
- case
- separated
- m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와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와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벽체,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축물은, 내부 공간이 상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표면과 밀착되는 합판과 합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합판을 보강하여 주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종래에는 상기 합판 외에 상기 프레임까지도 각목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 되어 왔으나,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짧기 때문에 근래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을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한 금속 거푸집 판넬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 판넬을 구성하는 합판가지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그 중량이 과다하게 되어 사람이 다루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푸집 판넬의 판재로는 여전히 상기 합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합판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판넬은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매끄럽게 양생 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목재인 합판은 그 특성상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을 거칠게 만들게 되고, 양생 중인 콘크리트가 매끄럽지 못한 합판 표면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판넬의 분리 시 합판 표면에 결합된 콘크리트가 합판과 함께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은 더욱 거칠게 될 뿐 아니라, 해체된 거푸집 판넬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합판 표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가지 초래되고,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표면이 손상되어 거푸집을 재사용 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거푸집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88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결합하면 콘크리트와 맞닿는 상기 제1패널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하도록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을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2패널이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패널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제1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의 상기 구멍의 상면에 추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추가연장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된 상기 추가홈에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된 상기 추가연장편이 결합되어 완전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패널의 상기 구멍의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진퇴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을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진퇴블럭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2패널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뒤로 휘어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제1패널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을 분리할 때 패널의 표면에 콘크리트 조각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착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거푸집의 패널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은 제1패널(11), 제2패널(12), 케이스(13), 제2패널 후퇴수단(15) 및 지지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11)에는 복수개의 구멍(1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12)에는 상기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1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6)는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이 결합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후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1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1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11)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1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1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1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1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11, 1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11, 1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따라서, 거푸집(1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10)의 각각의 패널(11, 1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10)의 상기 각각의 패널(11, 1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10)의 상기 각각의 패널(11, 1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은 제1패널(21), 제2패널(22), 스프링(24), 케이스(23) 및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패널(21)에는 복수개의 구멍(2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22)에는 상기 구멍(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2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상기 제1패널(21)은 상기 케이스(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22)은 상기 케이스(2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22)과 상기 케이스(23)사이에 상기 스프링(24)이 장착되어 상기 제2패널(22)은 상기 케이스(23) 내부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2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제2패널(22) 또는 케이스(23)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2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패널(21) 및 제2패널(2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2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21) 및 제2패널(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2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2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21)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22)을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이용하여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2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2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2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2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거푸집(2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22)과 상기 케이스(23)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2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22)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푸집(2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2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2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2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21, 2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21, 2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2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2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은 제1패널(31), 제2패널(32), 케이스(33) 및 제2패널 후퇴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31)에는 복수개의 구멍(3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32)에는 상기 구멍(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31a)의 하단과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3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상기 제1패널(31)은 상기 케이스(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32)은 상기 케이스(3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3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3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3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제1패널(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3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31a) 및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3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제1패널(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3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31)을 분리한다.
구제적으로, 상기 제2패널(32)을 제2패널 후퇴수단(35)을 이용하여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2패널(32)이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31a) 및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2패널(32)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3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케이스(3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3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3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3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3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31, 3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31, 3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또한, 분리 방향이 수직 방향이 아닌 전단 방향이기 때문에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의 떼어짐이 더욱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3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3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제4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은 제1패널(41), 제2패널(42), 케이스(43), 제2패널 후퇴수단(45), 진퇴블럭(46) 및 진퇴스프링(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41)에는 복수개의 구멍(4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에는 상기 구멍(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의 상면에 추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2a)의 상면에 상기 추가홈에 딱 맞는 형태의 추가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의 하단에는 상기 진퇴블럭(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퇴블럭(46)은 하부에 형성된 상기 진퇴스프링(4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4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상기 제1패널(41)은 상기 케이스(4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은 상기 케이스(4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4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4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4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제1패널(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4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4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제1패널(41)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4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41)을 분리한다.
구제적으로, 상기 제2패널(42)을 제2패널 후퇴수단(45)을 이용하여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41a) 하단에 형성된 진퇴블럭(46)이 진퇴스프링(47)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제1패널(41)에 평행하게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패널(4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2a)에 형성된 추가연장편이 상기 제1패널(41)의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에 형성된 추가홈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제2패널(42)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케이스(4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4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4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푸집(4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4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4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4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41, 4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41, 4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4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4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제5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은 제1패널(51), 제2패널(52), 스프링(54), 케이스(53) 및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51)에는 복수개의 구멍(5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52)에는 상기 구멍(5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5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돌출부(52a)는 상단이 제2패널(52)에 연결부(57)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은 제1패널(51)의 구멍(51a)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2패널(5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세팅된 각도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51)은 상기 케이스(5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52)은 상기 케이스(5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52)과 상기 케이스(53)사이에 상기 스프링(54)이 장착되어 상기 제2패널(52)은 상기 케이스(53) 내부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5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54)은 상기 제2패널(52) 또는 상기 케이스(53)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5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5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5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5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51)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52)을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이용하여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제2패널(52)이 스프링(54)을 압축하면서 후퇴하는 과정에서 탄성체로 형성된 상기 제2패널(52)의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뒤로 휘어지면서 제2패널(52)의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콘크리트로부터 먼저 분리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스프링(54)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2패널(52)과 함께 케이스(5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5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거푸집(5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52)과 상기 케이스(53)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5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52)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체로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5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5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서서히 뒤로 휘어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5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51, 5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51, 5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따라서, 거푸집(5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5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제6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은 제1패널(61), 제2패널(62), 스프링(64), 케이스(63) 및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61)에는 복수개의 구멍(6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62)에는 상기 구멍(6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6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상기 제1패널(61)은 상기 케이스(6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62)은 상기 케이스(6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는 상기 제1패널(61)과 상기 스프링(64)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상기 스프링(64)에 의해 상기 케이스(63)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케이스(6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6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6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62)을 위쪽으로 올려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돌출부(62a)를 먼저 분리한 후,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케이스(63)의 후방으로 당겨 상기 제1패널(61)을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6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62)을 케이스(63)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6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61)을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62)을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63)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패널(61)과 스프링(64)으로 연결된 상기 제2패널(62)의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상기 케이스(63)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돌출부(62a)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케이스(6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케이스(6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6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거푸집(6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와 상기 제1패널(61)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6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6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서서히 상기 케이스(63)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6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61, 6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61, 6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따라서, 거푸집(6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케이스(6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6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 20, 30, 40, 50, 60)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을 분리할 때 패널의 표면에 콘크리트 조각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착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거푸집의 패널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10 : 거푸집
11 : 제1패널
11a : 구멍
12 : 제2패널
12a : 돌출부
13 : 케이스
15 : 제2패널 후퇴수단
16 : 지지대
<제2실시예>
20 : 거푸집
21 : 제1패널
21a : 구멍
22 : 제2패널
22a : 돌출부
23 : 케이스
24 : 스프링
2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3실시예>
30 : 거푸집
31 : 제1패널
31a : 구멍
32 : 제2패널
32a : 돌출부
33 : 케이스
3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4실시예>
40 : 거푸집
41 : 제1패널
41a : 구멍
42 : 제2패널
42a : 돌출부
43 : 케이스
45 : 제2패널 후퇴수단
46 : 진퇴블럭
47 : 진퇴스프링
<제5실시예>
50 : 거푸집
51 : 제1패널
51a : 구멍
52 : 제2패널
52a : 돌출부
53 : 케이스
54 : 스프링
55 : 제2패널 후퇴수단
<6실시예>
60 : 거푸집
61 : 제1패널
61a : 구멍
62 : 제2패널
62a : 돌출부
63 : 케이스
64 : 스프링
65 : 제2패널 후퇴수단
10 : 거푸집
11 : 제1패널
11a : 구멍
12 : 제2패널
12a : 돌출부
13 : 케이스
15 : 제2패널 후퇴수단
16 : 지지대
<제2실시예>
20 : 거푸집
21 : 제1패널
21a : 구멍
22 : 제2패널
22a : 돌출부
23 : 케이스
24 : 스프링
2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3실시예>
30 : 거푸집
31 : 제1패널
31a : 구멍
32 : 제2패널
32a : 돌출부
33 : 케이스
3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4실시예>
40 : 거푸집
41 : 제1패널
41a : 구멍
42 : 제2패널
42a : 돌출부
43 : 케이스
45 : 제2패널 후퇴수단
46 : 진퇴블럭
47 : 진퇴스프링
<제5실시예>
50 : 거푸집
51 : 제1패널
51a : 구멍
52 : 제2패널
52a : 돌출부
53 : 케이스
54 : 스프링
55 : 제2패널 후퇴수단
<6실시예>
60 : 거푸집
61 : 제1패널
61a : 구멍
62 : 제2패널
62a : 돌출부
63 : 케이스
64 : 스프링
65 : 제2패널 후퇴수단
Claims (4)
-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및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변형 후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제2패널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제1패널의 구멍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패널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과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점진적으로 뒤로 휘어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상기 제2패널을 계속해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케이스를 후방으로 밀어서 상기 케이스가 후퇴되면서 상기 제1패널이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ko) | 2017-03-02 | 2017-03-02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ko) | 2017-03-02 | 2017-03-02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845A KR20180100845A (ko) | 2018-09-12 |
KR101921970B1 true KR101921970B1 (ko) | 2018-11-27 |
Family
ID=6359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ko) | 2017-03-02 | 2017-03-02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197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6399Y1 (ko) | 2020-07-06 | 2023-01-18 | 김춘성 | 단열재 고정구 |
KR200496398Y1 (ko) | 2020-07-29 | 2023-03-07 | 김춘성 |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CN112814366B (zh) * | 2020-12-31 | 2021-08-03 | 武汉联创兴业钢模有限公司 | 一种折叠式建筑模板 |
KR20240109238A (ko) | 2022-02-25 | 2024-07-10 | 윤승배 | 다기능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기능 시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920B1 (ko) * | 2008-08-25 | 2009-01-13 |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 탈리가 용이한 건축용 거푸집 패널 |
KR100877919B1 (ko) * | 2008-08-25 | 2009-01-13 |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 탈리용 타격구가 구비된 건축용 거푸집 패널 |
-
2017
- 2017-03-02 KR KR1020170027170A patent/KR1019219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920B1 (ko) * | 2008-08-25 | 2009-01-13 |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 탈리가 용이한 건축용 거푸집 패널 |
KR100877919B1 (ko) * | 2008-08-25 | 2009-01-13 |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 탈리용 타격구가 구비된 건축용 거푸집 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845A (ko) | 2018-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1970B1 (ko)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
KR101921972B1 (ko)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
US20180290332A1 (en) | Portable mold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forming objects using portable molding apparatuses | |
RU2015121712A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блокировки оболочки | |
KR101879810B1 (ko) |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 |
CN105751365A (zh) | 混凝土抗渗试块脱模装置 | |
CN210713836U (zh) | 一种自动拆模机 | |
KR200486688Y1 (ko) | 파이프의 데미지 복원 치공구 | |
CN214246581U (zh) | 一种建筑模板 | |
CN211775481U (zh) | 一种建筑装饰板贴胶辅助装置 | |
CN112296447A (zh) | 一种模具生产用开槽设备 | |
CN111335639B (zh) | 一种辅助预制剪力墙分仓的装置及其施工方法 | |
KR100777671B1 (ko) | 알루미늄재 거푸집용 보강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
CN205735854U (zh) | 一种直顶斜向出模结构 | |
CN115198989B (zh) | 一种装饰工程设计用可拆卸的组合式背景墙及其组合方法 | |
CN211082482U (zh) | 便于拼接的防潮垫板 | |
CN215319234U (zh) | 一种木结构修复工具 | |
CN220550822U (zh) | 一种建筑装饰装修的辅助登高结构 | |
CN215397248U (zh) | 一种礼花盒拼接结构装置 | |
TWI738134B (zh) | 建築用模板 | |
CN209440425U (zh) | 一种钣金瓦片模 | |
CN220299040U (zh) | 一种运输不规则装配式建筑预制板结构 | |
CN206356553U (zh) | 传动配件的压铸模具 | |
CN220747499U (zh) | 一种复合型木饰面 | |
CN217734938U (zh) | 用于建筑施工的防护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